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6599B1 - 하중응동 제동액압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하중응동 제동액압 제어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6599B1
KR900006599B1 KR1019870011821A KR870011821A KR900006599B1 KR 900006599 B1 KR900006599 B1 KR 900006599B1 KR 1019870011821 A KR1019870011821 A KR 1019870011821A KR 870011821 A KR870011821 A KR 870011821A KR 900006599 B1 KR900006599 B1 KR 900006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load
hydraulic pressure
cap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1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4985A (ko
Inventor
무쓰로오 아마코시
Original Assignee
지도오샤기기 가부시키가이샤
토오무라 토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도오샤기기 가부시키가이샤, 토오무라 토시오 filed Critical 지도오샤기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4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4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6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8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vehicle weight or load, e.g. load distribution
    • B60T8/1837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vehicle weight or load, e.g. load distribution characterised by the load-detecting arrangements
    • B60T8/185Arrangements for detecting vehicle lev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8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vehicle weight or load, e.g. load distrib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8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vehicle weight or load, e.g. load distribution
    • B60T8/181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vehicle weight or load, e.g. load distribution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pressure reduction
    • B60T8/1831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vehicle weight or load, e.g. load distribution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pressure reduction pressure reducing or limit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26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characterised by producing differential braking between front and rear wheels
    • B60T8/26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characterised by producing differential braking between front and rear wheels using valves with stepped characteristics
    • B60T8/265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characterised by producing differential braking between front and rear wheels using valves with stepped characteristics for hydraulic brak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ydraulic Control Valves For Brake System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하중응동 제동액압 제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하중응동 제동액압 제어장치의 플런저 하단부 주변의 종단면도.
제2도는 종래의 하중응동 제동액압 제어장치의 종단면도.
제3도는 하중응동 제동액압 제어장치의 입출력 액압 관계의 그래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액압제어장치 3 : 하중검지 레버
4 : 인장스프링 6a : 플런저 상단부
6 : 플런저(P1unger) 6b : 플런저하단부
9 : 지점 18 : 스템(Stem)
18a : 스템플랜지부 27 : 보조스프링
31 : 스프링 35 : 캡
35a,35b : 요부 35c : 격벽
35d : 지지공 35e : 플랜지부
36 : 볼 37 : 고무 디스크.
본 발명은 마스터 실린더의 출력 액압을 적재하중에 대응하여 소정비율로 감소시키는 하중응동 제동액압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압통로에 배설된 개페 밸브를 개폐작동시키는 플런저와, 이 플런저에 대하여 적재하중에 응한 누름력을 작용시키는 스템이 브레이크 작동시에 상호 충돌 하여 이음(異音)이 발생하는것을 방지한 액압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같은 종류의 액압 제어장치는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에서 리어 펄(rear wheel) 실린더에 이르는 액압통로의 도중에 배설되어 있고, 제동 초기에서의 낮은 제동력시에는 전륜측과 동등한 제동력을 후륜측에 부여하여 제동력이 소정치 이상으로 될 시에는 전륜측 보다 적은 제동력을 후륜측에 부여하여 이것에 의하여 후륜 록크를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트럭중의 차량에서는 적재하중의 대소에 의하여 후륜록크가 생기는 제동력의 크기가 상이하게 되므로 후륜 제동력의 비율을 감소시켜서 초기단계의 제동력의 크기를, 적재하중이 큰 경우에는 크게 하고, 적은 경우에는 작게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액압 제어장치(1)는 샤시 프레임(2)에 고정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 인술된 하중 검지 레버(3)의 선단부는 인장 스프링(4)을 통하여 차축측 -브랏켓트(5)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하중 검지 레버(3)는 지점(9)을 중심으로서 상하이동 가능하게 배설되어 있다. 액압 제어장치(1)의 내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습동자재로운 플런저(6)가 수납되어 있고, 이 플런저(6)의 주위에 입력압실(7)과 출력압실(8)이 형성되어 있다.
입력압실(7)은 관로(11)에 의하여 도시하지 않은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와 연결되고, 또한, 출력압실(8)은 관로(12)에 의하여 도시하지 않은 리어 윌 실린더와 연결되어 있다. 출력압실(8)의 상방에는 밸브실(13)이 형성되며, 이 밸브실(13)과 입력압실(7)은 연통로(14)에 의하여 상호 연통되어 있다. 또한, 밸브실(13)과 출력압실(8)은 밸브 시트(seat) 구멍(15)에 의하여 연통되고, 이 밸브 씨트 구멍(15)은 볼 밸브(16)에의하여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플런저(6)의 상단부(6a)는 밸브 씨트 구멍(15)에 삽입되어 항시 볼 밸브(16)를 스프링(17)에 대항하여 밀어 올려 밸브 씨트 구멍(15)을 개방하고 있다. 또한, 플런저(6)의 하단부(6b)는 하중 검지 레버(3)와 일체로 된 스템(18)에 맞닿아서 인장 스프링(4)의 힘에 의하여 플런저(6)가 밀려 올려진다. 또한, 플런저(6)의 상단부에 형성된 단부(6c)는 항시 출력압실(8)의 단벽(19)과 맞닿아서 이 단벽(19)에 의하여 플런저(6)의 압상력이 저지된다.
입력압실(7) 및 출력압실(8)에 임해서 플런저(6)의 외주면에는 소수압면(22)과 대수압면(23)이 형성되고, 입력압실(7)에 브레이크 작동액압이 공급되면 상기 수압면적 차이에 의해 플런저(6)가 하방으로 눌리도록되어 있다.
종래의 액압 제어장치(1)는 개략 상술한 바와같이 구성되어서 입력압실(7)로 브레이크 작동액압이 공급되면 이 액압은 연통로(14), 밸브실(13), 밸브 씨트 구멍(15) 및 출력압실(8)를 통하여 리어 힐 실린더로 공급된다.
또한, 프론트 필(front wheel) 실린더에는 별도 계통의 액압통로를 통하여 입력압실(7)과 동일압의 액압이 공급된다. 플런저(6)는 소수압면(22)과 대수압면(23)의 면적 차이에 의해 인장 스프링(4)에 대항하여 하향으로 눌리지만, 볼 밸브(16)가 폐색될 때 까지는 프론트 윌 실린더와 동일압의 액압이 리어 횔 실린더로공급된다. 그러나, 입력압실(7)의 액압이 어느 정도 상승하면 롤 밸브(16)가 페색되고, 이 이후는 입력압실(7)의 액압상승→플런저(6)의 상숭→올 밸브(16)의 개방→플런저(6)의 하강이 되어 플런저(6)가 입력차로 상하이동하고, 이결과 입력압실(7)의 액악이 소정비율로서 감압되어 출력압실(8)을 나와서 리어 필 실린더로 도입된다.
제3도는 입력압실(7)과 출력압실(8)의 압력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으로, 공하시에는 A점에서 감압작용이 행해지고, 적하시에는 B점에서 감압작용이 행해지는 상황을 나타낸 것이다. 차량의 하물 적재대에 하물이 적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 즉 공하시에는, 액압 제어장치 1이 붙이 있는 샤시프레임 2가 차측쪽의 브라켓트 5에 대해 비교적 높은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스템(stem) 18 및 플런저 6은 제2도에서 아래쪽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비제동시에 볼 밸브 16과 밸브 시트 구멍 15사이의 간격은, 비교적 좁게 설정되게 된다. 그러나, 입력압실(7)에 브레이크 작동액압이 공급되면, 공급개시 시점 0에서부터 점 A(출력이 비교적 낮은 때의점)까지는, 볼 밸브 16이 밸브 시트 구멍 15을 폐색하지 않으면서 밸브가 열린 상태가 유지되기 위해서, 출력 액압이 비교적 높은 비율로 증대된다.
그리고 점 A에서 처음으로 볼 밸브 16으로 밸브 시트 구멍이 폐색된 이후에는, 볼 시트 밸브 16의 개폐작동이 반복되고, 출력 액압(브레이크압)의 증대비율이 감소된다. 한편 차량의 하물 적재대에 화물이 적재되어 있는 경우, 즉 적하시에는, 샤시프레임 2가 차축쪽의 브라켓 5에 대해 아래쪽으로 가라 앉으므로, 이에 따라서 스템 18 및 플런저 6이 욋쪽으로 밀려 올라가게 된다.
그 결과, 올 밸브 16도 스프링 17에 대항하여 위쪽으로 밀려 을라가고, 볼 밸브 16과 밸브 시트 구멍 15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올 밸브 16이 닫히게 되는 것은, 점 A보다도 큰 압력인 B점으로 되고 B점이후에 출력 액압의 증대 비율이 감소된다.
이와같이 적하시와 공하시에는 하중 검지 레버 3의 작용에 따라 볼 밸브 16과 밸브 시트 구명 15사이의간격이 상이하게 되고 출력 액압(브레이크력)의 증대 비율의 감소 동작 거시시점이 변경된다.
구체척으로 공하시에는 낮은 브레이크압의 시점에서 압력중대 비율의 감소작용이 이루어지고, 적하시에는높은 브레이크압이 될때까지 비교적 급격히 상승하고, 그 후에 압력 증대비율의 감소 작용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적재하중이 클수록 후륜 제동력의 비율이 감소하고 초기 단계의 제동력의 크기를 크게하고 있으므로 공하시에 있어서 예상의로 후륜 록크가 생긴다던지, 또는 적하시에 있어서 제동력의 부족이 생기지 않게 되는 것이다.
종래의 액압 제어장치(l)는 상술한 바와같이 작동하지만, 이 장치(1)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지적되고있는 것이다.
즉, 공하시등에 있어서는 스템(18)과 플런저(6)의 하단부(6b)와의 사이에 간격이 존재하기 때문에 브레이크 작동시에 스템(18)과 플런저(6)의 하단부(6b)가 상호 총돌하여 금속끼리 충돌에 의한 타음(strikin9noise)이 발생한다.
이 타음은 운전석의 정숙성을 손상시킴은 뭍론이고, 경우에 따라서는 타음에 의한 진동이 브레이크 폐달로 전파하여 운전의 쾌적성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도 고려되어야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의한 것으로, 그 목적은 하중 검지 레버의 스템과 플런저와의 충돌에 의한 이음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하중응동 제동액압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술한 이음 발생 방지효과에 의하여 운전석의 정숙성 내지는 쾌적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하중응동 제동 액압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에서 리어 휠 실린더에 이르는 액압통로에 배설된 개폐 밸브와, 상기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의 출력 액압이 응동되어 상기 개폐 밸브를 개폐하는 플런저와, 하중 검지 레버와 일체로되고 적재하중에 따라서 상기 플런저를 밸브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누르는 스템으로 구성된 하중응동 제동액압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와 스템과의 맞닿는 면에 탄성부재를 배설한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제1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스템(18)에 합성수지제 캡(35)이 습동자재로 기워맞춤되어 있다. 이 캡(35)에는 상하 양측으로 요부(35a)(35b)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요부(35a)(35b)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요부(35a)(35b)를 차단하는 격벽(35c)의 상면 중앙부에는 지지공(35d)이 형성되고, 이 지지공(35d)에 스틸(steel) 볼(36)이 수납 지지되어 있다.
한편, 캡(35)의 상단 외주에는 스프링 받침용의 플랜지부(35e)가 형성되며, 이 플랜지부(35e)와 스템(18)측의 플랜지부(18a)와의 사이에 보조스프링(27)이 배설되어 있다. 이 보조스프링(27)은 전술한 인장 스프링(4)의 단손시에 플런저(6)에 필요한 최저한도의 압상력을 작용시켜서 볼 밸브(16)를 개방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캡(35)의 요부(35b)에는 탄성부재로서의 고무 디스크(37)가 캡(35)과 스템(18)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배설되어 있다. 따라서, 플런저(6)의 하단부(6b)와 스템(18)과의 사이에는 고무 디스크(37), 캡(35)의격벽(35c) 및 볼(36)을 사이에 두고, 이 상태하에서 이 양자가 상호 걸어맞충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28)의 단부(28a)와 스템(18)의 플랜지부(18a)와의 사이에 배설된 스프링(31)은 전술한 인장 스프링(4)의 단손시에 있어서 제1도에 나타낸 하중 검지 레버(3)를 지점(9)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전운동시켜 스톱퍼 볼트(32)로 정착시키기 위한 것이다. 액압 제어장치의 그의 부분의 구성은 제2도에 나타낸 종래 장치와 같은 것이어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액압 제어장치에 있어서는 스템(18)과 플런저(6)와 고무 디스크(37), 캡(35) 및 볼(36)를 통하여 맞닿아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비 제동시에 스템(18)이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여도 이진동 충격력은 고무 디스크(37)에 의하여 완화, 흉수되어 스템(18)과 플런저(6)와의 덜컹거러는 소리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제동시에 있어서는 스템(18)의 압압력이 고무 디스크(37), 캔(35) 및 볼(36)를 통하여 종래와 동일하게 플런저(6)에 작용한다. 따라서,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의 출력 액압은 적하하중에 대응된 소정 비율로서 감압되어서 리어 윌 실린더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볼(36)은 지점(9)을 중심으로 하는 스템(18)의 요동력이 플런저(6)에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기위한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수종의 변형이 가능한 것이다.
예컨대, 상기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로서 고무 디스크(37)를 사용한 것이지만, 고무 디스크(37)대신에 스프링 왓샤등을 채용하여도 되는 것이다. 또한, 캡(35)이나 볼(36)은 반드시 본 발명의 필수 요소는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 수종의 설계 변경이 가능한 것으로, 예컨대 캡(35)의 하단부를 원주상으로 하고, 스템(18)측에 이 원주상 부분이 습동자재로 삽입되는 구멍을 형성하여, 이 구멍 저부에 탄셩부재를 배설하여 구성하여도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템과 플런저와의 맞닿는 면에 탄성부재를 배실한 것이어서 브레이크 작동시에 있어서의 스템과 플런저와의 충돌력은 탄성부재에 의하여 완화, 홉수되어 종래와 같은 이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있어서 운전석의 정숙성 내지는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동시에 있어서는 스템의 압압력이 탄성부재를 통하여 종래와 마찬가지로 플런저에 작용하여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의 출력 액압이 소정비율로 감압되어서 리어 휠 실린더로 공급된다.

Claims (6)

  1.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에서부터 리어 윌 실린더에 이르는 액압통로에 배설된 개폐 밸브와, 상기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의 출력 액압에 응동되어 상기 개폐 밸브를 개폐하는 플런저(6)와, 하중 검지 레버(3)와 일체로 되고 적재하중에 대응하여 상기 플런저(6)를 밸브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누르는 스텡(18)으로 구성원하중웅동 제동액압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6)와 스템(18)과의 사이에 탄성부재를 개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응동 제동액압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37)를 캡(35)의 일방의 요부(35b)에 배설함과 동시에 상기 캡의 격벽(35c)를 사이에 두고 타방의 요부(35d)에 볼(36)을 배설하고, 상기 캡(35)의 일방의 요부(35b)내로 상기스텡(18)올 끼워맞추고, 상기 플런저(6)와 스텡(18)을, 상기 탄성부재(37)와, 상기 캡(35)의 양 요부(35b)(35d)를 차단하는 격벽(35c) 및 상기 볼(36)을 사이에 두고, 상호 걸어 맞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응동제동액압 제어장치.
  3. 제2항애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가 고무 디스크(37) 또는 스프링 왓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웅동제동액압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캡(35)의 하단부를 원주상으로 하고, 상기 스텡(18)에 이 원주상 부분이 습동자재로 삽입되는 구멍을 형성하며, 이 구멍의 저부에 탄성부제를 배설하여, 상기 플런저(6)와 스템(18)을, 상기 탄성부재와 캡(35) 및 이 캡(35)의 상단측으로 배설된 볼(36)을 사이에 두고, 상호 걸어맞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응동 제동액압 제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가 고무 디스크(37) 또는 스프링 왓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응동 제동액압 제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16) 및 스템(8)을, 탄성부재인 고무 디스크(37)로 직접적으로 맞닿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응동 제동액압 제어장치.
KR1019870011821A 1986-10-27 1987-10-23 하중응동 제동액압 제어장치 KR9000065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6164494U JPH0322055Y2 (ko) 1986-10-27 1986-10-27
JP164494 1986-10-27
JP164.494 1986-10-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4985A KR880004985A (ko) 1988-06-27
KR900006599B1 true KR900006599B1 (ko) 1990-09-13

Family

ID=15794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1821A KR900006599B1 (ko) 1986-10-27 1987-10-23 하중응동 제동액압 제어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781420A (ko)
JP (1) JPH0322055Y2 (ko)
KR (1) KR9000065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6251A (en) * 1988-12-15 1993-08-17 Automotive Products, Plc Vehicle braking systems
KR100282765B1 (ko) * 1996-12-20 2001-02-15 요시다 도시오 하중 응답 브레이크용 제동 유압 제어 장치
JP4234252B2 (ja) * 1999-03-31 2009-03-04 株式会社リズム 荷重応動型ブレーキ液圧制御弁
CN116164002B (zh) * 2022-12-30 2023-08-08 广东智能无人系统研究院(南沙) 一种具有轻量化组合式阀芯的集成式感载比例阀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655299C3 (de) * 1966-10-18 1974-07-18 Alfred Teves Gmbh, 6000 Frankfurt Lastabhängig arbeitender Bremsdruckregler für eine druckmittetbetätigbare Fahrzeug-Bremsanlage, insbesondere eine Kraftfahrzeug-Bremsanlage
GB1240590A (en) * 1968-07-20 1971-07-28 Aisin Seiki Load responsive hydraulic brake pressure control mechanism of an automotive vehicle
JPS4821745B1 (ko) * 1969-07-14 1973-06-30
US3645585A (en) * 1970-02-09 1972-02-29 Bendix Westinghouse Automotive Brake-balancing valve with brake tape compensating means
BE792190A (fr) * 1971-12-04 1973-03-30 Bromsregulator Svenska Ab Dispositif de transformation d'une force en signal pneumatique
JPS5211388B2 (ko) * 1972-04-19 1977-03-30
FR2297756A1 (fr) * 1975-01-17 1976-08-13 Dba Correcteur double de freinage
US4101176A (en) * 1975-04-01 1978-07-18 Societe Anonyme Dba Braking correction device
GB1557006A (en) * 1975-07-14 1979-12-05 Girling Ltd Vehicle load sensing arrangements
IN150635B (ko) * 1979-01-16 1982-11-20 Lucas Industries Ltd
JPS6013036B2 (ja) * 1980-07-25 1985-04-04 北興化学工業株式会社 エチニルマグネシウムクロリドの製造法
JPS5729302A (en) * 1980-07-30 1982-02-17 Ishizaki Press Kogyo Kk Button attaching structure
EP0053528B1 (fr) * 1980-11-28 1984-08-29 Societe Anonyme D.B.A. Correcteur de pression de freinage
FR2559722B1 (fr) * 1984-02-22 1986-12-05 Dba Correcteur de freinage influence par la charge du vehicule
JPS6192947A (ja) * 1984-10-09 1986-05-10 Nissan Motor Co Ltd ブレ−キの液圧制御バルブ
DE3441964C2 (de) * 1984-11-16 1995-05-04 Teves Gmbh Alfred Bremsdrucksteuereinhe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22055Y2 (ko) 1991-05-14
US4781420A (en) 1988-11-01
KR880004985A (ko) 1988-06-27
JPS6369664U (ko) 1988-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6599B1 (ko) 하중응동 제동액압 제어장치
US4315659A (en) Vehicular anti-skid brake device
US4595243A (en) Deceleration and pressure sensitive proportioning valve
US4925252A (en) Automobile brake system
JPS6220934B2 (ko)
KR100489669B1 (ko) 주브레이크실린더
US4119354A (en) Hydraulic brake control assembly
JPH0215422B2 (ko)
US4600245A (en) Liquid pressure control device for anti-lock brake system
US5737919A (en) Master cylinder with improved safety
US4721345A (en) Actuator of anti-skid device for motor vehicles
JPS6033697B2 (ja) ブレ−キ力修正装置
KR100282764B1 (ko) 하중 응답 브레이크용 유압 제어 장치
JPS6171259A (ja) 車両用ブレーキ装置
GB2069637A (en) Fluid pressure control valve assembly for automotive braking system
JPH0220136Y2 (ko)
KR100234216B1 (ko) 플로우 벨브를 가진 자동차의 abs용 완충밸브
JP2886703B2 (ja) 液圧制御弁
KR100282765B1 (ko) 하중 응답 브레이크용 제동 유압 제어 장치
JPH0356936B2 (ko)
JPH0243821Y2 (ko)
JP2560088Y2 (ja) 荷重応動型制動液圧制御装置
KR200251520Y1 (ko) 로드센싱밸브를구비한공기브레이크시스템
KR200152252Y1 (ko) 차량용 브레이크캘리퍼의 복원력 보강구조
JPS606818B2 (ja) 車輌用アンチスキツドブレ−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9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