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432B1 - 테일 브릿지(Tail Bridge) - Google Patents

테일 브릿지(Tail Brid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432B1
KR910000432B1 KR1019880000998A KR880000998A KR910000432B1 KR 910000432 B1 KR910000432 B1 KR 910000432B1 KR 1019880000998 A KR1019880000998 A KR 1019880000998A KR 880000998 A KR880000998 A KR 880000998A KR 910000432 B1 KR910000432 B1 KR 910000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tail
bridge
plates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0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9858A (ko
Inventor
알. 스미스 에드워드
Original Assignee
알. 스미스 에드워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174046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1000043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알. 스미스 에드워드 filed Critical 알. 스미스 에드워드
Publication of KR880009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9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28Loading ramps; Loading docks
    • B65G69/30Non-permanently installed loading ramps, e.g. transpor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28Loading ramps; Loading d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28Loading ramps; Loading docks
    • B65G69/287Constructional features of deck or surroun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00Bridges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uxiliary Methods And Devices For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테일 브릿지(Tail Bridge)
제1도는 테일 브릿지의 단면도.
제2도는 테일 브릿지의 헤드부에 대한 상부도.
제3도는 나무재 레일에 조립되어 자동차(motor vehicle)의 미판(尾板=tail gate)상에 위치된 테일 브릿지의 헤드부에 대한 단면도.
제4도는 테일 브릿지의 다리부의 단면도.
제5도는 테일 브릿지의 다리부의 상부도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후부와 지지레일 사이에 브릿지를 설치한 테일 브릿지에 관한 것이다. 헤이맨 그린버그씨에 허여된 미국특허 제2, 594, 425호는 이탈 가능한 활주대(runway)에 대하여 시사하고 있다. 더블유이웹스터씨에 허여된 미국특허 제4, 568, 303호는 화물운송 스키드를 시사하고 있다. 미국특허 제3, 580, 373호는 유대 가능한 램프(ramp)를 나타내고 있다. 에이취 반 두른씨에 허여된 미국특허 제749, 595호는 부두발판(wharf drop)에 대하여 시사하고 있다.
이러한 모든 참고 자료들은 비교적 복잡한 장치들이고, 이들중 몇가지는 실예를 들면 카피트 엣지(carpet edge)와 같이 테일 브릿지와는 완전히 다른 분야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의 지상위치에서 하역위치까지 원자재를 이동시키도록한 간단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차에 물품을 적재하고 하역하는 중에 표면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단계를 없이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동차로부터의 적재 및 하역작동을 수행하는 구조적으로 정상적이고 안정한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자동차량의 테일단부와 램프레일을 브릿징하는 브릿지를 제공한다. 이 테일 브릿지는 4개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 자동차의 테일단부상에 위치되어 자동차 테일단부의 테일변부까지 평행하게 이동하는 제1플레이트는 곧바로 접합선을 따라 제2플레이트에 결합되는데, 이 제2플레이트는 제1플레이트의 변부에서 연장되고 제1플레이트에 대하여 약 12 내지 20도 정도의 각도를 형성하고 있다.
중간단면부는 곧바른 접합선을 따라 제1 및 제2플레이트 사이에 고정되고 하향방향으로 이어져 있다. 제3플레이트는 중간단면부의 하축단부에 고정되고 이어서 테일의 두께에 일치한 거리를 두고 제2플레이트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이어져 제2 및 제3플레이트 사이에 위치된다. 중간단면부는 제1플레이트에 대하여 약 85도 내지 95도의 각도로 배설될 수 있다.
제1플레이트 개방단부의 상측변부와 제2플레이트 자유단부의 상측변부는 베벨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베벨은 제3플레이트 개방단부의 하측단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여기서 베벨은 제3플레이트의 전체폭에 걸쳐 연장되고 베벨 각도는 약 30도 정도가 될 수 있다.
제1플레이트의 두께는 제2플레이트와 자유단부 사이의 접합부에 있는 영역사이에서 약 40 내지 60퍼센트 정도까지 감소될 수 있다. 제3플레이트는 중간단면부 근처의 단부로부터 제3플레이트의 자유단부까지 이동될 때 약 20 내지 30퍼센트 정도 두께가 감소될 수 있다.
견인선은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고 제1 및 제2플레이트 사이의 접합부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이어질 수 있다.
약 0.8cm 내지 1.3cm의 직경을 가진 구멍이 제1플레이트의 두개 자유모서리 근처에 형성될 수 있다. 약 0.8cm 내지 2.6cm의 직경을 가진 구멍은 제2플레이트와 제3플레이트상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및 제3플레이트의 연장부를 향하는 수직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테일 브릿지는 가급적 알루미늄 합금으로 되는 압출금속으로 전체가 만들어질 수 있다.
제1플레이트는 약 10 내지 15cm의 연장부를 가질 수 있고, 제2 및 제3플레이트는 약 7내지 13cm의 연장부를 가질 수 있다. 플레이트의 폭은 약 12 내지 38cm일수 있다.
제1플레이트는 약 0.35 내지 1.3cm의 두께를 가지며, 제2레이트는 약 0.5 내지 1cm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제3플레이트는 약 0.35 내지 0.8cm의 두께를 가지며, 중간단면부는 약 0.5 내지 1c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반경이 중간단면부의 두께보다 약 0.5 내지 1.5배로 되는 필레트(fillet)는 제1플레이트, 제2플레이트와 중간단면부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가급적 0.2% 정도의 오프셋을 가진 테일 브릿지의 항복강도는 적어도 70kg/sqcm 이상이고, 사용 합금의 인장강도는 적어도 1400kg/sqcm 이상이 좋으며, 합금의 브린넬 경도(Brinell handness)는 가급적 적어도 40 이상이 바람직하다. 이 장치의 정격안정 또는 각 장치에 대하여 최대로 하여 적어도 150kg 이상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테일 브릿지는 4개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제1플레이트(11)는 자동차의 후상에 배설되고 지지된다. 제2플레이트(12)는 직선(16)을 따라 제1플레이트(11)의 일측단부에 결합된다. 중간단면부(14)는 하향방향으로 제1 및 제2플레이트의 결합부에 고정된다. 제3플레이트(13)는 중간 플레이트(4)의 단부(18)에 고정된다. 제1플레이트, 제2플레이트와 중간 플레이트는 견고한 결합부(16)를 형성한다.
결합부(16)의 강도는 제1플레이트 및 중간 플레이트 사이와 제2플레이트 및 중간 플레이트 사이에 배설된 필레트(20), (22)에 의하여 증가된다. 이들 필레트(20), (22)는 중간 플레이트(14)의 두께보다 약 0.5 내지 2배의 필레트 반경을 가진다.
제1플레이트(11)는 개념상으로 수평방향으로 위치된다. 가급적 제1플레이트(11)의 폭은 단부(24)에서 다소 커지며, 이 단부(24)가 그의 자유단부(26)와 비교되며 제2플레이트(12)와 결합된다. 접합부를 제2플레이트(12)의 결합하는 단부(24)와 자유단부 사이에 두께 감소량은 약 30 내지 60% 정도 알 수 있다. 단부면은 가급적 베벨(28)로써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플레이트(11)의 길이는 약 7 내지 20cm일 수 있고 바람직하기로는 10 내지 15cm 사이, 실예를 들면 12.5cm가 좋다.
제1플레이트(11)의 자유단부(26)는 가급적 베벨(28)로써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벨(28)은 상단부 모서리부(30)에 형성되며 바람직하기로는 제1플레이트의 자유단부의 전체 두께폭을 덮을 수 있도록 한다. 베벨 각도는 약 20 내지 45도 정도일 수 있고 바람직하기로는 제1플레이트에 평행한 평면에 대하여 측정되어 약 25 내지 35도가 좋다.
더구나 제1플레이트(11)의 단부에 형성한 변부는 물론 이후 기술하고자 하는 제2 및 제3플레이트의 해당변부들은 가급적 날카로운 변부가 아닌 반경이 적어도 3mm 이상되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플레이트(12)는 제1플레이트(11)에 대하여 약 12 내지 20도의 각도로 배설되며, 가급적 약 14 내지 16도의 각도, 실예를 들면 15도의 각도로 배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플레이트(12)는 일반적으로 제1플레이트(11)보다 짧고 가급적 제1플레이트(11) 보다 약 10 내지 30퍼센트 정도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2플레이트(12)의 두께는 실질적으로 균일한 것이 바람직하며, 즉, 일단부와 타측단부 사이의 두께는 10% 이상의 편차를 가진 상태로 균일하다.
제2플레이트(12)는 가급적 그의 상단변부(33) 상에 베벨(3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베벨(32)은 약 20 내지 45정도의 각도로 가급적 플레이트에 평행한 평면에 대하여 약 25도 내지 35도의 정도의 각도가 바람직하다.
제1플레이트(11)와 제2플레이트(12)의 상부에는 제1 및 제2플레이트의 접합부에 평행하게 이어진 직선돌기와 같은 마찰 발생부(34)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마찰 발생부(34)는 실예를 들어 타이어 같은 것이 테일 브릿지에 대하여 더욱 잘 마찰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도 제1 및 제2단면부의 표면은 그들사이에 평탄한 단면으로 약 2 내지 5개의 마찰단면부로 이루어지며, 이 마찰단면부들은 평탄단면의 폭보다 약 0.8 내지 1.2배의 폭을 가진다. 돌기들은 가급적 플레이트 두께의 약 1내지 10% 정도 이하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기단면부의 일반적인 형상은 대략 정방향이거나 반원형일 수 있다.
중간 플레이트(14)는 일반적으로 제1플레이트(11)에 대한 직각평면과 제2플레이트(12)에 대한 직각 평면사이에 있는 모서리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중간 플레이트(14)가 제1플레이트에 대하여 수직으로 직립한 직각 평면에 인접한 각도의 절반 범위내에서의 각도 범위를 유지시키는 것이 좋다.
중간 플레이트(14)의 길이는 램프레일을 지지하고 보유하는데 충분하거나 제2플레이트(12)와 제3플레이트(13) 사이에 형성되도록 하는 길이로 이루어진다. 제3플레이트(12)의 길이보다 약 0.9 내지 1배이다.
제3플레이트의 자유단부(36)에는 가급적 베벨(38)이 형성되게하며, 베벨 표면은 제3플레이트의 평면과 20 내지 45도의 각도를 형성한다. 중요한 것은 제2 및 제3플레이트가 램프레일 표면에 대하여 양호한 끼워맞춤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적재중 램프레일은 가급적 그의 일측단부가 지상에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이러한 고정을 하므로 레일과 테일 브릿지 사이에서 하중으로 인하여 중간 플레이크의 영역에 대항하는 압축력이 발생된다.
또한 바람직한 것은 지지레일(40)이 제3도에 도시와 같이 제2 및 제3플레이트에 볼트로 고정된다는 것이다. 필수적으로 레일의 표면은 제2 및 제3플레이트의 표면에 대하여 거의 동일선상에 있게하여 테일 브릿지와 레일 사이에 견고한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볼트구멍(51-54)은 이들 플레이트의 연장부에 수직으로 일렬배열된 제2플레이트(12)와 제3플레이트(13)에 형성되도록 하므로 볼트(43)가 제2 및 제3플레이트 사이의 적당한 위치에 레일을 고정하도록 사용되고 단단히 결합된다.
볼트구멍은 약 0.6 내지 2.6cm의 직경을 가지며 바람직하기로는 0.9 내지 1.6cm의 직경을 가져야 한다. 일반적으로 이들 볼트구멍은 도면상에 부호 51, 52, 53 및 54로 도시되어 있다. 제2레일은 약 0.35cm 내지 0.8cm의 두께를 가지며 바람직한 두께로는 약 0.65cm가 바람직하다.
제3플레이트(13)는 중간 플레이트(14)와 결합하며, 제1플레이트(11)의 길이보다 약 0.7 내지 1배의 길이를 가진다.
바람직한 것은 제3플레이트(13)의 단부(18)와 제2플레이트의 단부(16)가 제2플레이트(12)와 제3플레이트(13) 표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일렬 배열된다는 것이다.
제3플레이트에는 그의 하단부에 약 20 내지 45도 각도로 배설되고 바람직하게는 제3플레이트 평면에 대하여 약 25 내지 35도의 각도로 배설되는 베벨이 형성되어 있다. 베벨의 폭은 제3플레이트 길이의 약
Figure kpo00001
내지
Figure kpo00002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1.5cm이다.
또한 제1플레이트(11)는 0.6 내지 1.3cm의 직경을 가지며 적재 플래트 포옴의 레일단부(42)상에 제1플레이트(11)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제공하도록 하는 구멍(55)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장비는 바람직하게도 금속 압출공정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한 금속으로는 합금 6061-6와 같은 알루미늄 합금이 있다.
본 발명의 장치를 제조하는데 유용한 다른 재료로는 성형 강철과 같은 성형금속을 포함시킬 수 있다.
사용 강철은 T자 비임 형태로 될 수 있고, 여기서 T자의 일측상부 아암은 약 12 내지 18정도의 각도로 구부려지고, 또 이 T자의 하측 부분은 중간 플레이트와 제3플레이트를 형성하도록 구부러져 있다. 이 테일 브릿지는 T형 용접이음이거나 모서리 이음의 여러 가지 용접이음을 이용하므로 함께 용접될 수 있다. 사용가능한 용접부 형식은 비드(bead), 그루우브(groove) 필레트(fillet)와 위브(weave)형식이 있다.
이러한 장치의 전체 크기는 가급적 75c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한 것은 약 60cm 이하인 것이 좋다. 이들 크기는 3차원 좌표 시스템의 방향으로 이어지는 특정한 크기일 수 있다. 이 장치의 폭은 약 12 내지 50cm일 수 있고 바람직하기는 15 내지 25cm이고 실예를 들면 약 20cm일 수 있다. 이 폭은 공칭 "2×10인치"의 원재료 스톡(stock)과 같은 크기의 목재편과 결합시키는데 적합하다.
제2플레이트와 제3플레이트 사이의 거리 또한 목재편의 두께치와 가장 잘 조화가 되도록 조정한다. 실예를 들면 37.5mm의 두께는 공칭 "2-인치" 목재에 대하여 적합하다.
본 발명은 테일 브릿지가 자동차의 적재 플래트 포옴상에 중장비를 용이하게 이동시키는데 적합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램프의 테일 브릿지를 적재하는 중에 발생하는 압축력에 비하여 실질적인 안정을 제공하는데 그 정격 무게는 150kg이며 더욱이 더큰 정격 무게를 적재할 수 있다.
테일 브릿지는 비교적 평탄하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동차이거나 트레일러의 적재 레벨 이상으로 운반되어야 하는 바퀴에 대한 지지를 하도록 마찰력을 가진다.
자동차의 단부 측면과 레일을 구비한 측면상에 형성될 수 있는 볼트 고정구는 원자재를 적재 레벨로 이동될 수 있는 고정지지를 보장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벽돌을 운반하기 위한 발판 지지체를 제공하는데 응용할 수 있어, 적재 층상의 발판이 될 수 있고 바퀴차가 지상에서 적재 위치까지 상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한다. 특히 충돌은 피해져야하며 그러므로 안전한 고정구가 제공될 수 있다.
테일 브릿지의 다른 응용으로는 휠체어용으로 일시적으로 설치하는데 필요할 수 있으며 이 램프는 계단상부상에 설치될 수 있다.
제1플레이트는 계단의 상부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고, 두 개의 램프레일은 사용자를 위한 중간 공간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계단을 설치되게하며, 동시에 휠체어가 상향 이동되게 한다. 물론 제1플레이트(11)와 제2플레이트(12) 사이의 상대 각도는 계단의 경사각도, 실예를 들면 약 35도 내지 50도의 각도로 조정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의 크기를 특정의 계단 파라메터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테일 브릿지를 위한 다리부가 설치될 수 있다. 이 다리부는 전체적으로 V형 단면 플레이트(101)로 구성되며, 이 플레이트는 내측면상에 삽입시키고자 하는 제목의 일측폭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 연장부의 하측단면 플레이트(103)는 원형단면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팁(105)의 각도는 약 30 내지 70도이며 바람직하기로는 약 35 내지 55도이다. 원형단면 플레이트(103)의 곡률반경은 사용된 목재편의 두께보다 약 2 내지 5배 정도일 수 있고 곡률반경은 사용된 목재편의 두께보다 약 2.5 내지 4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대략 V형 단면 플레이트의 각 아암(103), (107)은 직선단면 플레이트에 의하여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도 직선단면 플레이트는 서로에 대하여 평행하고 이들의 평면도 20도 이하의 각도, 바람직하기로는 V단면 각도를 2등분한 5도 이하의 각도가 좋다. 각 V형 단면 플레이트(103)(107)와 결합한 두 개의 직선단면 플레이트(113)(115)의 길이는 V형 단면 플레이트(제4도)의 길이보다 약 0.5 내지 2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도 두 개의 직선으로 연장된 플레이트의 중심에는 구멍(117)(119)이 직선 연장 플레이트의 상측부(115)의 하측부(113)의 모두에 카운터 싱크 스크로우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117)(119)의 직경은 플레이트의 두께보다 약 1 내지 2배 정도가 될 수 있다.
원형단면에는 바람직하게도 지상에 대하여 이 장치가 견실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V형 단면 플레이트의 외측에 요홈과 릿지가 형성되어 있다. 요홈(109)은 V형 단면 플레이트의 교차선에 평행하게 연속하여 배설되어 있다. 또 요홈과 릿지는 약 10 내지 50개 정도일 수 있고 바람직하기로는 20 내지 30개 정도가 지지체의 안정을 기하기 위하여 굴곡단면(103)상에 균일하게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설되어 있다. 또한 요홈(109)은 상부단면의 플레이트(107)상에 형성되어 차량바퀴에 대하여 마찰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직선상부단면 플레이트상에 요홈과 릿지는약 5 내지 10개 정도씩 그룹화 될 수 있고 이들 그룹사이에 중간 공간을 갖게할 수 있는데 이 공간은 요홈과 릿지의 그룹 폭보다 0.5 내지 2배가지 운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요홈의 깊이는 인접 요홈과 떨어진 거리보다 0.5 내지 1배 정도일 수 있다. 요홈의 크기는 기부재료 두께의 약 0.05 내지 0.3 정도이며, 바람직하기로는 기부재료 두께의 0.1 내지 0.2이다.
목재 비임을 클램핑하기 위한 플레이트의 두께는 비임 두께의 비임 두께의 0.1 내지 0.2일 수 있고, 바람직하기로는 비임 두께의 0.15 내지 0.18이 좋다. 굴곡단면과 일정한 각도로 결합한 직선단면의 길이는 약 1.1 내지 1.5cm이고 바람직하기로는 지지하고자 하는 목재비임 두께의 약 1.2 내지 1.4가 좋다. 다리부의 폭은 목재비임과 테일 브릿지의 헤드부의 폭과 일치한다. 이 폭은 바람직하기로는 약 15 내지 25cm이다.
베벨단부(121)(123)는 직선 연장 플레이트의 외측단부에 형성되며, 그의 0.2 내지 0.4 정도 연장될 수 있고, 바람직한 것으로는 운송방향으로 직선 연장 플레이트의 연장부의 0.25 내지 0.3 이상 연장된다.
베벨 각도는 운송 방향에 대하여 10내지 30도의 각도를 이루고 있다. 이들 장치의 바람직한 재료는 알루미늄이고, 특히 압출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강, 강철과 고강도 및 인성을 가진 플라스틱재를 포함한다.

Claims (18)

  1. 자동차의 테일단부와 지상을 램프레일로 브릿징하는 테일 브릿지에 있어서, 자동차 테일단부(42)의 테일 변부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이어지도록 자동차의 테일단부상에 위치되게한 제1플레이트(11)와, 직선으로 방해 없는 접합선(16)을 따라 제1플레이트(11)에 단단히 결합되고 제1플레이트의 변부에서 연장하여 제1플레이트(11)에 대하여 약 12도 내지 20도의 각도를 형성하게 한 제2플레이트(12)와, 실질적으로 직선 접합선을 따라 제1 및 제2플레이트 사이에 고정되고 하향으로 연장한 중간단면부(14)와, 중간단면부(14)의 하측단부(18)에 고정되고 제2플레이트(12)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이어져 있으며 제2 및 제3플레이트 사이에 위치되도록 레일(40)의 폭과 동일한 거리만큼 떨어져 있게한 제3플레이트(13)들로 구성시킨 테일 브릿지.
  2. 제1항에 있어서, 중간단면부(14)가 제1플레이트(11)에 대하여 약 85도 내지 95도의 각도로 배설되게한 테일 브릿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플레이트(11) 개방단부의 상측변부에 베벨이 형성되게한 테일 브릿지.
  4. 제1항에 있어서, 제2플레이트(12) 자유단부의 상측변부에 베벨이 형성되게한 테일 브릿지.
  5. 제1항에 있어서, 베벨이 제3플레이트(13) 개방단부의 하측에 형성되게하고, 이 베벨이 제3플레이트(13)의 전체폭 정도로 연장되면 베벨 각도가 약 20 내지 40도로 형성되게한 테일 브릿지.
  6. 제1항에 있어서, 제1플레이트(11)의 두께가 테이퍼되고 제1 및 제2플레이트의 접합부 근처의 영역과 자유단부 사이에서 약 40 내지 60퍼센트 정도까지 감소되게한 테일 브릿지.
  7. 제1항에 있어서, 제3플레이트(13)가 테이퍼되고, 중간단면부(14)근처의 단부(18)부터 제3플레이트의 자유단부(36)까지 이동될 때 두께에서 약 20 내지 30퍼센트 정도 감소되게한 테일 브릿지.
  8. 제1항에 있어서, 견인선이 제1플레이트(11)와, 제2플레이트(12)상부에 형성되며, 이 견인선이 제1 및 제2플레이트 사이의 접합부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이어지게한 테일 브릿지.
  9. 제1항에 있어서, 직경이 0.6 내지 1.3cm로 되게한 구멍(55)이 제1플레이트의 두개 자유모서리부 근처에 형성되게한 테일 브릿지.
  10. 제1항에 있어서, 직경이 0.6 내지 2.5cm인 또 다른 구멍(51, 52, 53, 54)이 제2플레이트와 제3플레이트상에 형성되게 하고, 이들 구멍들이 제2 및 제3플레이트 연장부를 향하는 수직방향으로 일렬 배열되게 한 테일 브릿지.
  11. 제1항에 있어서, 압출 금속으로 제조되게한 테일 브릿지.
  12. 제1항에 있어서, 압출 금속이 알루미늄 합금으로 되게한 테일 브릿지.
  13. 제1항에 있어서, 제1플레이트(11)가 약 10 내지 15cm의 연장부를 가지며 제2 및 제3플레이트(12, 13)가 약 7.5 내지 12.5cm의 연장부를 갖게한 테일 브릿지.
  14. 제1항에 있어서, 플레이트(11, 12, 13)의 폭이 약 12 내지 38cm이고, 제1플레이트(11)가 약 0.35 내지 1.3cm의 두께를 가지며, 제2플레이트(12)가 약 0.5 내지 1cm의 두께를 갖고, 제3플레이트(13)가 약 0.35 내지 0.75cm 두께를 가지며, 중간단면부(14)의 두께가 약 0.5 내지 1cm로 되게하고, 필레트(20, 22)가 제1플레이트(11), 제2플레이트(12)와 중간 플레이트(14) 사이에 설치되게하며, 필레트(20, 22) 반경이 중간단면부(14)의 두께보다 약 0.5 내지 1.5배 정도로 되게한 테일 브릿지.
  15. 제1항에 있어서, 0.2퍼센트의 오프셋을 가지는 항복강도가 적어도 700kg/cm2이상이고 사용된 합금의 인장강도가 적어도 1400kg/cm2이상이며, 합금의 브린넬 경도가 적어도 40 이상이고 정격안정도가 각 장치에 대하여 적어도 150kg 이상되게한 테일 브릿지.
  16. 제1항에 있어서, 테일 브릿지용 다리부가 테일 브릿지를 지지하기 위하여 지상에 위치되게한 하단단면 플레이트(103)와, V의 정점을 가진 V형태를 하여 램프레일에 대해 원격 배설되도록 하단단면 플레이트(103)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단단면 플레이트(107)와, 직선의 방해없는 접합선을 따라 V의 정점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상단단면 플레이트(107)의 단부에 결합되고 제1플레이트(11)의 단부에서 연장되며 제1플레이트(11)에 대하여 약 30 내지 70도의 각도를 형성한 상단 연장 플레이트(115)와, V정점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하단단면 플레이트(103)의 단부에 결합되므로 상단 연장 플레이트(115)와 하단 연장 플레이트(113)가 그들 사이에 약 5도 이하의 각도 오차내에서 대략 평행하게 되고, 상단 연장 평면과 그의 하단 연장 평면 사이에 있는 중간 평면이 V의 이등분되는 약 20도 이하의 각도를 형성하여 램프레일이 상단 및 하단 연장부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될 수 있게하는 하단 연장 플레이트(113)와, 상단 연장 플레이트에 형성한 구멍(119)와, 볼트가 상단 단면 플레이트(107) 상에 형성한 구멍을 관통하여 결합되게 위치되어 램프레일을 하단 연장 플레이트(113)와 상단 연장 플레이트(115)에 단단히 고정하도록 하는 하단 연장부에 구멍(117)으로 이루어지게한 테일 브릿지.
  17. 제16항에 있어서, 다리부가 하단단면 플레이트(103)와 상단단면 플레이트(107) 사이에 접합선과 대략 평행하게 이어지는 상태로 지상을 향하는 하단단면 플레이트(103) 상에 배설되어 지상과 하단단면 플레이트(103) 사이에 마찰이 발생되게한 브릿지 및 요홈과, 하단단부 플레이트(103)와 상단단부 플레이트(107) 사이에 접합선에 대략 평행하게 이어지는 상태로 지상을 향하는 상단단면 플레이트(107) 상에 배설되어 운송차량의 바퀴와 마찰을 일으키게한 브릿지 및 요홈들로 이루어지게하며, 하단단면 플레이트(103)가 상단 플레이트(107) 상에 대하여 볼록한 상태로 되게하여 상단단면 플레이트(107)와 하단 단면 플레이트(103)가 V의 팁(105)에서 35 내지 55도의 각도를 형성하게한 테일 브릿지.
  18. 제1항 내지 제15항의 어느 한가지 항에 있어서, 테일 브릿지의 다리부가 테일 브릿지를 지지하기 위하여 지상에 위치되는 하단 단면 플레이트(103)와, 램프레일에 대하여 원거리에 위치되도록 V의 팁과 함께 대략 V형자로 하단 단면 플레이트(103)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단단면 플레이트(107)와, 램프레일이 하단 연장 플레이트에 고정되도록 V의 팁으로부터 원거리에 있는 하단단면 플레이트(103)의 단부에 결합되게한 하단 연장 플레이트(113)를 구비한 테일 브릿지.
KR1019880000998A 1987-02-02 1988-02-02 테일 브릿지(Tail Bridge) KR9100004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916 1987-02-02
US07/009,916 US4727612A (en) 1987-02-02 1987-02-02 Tail bridge
US07/009916 1987-02-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9858A KR880009858A (ko) 1988-10-05
KR910000432B1 true KR910000432B1 (ko) 1991-01-25

Family

ID=21740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0998A KR910000432B1 (ko) 1987-02-02 1988-02-02 테일 브릿지(Tail Bridge)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727612A (ko)
EP (1) EP0280853B1 (ko)
JP (1) JPS63263143A (ko)
KR (1) KR910000432B1 (ko)
AU (1) AU608802B2 (ko)
BR (1) BR8800404A (ko)
CA (1) CA1298943C (ko)
DE (1) DE3868953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3634A (ko) * 2011-08-31 2014-05-27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인적 보호 시스템의 전압 공급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005097D0 (en) * 1990-03-07 1990-05-02 Luker Andrew P A bridging piece for a ramp rail
US5608937A (en) * 1993-11-04 1997-03-11 Universal Industrial Products Company Portable ramp
US5768733A (en) * 1996-02-07 1998-06-23 Easy-Up Industries, Inc. Ramp securing device
US6575516B2 (en) * 2001-04-06 2003-06-10 J.W.F. Innovations Inc. Tailgate ramp and load locking accessories for a pickup truck
US6526614B2 (en) * 2001-04-09 2003-03-0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Portable and lightweight ramp structure
US7100231B2 (en) * 2003-07-28 2006-09-05 Cequent Trailer Products, Inc. Foldable ramp having rung hinge
US7350843B2 (en) * 2006-02-07 2008-04-01 Cosco Management, Inc. Tailgate ramp system
US7950094B2 (en) * 2006-04-06 2011-05-31 Homecare Products, Inc. Ramp assembly including extension section
US20080034512A1 (en) * 2006-07-19 2008-02-14 Cosco Management, Inc. Vehicle tailgate loading ramp
US8256053B2 (en) 2007-07-12 2012-09-04 Werner Co. Ramp bottom transition foot
USD783923S1 (en) 2014-05-30 2017-04-11 Cequent Consumer Products, Inc. Ramp
USD793024S1 (en) 2014-05-30 2017-07-25 Horizon Global Americas Inc. Ramp
DE102016115081B4 (de) * 2016-08-15 2020-01-30 Anna Schnurbusch Verladeklappenvorrichtung für Tiertransportfahrzeuge
US10207881B2 (en) 2016-10-31 2019-02-19 Horizon Global Americas Inc. Telescoping ramp
USD838078S1 (en) 2016-12-05 2019-01-08 Horizon Global Americas Inc. Ramp with tread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9595A (en) * 1904-01-12 Island
CH25103A (de) * 1901-08-17 1903-03-31 Eduard Scharrer Ladebalken
US1568303A (en) * 1925-02-16 1926-01-05 William E Webster Freight skid
FR673977A (fr) * 1929-04-25 1930-01-22 Perfectionnements aux rampes légères transformables en vue du chargement, sur touscamions automobiles et particulièrement sur ceux provenant de la réquisition de chevaux, équipages, tracteurs et matériel d'artillerie
US2594425A (en) * 1948-01-30 1952-04-29 Greenberg Hymen Removable runway
GB819972A (en) * 1956-11-20 1959-09-09 Magnesium Elektron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ramp boards
DE2026274A1 (de) * 1970-05-29 1971-12-09 Alten, Kurt, 3015 Wennigsen Überladebrücke
DE2339432A1 (de) * 1972-08-08 1974-02-28 Aluminium Press Walzwerk Ueberladebruecke
US3984891A (en) * 1974-11-12 1976-10-12 Valley Craft Products, Inc. Portable ramp
US4528711A (en) * 1983-07-22 1985-07-16 Louis Packer Portable wheel chair ram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3634A (ko) * 2011-08-31 2014-05-27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인적 보호 시스템의 전압 공급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80853B1 (en) 1992-03-11
US4727612A (en) 1988-03-01
CA1298943C (en) 1992-04-21
JPS63263143A (ja) 1988-10-31
AU608802B2 (en) 1991-04-18
DE3868953D1 (en) 1992-04-16
BR8800404A (pt) 1988-09-20
KR880009858A (ko) 1988-10-05
EP0280853A1 (en) 1988-09-07
AU1117288A (en) 1988-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0432B1 (ko) 테일 브릿지(Tail Bridge)
US4853999A (en) Tail bridge
US4758128A (en) Disabled car carrier vehicle
AU690050B2 (en) Reciprocating floor conveyor
US8006828B2 (en) Reciprocating slat conveyor with moving slats between fixed slats
US4989782A (en) Rail and track
JP6644657B2 (ja) シールドトンネル工事用仮設枕木
EP0738351A1 (en) Track for sortation handling equipment
US4696088A (en) Method of converting a hopper type of rail car to accept a wider output gate
US4073025A (en) Portable bridge
CN110565531B (zh) 一种施工通道结构与安装方法
JP2000296770A (ja) 伸縮搬送物の吊り下げ搬送装置
JP3057085U (ja) 鉄道用軌材運搬車
US5802983A (en) Railroad platform cart
JPH10119634A (ja) 車両積載荷物の固定装置
US1577394A (en) Lota-beam monorail
JPS60135396A (ja) 押出し装置
EP0083608A1 (en) Method of removing a container from a rail truck
US3844228A (en) Tie-down system for rail cars
JP2003063383A (ja) 長尺資材運搬装置及びこの装置による長尺資材運搬方法
EP0556750A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surface mounted track systems
JP4582563B2 (ja) レールベース及びこのレールベースによるレール敷設方法
US1842985A (en) Skid assembly
NL8702970A (nl) Railconstructie.
GB2277497A (en) Bimodal access plat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