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8230B1 - 퓨즈호울더 조립체 - Google Patents

퓨즈호울더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8230B1
KR900008230B1 KR1019870006532A KR870006532A KR900008230B1 KR 900008230 B1 KR900008230 B1 KR 900008230B1 KR 1019870006532 A KR1019870006532 A KR 1019870006532A KR 870006532 A KR870006532 A KR 870006532A KR 900008230 B1 KR900008230 B1 KR 900008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fuse
locking
passage
cam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6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6740A (ko
Inventor
케이 쉐퍼 루돌프
Original Assignee
리틀휴우즈 인코포레이팃드
데이빗드 크루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틀휴우즈 인코포레이팃드, 데이빗드 크루거 filed Critical 리틀휴우즈 인코포레이팃드
Publication of KR880006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6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8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f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54Protective devices wherein the fuse is carried, held, or retained by an intermediate or auxiliary part removable from the base, or used as sectionalisers
    • H01H85/542Protective devices wherein the fuse is carried, held, or retained by an intermediate or auxiliary part removable from the base, or used as sectionalisers the intermediate or auxiliary part being provided with bayonet-type locking means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퓨즈호울더 조립체
제1도는 판넬 장착 컬러가 있는 퓨즈호울더 몸체와 삽입된 노브(knob)로 구성되고 퓨즈가 삽입되어 있는 본 발명의 퓨즈호울더 조립체의 횡단면도.
제2도는 퓨즈호울더 몸체만을 나타내는, 제1도의 선 2-2에 따라 취해진 단면도.
제3도는 퓨즈를 수용한 전도 슬리이브의 단부도.
제4도는 제3도의 전도 슬리이브 평면도.
제5도는 전도 슬리이브가 끼워진 노브의 평면도.
제6도는 퓨즈호울더 몸체 벽의 캠 작용 부분과 결합하도록 부분적으로 축방향으로 삽입된 잠금돌기를 가상선으로 나타내고 장착 칼러와 노브의 상대적 위치를 가상선으로 나타낸 도면.
제7도는 잠금돌기의 캠회전을 도시하며, 제6도에서 보다 더 진행하여 삽입된 단계를 나타낸 도면
제8도는 잠금돌기가 완전히 회전했을때를 나타낸 도면.
제9도는 노브에서 축방향 압력을 제거하고 제6도,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된 잠금 돌기가 퓨즈호울더 몸체에 완전히 잠금결합한 마지막 단계를 나타낸 도면.
제10도는 제3도와 제4도에 도시된 전도 슬리이브가 끼워진 제5도에서 보인 노브의 횡단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구조물에서 노브의 저지용 지주에 대해 퓨즈가 압축되어 삽입된 것을 나타낸 도면.
제12도는 노브를 정위치에 보유하는 잠금 견부들을 나타내는, 제14도의 선 12-12를 따라 취한 퓨즈호울더 몸체의 단면도.
제13도의 한쌍의 잠금 돌기를 나타내는, 제5도의 선 13-13을 따라 취한 노브의 단면도.
제14도는 퓨즈와 노브가 제거된 상태의 퓨즈호울더 몸체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제15도는 약 90°회전된 상태의 퓨즈호울더 몸체를 나타내는, 제14도와 유사한 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퓨즈호울더 조립체 12 : 퓨즈호울더 몸체
14 : 노브 16 : 퓨즈
24 : 덮개부 26 : 전도 슬리이브
28 : 스커트 부분 30 : 핑거
32 : 지주 34 : 압축 스프링
36 : 외측 단부캡 38 : 단부캡 접촉부
40 : 퓨즈삽입 통로 42 : 내측 단부캡
44 : 단부캡 접촉부 46 : 단자 링
48 : 절연 덮개부 52 : 잠금 돌기
62 : 홈 72 : 내측 나선 캠면
74 : 잠금 견부형성 나선 캡면
본 발명은 자동 회로 차단 기술, 특하 전기 퓨즈에 관한 것이며, 더 구제적으로는, 퓨즈호울더 몸체와 노브로 이루어진 퓨즈호울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보통 사용되는 형태의 전기 퓨즈호울더 조립체는 판넬의 정면에서부터 퓨즈를 삽입하도록 판넬상에 설치되게 설계된 소켓형성 몸체를 포함한다. 퓨즈는 몸체의 전방에 있는 구멍에 끼워맞춰지는 한 형태나 다른 형태의 노브에 의해 정위치에 지탱되어 보유된다. 흔히 그러한 노브는 바이오닛(bayonet)형 보유 잠금 기구, 즉, 잠금 부재들로 구성된 보유 잠금 기구를 가지고 있어서, 노브가 처음에는 퓨즈 보유 스프링의 힘에 거슬러 몸체 구멍에 일정한 깊이까지 축방향으로 삼입되고나서, 삽입 압력이 제거될때 보유 스프링이 잠금부재들을 잠금 결합하게 하는 위치로 회전된다. 노브의 제거는, 우선 노브를 축방향 안쪽으로 눌러 잠금 부재들을 분리시키고 나서, 노브를 잠금방향과 반대쪽으로 회전시킨 다음, 노브에 대한 압력을 풀어주어, 보유 스프링 힘에 의해 노브가 몸체에서 방출되도록 함으로써 달성된다.
노브와 몸체에 나사홈들이 있는 다른 형태의 퓨즈호울더 조립체에 비하여, 그러한 퓨즈호울더 조립체는 퓨즈 수용 노브의 신속한 삽입을 가능케한다. 그러한 형태의 퓨즈호울더 조립체가 예를 들어 1984년 5윌 15일자 미합중국 특허 제4,448,476호와 같은 특허 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한 퓨즈호울더 조립체에는 전형적으로 퓨즈호울더 노브내에 동축으로 장착된 전도 슬리이브가 있고, 축방향 스프링이 전도 슬리이브 안에 장착되어 지탱되며, 소캣 형성 몸체에는 전기적 측면 단자 접촉부가 있으며, 이 단자 접촉부는 전도 슬리이브와 잠금 결합하여 기계적인 잠금 기능 뿐 아니라 측면 단자와 삽입된 퓨즈의 외측단부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는 기능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한 퓨즈호울더 조립체는 전형적으로 다양한 결점들을 나타낸다. 우선, 잠금 수단과 전기 접점을 형성하도록 2개의 금속 구조물을 사용함으로써 잠금 부재들 사이에 바람직하지 않게 높은 접촉 저항이 발생할수 있다. 이것은, 특히 높은 암페어수의 퓨즈들의 경우에는 퓨즈호울더들이 오히려 뜨거워지기 쉽다는 사실에서 기인한다. 퓨즈호울더 조립체에는 보통 여러개의 플라스틱 절연부분들이 있기 때문에, 그 결과, 플라스틱에서 휘발된 유기 화합물에 의해 잠금 부재들의 결합면들이 오염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잠금 수단은 부서지기 쉽고, 노브가 회전하기전에 충분히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는 노브의 회전뒤에 잠금 부재 요소들의 일부분이 제대로 결합되지 않아 변형되어 작동하지 못하게 될수 있다.
그러한 퓨즈호울더 조립체에서는 다른 문제들이 일어나는데, 삽입하는 중에 노브의 마지막 회전이 불완전한 경우, 즉, 퓨즈보유 스프링이 노브를 잠금 위치로 약간 바깥쪽으로 이동시키는데 충분하게 노브가 회전되지 않으면, 퓨즈호울더 조립체가 불안정하게 되기 쉽고, 그래서, 나중에 진동하게 되면 퓨즈노브가 원치 않게 방출되는 지점까지 회전할수 있게 된다.
퓨즈호울더 몸체에 퓨즈노브를 보유하도록 통상의 바이오닛 잠금 수단을 사용하는 것과 관련된 불안정성외에, 또 다른 문제는, 노브가 퓨즈호울더 몸체내의 제자리에 최종적으로 위치될때 퓨즈호울더 몸체의 외측면을 지나 돌출하지 않는(스프링 압력이 없을때 그렇지 못하는)나사 돌리개 슬롯 헤드를 노브가 가질때 통상 발생된다. 이 경우 나사 돌리개를 노브 헤드에 있는 나사 돌리게 슬롯에 끼워 노브를 풀림 위치까지 회전시키면 노브가 제거될 수 있는데, 이 풀림 위치에서 스프링힘이 노브를 외측으로 밀어 노브가 쉽게 잡히어 퓨즈호울더 몸체에서 제거될 수 있다.
그러나, 작업자가 의심스러운 퓨즈를 뽑아내어 끊어진 것을 발견하고 교체 퓨즈를 찾으러 가는동안 퓨즈호울더에 노브를 임시로 설치하는 것은 그리 드문일이 아니다. 이때, 퓨즈를 눌러 노브를 풀림방향으로 방출시키는 통상의 노브 스프링 압력이 없다. 그리하여, 나사 돌리개로 노브를 회전시켜 풀림 상태에서 스프링과 함께 노브를 제거하고저할때, 노브가 퓨즈호울더 몸체에 쏙 들어가 있어서 작업자가 노브를 잡을 수 없게 된다. 그렇게되면, 뾰족한 칼이나 다른 기구로 퓨즈호울더 몸체에서 노브를 빼내야 한다.
또한, 압력 스프링이 노브의 연장부로서 장착된 전도 슬리이브안에 지탱되며, 전도 슬러이브안에 수용된 퓨즈 단부캡이 부식되어 그 슬리이브에 달라붙게 되는 경우들에서 유사한 상황이 발생된다. 그러한 상태에서 스프링힘은 노브를 방출시키는데 조력하도록 퓨즈에 대해 작용할 수 없다.
마지막으로, 직경이 동일하지만 길이가 다른 카트리지로 제조된 다양한 퓨즈들이 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우연히 너무 긴 퓨즈가 통상의 축방향 퓨즈호울더안으로 삽입되는 경우, 퓨즈를 보유하도록 퓨즈 노브를 내측으로 억지로 미는때, 축방향 스프링이 영구 변형점까지 쉽게 응력을 받을 수 있다. 이 결과, 적정길이의 퓨즈가 그후에 설치될때 축방향 보유 압력이 감소하게 된다. 그러한 압력이 접촉을 유지하는데 부적당하기 때문에 이로 인해 퓨즈호울더가 단자들에서 과열될 수 있다.
카트리지형 퓨즈들을 축방향으로 삽입하도록 구성된 퓨즈호울더 조립체는 퓨즈 수용 통로 또는 소켓이 있는 소켓 형성 몸체와 퓨즈 보유 노브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몸체의 통로와 노브는 노브가 방출 스프링의 힘에 거슬러 축방향 내측으로 억지로 밀리는때 결합을 안내하도록 구성된 상호 보축적인 부위들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원주 방향 이동 안내 수단들이 상기 통로에, 바람직하게는, 그 통로의 절연벽들상에 마련되며, 노브에는 외측으로 뻗는 대응하는 돌기들이 마련되어 있다. 그 돌기들은 통로로 들어가는 절연 노브 연장부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퓨즈의 외축 단부를 수용하여 그것과 접촉하는 전도 슬리이브가 노브 연장부안에 동축으로 장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통로 안내 홈들의 부위들상의 결합면들은, 노브가 거의 안착된 위치에 있게 될때까지 노브의 초기 삽입이 실제로 회전없는 축방향 이동으로 수행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내홈들의 일부인 나선 캠면들은, 안착된 노브가 스프링 힘에 거슬러 완전히 내측으로 밀릴때 손으로 더 회전시키든 또는 강제 회전없이 노브에 대한 축방향압력을 해제함으로써 노브가 상기 스프링 힘에 의해 퓨즈호울더 몸체상의 내향 잠금견부와 잠금결합하는 위치로 억지로 밀리게 되는 위치로 캠 회전되도록 구성되고 배치된다. 노브가 그안에 퓨즈없이 삽입될때는, 상기된 바와 같은 상기 스프링 힘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그러한 노브가 나사 돌리개에 의해 잠금 방향에서 풀림 방향으로 회전되면, 노브의 돌기들은 상기 캠면들과 결합하며, 그 캠면들은 노브가 퓨즈호울더 몸체의 삽입 구멍의 면을 지나서 뻗어 작업자에 의해 쉽게 파지되어 편리하게 제거될 수 있는 위치로 노브를 안내하여 밀게된다.
방금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형태의 다른 잇점은 노브와 퓨즈호울더 몸체의 상호 잠금면들이 퓨즈호울더의 전기 전도 부위들로 부터 절연되어 있다는 점이다. 몇몇 종래 기술의 퓨즈호울더 구조물들에서는, 축방향으로 향상 상호 잠금면들이, 퓨즈호울더 조립체를 과열시켜 유기 물질을 휘발시켜 전도면들을 오염시킬 수 있는 전기 전도면들이다.
본 발명자는 방금 설명된 캠운동하고 절연되는 바이오닛형 특징들을 지닌 퓨즈호울더가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 본 발명자가 알고 있는 캠형 안내부가 있는 유일한 종래의 기술은 본 발명과는 완전히 다른 목적을 위해 사용되며, 퓨즈호울더에 적용 할수 없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미합중국 특허 제3,477,062호는 기부상에 방사상으로 뻗는 1쌍의 보스들이 있는 램프 전구의 기부를 수용하여 잠그도록 구성된 반회전 나선잠금형 램프 전구 호울더를 나타낸다. 그 전구 호울더는 분명히 퓨즈에 유용하지 않은 것이며, 항상 홈을 가지고 있고, 그래서, 본 발명의 독특한 퓨즈호울더에서 해결하고저 하는 문제점을 가지지 않는다. 더욱이, 전구 호울더 수용기는 본 발명의 퓨즈호울더 몸체와는 본질적으로 다른 방식으로 전구 호울더와 관련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전구 호울더 수용기는 1쌍의 보스 수용 반회전 나선 슬롯들을 가진 구성의 금속 슬리이브이다. 보스들이 홈들안에 삽입될 때, 즉시 램프가 회전되며, 노브보스들이 홈의 끝에 이르는 때, 보스들이 홈 확대부에 의해 포획된다. 이 슬리이브는 내측 단부상에 1쌍의 돌출 접촉부들이 있는 램프 기부를 전구호울더의 1쌍의 외향한 단자들에 접촉하도록 미는 스프링 역할을 한다. 분명히 이 미국 특허의 전구 호울더는 퓨즈호울더에 대한 종래 기술과 관련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되며, 본 발명의 퓨즈호울더와는 구조적으로 상당히 다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내향 캠면들이 추가로 제공되어, 노브가 삽입되어 잠금 위치로 회전되는 동안, 축방향 삽입압력을 해제한 때, 퓨즈 보유 스프링의 방출력으로 인해 노브가 잠금 방향으로 더 밀리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수단에 의해서, 작업자에 의한 불완전한 잠금회전에서 발생되는 노브의 우연한 추후 이탈의 가능성이 실제로 배제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작업자가 노브를 퓨즈호울더 조립체안으로 충분히 밀어넣지 못해서 잠금부위들을 마주하는 결합 위치로 회전시키지 못하는 경우에, 아무런 결합이 일어나지 못하며, 노브에의 압력이 풀어질 때 노브가 즉시 방출되어, 작업자에게 퓨즈호울더 조립체가 적절히 조립되지 못했음을 알려준다. 한편, 부분적인 잠금 결합이 일어나게 하는데 충분한 정도의 회전이 수행되면, 노브에 대한 축방향 삽입 압력이 해제된 때 노브는 완전 잠금 결합위치로 자동으로 밀린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노브안에 지탱된 축방향 압력 스프링의 영구적인 압축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안전특징이 제공된다. 삽입된 퓨즈의 외측 단부를 지탱하고 그것과 접촉하는 노브내 전도 슬리이브는 그 안에 일제로 수용된 축방향 압축 스프링을 지탱한다. 노브안의 가장 외측에 있는, 즉, 노브의 외측면과 가장 가까이 있는 슬리이브의 단부에는 보유 핑거들이 제공되어 있다. 중앙에서 안쪽으로 뻗고 축방향으로 배치된 테이퍼진 지주가 노브의 내향면상에 제공되어 있고, 이 지주는 슬리이가 조립중 노브의 이러한 내향면에 대해 압압되어 그 내향면상에 고정적으로 보유될 때 이들 핑거들 사이를 지나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지주는 압축 스프링의 길이를 따라 부분적으로 뻗게 구성되며, 너무 큰 퓨즈가 퓨즈호울더 조립체안으로 삽입되고 노브가 밀리어 물리게 될 때 지주가 퓨즈의 외측 단부캡에 부딪쳐 잠금 기구의 결합을 방지하며, 또한, 스프링의 영구적인 압축 변향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길게 만들어진다.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노브(knob)(14)를 감금하여 보유하는 퓨즈호울더 몸체(12)를 포함하는 대표적인 예의 퓨즈호울더 조립체(10)를 도시한다. 퓨즈호울더 몸체(12)는 나사홈이 있는 절연 슬리이브(13)를 포함하고, 그 슬리이브에는 구멍난 장착 칼러(collar)(1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장착할 목적으로 상기 슬리이브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통상의 잠금 너트는 도시되지 않았다. 노브(14)는 다음에 설명될 잠금 수단에 의해 제자리에 유지되어 그에 삽입된 퓨즈(16)를 보유한다. 이런 위치에서 노브(14)의 외측면(18)은 퓨즈호울더 몸체(12)의 외측면(22)과 대략 동일면에 위치한다. 나사 돌리개용 슬롯(20)이 노브의 외측면(18)의 중앙에 위치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내향" 또는 "내측"이란 용어는 퓨즈호울더 조립체(10)의 안쪽으로의 방향을 의미하고, "외측"는 외측면(18)(22)에 더 가까운 지역을 의미한다. 유사한 용어가 노브(14)에도 적용된다.
노브(14)에는 내측으로 뻗은 원통형의 절연 덮개부(24)가 있으며, 그 덮개부(24)내에는, 내측 끝에 원통형의 확장된 스커트 부분(28)이 있는 전도 슬리이브(26)가 고정되어 있다. 바람직한 형태에서(제3,4,10 및 11도 참조), 전도 슬리이브의 외측 끝에는 보유 핑거(finger)(30)들이 방사상으로 뻗어 있다. 이 핑거들은 축방향 내측으로 뻗은 지주(32)(제10 및 11도 참조)를 조립중에 단단히 붙들어 전드 슬리이브(26)를 덮개부(24)내에 고정적으로 유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압축 스프링(34)이 전도 슬리이브 안의 외측(가장 오른쪽)단부에 눌러끼워져 설치되고, 이 스프링의 내측 끝은 카트리지형 퓨즈(16)의 외측 단부 캡(36)에 대해 압축되어 걸린다. 그리하여, 압축 스프링(34)은, 퓨즈(16)가 삽입된 때 퓨즈(16)가 퓨즈 삽입 통로(40)의 내측 끝에 있는 단부캡 접촉부(38)에 대해 내측으로 눌리어 그 단부캡 접촉부에 퓨즈의 내측 단부 캡(42)이 양호하게 접촉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또, 노브(14)가 비잠금 상태로 회전된 때, 압축 스프링(34)은 작업자가 노브를 쉽게잡아 제거함과 동시에 퓨즈도 제거할 수 있는 지점까지 노브를 외측으로 방출시키는 기능도 한다. 퓨즈가 없는 경우에는, 노브(14)에 아무런 방출력도 작용하지 않게 되고, 그 결과, 노브의 외측면(18)이 퓨즈호울더 몸체의 외축면(22)과 같은 면에 있거나 몸체의 외측면내로 음푹 들어가 있는 형태의 노브를 제거하는데 어러움이 있다는 것을 알수 있다. 본 발명은 퓨즈의 존재 유무에 관계없이 적극적인 노브 제거 특징을 제공한다.
전도 슬리이브(26)를 통해 퓨즈(16)의 외측 단부캡(36)에 접속되는 외부 접촉부는 단자 링(46)형태로 구성된 내측부분을 가진 단부캡 접촉부(44)에 의해 제공되며, 상기 단자 링은 퓨즈삽입 통로(40)와 동축으로 배치되고, 전도 슬리이브(26)의 스커트 부분(28)이 이 단자 링(46)에 마찰 접촉하도록 위치된다. 퓨즈 삽입 또는 제거중에 퓨즈(16)의 내측 단부 캡(42)이 단자 링(46)과 접촉하지 않게하기 위해, 퓨즈 호울더 몸체와 일체로 설치된 절연 덮개부(48)가 퓨즈 삽입 통로(40)의 중앙 부분을 따라 연장하고 단자 링(46)의 내측면과 마주대하도록 동축으로 배치된다. 덮개부(48)의 외경은, 전도 슬리이브(26)의 스커트 부분(28)의 삽입을 위해 단자 링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환형 통로(50)를 남기도록 선택된다.
본 발명의 잠금 구조에 대한 세부 사항은 제2도, 제5-9도, 제12-15도에 잘 도시되어 있다. 제5도 및 제13도는 노브(14)의 측면도 및 단면도를 각각 나타내는데, 그 노브에는 노브의 덮개부(24)의 외측 원통면의 직경 방향 양측에 1쌍의 잠금 돌기들(52)이 배치되고, 이 잠금 돌기들(52)은 상기 외측 원통면으로 부터 바깥으로 뻗어 있고, 원통형 외측면(57)을 가진다. 각 잠금 돌기(52)는 축방향으로 뻗은 측면들(54)과, 이 측면들에 대략 수직으로 배치되고 그 측면들을 그들의 내측 단부에서 접속하는 내측면(56)을 가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측면들(54)의 외측 단부들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외측면(58)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제14도 및 제15도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퓨즈호울더 몸체(12)의 횡단면도를 나타내는데, 퓨즈와 노브가 제거되어 있다. 퓨즈호울더 몸체에 있는 잠금 구조의 중요한 세부 사항이 제14도 및 제15도 뿐만 아니라 제2도의 단면도에도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제6-9도 및 제14도에서 선들(73-73)은 제조 과정을 용이하게하는 임의적인 성형 홈을 나타내는데, 잠금 기구와는 아무 연관이 없다. 이러한 홈의 경계가 제6-9도에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삽입시 노브가 정렬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쌍의 축방향 홈(62)(특허청구 범위에서 "도입부"라 함)(제12도)이 퓨즈삽입 통로(40)의 내벽을 따라 형성되어, 퓨즈 삽입통로(40)의 내벽을 따라 축방향 내측으로 뻗는 한쌍의 제널들을 형성하며, 그 채널은 마주보는 측벽들(64,65)을 가진다. 노브(14)의 삽입시, 잠금 돌기(52)들은 상기 홈(62)들을 형성하는 측벽들(64,65)(특허청구 범위에서 "도입부 벽"으로 언급됨) 사이의 대략 중간에 있으므로 노브(14)가 퓨즈호울더 몸체(12)안으로 축방향으로 미끄러져 결합될 수 있다.
제6도를 참조하면, 각 축방향 홈(62)의 내측 단부에는 퓨즈 삽입통로(40)의 내측벽에 대략 횡으로 배치되고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짧은 원주 방향 말단홈(60)(특허청구범위에서 "말단부"로 언급됨)이 있고, 이말단홈(66)은 원주 방향으로 향한 단부벽(68)에서 끝난다.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한 말단홈(66)을 이루는 축방향 외측으로 향한 내측벽(70)이 축방향의 측으로 외향한 내측 나선 캠면(72)(제2도 참조)을 통해 축방향 홈의 측벽(64)과도 연결되는데, 그 나선 캠면(72)은 내측벽(70)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상기 말단 홈(66)은 또한, 축방향 내측으로 향한 잠금 견부 형성 나선 캠면(74)을 가지며, 이 캠면은 상기한 내측 나선 캠면(72)(특허청구범위에서 "제1나선 캠면"으로 언급됨)과 반대방향(그 캠면이 반대쪽을 향한 면이므로)으로 나선 곡면을 가진다.
노브(14)가 처음 삽입될때, 각 잠금 돌기(52)는 그의 내측면(56)의 모서리가 내측 나선 캠면(72)과 부딪치게 될때까지 대체로 축방향으로 안내되고, 그때 회전 변위가 자동적으로 일어난다. 즉, 잠금 돌기(52)는 제2도에 도시된 방향에 대하여 시계방향 회전에 해당하는 제6-7도의 아래방향으로 계속 이동된다. 각 잠금 돌기(52)는 완전히 축방향으로 삽입 된때 그의 경사진 외측면(58)이 반경방향으로 뻗은 말단 홈((66)의 잠금 견부 형성 나선 캠면(74)(특허청구범위에서 "제2나선 캠면"으로 언급됨)에 대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면하여 겹치도록 하는 위치로 회전변위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때 작업자가 삽입시에 노브(14)의 시계 방향 회전을 수동으로 끝까지 유도하지 못하면, 노브가 압축 스프링(34)에 의해 축방향 외측으로 밀리어, 제8도에 가상선(52')으로 나타낸대로 잠금 돌기(52)의 경사진 외측면(58)이 말단 홈(66)의 잠금견부형성 나선 캠면(74)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쳐 결합되게 한다. 다음, 압축 스프링(34)이 제9도에 도시된 최종 결합 위치로 잠금돌기(52)를 밀도록 제2도의 방향에 대하여 시계방향의 회전력을 노브에 계속 부여하는 기능을 한다.
그러한 결합면들의 구성에는 두가지 잇점이 있다. 첫째, 포획 고정이 안정적이다. 즉, 노브(14)가 어떤포획 상태릍 이루는데 충분히 회전하면, 잠금 기구가 스스로하든 진동에 의하든 더욱 안정된 잠금 상태로 이동하는 경향을 갖게 된다. 종래의 시스템에는 이러한 점이 결여되어 있다. 즉, 종래의 시스템에서는 기능적으로 동일한 한쌍의 내외측면이 측면을(54,54)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 결과 종래에는, 작업자가 잠금 돌기들(52)을 완전히 안착된 상태까지 회전시키지 못하고 제8도의 가성선(52')으로 표시된 형태로 처음 부분적인 대향 접촉만을 행하는 경우, 차후의 진동에 의해 노브가 방출 위치로 역회전되기 쉽다. 그래서, 공지된 방식의 결점이 본 발명에서는 방지된다. 그러한 결점이 초기에 달성되지 않으면 노브(14)가 즉시 방출되고, 그래서 작업자에게 노브(14)를 다시 설치하게 알려준다.
이러한 특징은, 노브의 외측면(18)이 퓨즈호울더 몸체의 외측면(22)에서 움푹들어가 있는 제1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함몰형의 퓨즈호울더에 적용되거나, 또 다르게는, 몸체의 외측면을 지나 실질적으로 바깥쪽으로 뻗어있어 쉽게 잡힐 수 있는 큰 노브 연장부가 노브(14)에 형성되어 있는 퓨즈호울더에 적용될 때 유익하다.
둘째, 제6-9도릍 잘보면 분명하듯이, 퓨즈 삽입 통로(40)에 퓨즈가 없이 노브가 잠금 방향으로 삽입되어 이동된때, 나사 돌리개로 노브(14)를 풀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잠금 돌기를(52)이 회전하여 내측 나선 캠면(72)을 가로질러 방출 방향으로 자동으로 캠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노브(14)의 외측면(18)이 퓨즈호울더 몸체의 외측면(22)에 대하여 튀어나온 상태로 뻗도록 바깥쪽으로 밀려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제6도에 도시된 대로 작업자가 노브를 용이하게 잡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여기에 도시된 잠금기구가 제1도와 같은 함몰형의 창착 시스템과 관련하여 사용될 때 특히 유용하다.
제3도, 제4도, 제10-11도에 따르면, 퓨즈를 보유하는 전도 슬리이브(26)는 적절한 형상으로된 탄성 판금 재료로부터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핑거들(30)이 그 핑거들의 말단부를 사이에 구멍(78)을 형성하도록 대략 동일 평면상에 배치된다. 핑거들(30)은 퓨즈 조립중에 전도 슬리이브(26)가 노브(14)의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테이퍼진 지주(32)위로 억지로 끼워지도록 하는 치수로 되어 있다. 전도 슬리이브(26)를 덮개부(24) 안으로 완전히 삽입하면, 이 핑거들(30)이 테이퍼진 지주(32)에 꼭끼어 고정되고, 핑거의 일부가 테이퍼진 지주(32)의 바닥에 바로 인접한 덮개부(24)의 내측벽과 대략 맞닿아 접촉되게 놓인다. 앞에서 설명했듯이 압축 스프링(34)은 그의 외측 단부가 핑거들(30)에 가까운 전도 슬리이브(26)의 내측면에 포획되어 고정되고 스프링의 내측 단부는 삽입된 퓨즈(16)의 외측 단부 캡(36)에 대해 축방향 이동이 자유스러운 상태가 되도록 눌러 끼워진다.
지주(32)는 유용한 안전 특징을 제공하도록 의도적으로 길게 형성된다. 만일 어떤 사람이 우연히 다른 종류의 퓨즈, 즉 퓨즈 삽입 통로(40)에 알맞는 직경이지만 노브의 축방향 삽입시에 너무 길어 잘 작동하지 않는 잘못된 퓨즈위에 노브(14)를 고정시키려고 하면, 지주(32)는 삽입된 퓨즈(16)의 외측 단부 캅(36)에 부딪치게 되어 제11도 처럼 노브가 더 이상 삽입되지 않게 한다.
이와 같이 하여, 너무 긴 퓨즈가 압축 스프링(34)을 그의 영구 압축 변형 위치까지 초과압출할 수 없게된다. 유사하게, 제6-9도에 도시된 여러 캠면들의 적절한 형상에 의해 너무 긴 퓨즈가 정위치에 고정 결합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보호 특징이 없는 종래 구조에서 겪게 되는 부작동을 일으키는 가능성이 감소되며, 항상 적당한 길이의 퓨즈가 삽입되고 노브가 퓨즈에 잠길 수 있게 된다. 영구적으로 초과압축된 스프링은 빈번히 퓨즈에 적당한 밀착 압력을 부여하지 못하며, 그 결과, 특히 내측의 단부 캡 접촉부(38)와 접촉하는 퓨즈의 내측 단부 캡(42)에 대하여 빈번하게 접촉 불량이 일어난다. 불충분한 압력은 부적절한 접촉을 야기하고, 부적절한 접촉은 이러한 접촉부 부근에서 퓨즈 몸체가 바람직하지 않게 높은 온도로 작동하게 한다.
그리하여, 잠금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은 것을 즉시 알려주고, 노브가 불완전하게 회전하는 경우에도 확실하고 안정되게 잠그며, 퓨즈가 삽입되어 있지 않을 때라도 외측으로 노브에 힘을 가하는 확실한 캠작용 배출 특징을 나타내며, 너무 큰 퓨즈가 우연히 삽입되는 경우 스프링이 영구적으로 초과압축되는 것을 방지하는 바이오닛(bayonet)형 퓨즈호울더가 제공된다. 상기한 모든 것은 신규하고 저렴한 방식으로 달성된다.

Claims (23)

  1. 카트리지형 전기 퓨즈(16)를 수용하도록 외측면에서 축방향 안쪽으로 뻗는 퓨즈 삽입 통로(40)와, 삽입된 퓨즈의 내외측 접점들을 각각 외부로 전기 접속하고 축방향으로 떨어진 제1 및 제2단자 수단들(38,44)을 가지며, 상기 퓨즈를 지탱하는 데 사용되는 노브(14)와 함께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고, 절연재로 만들어진 퓨즈호울더 몸체(12)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방사상으로 뻗는 잠금 돌기(52)가 상기 퓨즈 삽입 통로(40)안에 축방향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노브(14)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노브가 상기 통로(40)안에 완전히 삽입된 때 상기 몸체의 외측면(22)에 대해 같은 평면에 있거나 음푹 들어가게 배치되는 노브 머리의 외측면(18)에는, 회전 공구 수용 슬롯(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12)와 노브(14)중 하나가 삽입된 퓨즈(16)를 통해 상기 노브에 방출력을 가하는 탄성 바이어스 수단(34)을 포함하고, 상기 통로(40)에는 상기 노브의 잠금 돌기(52)를 처음에 안내하는 도입부 벽돌(64,65)을 가진 도입부(62)와 상기 노브의 잠금 돌기를 잡아 수용하는 말단부(66)를 가진 잠금 돌기 수용 부분이 있고, 상기 도입부(62)에는 삽입중 노브가 약 180°미만 정도 잠금 위치로 회전하게 노브를 안내하도록 상기 노브의 잠금 돌기의 축방향 내측면(56)과결합되는 절연 물질의 제1나선 캠면(72)이 있고, 상기 통로의 상기 말단부(66)에는 잠금 견부(74)를 형성하는 종축방향 내향벽이 있고, 상기 제1나선 캠면(72)은, 상기 노브(14)가 상기 통로(40)안으로 삽입되어 안쪽으로 밀릴때 상기 잠금 돌기(52)와 상기 제1나선 캠면(72)과의 결합에 의해 상기 노브가 잠금 방향으로 선회되고 잠금 돌기가 잠금 견부와 마주하여 상기 바이어스 수단(34)에 의해 상기 잠금 견부에 대해 밀려 상기 몸체(12)를 상기 방출력에 대항하여 보유하도록 하고, 상기 노브가 잠금 위치에서 풀림 위치로 회전될 때 상기-잠금 돌기(52)가 상기 제1나선 캠면(72)을 통과하여, 퓨즈(16)가 상기 몸체(12)에서 제거되고 상기 바이어스 수단(34)이 노부(14)를 방출시킬 수 없을 때라도 상기 노브를 상기 통로(40)로부터 방출시키도록 하는데 충분한 치수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호울더 몸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잠금 견부는 상기 노브(14)가 상기 바이어스 수단(34)에 의해 방출되지 않도록 상기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노브의 잠금 돌기(52)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2나선 캠면(74)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제2나선 캠면은 상기 바이어스 수단의 방출력에 의해 상기 잠금 방향으로 상기 노브를 밀어 회전시키도록 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퓨즈호울더 몸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나선 캠면(74)은, 상기 노브(14)가 상기 잠금 위치로 불완전하게 회전함으로서 상기 잠금 견부와 상기 잠금 돌기(52)가 단지 부분적으로 마주할 때 상기 제2나선 캠면(74)에 잠금 돌기를 누르는 상기 바이어스 수단(34)의 방출력에 의해 상기 노브가 상기 잠금 방향으로 밀리도록 상기 몸체(12)의 종방향 축선에 대해 경사져 있는 퓨즈호울더 몸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견부는, 퓨즈(16)가 삽입된때 잠금 돌기가 잠금 견부와 부분적으로 마주하지 않으면 상기 노브(14)가 축방향으로 자유로히 움직일 수 있어 상기 축방향 삽입 압력을 제거한때 상기 노브가 상기 바이어스 수단(34)에 의해 방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퓨즈호울더 몸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의 잠금 돌기(52)는, 상기 도입부 벽돌(64,65)에 미끄러지며 마주하도록 상기 노브의 삽입 축선과 대략 나란한 1쌍의 측면들(54)과, 상기 노브의 삽입중에 상기 제1나선 캠면(72)과 맞닿도록 배치되고 상기 1쌍의 측면들(54)을 잇는 내측면(56), 및, 상기 노브가 상기 잠금 위치에 있을때 나란하게 상기 잠금 견부의 상기 제2나선 캠면(74)과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1쌍의 측면들을 잇는 경사진 외측면(58)을 가진 돌기로 구성되어 있고, 퓨즈호울더 몸체.
  6.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의 퓨즈호울더 몸체와 노브로 이루어진 퓨즈호울더 조립체로서, 상기 노브(14)가, 퓨즈의 외측 단자(36)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전도 슬리이브(26)를 수용하는 덮개부(24)를 가진 퓨즈호울더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 슬리이브(26)는 삽입된 퓨즈(16)에 대해 축방향 내향 압력을 가하도록 배치된 압축 스프링 형태의 상기 탄성 바이어스 수단(34)을 수용하고, 상기 전도 슬리이브를 상기 노브에 고정시키는 장착 수단(30)을 가지며, 상기 전도 슬리이브 안으로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지주(32)가 상기 노브에 배치되고, 상기 지주(32)는 상기 바이어스 수단의 선택된 압축 상태에서 상기 퓨즈의 외측 단자(36)에 결합하도록 선택된 길이를 가지는 퓨즈호울더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40)의 부분들은, 상기 지주와 상기 퓨즈의 외측 단자와의 결합이 노브의 과도한 삽입을 저지하여 상기 노브(14)가 상기 잠금 위치로 회전할 수 있게 하는 형상으로 되는 퓨즈호울더 조립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 슬리이브(26)를 상기 노브에 고정시키는 상기 장착수단(30)이 상기 전도 슬리이브를 상기 지주(32)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전도 슬리이브의 외측 단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핑거로 이루어진 퓨즈호울더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가 여러개 마련되고, 그 핑거들이 상기 전도 슬리이브의 외측 단부로부터 대략 방사상 안쪽으로 뻗으며, 상기 핑거들의 길이는 그 핑거들의 내측 단부들에 의해 지주 삽입 구멍(78)이 형성되도록 하는 길이로 된 퓨즈호울더 조립체.
  11.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의 퓨즈호울더 몸체와 상기 노브로 이루어진 퓨즈호울더 조립체.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24)가 절연재로 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최소한 하나의 잠금 돌기(52)가 절연재로 구성되는 퓨즈호울더 조립체.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24)가 절연재로 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최소한 하나의 잠금 돌기(52)가 절연재로 구성되고, 상기 덮개부의 절연 부분이 상기 전도 슬리이브(26)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슬리이브인 퓨즈호울더 조립체.
  14. 카트리지형 전기 퓨즈(16)를 수용하도록 외측면(22)에서 안쪽으로 뻗는 퓨즈 삽입 통로(40)와, 삽입된 퓨즈의 내의 접점들(42,36)에 각각 외부에서 전기 접속하는 제1 및 제2단자 수단들(38,44)을 가지며, 절연재로 된 퓨즈호울더 몸체(12)와, 상기 퓨즈를 지탱하고 적어도 하나의 방사상으로 뻗는 잠금 돌기(52)를 가지고 상기 몸체의 상기 통로(40)안에 축방향으로 삽입되도록 된 노브(14)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와 노브중 하나가 삽입된 퓨즈를 통해 상기 노브에 방출력을 가하는 탄성 바이어스 수단(34)을 포함하고, 상기 통로(40)에는 상기 노브의 잠금 돌기(52)를 처음에 안내하는 도입부 벽들(64,65)을 가진 도입부(62)와 상기 잠금 돌기를 잡아 수용하는 말단부(66)롤 가진 잠금 돌기 수용 부분이 있고, 상기 통로의 상기 말단부(66)에는 잠금 견부를 형성하는 종축방향 내향벽이 있어, 상기 노브(14)가 상기 통로(40)안으로 삽입되어 안쪽으로 밀리고 잠금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잠금 돌기(52)가 상기 잠금 전부와 마주하고 상기 바이어스수단(34)에 의해 상기 잠금 견부에 대해 밀려 상기 몸체(12)를 상기 방출력에 대항하여 보유하도록 된 퓨즈호울더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잠금 견부는 상기 노브가 상기 잠금 위치에 있을때 상기 바이어스 수단(34)에 의한 상기 노브(14)의 방출을 막도록 상기 노브의 잠금 돌기(52)와 마주보게 배치된 나선 캠면(74)으로 구성되고, 상기 캠면이 상기 노브의 잠금 돌기를 상기 캠면에 대해 누르는 상기 바이어스 수단(34)의 방출력에 의해 상기 노브를 상기 잠금 방향으로 밀어 돌리도록 구성되고, 상기 캠면(74)과 상기 잠금 돌기(52)의 초기에 대면하는 부분들은, 상기 노브에 대한 삽입 압력이 제거되고 상기 잠금 돌기가 상기 캠면에 부분적으로 겹치기 시작할때 상기 바이어스 수단(34)의 힘하에 상기 캠면이 상기 노브를 상기 잠금 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시키고, 상기 부분적인 겹침이 일어나기 전에 상기 노브를 놓을때 상기 바이어스 수단이 상기 노브를 상기 몸체로부터 배출시키는 위치로 밀도록 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호울더 조립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캠면은, 상기 노브(14)가 상기 잠금 위치로 불완전하게 회전함으로서 상기 잠금 견부와 상기 잠금 돌기가 단지 부분적으로 마주하게 될때 상기 노브가 상기 바이어스 수단의 방출력에 의해 상기 잠금 방향으로 밀리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퓨즈호울더 조립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견부는, 퓨즈 삽입 후 상기 부분적인 대면이 이루어지지 않은때 상기 노브가 자유로이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유지되어 상기 축방향 삽입 압력이 제거될때 상기 노브가 상기바이어스 수단에 의해 방출되도록 배치되는 퓨즈호울더 조립체.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의 잠금 돌기(52)는, 상기 도입부 벽들(64,65)에 미끄러지며 마주하도록 상기 노브의 삽입 축선에 대략 평행한 1쌍의 축면들(54)과, 상기 노브가 상기 잠금 위치에 있을때 상기 잠금 견부의 상기 캠면(74)과 나란히 마주 대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1쌍의 측면들을 잇는 경사진 외측면(58)을 가진 돌기로 구성되는 퓨즈호울더 조립체.
  18. 카트리지형 전기 퓨즈(16)를 수용하도록 외측면(22)에서 축방향 안쪽으로 뻗는 퓨즈 삽입 통로(40)와, 삽입된 퓨즈의 내의 접점들(42,36)을 각각 외부에 전기 접속하는 제1 및 제2단자들(38,44)을 가지며, 절연재로 된 퓨즈호울더 몸체(12)와, 상기 통로(40)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통로내에 원전히 삽입된때 상기몸체(12)에 풀 수 있게 잠그는 잠금 수단을 가지는 노브(14)로 구성되고, 상기 노브는 상기 통로(40)에 삽입되고 양 축방향 단부에 단자들을 가진 상기 퓨즈의 외측 단부를 전기 접속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전도 슬리이브(26)를 포함하고, 상기 전도 슬리이브는 삽입된 퓨즈에 축방향 압력을 가하도록 배치된 압축 스프링(34)과, 상기 전도 슬리이브를 상기 노브에 고정시키는 장착 수단(30)을 포함하는 퓨즈호울더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전도 슬리이브 안으로 축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퓨즈로부터 축방향으로 떨어진 지주(32)가 상기 노브(14)에 장착되고, 상기 지주의 길이는 더 긴 퓨즈가 상기 몸체(12)내에 완전히 삽입될 수 있기전 상기 퓨즈(16)보다 매우 더 큰 길이의 퓨즈의 외측 단자에 결합하도록 정해진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호울더 조립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 슬리이브를 상기 노브에 고정시키는 상기 장착 수단이 상기 전도 슬리이브를 상기 지주에 부착하기 위해 상기 지주에 결합하도록 상기 전도 슬리이브의 외측 단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핑거(30)로 이루어진 퓨즈호울더 조립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가 여러개 제공되고, 상기 핑거들이 상기 전도 슬리이브의 외측 단부로부터 대략 방사상 안쪽으로 뻗어 있고, 상기 핑거들의 길이가 그 핑거의 내측 단부에 의해 지주 삽입 구멍(78)이 형성되도록 하는 길이로 된 퓨즈호울더 조립체.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견부(74)가 상기 잠금 견부와 상기 노브의 잠금 돌기(52) 사이에 전류가 통하지 않도록 전류 운반 구조물들로부터 절연되어 있는 퓨즈호울더 몸체.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견부(74)와 상기 노브의 잠금 돌기(52) 모두가 그들 사이에 전류가 통하지 못하게 전류 운반 구조물들로부터 절연되어 있는 퓨즈호울더 몸체.
  23. 카트리지형 전기 퓨즈를 수용하도록 외측면(22)에서 축방향 안쪽으로 뻗는 퓨즈 삽입 통로(40)와, 삽입된 퓨즈의 내외 접점들(42,36)을 각각 외부로 전기 접속하는 제1 및 제2단자들(38,44)을 가지며 절연제로된 퓨즈호울더 몸체(12)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퓨즈를 지탱하는 노브(14)와 함께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노브의 머리에는 회전 공구 수용 슬롯(20)을 가진 외측면(18)이 있어, 노브가 상기 통로(40)안에 완전히 삽입된때, 외측면(18)이 상기 몸체의 외측면(22)에 대해 같은 평면에 있거나 들어가게 배치되고, 상기 노브(14)에는 축방향 내향 부분(56)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 돌기(52)가 있으며, 상기몸체와 노브중 하나가 삽입된 퓨즈를 통해 상기 노브에 방출력을 가하는 탄성 바이어스 수단(34)을 포함하고, 상기 통로(40)에는 삽입되는 동안 노브가 약 180° 미만 정도 잠금 위치로 회전하게 노브를 안내하도록 상기 노브 잠금 돌기(52)의 축방향 내향 부분(56)과 결합되도록 배치된 제1나선 캠면(72)을 포함하는 고정된 노브 잠금 돌기 수용부(62)가 있고, 상기 통로에 있는 상기 노브 잠금 돌기 수용부(62)에는 종축방향 내향 잠금 견부(74)가 있고, 상기 제1나선 캠면(72)은, 상기 노브(14)가 상기 통로(40)안으로 삽입되어 안쪽으로 밀릴때 상기 노브 잠금 돌기(52)와 제 1나선 캠면과의 결합에 의해 상기 노브가 잠금 방향으로 선회되어 상기 잠금 돌기가 잠금 견부와 마주하고 상기 바이어스 수단(34)에 의해 상기 잠금 견부에 대해 밀려 상기 노브가 상기 방출력에 의해 보유되고, 상기 노브가 잠금 위치에서 풀림 위치로 회전될때 상기 잠금 돌기가 상기 제1나선 캠면을 통과하여, 퓨즈가 몸체내에 없고 바이어스 수단이 노브를 방출시킬 수 없을 때 상기 노브를 상기 통로로부터 방출시키도록 하는데 충분한 치수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호울더 몸체.
KR1019870006532A 1986-11-12 1987-06-26 퓨즈호울더 조립체 KR9000082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6-926.611 1986-11-12
US06/926,611 US4762509A (en) 1986-11-12 1986-11-12 Shock-safe fuseholder assembly
US926611 1992-08-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6740A KR880006740A (ko) 1988-07-25
KR900008230B1 true KR900008230B1 (ko) 1990-11-06

Family

ID=25453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6532A KR900008230B1 (ko) 1986-11-12 1987-06-26 퓨즈호울더 조립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4762509A (ko)
JP (1) JPS63131427A (ko)
KR (1) KR9000082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2644U (ko) * 1988-08-26 1990-02-28
DE9011813U1 (ko) * 1990-08-14 1990-10-25 Siemens Ag, 8000 Muenchen, De
US5267879A (en) * 1992-11-03 1993-12-07 Gould Inc. Panel mount fuse assembly
DE9405264U1 (de) * 1994-03-28 1994-05-19 Siemens Ag Halter für eine elektrische Schmelzsicherung
TW342997U (en) * 1997-10-24 1998-10-11 Wen-Tzung Jeng Rapid conduct structure for wire
DE19959339A1 (de) * 1999-12-09 2001-06-21 Ellenberger & Poensgen Elektrisches Funktionsgerät, insbesondere Schutzschalter, zum Einsatz in der Luftfahrt
US6483417B1 (en) * 2000-02-25 2002-11-19 Cooper Technologies Company Fuseholder contact
US7244148B2 (en) * 2004-07-23 2007-07-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ircuit disconnect assembly
KR100814682B1 (ko) * 2007-11-26 2008-03-18 대원계전주식회사 에폭시몰드 실린더형 퓨즈홀더 베이스
IT1394694B1 (it) * 2009-04-17 2012-07-13 Palazzoli Spa Dispositivo portafusibile, particolarmente per prese interbloccate ed apparecchi elettrici in generale
US20120161919A1 (en) * 2010-12-22 2012-06-28 Von Zur Muehlen Patrick A Safety Fuse Holder Assembly
CN103187742A (zh) * 2011-12-30 2013-07-03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可拆卸套盖的充电器
DE202012003170U1 (de) * 2012-03-28 2012-05-03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Sicherungssystem für Hochstromanwendungen
US20150308820A1 (en) * 2013-06-24 2015-10-29 Mark L. Silberberg Bubble Level
US9548176B2 (en) 2014-07-22 2017-01-17 Lear Corporation Fuse terminal for use with an electrical fuse assembly
US10074500B2 (en) 2014-12-05 2018-09-11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Low profile fusible disconnect switch device
US10806026B2 (en) 2018-07-12 2020-10-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dified PCB vias to prevent burn event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296C (de) * A. SlELER, Königl. Werkmeister der Bergisch-Märkischen Eisenbahn in Hagen i. W Vorrichtung zur Verhinderung des Auffahrens von Eisenbahnfuhrwerken auf nicht richtig gestellte Drehscheiben
US1493988A (en) * 1921-05-16 1924-05-13 Edmunds & Jones Corp Lamp socket
US1602227A (en) * 1924-07-09 1926-10-05 Gen Electric Fuse holder
FR613552A (fr) * 1925-03-31 1926-11-24 Comp Generale Electricite Coupe-circuit à éléments porte-fusibles mobiles ininterchangeables
US2572448A (en) * 1949-01-29 1951-10-23 Us Rubber Co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resiliently biased automatic latch
US2704356A (en) * 1951-01-13 1955-03-15 Wade Electric Products Co Electrical connector
US3286061A (en) * 1965-02-15 1966-11-15 Superior Electric Co Fuse, switch and pilot light unitary device
CH594296A5 (ko) * 1975-10-21 1978-01-13 Schurter Ag H
CH653176A5 (de) * 1981-11-25 1985-12-13 Schurter Ag Sicherungshalter.
CH658341A5 (de) * 1982-11-12 1986-10-31 Schurter Ag Sicherungshalter, insbesondere geraetesicherungshalter.
CH654141A5 (de) * 1982-01-13 1986-01-31 Schurter Ag Sicherungshalter, insbesondere geraetesicherungshalter.
US4508412A (en) * 1982-03-08 1985-04-02 Littelfuse, Inc. Fuse holder
US4477139A (en) * 1982-07-12 1984-10-16 Mcgraw-Edison Company Shock proof fuseholder
US4504815A (en) * 1982-12-02 1985-03-12 Allied Corporation Miniature fuseholder
GB8308978D0 (en) * 1983-03-31 1983-05-11 Bicc Plc Electrical connectors
DE8424654U1 (de) * 1984-08-20 1985-12-19 Allied Corp., Morristown, N.J. Steckverbinder, insbesondere Rundsteckverbin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6740A (ko) 1988-07-25
JPS63131427A (ja) 1988-06-03
US4762509A (en) 1988-08-09
US4762510A (en) 1988-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8230B1 (ko) 퓨즈호울더 조립체
US5893772A (en) Locking mechanism for an electrical connector
US6322376B1 (en) Stud bolt holder for a power distribution box
US4072385A (en) Bayonet connection between two electrically conductive components
US4448476A (en) Fuse holder
US20090275246A1 (en) Single pole cable connector with tamper resistant locking mechanism
JP2000091014A (ja) 端子金具
US4950195A (en) Cartridge fuse terminal adapter
US4768966A (en) Lampholder
US4390225A (en) Fuse block assembly
JP3687728B2 (ja) 電気コネクタハウジング及びその嵌合検知方法
CN113097759A (zh) 一种自锁式连接器
CA1191529A (en) Fuse holder
US3356984A (en) Electric lamp mounting
EP0560668A1 (en) Repairable connector
US7325965B2 (en) Locking socket for biax plug-in lamp
KR910002071B1 (ko) 접촉방지 전기 휴즈 홀더
CN214899009U (zh) 一种卡接环
US3236974A (en) Combined binding post and fuse holder
CA1255724A (en) Shock-safe fuseholder assembly
JPH08339866A (ja) ボルト締めコネクタ
EP0274262A2 (en) Mounting panel for a lamp socket assembly
EP0030128A1 (en) Electrical sockets
US4477139A (en) Shock proof fuseholder
GB2120021A (en) Electric plu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