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662B1 - 싸이펀식 전로 출강구 노체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싸이펀식 전로 출강구 노체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662B1
KR900007662B1 KR1019870002583A KR870002583A KR900007662B1 KR 900007662 B1 KR900007662 B1 KR 900007662B1 KR 1019870002583 A KR1019870002583 A KR 1019870002583A KR 870002583 A KR870002583 A KR 870002583A KR 900007662 B1 KR900007662 B1 KR 900007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rter
siphon type
exit
carrier
siph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2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9037A (ko
Inventor
마나부 사까모또
사또시 다쯔다
아끼라 무라다
나쯔끼 나무라
시게끼 다마다
요시노리 가와사끼
노리오 미사끼
Original Assignee
가와사끼 쥬고교 가부시끼가이샤
하세가와 겐꼬
가와사끼 세이데쯔 가부시끼가이샤
야기 야스히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사끼 쥬고교 가부시끼가이샤, 하세가와 겐꼬, 가와사끼 세이데쯔 가부시끼가이샤, 야기 야스히로 filed Critical 가와사끼 쥬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9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9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6Details or accessories
    • C21C5/4653Tapholes; Opening or plugging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6Details or accesso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087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with signal, scale, illuminator, or optical viewer
    • Y10T29/53091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with signal, scale, illuminator, or optical viewer for work-holder for assembly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539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including work conveyor
    • Y10T29/5354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including work conveyor including transporting track
    • Y10T29/53548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including work conveyor including transporting track and work carrying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arbon Steel Or Casting Steel Manufacturing (AREA)
  • Cookers (AREA)
  • Studio Devices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싸이펀식 전로 출강구 노체 부착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싸이펀식 전로 출강구의 노체 부착 장치의 정면도.
제 2 도는 그 측면도.
제3도는 싸이펀식 전로 출강구 부착 제거 작업시의 전로경전 자세를 설명하는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전로 4 : 출강구 부착부
5 : 싸이펀식 전로 출강구 5a : 플랜지부
6 : 수강 캐리어 7 : 노체
9 : 하부 캐리어 10 : 상부 캐리어
16 : 지지 프레임 17 : 적재 테이블
19 : 원격 조작용 텔레비 카메라 20 : 볼트 체결 해제 장치
21 : 부착 볼트
본 발명은 싸이펀식 전로 출강구의 노체 부착창치, 상세하게는 전로 노체의 출강구 부착부에 싸이펀식 전로 출강구를 부착 혹은 제거하는 경우에 행해지는 착탈작업 분야에서 이용되는 것이다.
전로내에서 용해된 금속 또는 합금 등의 용탕의 자유 표면에는 용재가 덮이도록 부유한다. 전로를 경사시켜서 출강구로부터 용탕을 꺼내는 경우, 특히, 출강종료에 있어서는, 용재도 동시에 유출하려고 한다.용탕에 용재가 혼입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용탕만을 꺼내는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그를 실현하는 것에,일본국 특허공보 소 56-54366호 공보에 기재된 분리 출탕 장치가 있다. 이는 싸이펀식 출강법을 채택한 것으로, 출탕 자세로 수평면과 교차하는 면내에 우회하는 출탕 통로가 설치되고, 그 출탕 통로로부터 취출된 용탕류의 후미 잔탕의 정압에 의해, 용탕류에 추미 유동하는 용재의 정압과 아울러서 그 용재의 유출을 저지하게 한 것이다.
상술한 우회하는 출탕 통로가 싸이펀식 전로 출강구이며, 이 출강구는 전로의 출강부 부착부에 부작되어있다. 싸이펀식 전로 출강구는 외면의 철피 내측에 내화재가 발라져 있는 것으로, 용탕이 통과함으로써 내화재가 마모 손상되므로 그 보수를 위해서 자주 노체의 부착 제거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전로 출강구 근방은 용탕에 의해 열 부하를 받거나 하면서 경연 변화를 일으킨다. 보수된 싸이펀식 전로 출강구에 있어서도 같은 상황에 있으며, 양자의 치수에 틀림이 발생하는 것은 불가피하다. 또, 전로 본체는 전로 경사 장치에 의해 정.역 360°회전 가능하지만, 그 정지 정밀도에 의해 노체측 출강구 부착부 중심의 정지 위치는 매회 약간 오차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싸이펀식 전로 출강구를 전로 출강구 부착부에 설치하는데 있어서 매회 양자의 심을 맞출 필요가 있다. 게다가, 싸이펀식 전로 출강구 부착 제거작업은 전로 조업 사이에 한정된 시간내에 끝낸 필요가 있으며, 작업의 정확성과 함께 신속성이 높을 것이 요망된다.
싸이펀식 전로 출강구와 출강구 부착부는 일반적으로 각각의 플랜지부를 볼트, 너트에 의해 결합함으로써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양자의 연결에 있어 플랜지의 각 볼트 구멍을 서로 일치시키기 위하여는 많은 공정수가 소요될 뿐만 아니라 모든 볼트 너트를 체결하는데도 많은 공정수가 필요한 문제가 있다. 이러한 볼트, 너트를 이용한 경우의 공정수의 문제점은 싸이펀식 전로 출강구를 전로 노체로 부터 제거하는 경우에도 발생한다.
그 때문에, 상술된 부착 제거 작업을 신속히 할 수 있는 것, 또 그 시공 작업이 용이하다는 것이 실제로 전로에의 적용에 있어서 불가결한 요소가 된다. 이를 실현한 것으로서, 일본국 실용공개 소 57-154750호 공보에 제안된 싸이펀식 전로 출강구의 착탈 구조가 있다. 이에 따르면, 전로에의 싸이펀식 회전로 출강구의 설치, 부착시에 있어서 기증기 또는 노전 크레인 등에 의한 작업 부하의 경감을 도모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된 착탈구조를 채용한다해도 약 45 내지 60분의 부착 제거 시간을 필요로 하며, 그 동안에 전로 조업의 중단이 불가피하여, 이들 작업을 한층 신속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중량물인 싸이펀식전로 출강구를 노전 크레인 등에 의해 전로 노체에 부착하는 작업 또는 전로 본체로부터 제거하는 작업은 작업성이나 안전성이 나쁘다는 문제를 내재하고, 이점에 대해서도 개선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양호하게 해졀하기 위해 이루어전 것으로, 그 목적은 싸이펀식 전로 출강구의 부착제거 작업 시간의 대폭적인 단축을 도모하고, 전로 조업중단을 적극 단시간으로 줄이는 동시에 상기 전로출강구 부착, 제거를 원격 조작에 의해 가능하게 하여, 작업성, 안전성이 개선된 싸이펀식 전로 출강구 노체 부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싸이펀식 전로 출강구의 노체 부착 장치의 특징을, 이하에 제1도를 참조하여 서술한다. 전로(2)의 노체(7) 아래를 이동하는 수강 캐리어(6)상에, 수강 캐리어(6)의 이동 방향 및 그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하부 캐리어(9)와 상부 캐리어(10)가 설치되고, 그 상부 캐리어(10)에는 수직 지지 프레임(16)에 안내되고, 싸이펀식 전로 출강구(5)를 탑재하여 승강하는 적재 테이블이 얹혀지고, 그 싸이펀식 전로 출강구(5)의 플랜지부(5a)의 각 볼트 구멍 설정 위치에 대응하여 선단에 부착 볼트(21)를 장착 가능하게 한 볼트 체결 해제 장치(20)가 적재 테이블(17)상에 설치되고, 상부 캐리어(10)에는 출강구 부착부(4)를 관찰하는 원격 조작용 텔레비 카메라(19)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의 싸이펀식 전로 출강구의 노체 부착 장치를 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을 기초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싸이펀식 전로 출강구의 노체 부착 장치(1)를 전로(2)와의 관계로 표시한 정면도이고, 제2도는 그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전로(2)는 경사진 상태로 있고, 제3도의 가상선으로 표시한 자세로 있으며, 트러니온링(3)의 근방에 위치하는 출강구 부착부(4)가 바로 밑을 향하고, 싸이펀식 전로 출강구(5)와 결합되는 플랜지면(4a)이 수평이 되는 위치에서 정지하고 있다.
전로(2)의 하방은 일반적인 수강 캐리어(6)가 주행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그 위에 탑재된 싸이펀식 전로 출강구(5)의 노체 부착 장치(1)가, 노체(7) 하방으로 반입되게 되어 있다. 상기 싸이펀식 전로 출강구(5)의 노체 부착 장치(1)를 수강 캐리어(6)를 이용하여 노체(7) 하방으로 반입하게 한 것은 다음 이유에 의한 것이다. 전로(2)의 출강구 부착부(4)에 싸이펀식 전로 출강구(5)를 부착하는 데는, 전로 주변의 공간면에서 보아 노전, 노상. 노내측, 노하방등 4개소를 들 수 있다 그러나, 노전에 있어서는 노전 크레인의 점유가 필요하며, 다른 전로 조업에 지장을 초래하고, 또 위치 맞추기 작업이 복잡하게 될 수 밖에 없다. 노상에서는 전로 배기 가스 처리 장치의 뚜껑이 이동될 필요가 있어서 노상으로부터 단시간내에 싸이펀식 전로 출강구(5)를 교환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노내면에서는 공간이 없고, 보통 그곳에 크레인을 갖는 경우는없다. 한편, 노하방에 있어서는, 싸이펀식 전로 출강구(5)를 수강 캐리어(6)의 궤도를 이용하여 반입반출할수 있는 잇점이 있으며, 또 종전부터 설치되고 있는 수강 캐리어(6)를 이용하면 저렴한 장치로 할 수가 있다.
상술한 싸이펀식 전로 출강구의 노체 부착 장치(1)에는, 수강 캐리어(6)에 탑재된 고정 프레임(8)상에서 전후 좌우로 이동하는 하부 캐리어(9)와, 상부 캐리어(10)가 설치되어 있다. 본 예에 있어서는 하부 캐리어(9)는 수강 캐리어(6)의 주행 방향과 일치하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그 이동량은 수강 캐리어(6)의 정지 정밀도에 의한 출강구 부착부(4)와의 중심 엇갈림을 보충할 수 있는 범위가 되며, 하부 캐리어(9)와 마찬가지로 상부 캐리어(10)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하부 캐리어(9)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그 이동량은 전로 트러니온 축방향의 노체 철피의 경년 변화 등에 의한 중심 엇갈림을 보충할 수 있는 범위이다. 따라서, 각각의 캐리어(9,10)에는, 롤러(11,12)가 부착되고, 고정프레임(8)과 하부 캐리어(9)의 상면에는 하부 캐리어(9)와 상부 캐리어(10)의 주행 궤도가 되는 라이너(13,14)가 설치되고. 도시하지 않은 유압 실린너 등의 신축 기구에 의해 하부 및 상부 캐리어(9,10)를 이동시키고 중심 내기(센터령) 작업이 행해지게 되어 있다. 이들 구성이 싸이펀식 전로 출강구(5)의 중심을 출강구부착부(4)의 중심에 일치시키는 싸이펀식 전로 출강구 이동 수단(15)을 형성하고 있다.
상부 캐리어(10)상에는 수직 칼럼을 갖는 지지 프레임(16)이 있으며, 이 지지 프레임(16)에 따라 승강 가능한 적재 테이블(17)이 탑재되고, 적재 테이블(17)은 싸이펀식 전로 출강구(5)를 얹은 상태로 승강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적재 테이블(17)의 승강 수단으로서 본 도면에서는 승강용 실린더(18)를 도시하고 있으나, 적재 테이블(17)을 걸어 지지하는 와이어 등을 감아올리고 감아내리는 수단이라도 좋으며, 요는 적재테이블(17)을 수평 상태로 승강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면 좋다. 또, 싸이펀식 전로 출강구(5)는, 그 플랜지부(5a)가 수평자세로 되도록 미리 적재 테이블(17)에 얹혀지고, 한편, 전로(2)의 출강구 부착부(4)는 그 플랜지부(4a)가 수평이 되는 위치에서 정지되고, 이 플랜지부(4a)와 상기 싸이펀식 전로 출강구(5)와의 센터링 및 적재 테이블(17)의 상승에 의해 양자를 접합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양 플랜지부(4a와 5a)의 접합을 도모하기 위해, 노체 부착 장치(1)의 상부 캐리어(10)로부터 뻗어나온 부착 아암에 출강구 부착부(4)를 관찰할 수 있는 원격 조작용 텔레비 카메라(19)가 설치되어 있다. 이 텔레비 카메라(19)는 전로(2)의 노하방에 작업자가 들어가지 않고 노체 부착 장치(1)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출강구 부착부(4)를 관찰하는 방향으로 향하고, 출강구부착부(4) 및 출강부 부착부(4) 부근을 비춤으로써 상술한 상부 캐리어(10)와 하부 캐리어(9)의 이동 조작 및 적재 테이블(17)의 상승 조작을 행하여 싸이펀식 전로 출강구(5)의 플랜지부(5a)와 출강구 부착부(4)의 플랜지부(4a)와의 위치 맞추기를 실시할 수 있다. 또, 적재 테이블(17)상에 도시하지 않은 안내 부재등 보조 수단을 배치해 두면 싸이펀식전로 출강구(5)를 적재하는 끝마무리가 좋아지며, 또 그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싸이펀식 전로 출강구(5)는 적재 테이블(17)상의 동일 위치에 탑재하도록 배려되어 있으며, 그 위치에 있어서의 싸이펀식 전로 출강구(5)의 플랜지부(5a)의 도시하지 않은 각 볼트 구멍 위치에 볼트 체결 해제 장치(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볼트 체결 해제 장치(20)는 선단에 부착 볼트(21)를 장착 가능한 장착부(22)및 회전 구동부(23) 및 승강수단(24)을 구비하고, 본 예에서는, 편측 2기 반대측 2기의 도합 4기가 설치된다. 그런데. 출강구 부착부(4)의 플랜지부(4a)에는 부착 볼트(21)의 상부 수나사에 대응하는 암나사가 설치되고, 텔레비 카메라(19)의 관찰에 따르면서 플랜지부(4a)와 플랜지부(5a)를 일치시키고, 부착 볼트(21)를 회전시키면서 승강 수단(24)에 의해 상승 조작하여 양 플랜지부(4a,5a)를 연결시키게 하고 있다. 또, 싸이펀식 전로 출강구(5)의 전로(2)의 노체(7)로부터의 제거는 역조작에 의해 행할 수가 있다. 여기서,체결 해제 장치(20)는 도시한 예에 한하는 것이 아니며, 구성상 부착 볼트(21)의 장착부, 회전 구동부, 승강 수단을 구비하면 좋으며. 또 부착 볼트로서 다른 형식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또, 싸이펀식 전로 출강구(5)를 적재 테이블(17)의 소정 위치에 탑재하도록 배려함으로써 원격 조작용 텔레비 카메라(19)를 소정 각도로, 전로(2)측의 기준점에 시점을 일치시킬 캐리어 등을 조작함으로써 싸이펀식 전로 출강구(5)와 출강구 부착부(4)의 센터링을 행할 수 있고, 그후 적재 테이블(l7)을 상승시키고, 싸이펀식 출강구(5)를 들어올림으로써 출강구 부착부(4)에 맞출 수 있고, 원격 조작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상 서술한 구성의 노체 부착 장치(1)에 따르면, 다음과 같이하여 중량물인 싸이펀식 전로 출강구(5)와 전로(2)의 출강구 부착부(4)의 착탈을 행할 수 있다. 대기 장소에 있어서 적재 테이블 (17)에 싸이펀식 전로 출강구(5)를 얹어 놓고 노체 부착 장치(1)를 수강 캐리어(6)로 전로(2)의 아래로 반입한다. 그때, 싸이펀식 전로 출강구(5)의 플랜지부(5a)가 바로 위에 오도록 그 자세가 유지된다. 수강 캐리어(6)가 노체(7)아래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정지하면, 텔레비 카메라(19)로 전로(2)의 출강구 부착부(4) 근방이 관찰되고,이 카메라(19)로 촬영된 영상은 작업실에 비추이며, 그리고 이 영상을 작업자가 보아서 수강 캐리어(6)의 주행을 조정한 후, 노체 부착 장치(1)의 하부 캐리어(9) 및 상부 캐리어(10)를 이동시키고, 전술한 바와같이 양 플랜지부(4a.5a)의 연결이 이루어진다.
또, 반대로 싸이펀식 전로 출강구의 제거시에는 적재 테이블을 비운채로 상기 조작이 이루어지고, 연결하는 경우와 반대 방향으로 부작 볼트를 회전시켜서 양자의 연결을 해제한다. 노체(7)측으로부터 싸이펀식 전로 출강구(5)를 제거하여 적재 테이블(17)상에 적재시키고, 그후 수상 캐리어(6)는 전로(2)의 노하방으로부터 인출된다.
본 발명은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싸이펀식 전로 출강구를 노체에 설치 혹은 노체로부터 제거할때, 전로 아래서부터 행하게 하였으므로 노전 크레인은 필요치 않으며, 다른 전로에의 조업상의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싸이펀식 전로 출강구를 부착할 전로에 있어서도, 싸이펀식 전로 출강구를 미리 노체부착 장치상에 위치 결정하여 노하방에 반입할 수 있으므로 센터링부터 연결에 이르는 시간이 상당히 단축되고, 종래의 45 내지 60분이던 것을 5 내지 6분의 소요시간으로 끝낸 수 있다. 또, 수강 캐리어를 이용하게 하였으므로 가격이 저렴한 장치가 되며, 텔레비 카메라를 이용하여 원격 조작할 수 있으므로, 노체 부착물의 낙하 등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다.

Claims (1)

  1. 전로(2)의 노체(7)하방을 이동하는 수강 캐리어(6)상에 수강 캐리어(6)의 이동 방향 및 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하부 캐리어(9)와 상부 캐리어(10)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 캐리어(10)에는 수직 지지프레임(16)에 안내되고, 싸이펀식 전로 출강구(5)를 탑재하여 승강하는 적재 테이블(1)이 탑재되고, 상기싸이펀식 전로 출강구(5)의 플랜지부(5a)의 각 볼트 구멍 설정 위치에 대응하여 선단에 부착 볼트(21)를 장착 가능하게 한 볼트 체결 해제 장치(20)가 적재 테이블(17)상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 캐리어(10)에는 출강구 부착부(4)를 관찰하는 원격 조작용 텔레비 카메라(19)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싸이펀식전로 출강구 노체 부착 장치.
KR1019870002583A 1986-03-22 1987-03-21 싸이펀식 전로 출강구 노체 부착장치 KR9000076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4403 1986-03-22
JP61064403A JPS62222013A (ja) 1986-03-22 1986-03-22 サイホン式転炉出鋼口の炉体取付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9037A KR870009037A (ko) 1987-10-22
KR900007662B1 true KR900007662B1 (ko) 1990-10-18

Family

ID=13257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2583A KR900007662B1 (ko) 1986-03-22 1987-03-21 싸이펀식 전로 출강구 노체 부착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776083A (ko)
EP (1) EP0240214B1 (ko)
JP (1) JPS62222013A (ko)
KR (1) KR900007662B1 (ko)
AT (1) ATE47156T1 (ko)
BR (1) BR8701264A (ko)
CA (1) CA1282229C (ko)
DE (1) DE3760741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74708B2 (en) * 2003-02-13 2005-04-05 Illinois Tool Works Inc. Automatic air-assisted manifold mounted gu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479445A (fr) * 1966-03-22 1967-05-05 Kerma Corp Installation de manutention de la cuve d'un four et véhicule afférent à cette installation
US3872566A (en) * 1974-02-27 1975-03-25 Gca Corp Multiplexed integrated circuit chip bonding system
SU556024A1 (ru) * 1975-08-18 1977-04-30 Украинский Филиал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го Всесоюзного Ордена Трудового Красного Знамени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ого Технологического Института Ремонта И Эксплуатации Машинотракторного Парка (Уф Госнити) Стенд дл сборки и разборки узлов машин
SU560728A1 (ru) * 1975-11-14 1977-06-05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Г-4781 Привод к съемнику в виде гидравлического домкрата
SU709428A1 (ru) * 1977-01-21 1980-01-15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Техническое Объединение "Автотранстехника" Специализированный пост дл замены агрегатов трансмиссии трехосного автомобил
US4173729A (en) * 1977-06-24 1979-11-06 Rca Corporation Cathode-ray tube having a stepped shadow mask
JPS5594430A (en) * 1979-01-11 1980-07-17 Kawasaki Steel Corp Separating and tapping device of molten metal and molten slag
US4290306A (en) * 1979-03-05 1981-09-22 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bing into a refining furnace or the like for temperature measurement for sampling, or for both
JPS598756B2 (ja) * 1979-12-27 1984-02-27 川崎製鉄株式会社 溶滓カツト出鋼方法
JPS614509A (ja) * 1984-06-15 1986-01-10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多孔質ガラス膜細管の束着板
US4707663A (en) * 1985-08-15 1987-11-17 Fonar Corporation Nuclear magnetic resonance apparatus using low energy magnetic ele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2222013A (ja) 1987-09-30
ATE47156T1 (de) 1989-10-15
KR870009037A (ko) 1987-10-22
BR8701264A (pt) 1987-12-29
DE3760741D1 (en) 1989-11-16
CA1282229C (en) 1991-04-02
US4776083A (en) 1988-10-11
EP0240214B1 (en) 1989-10-11
EP0240214A1 (en) 1987-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7662B1 (ko) 싸이펀식 전로 출강구 노체 부착장치
JP3597570B2 (ja) 原子炉解体方法およびその装置
RU2647277C2 (ru) Способ перефутеровки мельниц гидравлическим манипулятором через монтажный люк
CN116495621A (zh) 一种强放射性贮罐退役工装载带装置
US20040247012A1 (en) Replacement method and device for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modules of an electric arc furnace
GB2173245A (en) Installation components which is replaceable by remote control
EP2610160B1 (en) System for lifting thrusters for providing maintenance to thrusters of floating vessels
US7871560B2 (en) Metallurgical vessel with fixing system
US3799527A (en) Suspension assembly for metal treating vessel
JPS5926397A (ja) 水中交換型旋回式スラスタ着脱装置
US3556501A (en) Blow lance assembly for metallurgical furnaces
US4241902A (en) System for vessel exchange
JP3007261B2 (ja) 大樋カバー脱着装置
CN115198052B (zh) 一种转炉氧枪喷头顶装装置
JPH0588284B2 (ko)
JP2542175B2 (ja) 加圧式石炭ガス化装置
JPH0477044B2 (ko)
JPH0421712A (ja) 転炉炉修装置
JPH08134521A (ja) 混銑車内張り耐火物施工用中子の自動組立解体方法とその装置
JPS62222010A (ja) サイホン式転炉出鋼口の炉体取付用調芯装置
JPS5943524B2 (ja) 高炉炉壁熱間補修装置
JPH0649891B2 (ja) ランス迅速交換装置
JPH0674656A (ja) 精錬炉
JPH09209028A (ja) 浸漬管の着脱装置
JPS5862586A (ja) 着脱ヘツド位置決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7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