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9010B1 - 복사기 - Google Patents
복사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00009010B1 KR900009010B1 KR1019870001664A KR870001664A KR900009010B1 KR 900009010 B1 KR900009010 B1 KR 900009010B1 KR 1019870001664 A KR1019870001664 A KR 1019870001664A KR 870001664 A KR870001664 A KR 870001664A KR 900009010 B1 KR900009010 B1 KR 9000090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uide plate
- copier
- process unit
- housing
- photosensitive dru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4—Details of parts of process cartridge, e.g. for charging, transfer, cleaning, developing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28—Clamshell type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0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photosensitive element
- G03G2221/1609—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photosensitive element protective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amage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transfer unit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54—Locks and means for positioning or alignment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03G2221/1687—Frame structures using opening shell type machines, e.g. pivoting assemblie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93—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harging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복사기를 보이는 수직단면도.
제2도는 상부절반부를 상측으로 회전시킨 것으로 제1도에 보인 복사기 몸체의 수직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다른 복사기에 있는 프로세스 유닛의 후부단면도.
제4도는 제3도에 보인 프로세스 유닛의 수직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장치를 V-V선에 따라 절단한 부분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복사기의 수직 단면도.
제7도는 상부절반부를 상측으로 회전시킨 것으로 제6도에 보인 복사기 몸체의 수직 단면도.
제8도 및 제9도는 제6도에 보인 프로세스 유닛의 주요부의 측면도.
제10도 및 제11도는 제6도에 보인 것과 상이한 프로세스 유닛의 주요부의 측면도.
제12도, 13도 및 제14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복사기를 보이는 수직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 : 복사기 몸체 20, 20' : 프로세스 유닛
21, 21' : 감광드럼 22 : 충전장치
23 : 현상장치 24, 24' : 전사실
25 : 클리이닝 장치 26, 26' : 하우징
본 발명은 소형이며 경량의 복사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사기 몸체와 이 복사기 몸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로세스 유닛으로 구성되는 복사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 전자사진 복사기는 감광드럼과 형상장치등으로 구성되어 발달되고 있으며, 이들 장치는 사용에 의해 성능이 저하되고 사용중에 마모되며 또한 이들 장치는 같이 연합되어 복사기의 몸체에 부착되고, 또한 몸체로부터 용이하게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마모된 부품들의 교체 및/또는 유색토오너 대신에 블랙 토오너를 함유하는 프로세스유닛을 교환하는 일들은 용이하게 행하여 지도록 발달되어 왔다.
예를 들어 미합중국 특허 제4538896호에는 프로세스 유닛내에 감광드럼과 충전장치와 현상장치와 클리이닝 장치가 하나의 몸체내에 일체화되어 있다. 프로세스 유닛에서 전사정치는 연합되어 있지 않다. 즉 이 전사장치가 복사기 몸체내에 설치되어 복사기 몸체내에 설치된 전사장치와 유닛에 내장된 감광드럼이 이들 둘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기록지를 이송하도록 서로 대향한다. 이 결과 기록지이송 루우트는 이 유닛의 하부와 복사기 몸체 사이의 범위가 되어야 한다. 프로세스 유닛이 복사기 모체로부터 분리될 때 감광드럼은 프로세스 유닛의 하우징의 내붕 위치되어야 하며, 이로서 감광드럼의 표면이 보호되고 및/또는 프로세스 유닛내부에 있는 토오너가 외부로 흩어지지 않게 되고, 따라서 하우징은 폐쇄될 필요성이 있다. 상기 이유로 미합중국 특허 제4538896호에 기재된 프로세스 유닛에는 감광드럼을 덮기 위한 특별한 드럼커버가 제공되었다.
이와 같은 커버에 의해 복사기 몸체내에 프로세스 유닛이 설치될 때, 하우징의 일부는 개방되고, 감광드럼의 표면은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며, 복사기의 몸체내에 설치된 전사장치가 상기 감광드럼에 반대하여 위치된다. 이 같은 반대 상태에서 프로세스 유닛이 복사기 몸체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커버가 감광드럼의 표면을 덮으므로 하우징은 폐쇄된다. 이와 같은 드럼커버를 가짐으로써 복잡한 기구가 필요하게 되어 하우징의 일부가 좁은 공간내에서 개방되고 폐쇄될 수 있다. 더우기 하우징의 일부가 용이하게 개방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복사기의 사용자가 뜻하지 않게 이런 커버를 사용시 감광드럼의 표면에 접촉할 수 있는 위험이 따른다. 그리고 드럼커버가 사용될때에 하우징의 일부가 개방된채로 남아 있도록 제작됨으로써 토오너가 주위로 흩어질 수 있는 위험도 있게 된다. 이에 더하여 프로세스 유닛의 하우징이 복잡한 형상, 즉 다시 말하여 기록지의 이송을 위한 루우트가 프로세스 유닛의 하우징 내부에 있는 감광드럼과 복사기 모체내에 있는 전사장치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작업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복사기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여러 가지 불편과 결함을 극복한 것이며, 복사기 몸체와 상기 복사기 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는 프로세스 유닛으로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스 유닛은 하우징내에 감광드럼과 충전장치와 현상 장치와 클리이닝 장치로 이루어지며, 더우기 감광드럼의 하부 구역내에 있는 하우징을 관통하는 기록지이송용 루우트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복사기 몸체에는 전사장치가 있다.
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사장치가 배치된 전사실은 하우징 내부에 있는 감광드럼의 하부 구역내에 형성되어 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록지의 이송용 루우트는 감광드럼과 전사실 사이에 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사실로 전사장치의 도입을 위한 개구가 하우징내에 마련되어 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사장치의 도입을 위한 개구를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는 유연한 시일링재가 하우징내에 마련되어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시일링재는 프로세스 유닛이 복사기 몸체내에 설치될 때 전사장치에 의해 밀리며 전사실로 전사장치의 도입을 위한 개구를 개방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시일링재는 빛을 차단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록지이송용 루우트의 입구개구 및/또는 출구개구에는 상기 입구개구 및/또는 출구개구를 개방 및 폐쇄하는 안내판이 있다.
보다 바람작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유닛이 복사기 몸체내에 설치될 때 안내판이 입구개구 및/또는 출구개구를 개방하고, 프로세스 유닛이 복사기 몸체로부터 제거될 때 안내판이 입구개구 및/또는 출구개구를 폐쇄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입국개구와 출구개구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안개판은 하우징내부쪽으로 향하여 회전하며 안내판의 선단 모서리를 감광드럼의 부근에 있는 경사위치에 있게 하는 방식으로 정지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안내판은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이 안내판에는 입구개구 및/또는 출구개구를 폐쇄하도록 안내판을 미는 스프링수단과, 프로세스 유닛을 복사기 몸체내에 설치시 주어진 각도에 의해 스프링 수단의 스프링힘에 저항하면서 안내판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이 있다.
적합한 실시예에서 기록지이송을 위한 루우트의 입구개구는 출구개구보다 더 높은 위치에 있다.
적합한 실시예에서 전사장치는 프로세스 유닛의 하우징내에 고정되며 기록지의 이송을 위한 루우트는 감광드럼과 전사장치 사이에 배치된다.
보다 적합한 실시예에서 기록지의 이송을 위한 루우트에는 안내판이 마련되어 있어 기록지의 이송을 위한 루우트의 입구개구와 출구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보다 적합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유닛이 복사기 몸체내에 설치될 때 안내판은 입구개구 및/또는 출구개구를 개방하고, 프로세스 유닛이 복사기 몸체로부터 제거될 때 안내판은 입구개구 및/또는 출구개구를 폐쇄한다.
더욱 적합한 실시예에서 입구개구 및/또는 출구개구가 개방될 때 안내판은 하우징의 내측을 향하여 회전하며 안내판의 선단모서리를 감광드럼의 부근에 있는 경사위치에 있게 하는 방식으로 정지한다.
보다 적합한 실시예에서 안내판은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이 안내판에는 입구개구 및/또는 출구개구를 폐쇄하도록 안내판을 미는 스프링 수단과, 프로세스 유닛을 복사기 몸체내에 설치시 주어진 각도에 의해 스프링 수단의 스프링힘을 저항하면서 안내판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이 있다.
적합한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스 유닛의 하우징 형상은 직육면체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목적은 아래와 같다.
1) 간단한 구성의 복사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뜻하지 않게 감광드럼 표면에 접촉하게 되는 위험을 제거하며, 이로서 감광드럼의 표면에 손상을 입히는 위험이 없게 되고, 복사된 화상의 질 저하를 자져오는 위험이 없어진다.
2) 흑색 토오너를 내장한 프로세스 유닛을 유색 토오너를 내장한 프로세스 유닛과 수시로 교환할 수 있는 복사기를 제공하게 된다.
3) 감광드럼이 복사기 몸체로부터 프로세스 유닛을 제거할때에 있어서도 빛에 노출되는 일이 없는 복사기를 제공하게 된다.
4) 복사기 몸체에 프로세스 유닛을 부착할때에 복사기 몸체내에 있는 토우너가 흩어지는 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복사기를 제공하게 된다.
5) 기록지가 프로세스 유닛의 하우징 내부에 정확하게 공급되어 감광드럼으로 안내됨으로써 감광드럼의 상부에 토오너 영상의 정확한 전사가 기록지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종기가 끼워지는 일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복사기를 제공한다.
6) 토오너 영상이 전사된 기록지가 정확하게 프로세스 유닛의 외부로 배출되는 복사기를 제공한다.
7) 프로세스 유닛의 하우징이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와 같은 간단한 형상이므로 취급이 용이하며 공장으로 부터의 선적이 용이한 복사기를 제공한다.
8) 프로세스 유닛의 하우징이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와 같은 간단한 형상이므로 창고에 보관이 용이하며 필요한 보관공간이 최소한으로 작을 수 있는 복사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은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당해 숙련된 사람들에게 더 명백하게 이해될 것이다.
[실시예 1]
제1도 및 2도는 전자사진의 복사기 몸체(10)와 프로세스 유닛(20)으로 구성된 본 발명의 복사기를 보인다. 복사기 몸체(10)에서 상부절반부(16)와 하부절반부(17)는 선회축(19)으로 유지되어 경계로써 기록지의 이송을 위한 루우트의 상류섹션(13a)과 하류섹션(13b)으로 절반부들이 회전할 수 있다. 프로세스 유닛(20)은 상부절반부(16)의 전방(도면에서 종이의 표면)으로부터 후방(도면에서 종이의 뒷면방향)으로 미끄러지면서 설치된다.
프로세스 유닛(20)은 프로세스 유닛의 하우징(26)이 중심부에서 회전가능한 감광드럼(21)과 충전장치(22)와 현상장치(23) 그리고 클리이닝 장치(25)로 이루어지며, 이것들은 모두 하우징(26)에 일체화되어 고정된다. 충전장치(22)는 감광드럼(21)의 위에 위치한다. 현상장치(23)는 충전장치(22)에 관하여 회전하는 감광드럼(21)으로 부터 종이흐름의 하류방향에 설치된다. 클리이닝 장치(25)는 충전장치(22)에 관하여 회전하는 감광드럼(21)으로부터 종이흐름의 상류방향에 설치된다. 하우징의 상부면에는 슬릿(26c)이 있다. 이 슬릿(26c)은 충전장치(22)와 현상장치(23)사이에 있다.
하우징(26)의 저부에는 전사실(24)이 있다. 이 전사실(24)은 감광드럼(21)의 아래구역에 위치된다. 감광드럼(21) 근처의 전사실(24) 부근에는 기록지이송용 루우트(27)가 하우징(26)을 통하여 관통된다. 이송용루우트(27)에서 기록지 흐름의 상류측에는 하우징(26)에 형성된 기록지를 위한 연결 입구개구(26a)가 있으며, 이송용 루우트(27)에서 기록지흐름의 하류방향에는 하우징(26)에서 기록지를 위해 형성된 연결 출구개구(26b)가 있다. 감광드럼(21)으로 부터 기록지를 분리하는 분리벨트(27a)와 같은 분리수단은 감광드럼(21)을 따라 이송루우트(27)에 배치된다. 분리수단으로써 분리못, 교류충전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기록지는 기록지용 이송루우트(27)를 통하여 지나며, 현상장치(23)의 아래구역에서 하우징(26)의 내부로 이송되고, 여기서 기록지가 하우징으로부터 클리이닝 장치(25)의 아래구역으로 이송된 후 토오너 영상으로 전사된다. 기록지가 입구개구(26a)를 통하여 하우징(26)의 외부로 부터 토오너 영상을 전사하는 하우징(26)의 내부로 이송되어서, 기록지는 하우징(26)으로 부터 출구개구(26b)를 통하여 부드럽게 이송될 것이며, 입구개구(26a)는 출구개구(26b) 보다 적당히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즉 감광드럼(21)의 부근에 있는 것이다).
기록지를 위한 이송루우트(27)가 상류측에는 도입안내판(28a)이 있다. 기록지를 위한 이송루우트(27)의 하류측에는 방출안내판(29a)이 있다. 도입안내판(28a)은 하류방향에 있는 하우징(26)의 입구개구(26a)의 하부모서리로 부터 신장되고, 이 하류모서리는 상측으로 경사져서 감광드럼(21)의 가까이에 있다. 방출안내판(29a)은 상류방향에 있는 출구개구(26b)의 하부 모서리로부터 신장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방출안내판(29a)의 상류모서리는 상측으로 경사져서 감광드럼(21)의 가까이에 있다.
프로세스 유닛(20)의 감광드럼(21)과 충전장치(22)의 유효수명은 현상장치(23)에 공급된 토오너를 쓰기에 필요한 기간과 거의 같은 기간으로 설정되어 있다. 클리이닝 장치(25)에서 사용된 토오너 탱크(현상에 사용된 토오너의 보관을 위한 탱크)의 용량은 상기한 기간내가 되도록 같은 방식으로 설정된다.
하우징의 저부에는 전사실(24)의 저부에서 전사실로 향한 도입구(24a)가 있다. 이 도입구(24a)는 전사실(24)의 내부와 하우징(26)의 외부를 연결한다. 이도입구(24a)는 후술될 전사장치(18)가 전사실로 도입될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입구(24a)는 두 시일링재(24b)의 개방 및 폐쇄로 얻어진다. 시일링재(24b)의 기초모서리는 도입구(24a)의 모서리 부근에 고정된다. 두 시일링재(24b)의 선단모서리는 도입구(24a)의 중심부에서 겹쳐지도록 위치된다(제2도 참조). 시일링재(24b)로써 플라스틱 필림과 같이 빛을 차폐하며 유연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프로세스 유닛(20)은 상기한 바와같이 선회축(19)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복사기 몸체(10)의 상부절반부(16)에 설치된다. 상부절반부(16)의 상부에는 미끄럼 원고 트레이(11)가 있으며, 이 트레이는 복사기의 상부절반부(16)에 설치된 프로세스 유닛에 있는 감광드럼(21)의 중심축에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다. 광학계(12)는 원고트레이(11)의 아래에 있다. 광학계(12)는 원고트레이(11)가 이동함에 따라 하우징(26)에 있는 슬릿(26c)을 경유하여 감광드럼(21)의 표면에 원고트레이(11)위에 있는 원고의 영상을 노출시킨다.
복사기 몸체(10)의 하부절반부(17)에는 감광드럼(21)에 대향하여 위치한 전사장치(18)가 있다. 복사기 몸체(10)의 상부절반부(16)와 하부절반부(17)가 연결될 때 시일링재(24b)가 도입구(24a)를 만들도록 밀려서 개방됨에 따라 이 전사장치(18)는 프로세스 유닛(20)의 전사실(24)로 도입된다. 상부절반부(16)와 하부절반부(17)가 연결될 때 시일링재(24b)는 전사장치(18)의 측면과 접하게 된다(제1도 참조). 이 결과 전사장치(18)돠 도입구(24a)사이의 공간은 시일링재(24b)로 폐쇄되고, 먼지등이 도입구(24a)를 통하여 외부로 부터 전사실(24)로 도입될 염려도 없으며 토오너가 하우징(26)의 내부로부터 흩어질 염려가 없다.
복사기 몸체(10)의 상부절반부(16)와 하부절반부(17)가 기록지의 이송루우트의 상류섹션(13a)과 하류섹션(13b)에 의해 분리된다. 기록지의 이송용 이들 루우트(13a), (13b)는 복사기 몸체(10)의 상부절반부(16) 및 하부절반부(17)를 서로서로 연결시 상부절반부(16)에 설치된 프로세스 유닛(20)의 하우징(26)에 의해 형성된 입구개구(26a)와 출구개구(26b)를 통하여 있다. 이 결과 기록지용 루우트의 상류섹션(13a)과, 하우징(26)내부의 기록지이송용 루우트(27)와, 기록지이송용 루우트의 하류섹션(13b)은 서로 연결된다. 이런 이유 때문에 복사기 몸체(10)의 종이홀더(14)에 있는 기록지는 이송루우트(13a)를 통하여 전사실(24)의 기록지용 이송루우트(27)로 보내지며, 다음에 이송루우트의 하류섹션(13b)을 통하여 지나서 복사기 몸체(10)의 트레이(15)위에 배출된다. 이 시간동안에 감광드럼(21)위의 토오너 영상은 하우징(26)내에 전사실(24)내부에 있는 전사장치(18)의 작용에 의해서 기록지위에 전사된다. 기록지위에 전사된 토오너 영상은 이송루우트(13b)에 있는 고정장치(13c)에 의해 종이위에 고정된다.
복사기 몸체(10)내로 프로세스 유닛(20)의 설치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복사기 몸체(10)의 상부절반부(16)는 하부절반부(17)로 부터 분리되도록 상측으로 회전한다. 다음에 프로세스 유닛(20)은 전방으로 부터 설치될 상부절반부(16)로 미끄러져 들어간다. 다음에 이 상부절반부(16)는 하부절반부(17)와 연결되도록 하측으로 회전한다. 이 때에 프로세스 유닛(20)의 전사실(24)을 폐쇄하는 시일링재(24b)는 복사기 몸체(10)의 하부절반부(17)에 부착된 전사장치(18)에 의해 밀려서 개방된다. 이 결과 전사장치의 도입구(24a)는 개방된다. 전사장치(18)는 시일링재(24b)와 접하는 동안에 전사실(24)의 내부로 도입된다. 다음에 상부절반부(16)와 하부절반부(17)는 연결되며, 전사장치(18)는 하우징(26)내부의 기록지이송 루우트(27)가 전사장치(18)와 감광드럼(21)의 위치사이에 끼워지게 하는 방식으로 감광드럼(21)의 소정부분을 향한다.
종래의 전자사진 복사기와 같은 이 복사기의 복사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프로세스 유닛(20)의 충전장치(22)는 감광드럼(21)의 표면을 일정하게 충전한다. 다음에 원고트레이(11)위에 놓인 원고는 광학계(12)에 의해서 빛에 노출되며, 정전기 잠복영상이 감광드럼(21)의 표면에 형성된다. 잠복영상은 현상장치(23)로 현상된다. 기록지는 기록지이송루우트의 상류섹션(13a)을 통하여 지나며, 프로세스 유닛(20)의 하우징(26)내부에 기록지이송용 루우트(27)로 도입된다. 이 때에 기록지는 안내판(28a)에 의해 안내되어 감광드럼(21)에 접한다. 감광드럼(21)의 토오너영상은 감광드럼(21)을 접하는 기록지위에 전사장치(24)로 전사된다. 토오너 영상이 전사된 기록지는 분리벨트(27a)에 의해 감광드럼(21)으로부터 분리되며, 방출안내판(29a)에 의해 출구개구(26b)를 통하여 하우징(26)의 외부로 안내된다. 이때 기록지는 토오너영상을 기록지에 고정시키는 고정장치(13c)에 도달하도록 기록지이송 루우트의 하류섹션(13b)을 통하여 지난다. 토오너영상이 고정된 기록지는 트레이(15)위로 방출된다. 토오너영상이 기록지위에 전사된 후 감광드럼(21)에 남아 있는 토오너는 클리이닝 장치(25)로 제거된다.
프로세스 유닛(20)의 감광드럼(21)과 충전장치(22)의 수명은 대략 서로 같도록 설정되며, 또한 현상장치(23)내의 토오너 분량과 클리이닝 장치(25)내의 사용된 토오너분량은 상기 수명에 상응한다. 이런 이유 때문에 감광드럼(21)과 다른 부품들의 유용성이 한계에 도달할 때 낡은 것을 새로운 프로세스 유닛으로 교환할수 있다, 그렇게 하기 위해 먼저 복사기 몸체의 상부절반부(16)가 상측으로 회전한다. 이 때 전사장치(18)는 프로세스 유닛(20)에서 분리되며, 시일링재(24b)의 선단 모서리들은 유연한 시일링재(24b)때문에 원래의 겹쳐지는 위치로 복귀되어 하우징(26)의 도입구(24a)는 폐쇄된다. 그때 전체 프로세스 유닛(20)이 감광드럼(21)의 축방향으로 미끄러져서 상부절반부(16)로 부터 분리된다. 다음에 새로운 프로세스 유닛(20)이 상부절반부(16)내에 설치된다.
블랙토오너를 함유한 프로세스 유닛을 현상장치에 유색토오너를 함유한 새로운 프로세스 유닛의 교환은 상기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도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 2]
본 발명은 분리될 수 없는 상부절반부(16)와 하부절반부(17)를 한 부품으로 한 복사기 몸체(10)에 적용되는 것이다. 상부절반부와 하부절반부로 분리될 수 없는 복사기 몸체에서 프로세스 유닛은 기록지이송루우트에 직각으로 미끌어짐으로써 착탈가능하다. 제3도 내지 5도는 착탈가능한 프프로세스 유닛(20')을 갖는 종류의 복사기 몸체를 보이고 있다. 프로세스 유닛(20')에는 하우징(26')내부에서 감광드럼(21')의 아래구역에 형성된 전사실(24')로 전사장치의 도입에 사용하기 위한 도입구(24a')가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이 시일링재(24b')는 기록지용 루우트에서 기록지의 흐름방향에 상응하는 도입구(24a')의 양모서리에 있다. 양 시일링재(24b')의 선단모서리는 도입구(24a')를 폐쇄하도록 도입구(24a')의 중심부에서 겹쳐진다. 도입구(24a')에 대해 전사실(24')의 측면의 반대측 섹션에는 전사장치(18')의 한 단부에 배치된 후술될 돌출부(18b')와 결합되는 오목부(24d')가 있다.
전사장치(18')는 지지재(18a')에 의해 복사기 몸체(10')에 고정된다. 지지재(18a')는 전사장치(18')의 길이 방향의 한 단부의 아래로 부터 복사기 몸체(10')위의 한 측면위에서 전사장치(18')를 지지하여서 전사장치(18')의 저부면과 복사기 몸체(10') 사이에는 작은 공간이 있게 된다. 전사장치(18')의 길이 방향의 다른 단부에는 돌출부(18b')가 있다. 돌출부(18b')가 전사실(24')에 배치된 오목부와 결합되어 전사장치(18')의 다른 단부는 프로세스 유닛(20')의 하우징(26')으로 지지될 수 있다. 양 부품들의 결합에 의해 프로세스 유닛(20')은 복사기 몸체(10')에 대하여 고정된 위치에서 유지되어 복사기 몸체(10')내에 유지되는 전사장치(18')와 프로세스 유닛(20')내부에 있는 감광드럼(21')이 서로 대향한다. 다른 구조의 설명은 상기 실시예와 같으므로 생략한다.
복사기 몸체에 이런 프로세스 유닛(20')의 설치는 다음과 같다. 프로세스 유닛(20') 전체는 복사기 몸체(10')에서 하우징(26')의 도입구(24a')로 지지되는 전사장치(18')의 돌출부(18b')의 도입에 의해서 복사기 몸체(10')의 내부로 이동된다. 이런 방법으로 하여 돌출부(18b')는 시일링재(24b')를 밀어 개방하여서 도입구(24a')가 개방되며 전사장치(18')가 프로세스 유닛(20')의 전사실(24')내부로 도입된다. 이때 시일링재(24b')는 유연성이 있기 때문에 전사장치(18')의 외측면에 접하게 된다. 다음에 전사장치(18')의 돌출부(18a')는 전사실(24')의 내측면에 있는 오목부(24b')와 결합하여프로세스 유닛(20')이 복사기 몸체(10')(즉 전사장치18')에 대하여 고정된 위치에 설치된다.
전사장치(18')가 이런 프로세스 유닛(20')의 전사실(24')로 도입될 때 결합되는 오목부(24d')와 돌출부(18b')가 쉽게 결합되도록 전사장치(18')에는 안내재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다른 복사기는 실시예 1(제1도 및 2도)의 구조에 더하여 다음의 구조를 갖는 제6도 및 7도에 보이고 있다. 즉 프로세스 유닛(20)이 복사기 몸체(10)에 설치될 때 기록지의 입구개구(26a)와 출구개구(26b)는 프로세스 유닛(20)의 하우징(26)에 있는 기록지의 이송용 루우트(27)에 있는 기록지의 도입을 위한 안내판(28a)과 기록지의 방출을 위한 안내판(29a)으로 개방된다. 프로세스 유닛(20)이 복사기 몸체(10)로부터 제거될 때 입구개구(26a)와 출구개구(26b)는 폐쇄된다.
도입안내판(28a)과 입구개구(26a)가 개방되고 폐쇄되는 구조의 한 실시예는 제8도 및 9도에서 보이고 있다. 제8도 및 9도는 전사실(24)의 내부에 도시한 도입안내판(28a)을 보이고 있다. 내부벽(26x)은 프로세스 유닛(20)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 내부벽(26x)은 하우징(26)으로 부터 일정한 거리에 있다.
도입안내판(28a)은 개구를 폐쇄할 수 있는 입구개구(26a)의 크기이다. 지지축(28e), (26b)은 길이방향에 있는 상기 도입안내판(28a)의 각 단부에서 돌출되어 있다. 한 지지축(28e)은 전사실(24)의 측면을 구성하는 하우징(26)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다른 지지축(28b)은 내부벽(26x)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지지축(28b)은 내부벽(26x)를 통하여 지나며, 지지축의 단부는 하우징(26)과 내부벽(26x) 사이의 위치에 있다. 일반적으로 하우징(26)과 내부벽(26x) 사이의 공간에서 감광드럼과 현상장치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이 배치된다. 하우징(26)에서 지지되는 지지축(28e)에는 외측으로 있는 코일스프링(28d)이 있다. 코일스프링의 한단이 안내판(28a)에 고정되며 다른 단이 전사실(24)의 측면인 하우징(26)의 부분에 고정되어서 도입안내판(28a)은 입구개구(26a)를 폐쇄하도록 밀릴 수 있다.
다른 지지축(28a)의 단부는 나선의 일회전의 단지 1/4에 의해 얇은 판의 나사박기로 된 접촉제(28c)에 부착된다. 접촉재(28c)는 나선 중심이 지지축(28b)의 단부에 되도록 고정된다.
상기 설명한 지지축(28b)에 평행한 푸싱로드(10a)는 복사기 몸체(10)에 있다. 프로세스 유닛(20)이 복사기 몸체(10)에 설치될 때 푸싱로드(10a)는 하우징에 있는 관통구명(26y)을 통하여 지나며 하우징(26)과 내부벽(26x) 사이에 있는 접촉제(28c)에 접한다. 푸싱로드(10a)의 단부는 접촉재(28c)의 나선중심에서 약간 중심을 벗어난 위치에 접한다. 이런 상황에서 프로세스 유닛(20)이 다시 복사기 몸체(10)내로 미끄러질 때 푸싱로드(10a)는 접촉재(28c)를 민다. 이것에 의해 푸싱로드(10a)의 단부는 접촉제(28c)가 코일스프링(28d)의 스프링힘을 저항하면서 회전할 수 있도록 접촉재(28c)의 주변의 회전방향에 힘을 준다. 프로세스 유닛(20)이 복사기 몸체(10)에 완전히 설치될 때 접촉재(28c)는 90도가 아니라 단지 약 60 내지 80도 정도의 각도로 전사실(24)의 내부를 향하여 회전하고, 단부가 약간 상부를 향하여 경사진 위치에서 정지된다. 이것에 의하여 안내판(28a)은 입구개구(26a)를 개방하며, 안내판(28a)의 모서리는 감광드럼(21)의 부근에 있는 경사 위치에서 멈춰지도록 기록지의 이송을 위해 루우트(27)의 내부를 향하여 회전할 것이다. 프로세스 유닛(20)이 복사기 몸체(10)로부터 제거될 때 푸싱로드(10a)는 접촉재(28c)를 미는 것을 중지하여 도입안내판(28a)이 입구개구(26a)를 폐쇄하도록 코일스프링(28d)의 스프링힘에 회전하게 된다.
기록지의 이송을 위한 루우트(27)의 하류측에 있는 방출안내판(29a)은 같은 방식으로 제조되어서 프로세스 유닛(20)이 복사기 몸체(10)로부터 제거될 때 방출안내판(29a)은 출구개구(26b)를 폐쇄하고, 또한 프로세스 유닛(20)이 복사기 몸체(10)내에 설치될 때 방출안내판(29a)은 출구개구(26b)를 개방한다. 출구개구(26b)를 개방하는 방출안내판(29a)은 기록지의 이송을 위해 루우트(27)로 회전하게 하고 감광드럼(21)의 부근에 있게 하도록 하기 위해 경사위치에서 정지되게 하는 모시리를 갖고 있다.
이런 방식으로 제조된 복사기에서 복사기 몸체(10)의 상부절반부(16)는 상측으로 회전하여 하부절반부(17)와 분리되고, 이 위치에서 설치될 프로세스 유닛(20)은 전방으로부터 복사기의 상부절반부(16)로 미끄러지며, 도입안내판(28a)과 방출안내판(29a)은 하우징(26)의 내부를 향하여 회전하고, 입구개구(26a)와 출구개구(26b)는 기록지의 이송을 위해 루우트(27)에서 다 개방되며; 더우기 도입안내판(28a)과 방출안내판(29a)은 이들 선단 모서리가 감광드럼(21)의 부근에 있는 경사위치에 있게 하는 방식으로 정지된다. 이 위치에서 복사기는 기록지의 전사영상을 받으면서 실시예1의 복사기와 같은 방식으로 복사한다.
감광드럼(21) 등의 유용성이 한계에 도달하고 프로세스 유닛(20)이 새로운 프로세스 유닛으로 대체될 때 복사기 몸체(10)의 상부절반부(16)는 상측방향으로 회전하고 프로세스 유닛 전체가 감광드럼(21)의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미끌어진다. 다음에 프로세스 유닛이 상부절반부(16)로부터 제거되어 도입안내판(28a)과 방출안내판(29a)은 입구개구(26a)와 출구개구(26b)를 회전하여 폐쇄한다. 복사기 몸체의 상부절반부(16)로부터 분리된 프로세스 유닛(20)은 도입안내판(28a)과 방출안내판(29a)에 의해 기록지를 위해 입구개구(26a)와 출구개구(26b)를 폐쇄하게 되고, 전사지의 도입을 위한 입구(24a)는 시일링재(24b)에 의해 폐쇄되어 하우징(26)이 개구를 완전히 폐쇄하게 된다.
[실시예 4]
이 실시예는 다른 종류의 도입안내판(28a)으로 실시예 3과 같은 복사기이며, 여기서 접촉재(28c)에는 홈이 있고, 푸싱로드(10a)의 선단은 접촉재(28c)가 푸싱로드(10a)의 회전에 의해 정밀하게 회전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푸싱로드(10a)의 선단이 반구형으로 만들어 질 수 있어서 이것은 접촉재(28c)와 정밀하게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자유로히 회전할 수 있는 푸싱로드(10a)에 둥근 상부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5]
이 실시예는 제10도 및 11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또 다른 도입안내판(28a)으로 실시예 3에서와 같이 복사기이며, 여기서 지지축(28b)의 선단에 있는 돌출부(28f)와, 복사기에서 지지축(28b)이 끼워맞춰지는 관형가이드(10b)가 있다. 이 관형가이드(10b)는 나선형 홈(10c)을 구비하며, 이 홈으로 상기 돌출부(28f)가 끼워맞춰진다.
[실시예 6]
제12도는 전사장치가 프로세스 유닛으로 고정되는 본 발명의 다른 복사기를 보인다. 프로세스 유닛(20)은 복사 프로세스에 필요한 장치로 하우징(26)의 통합 부품으로써 제공된다. 복사 프로세스에 필요한 장치는 감광드럼(21), 충전장치(22), 현상장치(23), 전사장치(18), 그리고 클리이닝 장치(25)를 포함한다. 충전장치(22)는 하우징(26)의 중심에서 회전할 수 있는 감광드럼(21)의 위에 위치한다. 현상장치(23), 전사장치(18), 그리고, 클리이닝 장치(25)는 충전장치(22)에 대하여 감광드럼(21)의 회전이 하류방향에서 순서대로 있다. 전사장치(18)는 감광드럼(21)의 아래에 위치한다. 하우징(26)의 상부에는 슬릿(26c)이 있으며, 이 슬릿은 충전장치(22)와 현상장치(23) 사이에 위치한다.
프로세스 유닛(20)에 있는 감광드럼(21)의 수명은 현상장치(23)가 함유한 모든 토오너의 사용에 필요한 시간과 거의 같다. 또한 충전장치(22)와 전사장치(18)의 수명은 감광드럼(21)의 수명과 거의 같다. 더우기 사용된 토오너를 위한 클리이닝 장치(25)의 용량은 사용된 토오너가 상기의 같은 시간주기동안 수집될 수 있는 정도이다.
하우징(26)에 있는 감광드럼(21)과 전사장치(24) 사이의 공간에는 기록지이송을 위한 루우트(27)가 있다. 기록지이송을 위한 루우트(27)는 하우징(26)을 관통한다. 즉 기록지는 현상장치(23)의 아래구역으로부터 클리이닝 장치(25)의 아래구역으로 지나간다. 기록지의 이송을 위한 루우트(27)의 상류측에는 입구개구(26a)가 하우징(26)에 연결되어 현상된다. 기록지이송을 위한 루우트(27)의 하류측에는 출구개구(26b)가 하우징(26)에 연결되어 형성된다. 기록지는 하우징(26)의 외부로부터 입구개구(26a)를 통하여 하우징의 내부로 들어가며, 여기서 기록지는 토오너 영상으로 전사되고 출구개구(26b)를 통하여 하우징의 외부로 부드럽게 나간다. 이렇게 하기 위해 입구개구(26a)가 출구개구(26b)보다 적절한 높은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더 바람직하기는 감광드럼(21)에 가까운 위치).
기록지이송을 위한 루우트(27)의 상류측에는 도입안내판(28a)이 있다. 또한 기록지이송을 위한 루우트(27)의 하류측에는 방출안내판(29a)이 있다. 도입안내판(28a)은 하우징(26)의 입구개구(26a)의 하부 모서리로 부터 하류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입안내판(28a)은 하류모서리에 있는 감광드럼(21)의 부근에서 경사진다. 방출안내판(29a)은 출구개구(26b)의 하부 모서리로부터 상류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같은 방식으로 방출안내판(29a)의 상류모서리는 감광드럼(21)의 부근에서 경사진다. 도입안내판(28a)과 방출안내판(29a) 사이의 공간에서 전사장치(24)와 감광드럼(21)이 서로 마주보도록 되어 있다. 분리벨트(27a)는 감광드럼(21)의 아래에서 기록지의 이송을 위한 루우트(27)에 배치되어 있다.
복사기 몸체(10)는 상기 구조로 프로세스 유닛(20)을 구비할 수 있다. 복사기 몸체(10)의 상부에는 미끄럼 원고트레이(11)가 있으며, 이것은 복사기에 설치된 감광드럼(21)의 축에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원고트레이(11)의 아래에는 광학계(12)가 있다. 이 광학계(12)는 원고트레이(11)가 이동함에 따라 하우징에 슬릿(26c)을 경유하여 감광드럼(21)의 표면에 원고트레이(11)에 위치한 원고를 노출되게 한다.
복사기 몸체(10)의 하부에는 기록지이송을 위한 루우트의 상류섹션(13a)과 하류섹션(13b)이 있다. 상류섹션(13a)은 하우징(26)의 입구개구(26a)와 연결된다. 하류섹션(13b)은 하우징(26)의 출구개구(26b)와 연결된다. 그 결과 복사기 몸체(10)에 있는 종이홀더(14)의 기록지는 기록지이송을 위한 루우트의 상류섹션(13a)으로부터 복사기 몸체(10)에 설치된 프로세스 유닛(20)의 기록지이송을 위한 루우트(27)로 이송되며, 기록지이송을 위한 루우트의 하류섹션(13b)으로 부터 방출되어 트레이(14)의 위로 보내진다. 기록지는 하우징(26) 내부에서 기록지이송을 위한 루우트(27)에 있는 동안에 토오너 영상으로 전사된다. 토오너 영상이 전사되는 기록지는 분리벨트(27a)에 의해 감광드럼으로부터 분리된다. 기록지이송을 위한 루우트의 하류섹션(13b)에 고정장치(13c)가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기록지상에 있는 토오너영상이 기록지가 이동되는 동안에 기록지로 고정된다.
상기 구조를 복사기의 복사 프로세스는 실시예 1과 2의 기계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감광드럼(21), 충전장치(22), 그리고 프로세스 유닛(20)에 있는 전사장치(18)의 수명은 서로서로 거의 같도록 되어 있다. 현상장치(23)에 있는 토오너의 양과 사용된 토오너에 대한 클리이닝 장치(25)의 용량은 상기한 수명내가 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감광드럼(21)의 유용성이 한계에 도달할 때 프로세스 유닛(20) 전체는 새로운 프로세스 유닛으로 교체하기 위해 감광드럼(21)의 축방향으로 복사기 몸체(10)로 부터 당겨진다.
[실시예 7]
전사장치(18)가 실시예 6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프로세스 유닛(20)내에 고정될 때 기록지이송을 위한 루우트(27)에 있는 도입안내판(28a)과 방출안내판(29a)은 프로세스 유닛(20)이 복사기 몸체(10)내에 설치될 때 하우징(26)에 있는 입구개구(26a)와 출구개구(26b)가 개방되며, 프로세스 유닛(20)이 복사기 몸체(10)로부터 제거될 때 개구들이 폐쇄되도록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세한 구조는 실시예 3(제8도 및 9도), 실시예 4, 실시예 5(제10도 및 11도)에 보인 구조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락한다.
[실시예 8]
실시예 6의 복사기에서 종이이송을 루우트(27)가 프로세스 유닛(20)의 하우징(26)을 통하여 관통되므로 복잡한 형상의 하우징(26)을 만들 필요가 없다. 즉 제1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직육면체를 사용할 수 있다. 도면에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사장치(18)가 복사기 몸체(10)에 고정된다고 할지라도 프로세스 유닛(20)의 하우징(26)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여러 가지 다른 변형예가 본 발명의 범위와 정신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당해 업계에 숙련된 사람에 의해 쉽게 이루어지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첨부한 청구범위는 상기 설명으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 있는 모든 특허성을 수반하여 구성되는 것이며, 본 발명이 갖는 특허성은 당해 업계에 숙련된 사람에 의해 동등하게 취급될 모든 특징을 포함하는 것이다.
Claims (19)
- 복사기 몸체와, 복사기 몸체에 부착 및 분리 가능한 프로세스 유닛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로세스 유닛이 하우징내에서 감광드럼과 충전장치와 현상장치 그리고 클리이닝 장치들을 구비하고, 더우기 상기 감광드럼의 아래구역에서 하우징을 관통하는 기록지이송용 루우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기.
- 제1항에 있어서, 복사기 몸체가 전사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기.
- 제2항에 있어서, 전사장치가 배치된 전사실이 상기 하우징내의 감광드럼의 아래구역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기.
- 제3항에 있어서, 기록지이송용 루우트가 감광드럼과 전사실 사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기.
- 제3항에 있어서, 하우징에는 전사실로 전사장치의 도입을 위한 개구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기.
- 제5항에 있어서, 하우징에는 전사장치의 도입을 위한 개구를 개폐할 수 있는 유연한 시일링재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유닛이 복사기 몸체에 설치될 때 상기 시일링재가 전사장치에 의해 밀려서 전사실로 전사장치의 도입을 위한 개구를 개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기.
- 제6항에 있어서, 시일링재가 빛을 차단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기.
- 제5항에 있어서, 기록지이송용 루우트의 입구개구 및/또는 출구개구에는 입구개구 및/또는 출구개구를 개방하고 폐쇄할 수 있는 안내판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기.
- 제9항에 있어서, 프로세스 유닛이 복사기 몸체에 설치될 때 안내판이 입구개구 및/또는 출구개구를 개방하고, 프로세스 유닛이 복사기 몸체로 부터 제거될 때 안내판이 입구개구 및/또는 출구개구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기.
- 제10항에 있어서, 입구개구 및/또는 출구개구가 개방될 때, 안내판이 하우징의 내부를 향하여 회전하며 안내판의 선단 모서리를 감광드럼의 부근에서 경사진 위치에 있게 하는 방식으로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기.
- 제11항에 있어서, 안내판이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이 안내판에는 입구개구 및/또는 출구개구를 폐쇄하도록 안내판을 미는 스프링수단과, 프로세스 유닛을 복사기 몸체내에 설치시 주어진 각에 의해 스프링수단의 스프링힘에 저항하면서 안내판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기.
- 제1항에 있어서, 기록지이송용 루우트의 입구개구가 출구개구보다 더 높은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기.
- 제1항에 있어서, 전사장치가 프로세스 유닛의 하우징에 고정되고, 기록지이송용 루우트가 감광드럼과 전사장치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기.
- 제14항에 있어서, 기록지이송용 루우트에는 기록지이송용 루우트의 입구개구 및/또는 출구개구를 개방하고 폐쇄할 수 있는 안내판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기.
- 제15항에 있어서, 프로세스 유닛이 복사기 몸체내에 설치될 때 안내판이 입구개구 및/또는 출구개구를 개방하고, 프로세스 유닛이 복사기 몸체로 부터 제거될 때 안내판이 입구개구 및/또는 출구개구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기.
- 제16항에 있어서, 입구개구 및/또는 출구개구가 개방될 때, 안내판이 하우징의 내부를 향하여 회전하며 안내판의 선단 모서리를 감광드럼의 부근에 있는 경사위치에 있게 하는 방식으로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기.
- 제17항에 있어서, 안내판이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으며, 이 안내판에는 입구개구 및/또는 출구개구를 폐쇄하도록 안내판을 미는 스프링수단과, 프로세스 유닛을 복사기 몸체에 설치시 주어진 각도에 의해 스프링수단의 스프링힘에 저항하면서 안내판을 회전수단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기.
- 제1항에 있어서, 프로세스 유닛의 하우징 형상이 직육면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61-29919 | 1986-02-28 | ||
JP61045050A JPS62201464A (ja) | 1986-02-28 | 1986-02-28 | 複写機のプロセスユニツト |
JP61045051A JPS62201465A (ja) | 1986-02-28 | 1986-02-28 | 複写機のプロセスユニツト |
JP1986029917U JPS62142052U (ko) | 1986-02-28 | 1986-02-28 | |
JP2991986U JPS62143954U (ko) | 1986-02-28 | 1986-02-28 | |
JP?61-45052 | 1986-02-28 | ||
JP29917 | 1986-02-28 | ||
JP?61-45050 | 1986-02-28 | ||
JP45051 | 1986-02-28 | ||
JP45054 | 1986-02-28 | ||
JP?61-29917 | 1986-02-28 | ||
JP45052 | 1986-02-28 | ||
JP61045054A JPS62201468A (ja) | 1986-02-28 | 1986-02-28 | 複写機 |
JP61045053A JPH0614202B2 (ja) | 1986-02-28 | 1986-02-28 | 複写機のプロセスユニツト |
JP2991886U JPS62142053U (ko) | 1986-02-28 | 1986-02-28 | |
JP29918 | 1986-02-28 | ||
JP?61-45051 | 1986-02-28 | ||
JP?61-45054 | 1986-02-28 | ||
JP29919 | 1986-02-28 | ||
JP45053 | 1986-02-28 | ||
JP?61-45053 | 1986-02-28 | ||
JP61045052A JPS62201466A (ja) | 1986-02-28 | 1986-02-28 | 複写機 |
JP?61-29918 | 1986-02-28 | ||
JP45050 | 1986-02-2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70008232A KR870008232A (ko) | 1987-09-25 |
KR900009010B1 true KR900009010B1 (ko) | 1990-12-17 |
Family
ID=27572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70001664A KR900009010B1 (ko) | 1986-02-28 | 1987-02-26 | 복사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4803510A (ko) |
EP (1) | EP0240168B1 (ko) |
KR (1) | KR900009010B1 (ko) |
DE (1) | DE3772081D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00009010B1 (ko) * | 1986-02-28 | 1990-12-17 | 미다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 복사기 |
GB8629942D0 (en) * | 1986-12-15 | 1987-01-28 | Xerox Corp | Process unit |
US4896191A (en) * | 1987-09-10 | 1990-01-23 | Fujitsu Limited | Sheet transferring mechanism in an electrophotographic recording apparatus |
JPS6480970A (en) * | 1987-09-22 | 1989-03-27 | Minolta Camera Kk | Copying machine |
US5099280A (en) * | 1987-10-30 | 1992-03-24 | Mita Industrial Co., Ltd. | Cleaning unit of a copying apparatus |
CA1327831C (en) * | 1988-05-25 | 1994-03-15 | Shigeki Sakakura | Image-forming apparatus |
CA2003398A1 (en) * | 1988-11-21 | 1990-05-21 | Shizuo Morita | Color copy machine with detachable process cartridge |
DE68913488D1 (de) * | 1988-12-27 | 1994-04-07 | Konishiroku Photo Ind | Farbbilderzeugungsgerät. |
JPH02210482A (ja) * | 1989-02-10 | 1990-08-21 | Minolta Camera Co Ltd | 画像形成装置 |
US5075727A (en) * | 1989-09-29 | 1991-12-24 | Kabushiki Kaisha Toshiba | Developing devic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
US5227841A (en) * | 1989-12-04 | 1993-07-13 | Kabushiki Kaisha Toshiba |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unit support member thereon |
US4963936A (en) * | 1989-12-05 | 1990-10-16 | Xerox Corporation | Developer unit mounting apparatus |
DE69018230T2 (de) * | 1990-01-11 | 1995-07-27 | Konishiroku Photo Ind | Bilderzeugungsgerät. |
JPH03229272A (ja) * | 1990-02-02 | 1991-10-11 | Ricoh Co Ltd | 電子写真記録装置 |
WO1992018910A1 (fr) * | 1991-04-10 | 1992-10-29 | Canon Kabushiki Kaisha | Cartouche, dispositif d'enregistrement et procede d'assemblage de cartouches |
JP2670470B2 (ja) * | 1991-06-19 | 1997-10-29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US5481345A (en) * | 1993-08-09 | 1996-01-02 | Mita Industrial Co., Ltd. |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pre-transfer charger |
JP5923974B2 (ja) * | 2011-12-26 | 2016-05-25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US9733609B2 (en) * | 2015-02-25 | 2017-08-15 |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 Image forming device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discharge rollers |
JP6465069B2 (ja) * | 2016-04-28 | 2019-02-06 |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140360A (en) * | 1980-04-04 | 1981-11-02 |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 Image recorder |
US4462677A (en) * | 1981-06-22 | 1984-07-31 | Canon Kabushiki Kaisha | Image formation apparatus using a process unit with a protective cover |
US4588280A (en) * | 1982-08-17 | 1986-05-13 | Canon Kabushiki Kaisha |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unit detachably mountable thereto |
JPS6079368A (ja) * | 1983-10-06 | 1985-05-07 |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 画像記録装置 |
JPS6091377A (ja) * | 1983-10-25 | 1985-05-22 | Canon Inc | 画像形成装置 |
JPS60101550A (ja) * | 1983-11-08 | 1985-06-05 | Minolta Camera Co Ltd | 電子写真複写機 |
JPS60140264A (ja) * | 1983-12-28 | 1985-07-25 | Olympus Optical Co Ltd | 電子写真複写装置 |
JPS6167061A (ja) * | 1984-09-10 | 1986-04-07 |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 複写機等の部品交換装置 |
JPS6197663A (ja) * | 1984-10-18 | 1986-05-16 |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 静電記録装置 |
JPS6199157A (ja) * | 1984-10-22 | 1986-05-17 | Canon Inc | 静電荷像現像用部材 |
JPS6199158A (ja) * | 1984-10-22 | 1986-05-17 | Mita Ind Co Ltd | 電子写真用二成分系現像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現像方法 |
US4681422A (en) * | 1984-11-01 | 1987-07-21 | Tokyo Electric Co., Ltd. | Paper supply device for an electrostatic photographic printer |
KR900009010B1 (ko) * | 1986-02-28 | 1990-12-17 | 미다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 복사기 |
-
1987
- 1987-02-26 KR KR1019870001664A patent/KR90000901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87-02-27 US US07/019,721 patent/US4803510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87-03-02 DE DE8787301819T patent/DE3772081D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7-03-02 EP EP87301819A patent/EP0240168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70008232A (ko) | 1987-09-25 |
EP0240168B1 (en) | 1991-08-14 |
EP0240168A1 (en) | 1987-10-07 |
DE3772081D1 (de) | 1991-09-19 |
US4803510A (en) | 1989-02-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00009010B1 (ko) | 복사기 | |
US4588280A (en) |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unit detachably mountable thereto | |
US4575221A (en) | Process kit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 |
EP0604991B1 (en) | Mechanism for opening/closing a toner falling aperture | |
JP2887046B2 (ja) | トナー補給装置とそれに使用されるトナーカートリッジ | |
US5383578A (en) | Particle carrying device for carrying waste particles to a waste particle receptacle | |
JPS5926745A (ja) | プロセスユニット及び該ユニット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 | |
US4860056A (en) | Sealable toner recovery box for an image forming machine | |
CA2018730C (en) | Apparatus for supplying powder | |
US6594459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process unit which enables a recording sheet jammed in a conveyor path to be easily removed without damage to a photosensitive device | |
JPH0627795A (ja) | 現像器 | |
JPH07232450A (ja) | 画像形成装置 | |
JPH0614202B2 (ja) | 複写機のプロセスユニツト | |
JPH0560590B2 (ko) | ||
JP3904176B2 (ja) | 電子写真式画像形成装置 | |
JPS6275658A (ja) | シヤツタ−を有するプロセスカ−トリツジ | |
JPS62201466A (ja) | 複写機 | |
JPH10240095A (ja) | 画像形成装置のクリーニング装置 | |
JPS60118874A (ja) | トナ−回収装置 | |
JPH0334767Y2 (ko) | ||
JP3004057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S5934546A (ja) | プロセスキツト及び該キツト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 |
JPH03116074A (ja) | 画像形成装置 | |
KR930012268B1 (ko) | 화상 형성장치 | |
JPS5958446A (ja) | 画像形成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41207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