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10508Y1 - 회로 차단기의 과부하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회로 차단기의 과부하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10508Y1
KR900010508Y1 KR2019880000611U KR880000611U KR900010508Y1 KR 900010508 Y1 KR900010508 Y1 KR 900010508Y1 KR 2019880000611 U KR2019880000611 U KR 2019880000611U KR 880000611 U KR880000611 U KR 880000611U KR 900010508 Y1 KR900010508 Y1 KR 9000105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bimetal
circuit breaker
detection device
f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06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9562U (ko
Inventor
노보루 히라따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900095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95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105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05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48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having both electrothermal and electromagnetic automatic rele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4Electrothermal mechanisms
    • H01H71/16Electrothermal mechanisms with bimetal ele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회로 차단기의 과부하 검출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과부하 검출장치의 단면도.
제2도는 과부하 검출장치를 내장한 회로차단기의 부분구조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적용시킨 히터의 정면도.
제4도는 제3도의 Ⅳ-Ⅳ 화살표 표시단면도.
제5도는 바이메탈의 정면도.
제6도는 고정철심의 측면도.
제7도는 제6도의 정면도.
제8도는 종래의 회로차단기의 부분구조도.
본 고안은 회로차단기의 과부하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회로 차단기의 장한시 및 순시동작에서의 과부하 검출장치의 구조는 제8도에 나타낸 것이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다. 여기에서 1은 회로차단기 본체 케이스이고, 2는 바이메탈이고, 3은 히터이다. 바이메탈 2는 히터 3에 소정위치에 소프트 용접에 의해서 붙여져 일체로 되어있다. 4는 ㄷ자상을 한 요크이고, 히터 3의 일부가 ㄷ자상부인 요크 4를 관통하여 케이스 1의 소정의 위치에 장착되어 접착제에 의해 붙여 있다.
5는 요크 4에 대향하여 취부되어 있는 아마추어이고, 스프링 8에 의해서 반시계방향으로 힘주어져 있다.
6은 바이메탈 2에 취부되어 있는 조정나사이고, 7은 트립레버이다. 과부하 상태에 의해서 바이메탈 2 또는 아마추어 5가 각각 시계방향으로 만곡 또는 회전동작을 하고 트립레버7을 동작시켜서 본체구부(도시치 않음)의 트립동작을 행하는 것이다.
이 종래의 회로차단기의 과부하 검출장치의 구조에서는 바이메탈2를 스포트 용접에 의해서 히터 3에 붙이기 때문에 용접공정이 필요하게 됨과 더불어 용접시에 붙이는데 히터 3과 바이메탈 2의 위치가 엊갈리는 일이 있어 바이메탈2와 트립레버 7과의 위치가 엊갈릴 우려가 있었다. 또 요크 4를 본체케이스 1에 접착 고정시키지 않으면 안되고 요크4와 아마추어 5와의 갭이 불규칙하는 등 용접, 접착의 작업공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작업이 복잡해짐과 더불어 위치 엊갈림, 갭 간격의 불균일등 검출특성, 검출정도가 나빠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용접, 접착공정을 폐지하여 히터, 요크, 바이메탈을 일체화시킴으로써 검출정도의 향상과 검출특성이 안정된 회로차단기의 과부하 검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회로 차단기의 과부하 검출장치는 그 구성 부품인 히터의 바이메탈 설비면 및 그 이면에 각각 형성되는부 및부 히터의부와 끼워 맞춰지는 바이메탈에 뚫린 끼워맞춤공과 한편 고정철심에는 히터의부와 끼워맞춰지는부를 각각 형성하여 위치결정하여 견고히 부착되는 것에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에 의하면, 그 장치의 구성부품에 각각 형성된부와부와 또는부와 끼워맞춤공을 압입고착함으로써 용접 및 접착을 행함이 없이 조립할 수 있고 또 위치결도등 정확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검출정도 및 특성을 안정, 향상시킬 수 있다.
아래에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해서 제1도-제7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우선 제1도 및 제2도에 있어서 10은 열동-전자식 과부하 검출장치 11의 몰드베이스이고, 회로차단기의 본체케이스 12내의 홈에 몰드베이스10의 외경에 형성된 리브13을 끼워맞춰서 위치결정하여 고정된다. 이 몰드베이스10내의 중앙부에는 트립레버14가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됨과 더불어 주회로중에 설비된 도시치 않은 접촉자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기구를 걸어 멈추게 하는 래치 15와 걸림부 16이 맞닿아 있다.
그리고 트립레버 1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 걸림부 16이 래치 15로 부터 벗어나 개폐기구의 걸어멈춤이 해제되어 트립동작을 행하고 접촉자를 개리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몰드베이스10의 내부의 하부에는 주회로에 연결된 히타 17이 중앙부에서 역U자상으로 절곡되어 그 양단에서는 각각 나사 18,19로 취부되어 있다. 그리고 히터 17의 역 U자상의 일변에서 바이메탈 20의 설비면에는 제3도 및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좌우 2개소에부 17a가, 그 이면에는부 17b가 각각 형성되고, 바이메탈 20의 하부에는 제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히터 17의부 17a와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공 20a가 뚫려있고 상단부에는 트립레버 14와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나사 21이 취부되어 있다.
22는 전자식 검출장치의 전자석의 고정철심이고, 가동 철편 23과 상대하여 설비된다. 이 고정철심 22는 제6도 및 제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ㄷ자상으로 형성되고 이중앙변에부 22a를 설비하여 히터 17의부 17b에 끼워맞추고 다른 2변으로 역U자상의 히터 17의다른 일변을 코일로서 둘러쌓게 취부된다. 그리고 바이메탈20, 히터17, 고정철심 22의 순으로 겹쳐 합치고 몰드베이스10에 설비된부 10a에 히터 17의부 17a를 끼워맞춘 후 나사 24로 견고히 부착시킨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작용을 설명하겠다. 고정철심 22의부 22a를 히터 17의부 17b에 끼워서 압입하고 또한 히터 17의부 17a를 바이메탈 20의 끼워맞춤공 20a에 압입시킨 것을 몰드 베이스 10의부 10a에 압입시켜 나사 24로 고정시킨다. 그후 이 몰드베이스 10에 트립레버 14, 가동철편 23등을 조립한다. 이 몰드베이스 10을 회로 차단기의 본체케이스 12에 설비된 홈에 몰드베이스 10의 외벽의 리브 13을 끼워맞춰 본체케이스 12에 대한 몰드베이스 10의 좌우방향의 위치결정을 행한 다음에 히터 17을 나사 18,19로 취부하면 상하방향의 위치가 결정된다.
이와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히터 17, 바이메탈, 20, 고정철심 22, 몰드베이스 10을 각각에 설비한부와부 및부와 끼워맞춤공을 압입시켜 일체화함과 더불어 이 몰드베이스 10을 본체케이스의 홈에 의해서 위치결정되어 고정되므로 용접 및 접착 작업이 필요치 않게되고 부품의 조립오차도 없어지므로 과부하상태의 검출정도 및 특성을 향상, 안정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부,부는 타발, 절곡프레스 가공과 동시에 압출가공으로 성형해도 좋다.
본 고안에 의하면, 검출장치는 구성부품인 히터, 바이메탈 고정철심에 각각 형성된부와부 또는부와 끼워맞춤공을 압입 밀착시킴으로써 용접 및 접착을 행함이 없이 용이하게 정확한 위치결정을 할 수 있으므로 과부하 상태의 검출정도 및 특성을 향상, 안정시킬 수 있다.

Claims (1)

  1. 주회로에 설비되고, 과전류가 흐르면 발열하는 히터(17)와, 이 히터(17)에 설비되고, 히터(17)의 발열에 의해서 만곡하여 주회로를 차단하는 바이메탈(20)과 한편 단락전류가 흐르면 자화되는 히터(17)를 사이에 두고 부착된 ㄷ자상의 고정철심(22)과 이 고정철심(22)에 흡착되어 주회로를 차단하는 가동철편(23)으로 되는 회로 차단기의 과부하 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히터 (17)의 바이메탈 설비면 및 그 이면에 각각 형성되는부(17a) 및부(17b),이 히터 (17)의부(17a)와 끼워맞춰지는 상기 바이메탈(20)에 뚫린 끼워맞춤공(20a)과 상기 고정철심(22)에는 히터(17)의부(17b)와 끼워맞춰지는부(22a)가 각각 형성되어 위치결정을 하여 견고히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의 과부하 검출장치.
KR2019880000611U 1987-10-22 1988-01-26 회로 차단기의 과부하 검출장치 KR90001050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7160756U JPH0166736U (ko) 1987-10-22 1987-10-22
JP160756 1987-10-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9562U KR890009562U (ko) 1989-05-30
KR900010508Y1 true KR900010508Y1 (ko) 1990-11-19

Family

ID=31443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0611U KR900010508Y1 (ko) 1987-10-22 1988-01-26 회로 차단기의 과부하 검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166736U (ko)
KR (1) KR90001050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61814B2 (ja) * 2009-06-19 2014-07-30 日東工業株式会社 過電流引き外し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166736U (ko) 1989-04-28
KR890009562U (ko) 1989-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08367A (en) Molded case circuit breaker with interchangeable trip unit having bimetal assembly which registers with permanent heater transformer airgap
US5486660A (en) Reset only rocker guard for split case circuit breaker
IE54932B1 (en) Molded case circuit breaker apparatus having trip bar with flexible armature interconnection
JP3117074B2 (ja) 回路遮断器
KR900010508Y1 (ko) 회로 차단기의 과부하 검출장치
KR100516589B1 (ko) 회로 차단기
JP2000003655A (ja) 回路遮断器のトリップクロスバー
EP0420517B1 (en) Circuit breaker with low current magnetic trip
AU686908B2 (en) Support plate for a circuit breaker
US3723924A (en) Shunt trip and undervoltage device
JP3640169B2 (ja) 回路遮断器の引外し装置
JP2000231870A (ja) 回路遮断器の過電流引きはずし装置
US4675640A (en) Line terminal assembly for a circuit breaker
JP3475598B2 (ja) 回路遮断器の電磁引外し装置
EP0708470B1 (en) An automatic circuit breaker with a thermal protection unit
CN109509692B (zh) 电路断路器
JP3328996B2 (ja) 回路遮断器
JP2000011840A (ja) 回路しゃ断器のトリップコイルユニット
JP2910843B2 (ja) 回路遮断器
JP2939053B2 (ja) 回路遮断器の電流検出装置
JPS6025802Y2 (ja) 有極形電磁継電器
JP3210415B2 (ja) 回路遮断器の電流検出装置
JPH07123020B2 (ja) 回路遮断器
JPH07230753A (ja) 回路遮断器の慣性遅れ装置
JP3230197B2 (ja) 回路遮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0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