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9306Y1 - 내연기관용 원심조속기의 2단 앵글라이히 장치 - Google Patents

내연기관용 원심조속기의 2단 앵글라이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9306Y1
KR900009306Y1 KR2019870019027U KR870019027U KR900009306Y1 KR 900009306 Y1 KR900009306 Y1 KR 900009306Y1 KR 2019870019027 U KR2019870019027 U KR 2019870019027U KR 870019027 U KR870019027 U KR 870019027U KR 900009306 Y1 KR900009306 Y1 KR 9000093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torque
spring
governor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90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0854U (ko
Inventor
엄춘호
안상천
김학운
Original Assignee
대우정밀공업 주식회사
유기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정밀공업 주식회사, 유기범 filed Critical 대우정밀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700190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9306Y1/ko
Publication of KR8900108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08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93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93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00Controlling fuel-injection pumps, e.g. of high pressure injection type
    • F02D1/02Controlling fuel-injection pumps, e.g. of high pressure injection type not restricted to adjustment of injection timing, e.g. varying amount of fuel delivered
    • F02D1/08Transmission of control impulse to pump control, e.g. with power drive or power assistance
    • F02D1/10Transmission of control impulse to pump control, e.g. with power drive or power assistance mechan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00Controlling fuel-injection pumps, e.g. of high pressure injection type
    • F02D2001/0005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centrifugal governors
    • F02D2001/002Arrangement of governor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Pressure Fuel Injection Pump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내연기관용 원심조속기의 2단 앵글라이히 장치
제 1 도는 종래 조속기의 성능선도.
제 2 도는 이 고안의 2단 플러스 앵글라이히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제 3 도는 이 고안의 2단 플러스 앵글라이히 장치의 측면도 및 일부 절개 정면 상세도.
제 4 도는 이 고안의 조속기의 앵글라이히 동작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턴센레버 1' : 지축
2 : 가이드레버 2' : 측면 개방홈
3 : 조속기 스프링 4 : 판 스프링
5 : 시프터 6 : 푸시로드
7 : 아이들링 스프링 8 : 앵글라이히 스프링
8' : 푸시로드 9 : 지지핀
10 : 지지핀 11 : 플로팅 핀
11' : 플로팅 레버 12 : 제2토오크 레버
13 : 핀 15 : 2차 토오크 조정 로드
15' : 조절 볼트 15" : 실린더
16 : 토오크 조정볼트 17 : 핀
18 : 제1토오크 레버 19 : 링크 레버
20 : 토오크 스프링 21 : 플라이 웨이트
23 : 콘트롤 랙
이 고안은 디젤 기관 조속기의 앵글라이히 장치 특히 2단에 걸쳐 플러스 앵글라이히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되어 있는 2단 앵글라이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속도 조속기와 최고, 최저 속도 제어 조속기 최고 속도 겸용 원심 조속기를 가진 연료분사 장치는 제어랙을 일정한 위치에 두고 관찰할 때 1회의 연료 분사량이 저속에서 고속 영역으로 갈수록 감소 하게 되는 것이어서, 전부하 고속 영역의 공기 흡입량을 기준으로 연료의 공급량을 세팅하게 되면 저속 영역에서 연료의 공급량이 공기 흡입량에 비하여 많아지게 되므로 연료의 불완전 연소에 의한 매연이 발생되는 것이며, 이와는 반대로 저속 영역의 공기 흡입량을 기준으로 연료의 공급량을 세팅하게 되면 고속 영역에서 연료의 분사량의 상대적 감소 현상이 발생되어 기관의 출력저하 현상을 초래하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디젤기관의 운전특성을 고려하여 저속시에 스모트의 발생을 방지하고 그속시에 최적의 성능을 얻기 위하여 속도가 증가할 때 연료의 공급량을 감소시키게 되어 있는 조속기의 기본 구성에 제어랙이 특정위치에 머물 때 연료의 공급량을 증대시키는 앵글라이히 장치를 장착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위와같은 앵글라이히 장치는 기관의 증속 또는 고속 회전에서 고출력을 얻고 저속영역에서 스모크 방지를 극대화 하기 위하여 제 1 도의 (가)와 같이 앵글라이히 폭을 크게 할 경우 엔진토오크 선도와 평형을 이루게 되는 (나)의 부근에서 엔진의 키-노크 현상이 발생하여 기관의 각부위에 무리한 충격이 가해지는 것이고, 1단 앵글라이히의 크기는 임계치가 있기 때문에 충분한 제어 기능을 기대할 수 없는 것이었다.
이 고안은 위같은 앵글라이히 장치의 개량 고안으로 앵글라이히 동작이 2단에 걸쳐 동작되게 함으로써 앵글라이히의 전폭을 확대시키고, 카-노크 현상을 제거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리고 2단의 앵글라이히 동작을 얻기 위하여 텐션 레버의 끝에 위치한 앵글라이히 장치에 제2단의 앵글라이히 장치를 부가 장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나 이와같은 경우 젤2단의 앵글라이히 세팅시 이미 조정된 제2단 앵글라이히에 간섭을 주기 쉬우므로 조정성이 불량해지며, 2단의 앵글라이히 조정이 이루어진 후에도 앵글라이히 세팅의 수정이 지극히 어렵게 되고, 제1단, 제2단의 앵글라이히를 같은 위치에 설치하는 경우를 생각해 보아도 이 경우에는 조속기 외부의 점유 면적이 커져 기관의 타부품 설계에 간섭되기 때문에 실용성을 기대하기 어려운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 고안은 위와같은 문제점을 참작하여 제1단, 제2단의 앵글라이히 세팅이 독립적이고 외부 설계에 간섭됨이 없는 2단의 플러스 앵글라이히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고안을 첨부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나의 지축(1')에 의하여 텐센레버(1)와 가이드 레버(2)가 장착되어 있으며, 조속기 스프링(3)에 인장되는 텐션레버(1)의 저부에 아이들링 스프링(7)을 동작시키는 푸시로드(6) 및 앵글라이히 스프링(8)을 동작시키는 푸시로드(8')가 직열로 배열되어 있으며, 가이드 레버(2)의 중간부 측면 개방홈(2)에 폴로팅 레버(11')의 폴로팅 핀(11)을 삽입하여 지지편(9)(10)에 의지되어 있는 판스프링(4)으로 탄접시키고 저단부에 플라이웨이트(21)의 원심력을 받아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시프터(5)로 구성된 원심 조속기에 있어서, 가이드 레버(2)상에 핀(13)(17)으로 제2토오크 레버(12) 및 제1토오크레버(18)를 각각 유착시켜, 제2토오크레버(12)의 상부아암이 프롤팅 핀(11)에, 하부 아암이 제1토오크레버(18)의 상부 아암 및 2차 토오크 조정 로드(15)에 접속되고, 제1토오크 레버(18)의 하부 아암에 토오크 조정 볼트(16)가 대응되어 있으며, 실린더(15")에 장착시킨 토오크 조정 로드(15)를 볼트(15')에 의하여 압력이 조절되는 스프링(20)에 접속시켜 반발탄성을 부여시킨 것이다.
이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엔진이 가동되어 연료 분사 펌프의 캠축이 증속 회전하면 플라이 웨이트(21)에서 발생되는 원심력이 커지고 시프터(5)는 원심력을 받아 우측으로 추진된다. 시프터(5)의 추진은 가이드 레버(2)를 동작시키고 또한 텐션레버(1)에 설치된 푸시로드(6)에 접속되어 아이들링 스프링(7)의 탄발력을 이기면서 제 4 도의 (ㄱ)으로 표시되는 바와같이 랙을 이동시켜 연료을 감량시키다가 앵글라이히 스프링(8)의 세팅점에 이른다. 이 세팅점에서는 앵글라이히 스프링(8)의 탄발력에 의하여 (ㄴ)으로 표시되는 바와같이 회전속도의 증가에도 콘트롤랙의 위치는 변동되지 않게 된다.
엔진의 회전속도가 계속 증가되어 시프터(5)의 추진력이 앵글라이히 스프링(8)의 탄발력을 이기게 되면 곡선(ㄷ)과 같이 콘크롤 랙을 이동시킨다.
이때 가이드 레버(2)가 이동되므로 제1토오크 레버(18) 아암상의 A점이 토오크 조정볼트(16)에 닿고 제1토오크 레버(18)의 상부아암이 제2토오크 레버(12) 하부 아암의 C점을 통하여 토오크 스프링(20)의 저항에 직면하게 됨으로써 (ㄹ)과 같이 회전속도가 증가되어도 랙은 정지해 있으며 이상태에서 회전속도는 시프터(5)의 추진력이 토오크 스프링(20)의 평행점에 이르기까지 중간된다.
더욱 증가된 회전속도에 의하여 토오크 스프링(20)이 뒤로 밀리면서 시트터(5)가 텐션레버(1)에 닿게 되며 이때 랙을 이동시키는 그라프 곡선(ㅁ)은 제1토오크 레버(18)의 상부 아암이 제2토오크 레버(12)의 하부 아암을 회전시켜 제2토오크 레버(12)의 상부 아암(12)이 플로팅 핀(11)을 밀어냄으로써 형성되며, 곡선(ㅂ)은 시프터(5)의 추진력이 조속기 스프링(3)의 장력에 직면함으로써 형성 되고, 엔진의 속도가 더욱 증가되어 조속기 스프링(3)이 늘어나게 되면서 곡선(ㅅ)의 조속기 동작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2단 앵글라이히 동작 (다)와 (라)의 크기는 토오크 조정 볼트(16)와 스프링(20)의 압축력 조정볼크(15')에 의하여 새롭게 설정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이 고안은 조속기에 2단의 앵글라이히 동작을 발생시킴으로써 고출력 저매연의 조속기 성능을 유지시킬 수 있으며, 악셀 페달을 일정하게 유지시켰을 때 연료 분사량의 변화로 발생되는 기관의 헌팅(HUNTING)이나 카노크(CAR KNOCK)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앵글라이히 동작의 설정 및 변경이 용이하게 되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하나의 지축(1')에 의하여 텐센레버(1)와 가이드 레버(2)가 장착되어 있으며, 조속기 스프링(3)에 인장되는텐션레버(1)의 저부에 아이들링 스프링(7)을 동작시키는 푸시로드(6) 및 앵글라이히 스프링(8)을 동작시키는푸시로드(8')가 직열로 배열되어 있으며, 가이드 레버(2)의 중간부 측면 개방홈(2)에 폴로팅 레버(11')의 폴로팅 핀(11)을 삽입하여 지지편(9)(10)에 의지되어 있는 판스프링(4)으로 탄접시키고 저단부에 플라이웨이트(21)의 원심력을 받아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시프터(5)로 구성된 원심 조속기에 있어서, 가이드 레버(2)상에 핀(13)(17)으로 제2토오크 레버(12) 및 제1토오크레버(18)를 각각 유착시켜, 제2토오크 레버(12)의 상부아암이 프롤팅 핀(11)에, 하부 아암이 제1토오크 레버(18)의 상부 아암 및 2차 토오크 조정 로드(15)에 접속되고, 제1토오크 레버(18)의 하부 아암에 토오크 조정 볼트(16)가 대응되어 있으며, 실린더(15")에 장착시킨 토오크 조정 로드(15)를 볼트(15')에 의하여 압력이 조절되는 스프링(20)에 접속시킨 내연기관용 원심조속기의 2단 앵글라이히 장치.
KR2019870019027U 1987-11-03 1987-11-03 내연기관용 원심조속기의 2단 앵글라이히 장치 KR9000093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9027U KR900009306Y1 (ko) 1987-11-03 1987-11-03 내연기관용 원심조속기의 2단 앵글라이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9027U KR900009306Y1 (ko) 1987-11-03 1987-11-03 내연기관용 원심조속기의 2단 앵글라이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0854U KR890010854U (ko) 1989-07-11
KR900009306Y1 true KR900009306Y1 (ko) 1990-10-08

Family

ID=19269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9027U KR900009306Y1 (ko) 1987-11-03 1987-11-03 내연기관용 원심조속기의 2단 앵글라이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930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0854U (ko) 1989-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27884A (en) Engine device for reducing unburned hydrocarbons
US2669983A (en) Governor mechanism
KR900009306Y1 (ko) 내연기관용 원심조속기의 2단 앵글라이히 장치
US3014475A (en) Control mechanism for v-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612891A (en) Feeding governor of a diesel cycle engine in the starting stage
KR890010406A (ko) 연료분사 펌프용 조속기
KR890005374A (ko) 분사식내연기관용 원심력조속기(調速機)
JP2524158B2 (ja) 燃料噴射ポンプのガバナ装置
US4085715A (en) Ignition timing control system
JP2852874B2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装置
KR900009308Y1 (ko) 조속기의 부분 부하시 앵글라이히 감소장치
KR920704004A (ko) 내연기관용 연료 분사 펌프
KR820000036Y1 (ko) 내연기관용 원심 조속기
KR820000037Y1 (ko) 분사식 내연기관용 원심력 조속기
JPH08128335A (ja) 燃料噴射ポンプのガバナ
JPS591067Y2 (ja) 気圧補正装置を備えた内燃機関用調速機
KR0138934Y1 (ko) 연료분사펌프의조속기구조
SU705136A1 (ru) Регул тор предельного числа оборотов двигател
GB2119962A (en) Governor mechanism for a fuel pumping apparatus
GB2136151A (en) A Centrifugal Speed Governor Having Torque Control for Fuel Injection Pumps
JPS5614815A (en) Engine
JPS6021474Y2 (ja) 内燃機関用遠心力調速機
SU1455015A1 (ru) Регул тор двигател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
KR900009305Y1 (ko) 열형 연료분사 펌프 조속기의 (+)앵글라이히 장치
JPS59537A (ja) ブ−ストコンペンセ−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