KR910000443A - 자동차용 안전밸트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안전밸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443A
KR910000443A KR1019900009275A KR900009275A KR910000443A KR 910000443 A KR910000443 A KR 910000443A KR 1019900009275 A KR1019900009275 A KR 1019900009275A KR 900009275 A KR900009275 A KR 900009275A KR 910000443 A KR910000443 A KR 910000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ormable
seat belt
bracket
belt device
retr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9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후미 사가끼다
세스노리 마유모또
도시유끼 마나베
Original Assignee
후루다 노리마사
마쓰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루다 노리마사, 마쓰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루다 노리마사
Publication of KR910000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44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41Belt retractors, e.g. reels comprising energy-absorb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2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안전밸트 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가 부착된 자동차의 내부 사시도.
제2a도는 제1도의 안전장치의 단면도.
제2b도는 안전장치 작동 전의 충격완화부재의 투시도.
제2c도는 안전장치 작동 후의 충격완화부재의 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안전장치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식.

Claims (34)

  1. 충돌시에 자동차 좌석 정면에 있는 용기에 수납된 공기 주머니가 팽창하여 승객을 보호하는 공기 주머니 장치(2)를 포함하고, 자동차 충돌시 리트랙터(5)에 장착된 어깨벨트로서 승객을 붙들어 전방으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벨트장치(4)에 있어서, 안전벨트와 결합하여 최대 충격에 대해 팽창된 공기 주머니가 승객에 작용하기 전 타이밍에 승객에 의해 증가되는 인장력으로 부터 어깨 벨트의 구속을 완화하는 충격완화 부재(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밸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타이밍이 최대 충격작용시 공기주머니가 승객에게 작용하기 시작하는 시간의 대략 80%에 해당하는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벨트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충격완화 부재(20)이 어깨벨트에 직접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벨트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충격완화 부재(20)이 어깨벨트가 수납되는 축부재와 축부재를 지지하기 위해 자동차의 몸체부에 연결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어깨벨트가 특정의 압각 가중으로 당겨질 때 지지부재가 변형 가능한 것이어서 축부재가 이동하는 것을 허락하여 증가하는 압박으로부터 어깨밸트를 제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 벨트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지지부재가 평행한 측벽(21A)(21B)을 갖는 브래킷(21)과 측벽(21A)(21B) 각각에 형성된 변형가능구멍을 포함하여 축부재를 수납하게 하고 변형가능구멍이 축부재에 의해 변형되는 것 이어서 안전벨트가 특정의 압박가중으로 당겨질 때 축부재가 이동하도록 허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벨트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변형 가능한 구멍이 원형구멍을 포함하여 축부재와 원형구멍으로 직접 연장한 길게 늘어져 있는 홈을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벨트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변형가능부재가 각각의 측벽에 연장된 홈(각각이 측벽에 형성된)으로부터 분리되게 형성된 얇은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벨트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축부재가 실제적으로 수직방향으로 병렬되게 배치된 두개의 원통형 축을 포함하고, 두개의 원통형 축 중에 하나가 움직이지 않게 지지되는 것이고 두개의 원통형 축의 나머지 하나는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벨트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어깨벨트가 S형태로 두개의 원통형 축으로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벨트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지지부재가 팽행한 측벽을 갖는 브래킷을 포함하며 각각은 축부재를 수납하여 움직이게 하는 연장된 홈과 어깨벨트의 압박가중에 대해 축부재를 어징하게 하는 변형가능 어징부재를 설치된 것이고, 변형가능 어징부재는 변형하는 것이어서 어깨벨트가 특정의 압박가중으로 당겨질때 연장된 홈 안으로 축부재를 움직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벨트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어징부재가 축부재와 지지부재 사이에 제공된 인장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벨트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충격완화부재가 리트랙터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벨트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충격완화부재가 자동차의 본체부에 리트랙터를 커플링하기 위한 커플링부재를 포함하고, 커플링부재는 변형가능한 것이어서 어깨벨트가 특정의 압박가중에 의해 당겨질 때 리트랙터를 움직이게 함으로 증가하는 압박으로 부터 어깨벨트를 제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벨트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커플링 부재가 한쪽암이 리트렉터 고정되고 다른쪽 암이 본체부에 고정되는 변형가능 U형태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벨트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커플링 부재가 리트랙터에 고정된 변형가능 L형태 브래킷과 본체부에 고정된 변형가능탭을 포함하고, 어깨벨트가 특정의 압박가중으로 당겨질 때 캡이 변형가능 L형태 브래킷 안으로 통합되는 것이고, 쪼개질 수 있는 것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벨트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커플링 부재가 변형가능구멍에 형성된 브래킷과 변형가능구멍에 수납된 커플링축부재를 포함하고, 변형가능구멍이 커플링축부재에 의해 변형되는 것이어서 어깨벨트가 특정의 압박가중으로 당겨질 때 커플링 축부재가 브래킷에 대해 움직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벨트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브래킷이 본체부에 고정되고 커플링축부재가 리트랙터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벨트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브래킷에 구성요소로서 리트랙터가 형성되고 커플링 축 부재에 의해 본체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벨트장치.
  19. 제13항에 있어서, 커플링부재가 본체부에 고정된 브래킷과 한쪽끝이 리트랙터에 고정되고, 다른쪽 끝이 브래킷에 변형가능하게 결합된 변형가능커플링부재를 포함하고, 변형가능커플링부재가 리트랙터와 브래킷 사이의 거리를 연장하기 위해 브래킷에 의해 변형되는 것이기 때문에 어깨밸트가 특정의 압박가중으로 당겨질때 리트랙터가 브래킷에 대하여 움직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벨트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변형가능커플링부재가 전이부를 통해 하부1/2부에 연결된 상부 1/2부 납작판을 변형가능커플링 파이프를 포함하고, 이 변형가능파이프가 브래킷에 의해 전이부를 갖고 브래킷에 의해 납작하게 될 수 있는 것이어서 어깨벨트가 특정의 압박가중으로 당겨질 때 브래킷에 대하여 미끄러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벨트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변형가능커플링부재가 구성요소로서 측면으로 툭 튀어나온 탭을 설치한 부재를 포함하고, 이 부재는 브래킷 측면에 설치된 홀딩클립에 의해 측면으로 튀어나온 탭에 지지되는 것이고 홀딩클립에 의해 옆으로 튀어나온 탭에서 깨질 수 있는 것이어서 어깨벨트가 특정의 압박가중으로 당겨질 때 브래킷에 대해 미끄러지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벨트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변형가능커플링부재가 브래킷에 고정된 축 주위를 한바퀴 이상감긴 하부를 가지고 있어서 어깨벨트가 특정의 압박가중으로 당겨질 때 늘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벨트장치.
  23. 제13항에 있어서, 커플링부재가 본체부와 리트랙터 사이에 직접 고정된 탄성변형가능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벨트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어깨벨트가 특정의 압박 하중으로 당겨질 때 탄성변형가능부재가 늘어나기에 적합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벨트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탄성변형가능부재에는 불연속인 횡스코어링 라인에 있어서 어깨벨트가 특정의 압박하중으로 늘어날 때 탄성변형가능부재가 늘어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벨트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탄성변형가능부재가 젖혀져서 어깨벨트가 특정압박하중으로 당겨질 때 늘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벨트장치.
  27. 제23항에 있어서, 어깨벨트가 특정 압박하중으로 당겨질 때 탄성변형 가능부재가 굽힐 수 있는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벨트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스터드가 소정거리에 있는 본체부로부터 리트랙터가 떨어져 위치하기 위한 길이를 갖는 중앙정갱이부를 갖고 수납되는 끝 보스부가 중앙정갱이부의 양끝으로 부터 연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벨트장치.
  29. 제27항에 있어서, 스터드가 고정나사와 고정나사에 적합한 원통형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원통형 스페이서가 소정의 거리에 있는 본체부로부터 리트랙터가 떨어져 위치하기 위해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벨트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원통형 스페이서에 복수의 원주 스코어링라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벨트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원통형 스페이서에 복수의 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벨트장치.
  32. 제12항에 있어서, 충격완화부재가 커플링부재를 포함하여 자동차 본체부에 리트랙터를 커플링하며, 커플링부재가 비틀림으로 변형가능하여 어깨벨트가 특정압박하중으로 당겨질 때 리트랙터에 제공되는 외력을 흡수함으로 증가되는 압박으로 부터 어깨벨트를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벨트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커플링부재가 각각 리트랙터와 본체부 한쪽 끝에 분리고정된 두개의 브래킷을 포함하고, 비틀림으로 변형가능한 로드인 두개의 브래킷이 서로 다른 끝에 결합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벨트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두개의 브래킷 각각이 한바퀴가 못되게 비틀림으로 변형가능한 로드주위의 다른 끝에 감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벨트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00009275A 1989-06-20 1990-06-20 자동차용 안전밸트 장치 KR9100004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57006A JPH0321548A (ja) 1989-06-20 1989-06-20 自動車のシートベルト装置
JP1-157006 1989-06-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0443A true KR910000443A (ko) 1991-01-29

Family

ID=15640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9275A KR910000443A (ko) 1989-06-20 1990-06-20 자동차용 안전밸트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0404075A3 (ko)
JP (1) JPH0321548A (ko)
KR (1) KR91000044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202219U1 (ko) * 1992-02-20 1992-05-21 Trw Repa Gmbh
GB9411748D0 (en) * 1994-06-11 1994-08-03 Allied Signal Ltd Vehicle safety restraints
FR2728848A1 (fr) * 1994-12-30 1996-07-05 Renault Dispositif limiteur d'effort notamment pour ceintures de securite
DE19511457A1 (de) * 1995-03-29 1996-10-02 Trw Repa Gmbh Kraftbegrenzung in einem Insassen-Rückhaltesystem
DE19614730C1 (de) * 1996-04-15 1997-06-19 Daimler Benz Ag Gurtkraftbegrenzer für einen Fahrzeugsicherheitsgurt
GR1003077B (el) * 1998-01-09 1999-02-12 . Περιοριστες δυναμεως κρουσεως για πολλες χρησεις
JP4425392B2 (ja) * 1999-11-17 2010-03-03 オートリブ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装置
BR0205059B8 (pt) * 2002-11-13 2013-02-19 dispositivo absorvedor de energia com limitador de curso.
DE10341411B3 (de) * 2003-09-05 2005-03-24 Johnson Controls Gmbh Deformierbare Halterung zur Befestigung eines Sicherheitstrennnetzes im Laderaum eines Kraftfahrzeugs
EP2626247A1 (fr) * 2012-02-10 2013-08-14 Institut National de Recherche et de Sécurité pour la Prévention des Accidents du Travail et des Maladies Professionnelles (INRS) Elément de liaison et de rétention avec absorption d'énergie d'un aménagement à l'intérieur d'un véhicule
JP2022151368A (ja) * 2021-03-26 2022-10-07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取付構造
WO2023068099A1 (ja) 2021-10-20 2023-04-27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保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06989A (en) * 1962-03-06 1963-10-15 Airborne Accessories Corp Energy absorbing devices
GB1367284A (en) * 1970-08-24 1974-09-18 Cushion Car Ltd Motor vehicles
US3765700A (en) * 1971-10-28 1973-10-16 American Safety Equip Reusable and automatically resettable energy dissipating device
US3938627A (en) * 1972-01-12 1976-02-17 Nissan Motor Company Limited Mechanical energy absorbing device and safety harness using the same
FR2188451A5 (ko) * 1972-06-08 1974-01-18 Peugeot & Renault
JPS4961220U (ko) * 1972-09-09 1974-05-29
DE2263215A1 (de) * 1972-12-23 1974-06-27 Porsche Ag Fahrzeuge, insbesondere kraftfahrzeuge
JPS5324032U (ko) * 1976-08-06 1978-03-01
JPS5684854U (ko) * 1979-11-30 1981-07-08
DE8914928U1 (ko) * 1988-04-06 1990-03-01 Autoflug Gmbh & Co Fahrzeugtechnik, 2084 Rellingen, De
DE3904668A1 (de) * 1989-02-16 1990-08-30 Daimler Benz Ag Insassen-rueckhalte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04075A3 (en) 1991-10-30
JPH0321548A (ja) 1991-01-30
EP0404075A2 (en) 1990-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32754B2 (en) Safety seat
US5211694A (en) Safety apparatus including an air bag and a safety belt supported on a vehicle with a deformable coupling
KR910000443A (ko) 자동차용 안전밸트 장치
US566724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occupant injury in frontal collisions
US7789414B2 (en) Gas generator assembly mounting mechanism
KR100990035B1 (ko) 테더 홀더를 구비한 차량용 조수석 에어백 쿠션
RU2699167C1 (ru) Устройство трехточечного ремня безопасности
KR20110061196A (ko) 차량의 커튼에어백용 램프브라켓
CN101734217B (zh) 侧撞扶手收缩机构
KR20070030053A (ko) 로드리미터
US3446533A (en) Wire-pulling means for absorbing the kinetic energy of a moving body
KR100187861B1 (ko) 자동차 시트벨트의 완충장치
KR0173598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890007002Y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100326372B1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 어셈블리
KR940007464Y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100353063B1 (ko) 전단 소성변형을 이용한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로드 리미터구조
JP2017074849A (ja) シートベルト用緩衝装置
KR970039919A (ko) 자동차의 안전벨트 완충장치
KR20050052711A (ko) 자동차의 시트벨트버클용 로드리미터장치
JP2000326823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KR100811941B1 (ko) 차량 필러의 충격 흡수구조
KR890003546Y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100680719B1 (ko) 로드리미터 기능을 갖는 시트벨트 프리텐셔너
KR960012099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WICV Withdrawal of application forming a basis of a converted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