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8235Y1 - 축지기구(軸支機構) - Google Patents

축지기구(軸支機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8235Y1
KR900008235Y1 KR2019860008474U KR860008474U KR900008235Y1 KR 900008235 Y1 KR900008235 Y1 KR 900008235Y1 KR 2019860008474 U KR2019860008474 U KR 2019860008474U KR 860008474 U KR860008474 U KR 860008474U KR 900008235 Y1 KR900008235 Y1 KR 9000082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rotating member
gear
central hole
cylindrical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84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2445U (ko
Inventor
신사꾸 다나가
도시오 요시무라
Original Assignee
다나싱뎅기 가부시기가이샤
다나가신사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나싱뎅기 가부시기가이샤, 다나가신사꾸 filed Critical 다나싱뎅기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24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4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82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2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 Cam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축지기구(軸支機構)
제 1 도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의 단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일부 확대 단면도.
제 3 도는 조립공정을 도시하는 단면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일부확대 단면도.
제 5 도는 종래예의 단면도.
제 6 도는 별도의 종래예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축 12 : 고정부재(고정부)
13, 20 : 환상요부 14 : 기어(회전부재)
15 : 중심공 16, 19 : 환상돌부
17 : 테이퍼면 18 : 곡면
21 : 원통상홈
본 고안은 플리, 기어등의 회전부재를 축에 유지하는 축지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리, 기어등의 회전부재를 축에 유지할 경우, 제 5 도에서와 같이 축(11)의 일을 고정부재(2)에 고정하고, 그 축(1)에 회전부재(3)의 중심공(4)을 끼워 맞춘후, 회전부재(3)를 축(1)에서 빠지지 않도록 축(1)의 선단에 형성된 링홈(5)에 멈춤링(E링)(6)을 설치한다.
제 5 도에 표시한 종래의 축지기구에서는, 축(1)에 회전부재(3)를 끼워 맞춘다음, 링홈(5)에 멈춤링(6)을 설치하는 2원 공정이 필요하며, 특히 멈춤링(6)은 설치작업이 까다롭기 때문에 조립작업이 능률적으로 실시되지 않는 결점이 있었다.
또, 멈춤링(6)과 같은 소부품을 사용한다는 것은 단가절감이란 측면에서도 해결책이 요망되어 왔다.
또 멈춤링을 설치하기 때문에, 축(1)의 선단은 회전부재(3)에서 길이(ℓ)만큼 외측에 크게 돌출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부재(3)를 얇게해도 축(1)의 길이는 짧게할 수 없다는 불합리점이 있었다.
또 축(1)이 회전부재(3)에서 외측에 돌출하지 않도록하기 위해서, 제 6 도와 같이 회전부재(3)의 중심공(4)을 그 중간위치에서 단면까지를 큰 지름의 요부(7)로 하고, 그 대경 요부(7)내에 워셔(8)를 통하여 넛트(9)로 멈추게 할수도 있으나, 이와같이 하면, 축(1)에 의한 회전부재(3)의 지지 길이가 대경요부(7)의 깊이만큼 감소하게 되고 축(1)의 축심선과 회전부재(3)의 축심선이 불일치하게된다.
즉, 회전부재(3)에 흔들림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회전부재(피축지부재)를 1공정(one touch)으로 축에 설치할 수가 있고, 조립작업이 능률적으로 실시될수 있음과 동시에, 멈춤링을 필요로 하지 않을뿐 아니라, 단가 정감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축이 회전부재에서 돌출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이 경우에 축에 의한 회전부재의 지지 길이를 감소시키지 않으며, 따라서 회전부재의 흔들림도 방지할 수 있는 축지기구를 제공코져하는 것이다.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단이 고정부에 고정된 축의 외주면에 회전부재의 중심공을 회전가능하게 끼워마춘 축지기구에 있어서, 상기축의 외주면 또는 회전부재의 중심공 내주면의 일방에 돌부, 타방에 상기 돌브를 수용할 환상요부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돌부, 또는 조립시에 이 돌부와 접하는 부위의 적어도 일방에 테이퍼면 또는 곡면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부재의 중심공의 주변에 원통상홈을 회전부재의 한쪽면에 개구시켜서 형성하여, 상기 원통상홈의 내측부분의 탄성변형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축과의 끼워마춤을 가능하게하고, 상기 돌부의 양측위치에서 상기축의 외주면과 상기 회전부재의 중심공 내주면과를 접촉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축지기구에 대한 것이다.
이하 제 1, 2 도에 따라 제 1 실시예를 설명한다.
축(11)은 고정부재(12)에 그 일단이 고정되고, 이 축(11)의 외주면에는 환상요부(13)가 형성되어있다.
한편 회전부재의 일예로서 표시하는 기어(14)의 중심공(15)에는 상기 환상요부(13)에 수용되는 환상돌부(16)가 형성된다.
또 이 환상돌부(16)는 축(11)의 기단측의 단부가 테이퍼면(17)으로 되어있고, 또한, 축(11)의 선단에는 곡면(18)의 형성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기어(14)의 중심공(15)의 주변에는 원통상홈(21)이 형성되어있다.
이 원통상홈(21)은 기어(14)의 상면측으로 개구하여 설치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축지기구의 조립은 제 3 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기어(14)의 중심공(15)을 축(11)의 선단에 맞추고, 원통상홈(21)의 내측부분을 탄성변형 시키면서 축방향으로 밀어 넣기만 하면된다.
이와같이 하면, 환상돌부(16)의 테이퍼면(17)이 축(11)의 선단의 곡면(18)에 접하고, 원통상홈(21)의 내측부분이 용이하게 확장하고, 환상돌부(16)가 축(11)의 환상요부(13)내에 삽입하면 원통상홈(21)의 내측부분이 수축방향으로 탄성복귀하여 조립을 완료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같이 조립된 상태에서는, 돌부(16)의 양측위치에서 축(11)의 외주면과 기어(14)의 중심공(15) 내주면이 접촉하고 기어(14)는 축(11)에 안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환상요부(13)와 환상돌부(16)가 서로 끼워 맞추어져 있으므로 기어(14)가 축(11)에서 빠지지 않게된다.
따라서 기어(14)를 축(11)에 대하여 1공정으로 설치할 수가 있고, 조립작업이 능률적으로 실시될 수 있음과 동시에 멈춤링도 불필요하게 되어 단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더구나 축(11)이 기어(14)에서 외방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짧게해도 기어(14)는 돌부(16)의 양측위치에서 축지되므로 지지 길이를 비교적 길어지고, 기어(14)의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기어(14)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는 종래의 기구로는 지지 길이가 짧아지고 기어가 흔들리기 쉬운 구조로 되지만,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것이 없기때문에 기어가 얇은 경우에 특히 현저한 효과가 얻어진다.
다음에 제 4 도에 표시한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는, 환상돌부를 축에 형성한 예이다.
즉, 축(11)의 외주면에 환상돌부(19)를 형성하고, 기어(14)의 중심공(15) 내주면에 상기 돌부(19)를 수용하는 환상요부(20)가 형성되고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을수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조립시에 축(11)의 선단이 돌부(19)와 접하지 않으므로, 축(11)의 선단곡면을 생략할 수가 있다.
따라서 축(11)의 선단이 기어(14)에서 전혀 돌출하지 않도록 할 때에 효과적이다.
이상 2가지 실시예를 예시 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들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축의 외주면 또는 회전부재의 중심공 내주면에 형성되는 돌부를 반드시 환상으로 할 필요는 없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회전부재를 축에 대하여 공정으로 설치할 수 있어서 능률적 조립작업이 실시됨과 동시에, 멈춤링이 불필요하게 되어 단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더구나 축의 선단이 회전부재에서 크게 돌출하지 않으므로 그 만큼 축을 짧게 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축에 의한 회전부재의 지지 길이는 감소하지 않으므로 회전부재의 흔들림도 방지할 수가 있다.

Claims (1)

  1. 일단이 고정부(12)에 고정된 축(11)의 외주면에 회전부재(14)의 중심공(15)을 회전이 자유롭게 끼워맞춘 축지기구에 있어서, 상기 축(11)의 외주면, 또는 회전부재(14)의 중심공(15) 내주면의 일방에 돌부(16, 19) 타방에 상기 돌부(16, 19)를 수용하는 환상요부(13, 20)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돌부(16, 19), 또는 조립시에 있어서 이 돌부(16, 19)와 접하는 부위의 적어도 일방에 테이퍼면(17) 또는 곡면(18)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부재(14)의 중심공(15)의 주변에 원통상홈(21)을 회전부재(14)의 한쪽면에 개구시켜서 형성하여, 상기 원통상홈(21)의 내측부분의 탄성변형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14)와 상기 축(11)과의 끼워맞춤을 가능하게하고, 상기 돌부(16, 19)의 양측위치에서 상기 축(11)의 외주면과 상기 회전부재(14)의 중심공(15) 내주면과를 접촉시키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지기구.
KR2019860008474U 1985-07-19 1986-06-17 축지기구(軸支機構) KR90000823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5110615U JPH0320568Y2 (ko) 1985-07-19 1985-07-19
JP????85-110615 1985-07-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2445U KR870002445U (ko) 1987-03-17
KR900008235Y1 true KR900008235Y1 (ko) 1990-09-10

Family

ID=30989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8474U KR900008235Y1 (ko) 1985-07-19 1986-06-17 축지기구(軸支機構)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320568Y2 (ko)
KR (1) KR90000823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21444B2 (ja) * 2013-07-17 2017-11-0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ステッ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13063A (en) * 1975-03-31 1976-10-05 Citizen Watch Co Ltd The construction of a shaft fixing part of a pulley or a gear
JPS5597213U (ko) * 1978-12-27 1980-07-0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2445U (ko) 1987-03-17
JPS6218420U (ko) 1987-02-03
JPH0320568Y2 (ko) 1991-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8824B1 (ko) 틸트힌지
KR19980064469A (ko) 일방향 클러치
US4615626A (en) Rolling bearing device
JPH0744874U (ja) 電動発電機に於ける軸受保持装置
US6220760B1 (en) Three-ring needle bearing
KR900008235Y1 (ko) 축지기구(軸支機構)
KR900009229Y1 (ko) 모 터
US4219245A (en) Spherical bearing retainer
US5853248A (en) Radial thrust bearing
KR960035602A (ko)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액츄에이터 고정장치
JP3006563U (ja) 回転機用軸受構造
KR200174658Y1 (ko) 회전조립체
JPH0748440Y2 (ja) 舵取装置の軸受固定構造
JPS6114291Y2 (ko)
KR200285091Y1 (ko) 리드 스크류 모터 샤프트의 지지 구조
KR200145131Y1 (ko) 파워 시트모터의 리드 스크류 지지구조
JP2600602Y2 (ja) 回転子
JPS6011323Y2 (ja) 伝動ケ−ス内への回転伝動要素組付構造
JPS6156702B2 (ko)
KR0134480Y1 (ko) 소형모터용 볼 베어링의 예압장치
JPS622910Y2 (ko)
JPH022052Y2 (ko)
JPH05252696A (ja) 回転電機
JPH0357099Y2 (ko)
JPH058033U (ja) 軸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8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