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460Y1 - 자동차의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현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460Y1
KR900007460Y1 KR2019870008087U KR870008087U KR900007460Y1 KR 900007460 Y1 KR900007460 Y1 KR 900007460Y1 KR 2019870008087 U KR2019870008087 U KR 2019870008087U KR 870008087 U KR870008087 U KR 870008087U KR 900007460 Y1 KR900007460 Y1 KR 9000074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arm
stabilizer
link
assist
control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80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8369U (ko
Inventor
가쯔유끼 고미야
Original Assignee
마쓰다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모또 겐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쓰다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모또 겐이찌 filed Critical 마쓰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183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83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4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4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7/00Devices for assisting manual moving or tilting heavy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60G21/0551Moun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2Mounting of torsion springs
    • B60G2204/1224End mounts of stabiliser on wheel suspen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의 현가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계하는 자동차의 현가 장치의 일부를 절단하여 보인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Ⅱ-Ⅱ 선에서 본 정면도.
제3도는 제1도의 Ⅲ-Ⅲ 확대 단면도.
제4도는 종래의 현가장치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크로스멤버 2 : 로어아암
3 : 어시스트 링크 4 : 스테이빌라이저
5 : 보올조인트 6 : 너클아암
7 : 타이로드 8 : 차륜
9 : 콘트롤링크 10 : 현가스트러트
11 : 어시스트링크 지지부재 12 : 로어아암 지지부재
15 : 스테이빌라이저 지지부재
본 고안은 자동차의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스테이빌라이저의 부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현가장치의 일반구조예로서는, 예컨대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소화 제59-39025호 공보에 개재된 구성의 것이 알려져 있다.
이 공지예의 것은 도면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로어아암(61), 어시스트링크(64) 및 스테이빌라이저(65) 등이 있는데, 로어아암(61)은 차체측의 크로스멤버(60)에 그 일단(61a)이 움직이기 자유롭게 지지되고, 타단(61b)이 차륜(63)을 지지하는 너클(62)에 고정되며, 어시스트링크(64)는 일단(61a)이 상술한 크로스 멤버(60)에 움직이기 자유롭게 지지되고, 타단(64b)이 상술한 로어아암(61)의 타단(61b)쪽에 고정된 상태에서 차체에 대하여 그 전후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스테이빌라이저(65)는, 그 일단(65a)이 긴 볼트모양의 콘트롤링크(66)에 끼워져, 상술한 로어아암(61)쪽에 고정되어 있다.
그런데 근래 자동차 공업분야에 있어서는, 자동차를 구성하는 부품의 공통화의 추진에 의하여 제조원가의 절감을 꾀하고자 하고 있으며, 특히 현가장치에 있어서는, 좌우 한쌍의 현가장치 상호간에 있어서의 부품의 공통화를 이루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현가장치에 있어서는, 그 각 구성품 중에서 로어아암(61)은 크로스멤버(60)에서 대체로 차폭방향으로 설치되는 관계상, 그 형상을 대칭형으로 형성하여 좌우 양 부품 상호간의 공통화를 도모하는 것은 그 자체의 구조상 가능하다.
이것에 대하여 어시스트링크(64)는 크로스멤버(60)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되기 때문에, 그 좌우 양측부품 상호간의 공통화는 구조상 곤란하다.
따라서, 현가장치에 있어서, 그 부품의 공통화를 추진한다는 점에서 로어아암(61)의 공통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장 용이하다.
그런데 종래의 현가장치에 있어서는 상술한 공지의 예에서처럼 스테이빌라이저(65)와, 콘트롤 링크(66)의 하단을 로어아암(61)의 상면에 부착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콘트롤링크(66)고정부를 로어아암(61)의 대칭축상에 설치하지 않으면, 그 좌우 공통화를 도모할 수가 없고, 실질적으로는 스테이빌라이저(65)의 비틀림 강성 즉, 차체의 롤강성의 관계상 상술한 콘트롤링크(66)를 로어아암(61)의 대칭축상에 설치한다는 것이 설계상 곤란한 경우도 적지않아, 로어아암(61)의 좌우공통화가 실현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기술에서 지적한 문제점을 해결코저 하는 것이고, 로어아암(61)과 어시스트링크(4)와 스테이빌라이저(65)를 구비한 자동차의 현가장치에 있어서, 로어아암(61)의 좌우공통화를 도모하고, 이로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함에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일단이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타단이 차륜을 지지하는 차륜 지지부재에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된 로어아암과, 일단이 차체에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한 로어아암에 고정되는 어시스트링크와 적당한 정도의 비틀림 강성을 가지며, 또한 그 일단에 콘트롤 링크를 부착하여 형성되는 스테이빌라이저를 설치한 것에 있어, 상술한 스테이빌라이저와 연접된 콘트롤링크의 일단을 어시스트링크에 고정하여 구성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상술한 수단에 의하여 스테이빌라이저와 연결된 콘트롤 링크가 로어아암이 아니고, 어시스트 링크쪽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차체의 롤강성등에 유의할 필요없이 로어아암을 대칭으로 형성하여, 그 좌우 공통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하 제1도 내지 제3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알맞은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 및 제2도에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계하는 자동차의 우측 앞차륜용의 현가장치 Z가 표시되어 있고, 도면부호 1은 차체의 차폭방향(가로방향)으로 설치된 크로스멤버이고, 그 양단부(1a)(제1도 및 제2도에서는 한쪽만 도시되어 있음)는 차폭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확대하여 열리는 대체로 삼각형 프레임으로 되어 있다.
이 크로스멤버(1)의 단부(1a)의 전후 방향의 위치에는 각각 후술하는 로어아암(2)과 어시스트링크(3)가 상하방향으로 요동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로어아암(2)은 제1도 내지 제3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대체로 Ⅰ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또한 평면에서 볼때는 그 축선 ℓ에 대하여 선대칭을 이루는 직선체로 구성되어 있다.
이 로어아암(2)은 그 일단(2a)이 상술한 크로스멤버(1)의 앞쪽단부에 설치한 로어아암 지지부재(12)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로어아암(2)의 타단(2b)에는 보올조인트(5)가 부착되어 있고, 또한 이 보올조인트(5)에는 차륜(8)을 지지하는 너클아암(6)(실용신안 등록청구의 범위중의 차륜 지지부재에 해당함)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이 로어아암(2)의 축방향 중앙부(2c)는 후술하는 어시스트링크(3)가 고정되는 어시스트링크 지지부재(14)로 되는 부분이고, 축선ℓ을 중심으로 양쪽 위치에는 좌우 한쌍의 보스부(17)가 옆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 좌우 한쌍의 보스부(17)와 로어아암(2)의 축선 ℓ을 기준으로 하여 보스부(17)와 함께 삼각형의 3개의 정점이 형성되는 로어아암(2)부에, 어시스트링크(3) 부착용 고정볼트(16)가 나사식 맞춤으로 결속되어 있다.
어시스트링크(3)는 대략 원형단면을 가지며, 또한 L형으로 절곡형성된 중심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일단(3a)은 상술한 크로스멤버(1)의 하단부에 설치한 어시스트링크 지지부재(11)와 결속되어 크로스멤버(1)쪽으로 아울러 상하방향으로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 어시스트링크(3)의 타단(3b)은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술한 로어아암(2)의 어시스트링크 지지부재(14)에 대해 체결이 가능토록 체결고정부(20)를 갖고 있다.
따라서 어시스트링크(3)의 체결고정부(20)를 로어아암(2)의 어시스트링크 지지부재(14)의 하면(14a)에 결합시키고, 이 양자를 3개의 고정볼트(16)로 단단히 체결함으로서 로어아암(2)과 어시스트링크(3)는 일체화가 되어서 아암결합체(A)를 구성한다.
이 아암 결합체(A)의 선단부(즉 로어아암(2)의 선단부(2b)는 상술한 너클아암(6)에 연결된 현가스트러트(10)을 결속하여 차체측에 요동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 아암결합체(A)는 차륜 중량의 증감에 따라서 상하방향(제2도, 화살표 P-Q방향)으로 움직인다.
또한 이 어시스트링크(3)는 본 고안을 적용하기 위하여 상술한 체결고정부(20)의 한쪽을 차체앞쪽으로 적당한 길이로 연장시켜, 이 연장된 부분을 스테이빌라이저 지지부재(15)로 하고 있다.
이 스테이빌라이저 지지부재(15)에는 긴 볼트모양으로 된 콘트롤링크(9)의 하단부(9b)가 끼워져 결속되고, 콘트롤링크(9)의 상단부(9a)에는 스테이빌라이저(4)의 일단부(4a)가 회동이 가능하게 결속되어 있다(제3도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현가장치 Z에 따르면, 스테이빌라이저(4)의 일단부(4a)에 결속된 콘트롤링크(9)가 어시스트링크(3)선단의 스테이빌라이저 지지부재(15)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 스테이빌라이저(4)의 비틀림 강성등을 걱정할 필요없이 로어아암(2)을 상술한 바와같이 축선 ℓ에 대하여 선대칭으로 형성할 수가 있다. 그 때문에 이 로어아암(2)은 본 실시예처럼 우측 앞차륜용의 로어아암으로서 뿐만아니라 그대로 좌측앞차륜용의 로어아암으로서 적용할 수가 있어 로어아암(2)의 좌우공통화가 실현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로어아암(2)의 어시스트링크 지지부재(14)에 대하여 하면(14a)쪽에서 어시스트링크(3)의 체결고정부(20)을 체결고정하고, 또한 이 체결고정부(20)를 연장하여서 된 스테이빌라이저 지지부재(15)에 콘트롤링크(9)의 하단부(9b)를 부착하도록 하고 있다.
그 때문에 예컨대 스테이빌라이저(4)의 설치 높이(지상높이)를 일정하게 했을 경우에는 제3도에 있어서, 이점쇄선 9'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콘트롤링크(9)의 하단부(9b)를 로어아암(2)의 상단부(2d)쪽에 고정하는 종래방법의 경우와 비교하여 콘트롤링크(9)의 길이를 길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체결고정부(10)의 요동시에 있어서 스테이빌라이저(4)와 콘트롤링크(9) 및 이 콘트롤링크(9)와 어시스트링크(3)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비틀림각이 콘트롤링크(9)가 짧을때보다도 작아지고, 그만큼 각 접합부에 설치된 각 부쉬(22), (22)...의 변형이 적어서 각 부쉬(22), (22)...들의 신뢰성 나아가서는 콘트롤링크(9)자체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한편에서는 콘트롤링크(9)의 길이를 일정하게 설정하는 경우에는 이 콘트롤링크(9)를 로어아암(2)의 상단부(2d)측에 부착하는 것보다도 본 실시예처럼 어시스트링크(3)쪽에 부착하는 것이 스테이빌라이저(4)의 지상높이를 낮게 억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스테이빌라이저(4)의 윗쪽에 큰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가 있고, 그 만큼 엔진의 탑재 및 엔진보수 등에 유리하며, 엔진의 설계배치에도 유리하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스테이빌라이저(4)와 연결된 콘트롤링크(9)가 로어아암(2)쪽이 아닌, 어시스트링크(3)쪽에 설치되기 때문에 차체의 롤강성등에 신경을 쓰는 일이 없이 로어아암(2)을 대칭으로 형성하고 그 좌우 공통화를 도모할 수가 있고, 부품의 공통화에 의한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는 실용적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일단(2a)이 차체에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타단(2b)이 차륜지지부재인 너클아암(6)에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된 로어아암(2)과, 일단(3a)이 차체에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타단(3b)이 로어아암(2)에 고정되는 어시스트링크(3)와, 비틀림 강성을 가짐과 동시에 그 일단(4a)에 콘트롤링크(9)가 부착 형성되는 스테이빌라이저(4)등을 설치하여서 된 통상의 자동차의 현가장치에 있어서, 스테이빌라이저(4)와 연결된 콘트롤 링크(9)의 하단부(9b)를 상기한 어시스트링크(3)에 고정설치 하여서 된 자동차의 현가장치.
KR2019870008087U 1986-05-27 1987-05-25 자동차의 현가장치 KR90000746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6080578U JPH0537683Y2 (ko) 1986-05-27 1986-05-27
JP61-8057 1986-05-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8369U KR870018369U (ko) 1987-12-23
KR900007460Y1 true KR900007460Y1 (ko) 1990-08-18

Family

ID=13722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8087U KR900007460Y1 (ko) 1986-05-27 1987-05-25 자동차의 현가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798397A (ko)
JP (1) JPH0537683Y2 (ko)
KR (1) KR90000746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31011A (ja) * 1990-02-07 1991-10-15 Toyota Motor Corp 車輌の操舵輪用サスペンション
US5064216A (en) * 1990-08-06 1991-11-12 General Motors Corporation End link assembly for an automotive vehicle suspension system
JP3608470B2 (ja) * 2000-03-29 2005-01-1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フロントサスペンション装置
CA2416703C (en) * 2003-01-20 2011-11-22 Multimatic Inc. Structural i-beam automotive suspension arm
KR100610117B1 (ko) * 2004-11-23 2006-08-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 범프 토우인 리어 서스펜션
SE529758C2 (sv) * 2005-07-20 2007-11-20 Volvo Lastvagnar Ab Individuell hjulupphängning
US7748727B2 (en) * 2006-06-13 2010-07-06 Nissan Motor Co., Ltd. Suspension structure
US8267414B2 (en) * 2009-11-10 2012-09-18 Vertex Export And Import, Corp. Suspension arm assembly and method of retrofitting
KR20110063164A (ko) * 2009-12-04 2011-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서스펜션 암
DE102012022889A1 (de) * 2012-11-23 2014-05-28 Audi Ag Stabilisatoranordnung für eine Radaufhängung von Kraftfahrzeugen
US10017026B2 (en) * 2015-11-10 2018-07-10 Federal-Mogul Motorparts Llc Sway bar linkage with bushing
DE102016220786B4 (de) * 2016-10-24 2024-03-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interradaufhängung für Kraftfahrzeuge
JP2018122768A (ja) * 2017-02-02 2018-08-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サスペンショ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4308B2 (ja) * 1974-04-12 1983-12-03 株式会社東芝 マグネツトガスケツト
JPS5131525A (ja) * 1974-09-06 1976-03-17 Pentel Kk Suiseiinkisoseibutsu
JPS5710907U (ko) * 1980-06-20 1982-01-20
JPH0126484Y2 (ko) * 1981-01-19 1989-08-08
JPS5854308U (ja) * 1981-10-07 1983-04-1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スタビライザ
US4542920A (en) * 1982-07-07 1985-09-24 Mazda Motor Corporation Vehicle rear-suspension mechanism
JPS5939205A (ja) * 1982-08-27 1984-03-03 株式会社 富山西部クボタ 稲の湛水覆土直播方法
JPS60169314A (ja) * 1984-02-14 1985-09-02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スタビライザ
US4533157A (en) * 1984-03-19 1985-08-06 Chrysler Corporation Rear offset axle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US4629211A (en) * 1984-08-31 1986-12-16 Unit Rig & Equipment Co. Frame and axle for heavy duty trucks
DE3509145A1 (de) * 1985-03-14 1986-09-25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Unabhaengige radaufhaengung fuer lenkbare raeder von kraftfahrzeugen
JPS62105709A (ja) * 1985-11-05 1987-05-16 Toyota Motor Corp 車両のサスペンシヨ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8369U (ko) 1987-12-23
JPS62191512U (ko) 1987-12-05
US4798397A (en) 1989-01-17
JPH0537683Y2 (ko) 1993-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25284Y2 (ko)
JPS6126092Y2 (ko)
KR900007460Y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JPS59966Y2 (ja) 自動車用後輪懸架装置
US5238261A (en) Suspension of steering vehicle wheel having z-type upper arm assembly
JPS6130924B2 (ko)
JPH0440964Y2 (ko)
JPH01266009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H055108Y2 (ko)
JP2827220B2 (ja) コントロールアームの設置構造
JPH0440961Y2 (ko)
JPH01278813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200151133Y1 (ko) 프런트 스태빌라이저바 설치구조
JPH021130Y2 (ko)
JPH1029415A (ja) ツイストビーム式サスペンション
JPH0440963Y2 (ko)
JPH07137523A (ja) 自動車のスタビライザバー取付構造
JPH01106716A (ja) 自動車の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の取付構造
JPH0541042Y2 (ko)
JPH0224322Y2 (ko)
JP2763542B2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S6232083Y2 (ko)
JPH0948225A (ja) スタビライザの連結構造
JPH05169943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H022432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8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