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2071B1 - 접촉방지 전기 휴즈 홀더 - Google Patents

접촉방지 전기 휴즈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2071B1
KR910002071B1 KR1019880002758A KR880002758A KR910002071B1 KR 910002071 B1 KR910002071 B1 KR 910002071B1 KR 1019880002758 A KR1019880002758 A KR 1019880002758A KR 880002758 A KR880002758 A KR 880002758A KR 910002071 B1 KR910002071 B1 KR 910002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mounting tube
fuse
longitudinal axis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2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1854A (ko
Inventor
키스링 레네
스타우블리 베르너
Original Assignee
슈터 에이지
레네 키스링 · 조스트 데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슈터 에이지, 레네 키스링 · 조스트 데겐 filed Critical 슈터 에이지
Publication of KR880011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1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2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54Protective devices wherein the fuse is carried, held, or retained by an intermediate or auxiliary part removable from the base, or used as sectionalisers
    • H01H85/62Protective devices wherein the fuse is carried, held, or retained by an intermediate or auxiliary part removable from the base, or used as sectionalisers the intermediate or auxiliary part being adapted for screwing into the base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접촉방지 전기 휴즈 홀더
제1도는 개폐기어 단편내에 장착된 휴즈 홀더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화살표 Ⅱ의 방향에서 본, 개폐기어 및 장착너트가 없는 상태의 안전 홀더의 정면도.
제3도는 제1도의 화살표 Ⅲ방향에서 본, 개폐기어 및 장착너트가 없는 상태의 안전 홀더의 후면도.
제4도는 제2도의 선 Ⅳ-Ⅳ를 따라 절취하여(캐리어가 없는 상태)의 하우징을 통한 확대 단면도, 및 어셈블리하기에 적합하게 회전 위치어의 평면도.
제5도는 절단 하우징내에 배치된 록크된 상태의 캐리어의 평면도로서 제4도의 하우징에 대해 유사한 단면도.
제6도는 록크된 캐리어와 함께 제2도의 선 Ⅳ-Ⅳ를 따라 제5도에 대해 90。의 각으로 회전되어 배열된 단면도.
제7도는 캐리어가 해제된 상태의 제6도와 유사한 단면도.
제8도는 캐리어가 최대로 후퇴된 상태의 제6과 유사한 단면도.
제9도는 캐리어가 약 180°로 회전된 상태의 제8도와 유사한 단면도.
제10도는 제6도의 선 ⅩI-ⅩI을 따라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
제11도는 제7도의 선 Ⅹ-Ⅹ을 따라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하우징 103 : 장착튜브
104 : 장축 튜브 벽 105 : 개구
109 : 슬릿트 111 : 돌출부
112 : 정지부 121, 131 : 접촉편
124, 134 : 프레임부 126, 136 : 도전체
128, 138 : 외부 접속부 200 : 캐리어
202 : 트로프 204 : 바브
206 : 홈 207 : 나사부
208 : 칼라부 209 : 종방향부
300 : 휴즈선 삽입부
본 발명은 접촉 방지 전기 휴즈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휴즈 홀더는 미합중국 특허 제4,329,006호로 부터 공지되어 있다. 장착 튜브의 저부에 배치되고 휴즈 삽입 단부 캡에 의해 축방향으로 접속된 푸트(foot)접촉부와, 다른 휴즈 삽입 단부 캡에 의해 캐리어의 접속도체를 통해 간접적으로만 접촉할 수 있는 측면 접촉부를 갖고 있는 다른 통상의 홀더에 비해, 미합중국 특허 제4,329,006호에 따른 홀더는 전체 길이가 짧고 부품수가 적어 간단한 어셈블리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이 경우에 휴즈 삽입 교체중의 접촉방지는 장착 튜브의 동일 측상에 배치된 2개의 접촉 편에 관련하여 후퇴 및 추진 중에 휴즈 삽입부의 2개의 단부 캡을 절연하는 해제된 캐리어에 의해 된다. 캐리어의 헤드는 해제시에(축방향 푸트 접촉부를 가진 휴즈 홀더에 비해) 나오지 않기 때문에 돌출 상태로 유지된다. 헤드가 틀어넣어 지면, 단점이 없게 되어 위험도 없게 된다. 장착튜브내에 배치된 접촉부가 캐리어가 제거되더라도 IEC 529규격(IEC=국제 전기기술 위원회)에 따른 테스트 지부(finger)를 가진 전방으로부터 접촉될 수 없는 경우에, 휴즈 홀더는 접촉 방지로서 고려할 필요가 없으나, 이것은 어린이들이 비늘과 같은 얇은 도전성 물체를 가지고 놀때 잘 찔릴 수 있고 사고가 나기 때문에, 헤드가 손으로 쉽게 제거되면, 어린이들을 적당히 보호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들 단점을 제거시키고,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가 있고, 짧으며, 최소한, 가능한한 또는 양호하게 절대적으로 다루기에 간단한 접촉 방지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홀더의 경우에는, 조립되었을 때 사람이 전방으로부터의 소정 도전 부품과 접촉되지 말아야 된다.
청구범위 제1항 및 제2항에서 정의된 안전 홀더는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다.
이 경우에 장착 튜브가 후방에서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청구 범위 제1항에 따른 휴즈 홀더의 경우에는, 캐리어가 장착 튜브에서 완전히 제거될 수 있으므로, 선을 이속에 찔러 넣어 접촉부와 접촉하게 될 수 있지만, 청구범위 제2항에 따른 휴즈 홀더의 경우에는, 캐리어가 장착튜브내에 최소한 부분적으로 항상 남아 있어 접촉부에의 접근을 차단시키기 때문에. 접촉 안정성이 완전하다.
이 두가지 경우에, 캐리어의 부적당하고 바람직하지 못한 운동을 방지하기 위해 캐리어가 공구에 의해서만 제거가능한 위치에 도달할 수 있게 하는 것에 관심이 있으므로, 캐리어는 하우징내에 완전히 틀어넣어져서 공구에 의해서만 회전가능하게 되는 것이 양호하다. 그 다음 아무런 문제가 없이 예를 들어 스크류드라이버등과 같은 필요한 공구로 해제 회전운동을 처리할 수 있지만, (이미 주지한 바와 같이) 미합중국 특허 제4,329,006호의 캐리어를 장착 튜브에서 어렵게 빼내야 한다.
청구범위 제1항에 정의된 휴즈 홀더의 경우에, 이것은 각각 록킹 또는 해제중에 나사 방식으로 서로 계합되는 캐리어에 의해 방지된다. 그 다음에 록크된 캐리어의 전방 단부는 하우징의 적당한 리세스내에 틀어 넣어져, 해제시킬때와 같이, 이것을 풀러만 줄 수 있다.
캐리어를 해제시시키 위한 회전 운동중에, 휴즈 삽입부의 2개의 단부 캡은 하우징의 접촉편으로부터 제거되고, 캐리어는 삽입중과 같이 아주 적게 제거중에 이 자체가 회전할 수 있게 하기 때문에, 캐리어 모울딩은 접촉편으로부터 단부 캡을 차폐시킨다.
캐리어는 정지부까지만 빠질 수 있고, 적당한 부분 설계로 이 캐리어 단부 또는 장착 튜브의 바로 외측에 배치된 캐리어의 소자 부품이 아무것도 안에 넣을 수 없도록 장착 튜브를 폐쇄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캐리어의 단부가 장착 튜브에 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 범위 제1항의 특징 부분과 형태를 결합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 접촉에 대한 절대적인 보호가 청구범위 제2항에 따른 안전 홀더로 달성된다.
목적으로 하는 완전 보호는 상당히 간단한 방법으로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홀더의 경우에, 캐리어는 전체 길이의 문제가 없는 경우에 공구없이 이동될 수 있는 돌출헤드를 갖출 수 있다.
휴즈 삽입부가 분리불가능한 캐리어의 하우징의 외부로 빠질 수 있는 경우에는 다루기가 힘들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경우에, 이것은 완전 후퇴상태에서 종축 주위에서 회전될 수 있는 캐리어에 의해 방지된다. 즉, 트로프(trough)에 느슨하게 놓이는 안전홀더가 제거되어 버려질 캐리어가 확장위치로 느슨해진 후에는, 새로운 휴즈 삽입부가 상부로부터 넣어질 수 있으므로, 휴즈 선 삽입부가 아무런 문제없이 교체될 수 있다.
장착 튜브가 접촉편용 개구를 갖고 있는 측상에 돌출부를 갖고 있는 경우가 유리한데, 이 돌출부는 캐리어상에 제공된 3개-부분 홈에 계합된다.
이 경우에는, 홈으로 제공되는 나사부가 캐리어의 전방 단부 부근에 제공되어, 돌출부가 이 내에 계합되는 경우에, 캐리어의 회전은 장착 튜브 내에서 캐리어를 풀거나 조일때 각각 해제 또는 록킹을 발생시킨다.
그러므로, 록크된 상태의 캐리어가 틀어넣어지는 방식으로 하우징내에 완전히 수용될 수 있으므로, 이 캐리어는 전체 길이에 걸쳐서 이 안정성 잇점을 위해 경비를 들이지 않고 다른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고서 소정 공구로만 해제될 수 있다.
돌출 헤드는 바람직한 경우에 본래 공지된 방식으로 캐리어에 접착될 수 있다.
홈의 칼라부(collar section)는 캐리어의 단부 부근에 제공되어, 캐리어가 후퇴할 때 돌출부가 이 내에 계합되고 트로프에서 휴즈 삽입부를 제거해 버리기 위한 캐리어의 회전이 취해질 수 있다. 한편, 트로프는 휴즈 삽입부가 아무런 문제없이 삽입되도록 상부에 개방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트로프내에 휴즈 삽입부를 고정시키는 것은 불필요한데, 이 사실은 캐리어 제조 및 휴즈 삽입부 교체시에 이롭다.
홈의 이들 부분사이에는 캐리어가 각각 후퇴되거나 추진되는 동안 이 부분들을 연결시키는 홈부분이 있는데, 이 홈부분은 종축에 평행하고 돌출부를 계합시키므로, 이렇게 함으로써, 캐리어가 회전할 수 없으므로, 휴즈 선 삽입부의 단부캡은 접촉편으로부터 절연된다.
양호하게도, 구부러질 수 있는 소수의 바브(barb)가 캐리어의 후방단부에 수용되고, 하부 절단 링-형견부 형태의 정지부가 장착 튜브 부근에 제공된다.
이제 장착튜브의 전방측내로 캐리어를 밀어 넣으므로써 장착 튜브 내로 캐리어를 간단히 어셈블리 할 수가 있는데, 바브는 정지부 뒤에 계합되어 그 후에 캐리어의 완전 후퇴를 방지시킨다. 이와 동시에 돌출부는 흠내로 삽입될 수 있다.
휴즈 삽입부가 종축에 평행하지만 편심된게 본래 공지된 방식으로 배열된 경우에, 접촉편은 캐리어를 록킹할 때 이 삽입부에 가깝게 될 수 있고, 캐리어를 해제할 때 이 캐리어를 삽입부로부터 제거할 수 있는데, 어떤 것이나 접촉 또는 절연을 각각 발생시키기 위해 본래 양호하다.
휴즈 삽입부가 캐리어내에 확고하게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트로프가 유리하게 개구가 없이 구성될 수 있으므로, 캐리어는 록크된 위치이외의 모든 위치에서 접촉편에의 접근을 안전하게 제거시킨다.
이로부터, 최소의 비용으로 완전히 안전하다고 할 수 있는 최대의 안전이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서두에 참조한 미합중국 특허 제4,329,006호의 경우에, 접촉편은 비교적 덜 구부러질 수 있도록 제조되고, 요사이 요구되는 절연값이 보장되지 못하고 부수적으로 외부로부터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게 함께 근접 하도록 이것들의 접속부와 함께 서로 다음에 놓인다.
본 발명에 따른 휴즈 홀더는 두개의 벽(그 중의 하나는 장착 튜브의 벽임)사이의 하우징내에, 장착 튜브벽의 양측상에 주변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트(slit)가 제공되어, 이들 결함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 슬릿트는 종방향으로 평행하게 뻗은 개구의 양측상의 접촉편으로의 도전체에 수용될 수 있다(그러므로 적당하게 분리될 수 있다). 접척편은 도전체로부터 개구로 안내된다. 도전체로부터 돌출되는 접속부는 하우징의 후방측에서, 하우징 외부로 측방향으로 또는 축방향으로 부상한다.
그러므로, 양호하게도 도전체가 주변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에 의해 이에 속하는 접촉편과 접속되고, 이 프레임내에서 접촉편은 돌출방식으로(및 종축에 대해 방사상으로 볼때, 종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므로, 특히 양호하고 수명이 긴 접촉편의 스프링 특성이 달성될 수 있다.
다음에, 가장 양호한 형태의 실시예를 일예로서 도시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하게 기술 하겠다.
도면에 도시한 안전홀더(1)은 단지 4개의 부품만으로 [너트(114)는 포함하지 않음], 즉, 절연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하우징(100), 이 하우징 내부에 포함된 두개의 금속 접촉 유니트[(121-128) 및 (131-138)]뿐만 아니라 절연플라스틱으로 구성된 캐리어(200)으로 구성된다. 이것은 종방향으로 작용하는 스프링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매우 짧게 제조될 수 있다.
이 휴즈 홀더(1)은 다음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즉, 하우징(100) 및 캐리어(200)은 한 조작으로 플라스틱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2개의 접촉 유니트[(121-128) 및 (131-138)]은 천공되어 적당한 접촉/스프링 물질로 구부러질 수 있다. 이들 접촉 유니트[(121-128) 및 (131-138)]은 후방측으로부터의 다른 유니트 [먼저 (121-128)]이 종축 A에 평행하게 하우징(100)의 슬릿트(109)내로 순방향으로 보내진 후에 교대로 삽입되어, 이것들은 정확한 위치에 계합된다.
이 중의 하나는 제4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 전방에 바브(204)를 가진 캐리어(200)이 하우징(100)의 장착 튜브(103)내에 밀어 넣어진다. 바브(204)는 처음에 방사상 내향으로 구부러지고 그 다음 장착 튜브(103)내의 정지부(112) 후부에 계합되므로, 캐리어(200)이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분리될 수 없게 된다. 이때 [휴즈 삽입부(300)과 함께]장착된 캐리어(200)은 장착 튜브(103)내로 더욱 밀려 넣어질 수 있고 (제7도와 비교)회전에 의해 록크될 수 있다(제6도와 비교).
휴즈 홀더(1), 하우징(100) 및 장착튜브(103, 제1도 및 제2도에는 도시안함)의 종축 A는 모든 도면에 제공되어 있다.
모든 부품들에 공통인 안전 홀더(1)의 전방측 F와 후방측 B는 제1도 및 제4도 내지 제9도에 제공된다.
제1도에는 절취하여 도시된 개폐기어 단편 S와, 이 단편내에 있고 약간 확대 도시되어 있으며 휴즈 홀더(1)의 하우징(100)이 내부로 밀려들어가는 구멍 SL 뿐만 아니라, 하우징(100)상에 배치된 외부 나사부(113)과 이 위에 있는 너트(114)만이 도시되어 있다.
제1도에서, 플랜지(101)은 개폐기어 S의 전방측 F에 접하고, 하우징(100)의 잔여부는 구멍 SL을 통해 밀어넣어지고 외부 나사부(113)상에 배치된 너트(114)는 하우징(100)이 제위치에 있게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의 후방측 단부에서 하향 돌출한 접속부(138)이 보이는데. 이 부분은 납땜 돌출부와 유사한 것으로 보이지만, 이것은 플러그 또는 소켓과 같은 다른 형태로 될 수도 있다.
특히 제2도에서는, 캐리어 및 헤드(201)의 전방측상에 눈금(210)이 제공된 것을 알 수 있는데, 제5도 및 제6도에 따르면, 이것은 해제하기 위하여 캐리어(200)의 록크된 위치에서 하우징(100)의 플랜지(101)의 리세스(102)내에서 스크류드라이버로 회전될 수 있어, 이렇게 함으로써,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한 록크상태에서 제7도에 도시한 해제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이 해제 상태에서 헤드(201)은 포획되는 방식으로 하우징(100)에서 부터 돌출된다].
이것은 하우징(100)의 돌출부(111)에 의해 달성되는데, 이 돌출부는 홈(206)의 나사식 홈 부분(207)내를 지나 장착 튜브(103)내로 돌출된다(해제 및 록킹 경우는 반대 효과를 갖는다).
그러나, 캐리어(200)의 트로프(202)를 해제할 때의 회전운동의 결과로, 이 내부에 있는 휴즈 삽입부(300)이 회전되므로, 트로프(202)는 접촉편(121, 131)과 휴즈삽입부(300)의 단부캡(301)사이에 절연방식으로 놓이게 된다. 2개의 전기 도전단부 캡(301)은 절연 튜브(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본래 공지된 방식으로 기계적으로 접속되고, 가용성 도전체(보이지 않음)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휴즈선 삽입부(300)은 종축 A에 대하여 편심으로 놓이고, 해제중에 이에 대응하여 기울어진다.
해제 상태(제7도)에서, 돌출부(111)은 홈(206)의 직선형 종방향 부분(209)의 후방 단부상에 배치되므로[이 부분(209)는 트로프(202)의 후방측상에 형성됨], 캐리어(200)은 제7도에 도시한 해제상태에서 제8도에 도시한 휴지 상태로 전환될 수 있으므로, 이 캐리어(200)은 [이 캐리어(200)의 후방측 단부상에 형성된] 바브(204)가 하우징(100)의 링-형 정지부에 충돌할 때까지 장착튜브(103)의 외부로 가능한 한 멀리 후퇴된다.
캐리어(200)의 이 후퇴 동작중에, 돌출부(111)은 종방향 부분(209)의 전방 측 단부상에서 종방향 부분내로 미끄러지고 홈(206)의 환상 홈 부분[208, 캐리어(200)의 바브(204)와 트로프(202)사이의 후방 접속부(205)내에 형성된 환상 홈 부분)내에 도달하므로, 캐리어(200)은 종축 A주위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되고, 제9도에 도시한 경사 상태에서, 가용성 도전체(300)의 교체를 완전히 하기 위해 제8도에 도시한 휴지상태로 다시 이 상태로부터 전환될 수 있다.
이 경우, 장착튜브(103)은 후방 접속부(205)에 의해 계속 폐쇄상태로 유지되므로, 목적으로 하는 완전 보호가 확실하게 보장된다.
접촉편(121 및 131)은 각각의 경우에 스프링 암(123 또는 133)상의 너브(122 또는 134)를 각각 포함한다.
이들 스프링 암(123 또는 133)은 각각 이에 속하는 프레임(124 또는 134)내로 돌출된다[이 프레임은 또한 스프링으로 작용하고, 부수적으로 지지, 스프링(125 또는 135)를 갖고 있다].
각각의 프레임(124 또는 134)는 2개의 접속부(128 또는 138)중의 한 접속부와 접속되는 상이한 길이의 2개의 도전체(126 또는 136)중의 한 도전체상에 제공된다. 이 방식으로, 접속부(128 또는 138)은 접촉편(121 또는 131)에 속하게 되어, 장착 튜브(103)의 후방 측단부는 상이하게 축방향으로 떨어져 제거되므로, 완전히 분리된다. 프레임은 접촉너브(122 또는 132)가 개구(105)내에 있는 경우에 도전체(126 또는 136)이 장착 튜브벽(104)의 개구(105)의 상이한 측상에 놓이도록 도전체(126 또는 136)의 상이한 측상에 비대칭적으로 연장된다.
2개의 접촉 유니트(각각 접촉편, 프레임, 도전체 및 접속부로 구성됨)의 안전 홀딩은 외부벽(106)내의 슬릿트(107)내에 보유되어 이에 속하는 각각의 접속부(128 또는 138)에 의해 벽(104와 106)사이의 캡(109)에서 취해진다. 외부 벽(106)내의 관련된 개구(108)에 계합되는 정지스프링(127 또는 137)의 계합을 통한 소정의 미끄러짐이 있다.
또한 부수적으로 접촉 유니트의 교차는 캡(109)내의 종방향 격벽(110)에 의해 방지된다.

Claims (10)

  1. 절연 본체에 의해 기계적으로 함께 접속되고 가용성 도전체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2개의 도전성 단부 캡을 갖고 있고, 절연 물질로 구성되고 추진 작동 상태에서 폐쇄방식으로 장착 튜브를 록킹시키며 등축 휴즈 삽입부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트로프를 갖고 있는 캐리어가 배치되고 종축을 따라 연장되는 장착튜브를 갖고 있으며, 캐리어가 종축 주위에서의 회전에 의한 해제 후에 휴지상태에서 종축방향으로 장착 튜브로부터 다른 회전 운동없이 제거될 수 있어 휴즈 삽입부 교체를 허용하고, 하우징에 각각 고착되고 도전방식으로 외부 접속부에 각각 접속되며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 2개의 접속편이 장착튜브의 외측으로부터의 동일 측으로부터 방사상으로 가요성있 게 벽의 종축에 평행한 개구를 통해 계합되며, 홀더가 해제 상태에서 제거중에 접촉편에 관련하여 2개의 단부 캡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동안 록크된 캐리어내에 배치된 휴즈선 삽입부가 도전성 접촉부를 각각 형성하는 휴즈 삽입부용 접촉방지 휴즈 홀더에 있어서, 각각의 해제 및 록킹 회전운동 중에 캐리어(200)이 장착 튜브(103)내외로 종축(A)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식으로 나사형 방식(207/111)으로, 캐리어(200)과 하우징(100)이 각각의 해제 또는 록킹중에 서로 계합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접촉방지 전기 휴즈 홀더.
  2. 절연 본체에 의해 기계적으로 함께 접속되고 가용성 도전체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2개의 도전성 단부 캡을 갖고 있고, 절연 물질로 구성되고 추진 작동 상태에서 폐쇄방식으로 장착 튜브를 록킹시키며 등축 휴즈선 삽입부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트로프를 갖고 있는 캐리어가 배치되고 종축을 따라 연장되는 장착 튜브를 갖고 있으며, 캐리어가 종축 주위에서의 회전에 의한 해제 후에 휴지상태에서 종축방향으로 장착 튜브로부터 다른 회전 운동없이 제거될 수 있어 휴즈 삽입부 교체를 허용하고, 하우징에 각각 고착되고 도전 방식으로 외부 접속부에 각각 접속되며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 2개의 접속편이 장착튜브의 외측으로부터의 동일 측으로부터 방사상으로 가성있게 벽의 종축에 평행한 개구를 통해 계합되며, 홀더가 해제 상태에서 제거중에 접촉편에 관련하여 2개의 단부 캡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동안 록크된 캐리어내에 배치된 휴즈 삽입부가 도전성 접촉부를 각각 형성하는 휴즈 삽입부용 접촉 방지 휴즈 홀더에 있어서, 장착 튜브(103)이 캐리어(200)에 의해 폐쇄되면서 휴즈 삽입부 교체가 실행될 수 있도록 캐리어(200)의 장착튜브(103)에서 멀리 제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방지 전기 휴즈 홀더.
  3. 제1항 및 제2항에 따른 휴즈 홀더.
  4. 제2항 또느 제3항에 있어서, 트로프(202)내에 양호하게 느슨하게 놓여 있는 휴즈 선 삽입부(300)을 제거해 버리기 위해, 캐리어(200)이 휴지 상태에서 종축(A)주위에서 회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즈 홀더.
  5. 제1항 내지 제4항중의 한 항에 있어서, 돌출부(111)접촉편(121, 131)용 개구(105)를 갖고 있는 장착튜브(103)의 측상에 제공되고, 이 돌출부가 캐리어(200)내의 홈(206)에 계합되며, 홈(206)이 캐리어(200)의 후방단부 부근에 배치된 나사부(207), 캐리어(200)의 전방 단부부근에 배치된 칼라부(208), 및 칼라부(208)에 나사부(207)을 접속시키는 종방향 부분(209)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즈 홀더.
  6. 제1항 내지 제4항중의 한 항에 있어서, 방사상으로 가요성있게 압축될 수 있는 바브(204)가 캐리어(200)의 후방 단부에 제공되고, 바브가 어셈블리 과정에서 생기는 캐리어(200)의 첫번째 추진시에, 장착 튜브(103)내의 링형 정지부(112)뒤로 장착 튜브(103)내에 계합되고, 다음에 역정지부로서 작용하는 정지부(112)에 계합되어 장착 튜브(103)으로부터 캐리어(200)이 완전히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즈 홀더.
  7. 제1항 내지 제6항중의 한 항에 있어서, 캐리어(200)이 록크 작동 상태에서 하우징(100)내에 완전히 틀어넣어지게 배열되고 공구에 의해서만 해제될 수 있으며 모든 다른 상태에서 하우징(100)에서 최소한 부분적으로 돌출하고 부수적으로 공구에 의해서만 양호하게 록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즈 홀더.
  8. 제1항 내지 제7항중의 한 항에 있어서, 휴즈 삽입부(300)이 캐리어(200)내의 장착튜브(103)의 종축(A)에 평행하지만 편심적으로 배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즈 홀더.
  9. 제1항 내지 제8항중의 한 항에 있어서, 트로프(202)가 개구에서 자유롭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즈 홀더.
  10. 제1항 내지 제9항중의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100)이 2개의 벽(105, 106)사이의 장착 튜브 벽(104)의 개구(105) 양측상에 주변 방향으로 연장된 슬릿트(109)를 갖고 있고, 이 슬릿트가 외부 접속부(128, 138)로부터 각각의 2개의 접촉편(121, 131)까지 종축(A)에 평행한 도전체(126, 136)을 개구(105)의 양 측상에 각각 갖추고 있으며, 각각의 접촉편(121, 131)이 종축(A)를 향해 방사상으로 볼때 도전체(126, 136)에 접속된 프레임 부(124, 134)의 내부내로 종축(A)에 평행하게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즈 홀더.
KR1019880002758A 1987-03-17 1988-03-16 접촉방지 전기 휴즈 홀더 KR9100020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986/87A CH671651A5 (ko) 1987-03-17 1987-03-17
CH986/87-5 1987-03-17
CH00986/87-5 1987-03-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1854A KR880011854A (ko) 1988-10-31
KR910002071B1 true KR910002071B1 (ko) 1991-04-01

Family

ID=4199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2758A KR910002071B1 (ko) 1987-03-17 1988-03-16 접촉방지 전기 휴즈 홀더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4826454A (ko)
JP (1) JP2510661B2 (ko)
KR (1) KR910002071B1 (ko)
CH (1) CH671651A5 (ko)
DE (1) DE3715996A1 (ko)
ES (1) ES2006364A6 (ko)
FR (1) FR2612688B1 (ko)
GB (1) GB2202394B (ko)
IT (1) IT1215908B (ko)
NL (1) NL193738C (ko)
SE (1) SE46338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5749A (en) * 1987-03-09 1993-04-27 Neutrik Aktiengesellschaft Electric plug-and-socket connection
US4968269A (en) * 1988-03-25 1990-11-06 Cooper Industries, Inc. Fuse holder
US4981448A (en) * 1988-03-25 1991-01-01 Cooper Industries, Inc. Fuse holder
FR2687816B1 (fr) * 1992-02-24 1994-04-08 Gemplus Card International Procede de personnalisation d'une carte a puce.
GB2266815B (en) * 1992-05-01 1996-04-03 Mk Electric Ltd Rotatable fuse holder
GB2266814B (en) * 1992-05-01 1996-06-19 Mk Electric Ltd Electrical fuse holder
US7244148B2 (en) * 2004-07-23 2007-07-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ircuit disconnect assembly
US8517768B2 (en) * 2011-08-11 2013-08-27 Ideal Industries, Inc. Breakaway fuse holde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796C (ko) *
FR447464A (fr) * 1912-08-22 1913-01-06 Louis Kovacs Coupe-circuit à fusible
GB1078322A (en) * 1965-03-27 1967-08-09 Ford Motor Co Fuse holders
DE1949810U (de) * 1966-07-13 1966-11-17 Albert Stulz Fabrik Elektrotec Geraetesicherungshalter.
GB1176004A (en) * 1967-03-06 1970-01-01 Beswick Kenneth E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Holders for Cartridge Fuselinks.
DE6919101U (de) * 1968-05-06 1969-10-09 Philips Nv Sicherheitspatronenhalter
ZA80536B (en) * 1979-02-06 1981-08-26 Beswick K Ltd An electrical fuse holder
CH642773A5 (en) * 1979-07-03 1984-04-30 Weber Ag Fab Elektro Fuse holder for a miniature fuse insert
FR2473781A1 (fr) * 1980-01-15 1981-07-17 Lmi France Porte-fusible de securite
AT373723B (de) * 1980-02-25 1984-02-10 Wickmann Werke Ag Leiterplattenhalter fuer einen schmelzeinsatz einer elektrischen sicherung
US4481496A (en) * 1982-09-27 1984-11-06 Norden Alexander Switching fusible apparatus
GB8406782D0 (en) * 1984-03-15 1984-04-18 Bulgin & Co Plc A F Electrical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E8800598D0 (sv) 1988-02-22
GB8803938D0 (en) 1988-03-23
FR2612688A1 (fr) 1988-09-23
IT1215908B (it) 1990-02-22
DE3715996C2 (ko) 1992-02-13
KR880011854A (ko) 1988-10-31
FR2612688B1 (fr) 1993-12-31
GB2202394A (en) 1988-09-21
US4826454A (en) 1989-05-02
IT8819451A0 (it) 1988-02-18
JPS63252335A (ja) 1988-10-19
NL193738C (nl) 2000-08-04
DE3715996A1 (de) 1988-09-29
CH671651A5 (ko) 1989-09-15
SE463388B (sv) 1990-11-12
NL8800574A (nl) 1988-10-17
JP2510661B2 (ja) 1996-06-26
NL193738B (nl) 2000-04-03
SE8800598L (sv) 1988-09-18
ES2006364A6 (es) 1989-04-16
GB2202394B (en) 1991-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8701A (en) Plug and switch interlock including gear and latch assembly
US4340267A (en) Safety electrical plug
US3942856A (en) Safety socket assembly
US4772215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enclosed internal switch
KR910002071B1 (ko) 접촉방지 전기 휴즈 홀더
US6143987A (en) Structure for waterproofing an end portion of a cable
US6309258B1 (en) Single pole cable connector
US4183604A (en) Apparatus for mounting and removing electrical adapter from a socket
US4241969A (en) Locking plug
US3377610A (en) Plug for electrical cord
US4202589A (en) Fuse holder
US6012938A (en) Anti-theft lamp adapter
US4299430A (en) Lamp holder for baseless lamp
TW200301599A (en) High-voltage lamp holder
US3236974A (en) Combined binding post and fuse holder
US3356984A (en) Electric lamp mounting
KR100563471B1 (ko) 램프홀더어셈블리의 장착구조
US5649838A (en) Connector for connecting electrical signal transmitting cable to a jack of audio or video equipment
EP1178574A1 (en) Industrial inline electrical socket/plug
JPS644217Y2 (ko)
US4481496A (en) Switching fusible apparatus
EP0188520A4 (en) SHEATHING DEVICE FOR ELECTRICAL CABLES.
US3548690A (en) Tool for removing cable insulation
US2674722A (en) Locking means and ground connection for electrical plugs
US3437978A (en) Molded angle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3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