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435Y1 - 복사기의 토너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복사기의 토너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435Y1
KR910000435Y1 KR2019870024550U KR870024550U KR910000435Y1 KR 910000435 Y1 KR910000435 Y1 KR 910000435Y1 KR 2019870024550 U KR2019870024550 U KR 2019870024550U KR 870024550 U KR870024550 U KR 870024550U KR 910000435 Y1 KR910000435 Y1 KR 9100004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toner supply
supply pipe
auger
cop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245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4134U (ko
Inventor
김영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700245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0435Y1/ko
Publication of KR8900141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413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4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4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8Details of powder developing device not concerning the development directly
    • G03G2215/0802Arrangements for agitating or circulating developer material
    • G03G2215/0816Agitator type
    • G03G2215/0827Aug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복사기의 토너 공급장치
제1도는 종래 현상기 유니트의 단면도.
제2도는 종래 현상기 유니트의 부분사시도.
제3도는 종래 토너 공급장치를 보인 단면도.
제4a,b,c도는 종래 토너 공급장치의 토너 배출구 구조의 실시형태를 보인 부분 저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현상기 유니트의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현상기 유니트의 사시도.
제7도는 본 고안 토너 공급장치를 보인 단면도.
제8도는 본 고안 토너 공급장치의 토너 배출구를 보인 부분저면도.
제9도는 본 고안 토너 공급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선단부 2 : 후단부
3 : 토너공급관 4 : 토너호퍼
5 : 오거스프링 6 : 배출구
7 : 믹서 8 : 현상기
본 고안은 복사기의 토너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토너 공급장치중에서 토너공급관과 토너공급 오거(Auger)를 개선하여 간소화시키고 토너를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서랍식으로 착탈되는 현상기 유니트에 적합하게 한 복사기의 토너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복사기에 있어서는 복사기 본체의 외부에 있는 토너호퍼(21)에서 현상기 내부로 토너를 공급하기 위해 토너공급관(22)과 그 내부에 오거스프링(Auger spring)(23)이 장치되어 있고, 토너공급관(22)이 밑부분에는 제4a,b,c도와 같은 현상으로 배출구(24)(25)(26)을 형성하여 토너호퍼(21)로 부터 먼곳과 가까운곳에서의 토너가 현상유니트 내부로 일정하게 떨어지게 하였으며 떨어진 토너를 1차 믹서(Mixer)(27)에서 일단 수평으로 고르게 믹서하고 2차믹서(28)에서 다시 수평으로 고르게 믹서하여 마그네트롤(29)로 토너를 이송하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장치에서는 호퍼(21)에 쌓여 있는 토너가 현상기 내부에 수평으로 같은량이 골고루 공급되지 않으면 마그네트롤(29)에 같은량의 토너가 붙지 않게 되고 결국 드럼에 토너가 제대로 공급되지 않으며 화상의 농도가 불균일하게 되므로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3도와 같이 토너공급관(22)과 토너공급오거스프링(23)을 이용하고 있으며 제4a도와 같이 공급관(22)의 하측에 형성되는 배출구(24)를 호퍼(21)가까운곳에서 먼곳으로 갈수록 점차로 점차 넓게 한다거나, 제4b도와 같이 배출구(25)의 크기가 점차 크도록 형성한다거나, 제4c도와 같이 배출구(26)를 메시가 점차로 크게되게 되는 망을 부착한 구조를 이용한 것이었다. 도면에서 30은 현상기 유니트 본체이고, 31은 감광드럼을 보인 것이다.
결국, 종래의 토너터 공급장치는 토너공급관(22)의 배출구(24)(25)(26)의 형상을 달리하여 토너를 균일하게 공급하도록 하였으나 오거스프링(23)에 의한 토너의 공급력이 멀어질수록 감소되므로 1차, 2차의 믹서(27)(28)를 사용하여 토너를 골고루 분배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토너공급관(22)에서 토너가 불균일하게 배출되기 때문에 1차, 2차믹서(27)(28)로 혼합한다하여도 제대로 혼합되지 않아서 화상의 농도가 일정하지 않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토너호퍼에 선단부에서 후단부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대되는 테이퍼상 토너공급관을 부착하고, 그 내부에는 대응되는 형상의 오거스프링을 착설하여, 오거스프링의 단면적이 토너공급관의 선단부에서 후단부측으로 갈수록 증대되어 토너이송량이 증대되게하고, 또한 토너공급관의 경사도에 의하여 토너가 더 원활하게 이송되게 함으로써 균일하게 토너를 공급하고 이에 따라 종래의 1차믹서가 필요없게 되어서 현상기를 소형화할 수 있게한 것인바,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5도 내지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부측(1)에서 후단부측(2)으로 직경이 점차로 커지는 테이퍼상 토너공급관(3)을 토너호퍼(4)에 고정하여 토너공급관(4)의 하단연부가 수평기준선(ℓ)에 대하여 소정경사도(θ)로 기울어지게 되어있고, 이와같이 된 토너공급관(4)의 내부에는 그 토너공급관(4)의 직경을 따라 크기가 점차로 커지는 오거스프링(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토너공급관(4)의 주벽하측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폭이 동일하게 배출구(6)가 형성되어 있고 토너공급관(3)의 하측에는 믹서(7)하나만이 착설되어 있다. 도면에서 8은 현상기 유니트 본체이고, 9는 마그네트롤, 10은 감광드럼을 각각 보인 것이다.
본 고안은 토너공급관(3)내의 토너오거스프링(5)이 계속 회전함으로서 종래와 같이 토너가 현상기 내부로 이동되는데 이때 토너의 이동량은 오거스프링(5)이 같은 피치라면 스프링(5)의 단면적과 피치사이에서의 나선형 스프링판의 펼친 길이 곱에 비례하게 되는 바 본 고안은 오거스프링(5)이 공급관(3)의 선단부측(1)에서 후단부측(2)으로 갈수록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토너의 이송량은 후단부측으로 갈수록 많게 된다.
또한 제9도와 같이, 토너의 안식간(α)(흘러내리는 최소한의 각도)과 토너공급관(3)의 경사를 이용하여 본고안은 토너공급관(3)이 소정경사각(θ)으로 기울어져 있으므로 토너의 무게중심이 θ만큼 변화되어 아래로 더 내려오게 되므로, 토너공급관(3)의 내부에는 거의 일정량의 토너가 공급되어 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토너공급관의 길이방향에 따라 일정량의 토너가 현상기로 떨어지게 되므로 화상의 농도 불균일을 방지할 수 있으며, 토너공급관에서 공급되는 토너량이 일정하게 됨에 따라 종래장치의 1차믹서가 필요없게 되어서 현상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선단부(1)에서 후단부(2)로 직경이 점차 커지는 테이퍼상 토너공급관(3)을 현상기(8)의 일측에서 돌출되는 토너호퍼(4)에 고정하여 그 토너공급관(3)의 하단부가 수평기준선에 대하여 소정경사도(θ)로 기울어지게하고, 토너공급관(3)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크기가 점차 커지는 오거스프링(5)을 착설하며, 토너공급관(3)의 주벽 하측부에는 길이방향으로 폭이 동일한 배출구(6)를 형성하고 현상기(8)내부의 토너공급관(3) 하측에는 하나의 믹서(7)를 설치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기의 토너 공급장치.
KR2019870024550U 1987-12-31 1987-12-31 복사기의 토너 공급장치 KR9100004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4550U KR910000435Y1 (ko) 1987-12-31 1987-12-31 복사기의 토너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4550U KR910000435Y1 (ko) 1987-12-31 1987-12-31 복사기의 토너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134U KR890014134U (ko) 1989-08-10
KR910000435Y1 true KR910000435Y1 (ko) 1991-01-21

Family

ID=19271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24550U KR910000435Y1 (ko) 1987-12-31 1987-12-31 복사기의 토너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043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350B1 (ko) * 2008-02-22 2009-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장치,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장치의토너공급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134U (ko) 1989-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19959Y2 (ko)
US20100278563A1 (en) Developing unit and developer stirring and transporting method
US4996565A (en) Developer material mixing apparatus
US4576466A (en) Developing system for an electrostatic copying apparatus
KR910000435Y1 (ko) 복사기의 토너 공급장치
US4367954A (en) Developing device for copier
JP2000137374A (ja) 現像剤供給装置、現像装置及びこれら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US4075977A (en) Mixing hopper for magnetic brush developing apparatus
JP2010044381A (ja)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方法
JPH0648407B2 (ja) 現像装置
JPS5810760A (ja) トナ−残量検知方法
JPH04198966A (ja) 画像形成装置
JP2600238B2 (ja) 現像装置
JPS58220157A (ja) 現像機
JPH05249824A (ja) 現像剤撹拌装置
JP2001188408A (ja) 二成分系現像剤用現像装置
JPH05289500A (ja) 現像装置
JPH049978A (ja) 現像装置
JPS59111661A (ja) 乾式電子写真装置におけるトナ−補給装置
JPS5971065A (ja) 電子複写機のトナ−供給装置
JP2530607Y2 (ja) 現像装置
EP0807869A1 (en) Electrostatographic developing device
JPH063961A (ja) 現像装置
JPH0142108Y2 (ko)
JPS5893080A (ja) トナ−補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12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