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0037Y1 - 분사식 내연기관용 원심력 조속기 - Google Patents

분사식 내연기관용 원심력 조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0037Y1
KR820000037Y1 KR7705114U KR770005114U KR820000037Y1 KR 820000037 Y1 KR820000037 Y1 KR 820000037Y1 KR 7705114 U KR7705114 U KR 7705114U KR 770005114 U KR770005114 U KR 770005114U KR 820000037 Y1 KR820000037 Y1 KR 8200000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control
internal combustion
floating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7051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오이찌 가와세
히사오 지바
Original Assignee
모찌쯔기 가즈게시
지이제루 기기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찌쯔기 가즈게시, 지이제루 기기 가부시기 가이샤 filed Critical 모찌쯔기 가즈게시
Priority to KR77051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00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00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00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00Controlling fuel-injection pumps, e.g. of high pressure injection type
    • F02D1/02Controlling fuel-injection pumps, e.g. of high pressure injection type not restricted to adjustment of injection timing, e.g. varying amount of fuel delivered
    • F02D1/04Controlling fuel-injection pumps, e.g. of high pressure injection type not restricted to adjustment of injection timing, e.g. varying amount of fuel delivered by mechanical means dependent on engine speed, e.g. using centrifugal govern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00Controlling fuel-injection pumps, e.g. of high pressure injection type
    • F02D2001/0005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centrifugal govern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Pressure Fuel Injection Pump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분사식 내연기관용 원심력 조속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의 일부를 절결한 측면도.
제3도는 제2도의 반대방향의 일부를 절결한 측면도.
제4도는 특성선도.
본 고안은 디이젤기관의 최고 회전 속도범위와 최저 회전속도범위를 조속(調速)하는 원심력 조속기에 있어서, 저속(저회전)시에 발생하는 흑연의 방지와, 소정의 고속범위에 있어서의 흡입공기량에 대응하여 연료분사량을 속도에 적응시켜서 보정증량(補正增鼻)하게 한 것이다.
종래 최고 최저속도제어 조속기가 부설되여 있는 연료분사펌프에 있어서는, 기관의 회전수와 콘트롤랙 위치와의 특성은 저회전 범위에서 크게 증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여있다.
따라서, 예를들면 배기 재순환기구를 구비한 기관에 있어서, 부하와 배기환류량(排氣環流量)을 가속페달의 움직임으로 제어하는 경우, 부분 부하시에 있어서, 저속회전에서는 아이들링시(idling 時)의 특성에 걸리면 연료의 분사량이 많어지며, 환류 배기중의 불활성가스가 과대하여져서 산소가 부족하기 때문에 연소상태가 불완전하여져서 흑연이 발생하는 문제가 생기게 된다.
종래에는 전부하시(全負荷時)에 있어서는 콘트롤랙의 위치를 제한하는 랙제한기가 설치되여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부분부하시(部分負荷時)에는 이와 같은 기구는 실용화되여 있는 것은 없으며, 유해 배기가스 대책상 지장이 생기게 되여있다.
또한 분사디이젤기관등에 있어서는 연료분사펌프의 콘트롤랙의 일정위치에서 1회의 분사량은 기관 회전속도의 고속범위에서 이것이 빨라짐에 따라서 분사변의 교축(throttle)효과 때문에 감소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특성의 분사장치에서는 전부하시의 흡입공기량에 대하여 연료분사량을 설정을 하면, 저속시 흡입공기량에 대하여 연료가 과잉되여 흑연을 발생하는 원인도 된다.
또 이와 반대로 저속시의 흡입공기량에 대하여 분사량을 설정하면 고속시 흡입 공기량에 대하여 연료의 분사량이 부족하여 출력의 저하를 초래하는 원인이 된다.
여기서 본 고안의 제1의 목적으로서 부분부하, 전부하시에 있어서 저속 회전범위의 콘트롤랙의 증량을 규제하고, 이로서 연료의 분사량을 적게하고, 연소상태를 개선하여 흑연의 발생을 방지하고져 하는데있다.
제2의 목적은 소정의 고속범위에 있어서 흡입 공기량에 대응하여 연료분사를 속도에 적용시키기 위하여서 보정증량하고, 그리고 종래의 원심력 조속기의 기능에 방해됨이 없이 연료제어를 할수 있게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제1도, 제2도에 있어서 분사식 내연기관용 원심력 조속기는 분사펌프의 캠 샤프트(1)에 플라이웨이트(2)가 부착되어 있어 기관의 회전속도의 변화에 따라 플라이웨이트(2)는 핀(2a)을 지점으로 하여 넓어지며, 이에 따라서 시후터(3)를 우측으로 압압한다.
시후터(3)는 그 선단에 아이들링 스프링(4a)에 의하여 압압되는 로드(4b)가 접지되며, 더욱이 로드(4b)에 압지 스프링(4c)에 의하여 압압되는 로드(4d)가 대향하고 있다.
따라서 시후터(3)가 우측으로 작동시에 아이들링 스프링(4a)을 압축한후 로드(4b)가 로드(4d)와 당접하여 더욱이, 시후터(3)의 우측작동에 의하여 압축된다. 이 시후터(3)의 추진력(우측작동)과 텐숀레버(5)에 가해진 가버너 스프링(6)의 장력에 대향되며, 시후터 (3)의 변위를 기관의 회전수에 대응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시후터(3)에는 가이드레버(8)이 축(10)에 의하여 연결되며, 가이드레버(8)은 고정축(7)을 지점으로 하여 시후터(3)의 변위에 따라 요동한다.
가이드레버(8)에는 레버(11)이 축(12)에 취부되며, 레버(11)은 토오숀코일 스프링(13)에 의하여 가이드레버(8)에 눌려져 있으며, 가이드레버(8)과 일체화로 되여 있다.
레버(11)의 타단은 축(14)로 플로팅레버(9)에 연결되여 있다.
따라서 가이드레버(8)의 요등은 레버(11)을 개재하여 플로팅레버(9)에 전달되며, 플로팅레버(9)의 하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요동하며, 레버(15)을 개재하여 콘트롤랙(16)에 전달되여 연료의 분사량을 조정하고 있다.
플로팅레버(9)이는 하단에 지지레버(17)의 하단이 축(18)으로 연결되며, 지지레버(17)에는 편심축(19)을 재개하여 콘트롤레버(20)이 취부되며, 콘트롤레버 (20)은 축 (21)을 지점으로하여 조작을 함으로서 플로팅레버 (9)를 작동시키며, 연료의 분사량의 조정이 되는 것이다.
조정 스크류(22)는 텐숀레버 (5)의 중앙부에 나합하여 그 선단은 레버(11)측에 위치하고 플라이 웨이트(2)가 일정하게 넓어진 위치(고속회전 범위)로 레버(11)의 축부에 접지하고, 레버(11)을 축(12)을 지점으로하여 좌측으로 회동시킨다.
이때 플로팅레버 (9)는 축 (18)을 지점으로하여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콘트롤랙 (16)을 증량방향에 이동을 시키게 된다.
즉, 기관의 회전이 저속범위에서는 시후터(3)은 아이들링스프링(4a)을 압축하고 있으며, 제어 저속회전 범위를 통과하면 로드 (4b)는 로드(4d)에 접지하게 되지만, 압지 스프링(4c)의 저항력이 강하여 시후터(3)은 그 위치에서 정지하고 있다.
더욱이 기관의 회전수가 상승하여 제4도에 표시한 Nan (보정 증량개시 회전수)까지 오게되면, 엔그라이히(angleich)스프링(4c)의 셋트력에 이겨서 시후터 (3)은 우측에 이동하고, 이때에 조정스크류(22)은 레버(11)에 접지하여 압압하기 때문에 레버(11)은 축 을지점으로 하여좌측에 회동이 된다.
이때문에 플로팅레버(12)은 축(9)을 지점으로하여 좌측에 작동되며, 콘트롤랙(18)을 증량방향으로 이동시키며, 분사량을 증가시킨다.
이 증량 ΔR은 엔그라이히 스프링(4c)의 압축이 완료할때 까지 계속된다.
이와 같이하여 고저속 가버너에 있어서 기관회전 속도가 고속범위에 도달하면 콘트롤랙(16)은 증량방향 ΔR만큼 증가되며, 이때문에 연료 분사량은 흡입공기량에 대응할 수 있게 보정증량 시킬수가 있다.
제3도에 있어서 콘트롤레버(20)에는 이에 연결되여 있는 레버(23), 축 (24)을 개재하여 연동하는 레버(25)가 연결되며, 이 레버(25)에는 장공(26)을 형성한 레버(27)이 축 (28)을 개재하여 연결되여 있다.
레버(27)의 장공(26)에는 전기 시후터(3)에 돌설된 핀(29)가 가볍게 삽입되여 졀합하고 있다.
따라서 레버(25)가 콘트롤레버 (20)에 연동하여 축 (18)을 지점으로하여 회동하면 레버 (27)의 단부는 직선 왕복운동되게 되여 있다.
아이들링시에서 전부하시(제1도에서 2점 쇄선으로 표시)에 콘트롤레버(20)이 회동됨에 따라서 레버(25)는 축(24)을 지점으로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게 되여 있으며, 장공(26)을 형성한 레버(27)은 그 단부가 좌측에 이동거리 m만큼 이동된다.
그리고, 아이들링시에는 레버(25)의 회동은 없으며, 부분부하시에는 중간정도이며, 전부하시에는 최대로 이동되게 되여 있다.
따라서 전부하, 부분 부하시에 있어서 제어범위인 저속 회전범위에 당면하면, 아이들링 스프링(4)가 시후터(3)을 우측에 압압하지만, 이미 콘트롤레버 (20)에 의하여 연동하여 장공(26)을 형성한 레버(27)이 전기한 바와같이 위치에 이동되여 있기 때문에 시후터(3)의 이동은 콘트롤레버(20)의 회동량에 의하여 제한을 받기 때문에 콘트롤랙(16)의 증가량은 규제를 받게된다.
이 상태는 제4도에 표시되며, 실선 a는 아이들링시의 특성, 실선 b은 부분 부하시의 특성, 실선 c은 전부하시의 특성을 표시하고 있다.
그리고, 이 규제는 레버(25)의 회전반경 R, 레버(27)의 길이 L을 여러가지로 변경함으로서 자유로히 결정을 할수가 있다.
이와같이 전부하, 부분부하시에 있어서 콘트롤레버의 회동량에 비례하여 저속회전시의 콘트롤랙의 증가량을 규제할 수 있기 때문에 분사량은 커지지 아니하며, 연소상태를 적절히 유지하고 배기의 악화를 방지할수가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본 고안에 있어서 주로 부분부하시에 있어서의 저회전시의 연료의 증량을 제어하고 따라서 배기의 악화를 방지함과 동시에 고속 회전범위에 있어서 흡입공기량에 적합한 보정증량을 부여할수가 있으며, 출력의 저하등이 나타나는 것을 배제할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플라이 웨이트(2)의 원심력을 받어서 이를 축방향 추진력으로 변경하는 시후터 (3)에 직결하는 가이드레버(8) 및 가버너 스프링 (6)의 장력을 받어서 시후터 (3)의 추진력에 대한 텐숀레버 (5)가 기관회전 속도에 관련하여 시후터 (3)에 의하여 요동되며, 이때에 가이드레버 (8)에 스프링(13)으로 가이드레버(8)과 일체화하여 작동하게한 레버(11)로 연결한 플로팅레버(9)을 개재하여 분사펌프의 콘트롤랙(16)을 변위하게 하고, 전기 레버(11)은 기관의 회전속도가 고속범위에 도달하면 텐숀레버(5)에 나합하고 있는 조정스크류(22)에 의하여 압압되여 플로오팅레버(9)을 개재하여 콘트롤랙(16)을 연료증랑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전기 플로팅레버(9)을 요동시키는 콘트롤레버(20)에 연동하는 레버(25)을 연결하고, 레버(25)의 장공(26)을 설한 레버(27)을 연결하고, 레버(27)의 장공(26)에 시후터(3)에 형성한 핀(29)을 결합한 분사식내연기관용 원심 조속기.
KR7705114U 1977-08-25 1977-08-25 분사식 내연기관용 원심력 조속기 KR8200000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5114U KR820000037Y1 (ko) 1977-08-25 1977-08-25 분사식 내연기관용 원심력 조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5114U KR820000037Y1 (ko) 1977-08-25 1977-08-25 분사식 내연기관용 원심력 조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0037Y1 true KR820000037Y1 (ko) 1982-01-27

Family

ID=19205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705114U KR820000037Y1 (ko) 1977-08-25 1977-08-25 분사식 내연기관용 원심력 조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003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6131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spark ignition
US4015573A (en) Supercharged diesel engine fuel injection pump governor assembly
GB2040500A (en) Centrifugal speed governo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having fuel injection
US3766899A (en) Fuel mixture regulator for spark plug-ignite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5036815A (en) Mechanical injection-pump governor with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torque control
KR820000037Y1 (ko) 분사식 내연기관용 원심력 조속기
EP0161781A1 (en) Fuel injection pump governor
US3923025A (en) Fuel injection pump governor assembly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3230946A (en) Device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fuel injected in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s a function of engine speed
JP2524158B2 (ja) 燃料噴射ポンプのガバナ装置
US3934568A (en) Crankshaft governor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245011B2 (ko)
JPH048264Y2 (ko)
US4082073A (en) Engine speed governor with improved peak load control
GB2119962A (en) Governor mechanism for a fuel pumping apparatus
JPH08128335A (ja) 燃料噴射ポンプのガバナ
JPS5913312Y2 (ja) 内燃機関用調速機
JPH037544Y2 (ko)
KR820000036Y1 (ko) 내연기관용 원심 조속기
KR920704004A (ko) 내연기관용 연료 분사 펌프
JPH0429065Y2 (ko)
KR900009308Y1 (ko) 조속기의 부분 부하시 앵글라이히 감소장치
JPH0138269Y2 (ko)
US4474156A (en) Governor mechanism for a fuel pumping apparatus
JP2503836Y2 (ja) メカニカルガバ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