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6183B1 - 광학식 픽업 장치 - Google Patents

광학식 픽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6183B1
KR900006183B1 KR1019870001849A KR870001849A KR900006183B1 KR 900006183 B1 KR900006183 B1 KR 900006183B1 KR 1019870001849 A KR1019870001849 A KR 1019870001849A KR 870001849 A KR870001849 A KR 870001849A KR 900006183 B1 KR900006183 B1 KR 900006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holder
frame
wires
wire
app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1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9353A (ko
Inventor
료이찌 가와사끼
마사미 시미즈
고조 스즈끼
노리요시 오야마
도미오 우찌다
Original Assignee
상요 덴기 가부시기가이샤
이우에 사또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467928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5057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115843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46459B2/ja
Application filed by 상요 덴기 가부시기가이샤, 이우에 사또시 filed Critical 상요 덴기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9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9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6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5DC motors; Unipolar motors
    • H02K41/0352Unipolar motors
    • H02K41/0354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focusing onl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25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 G11B7/0932Details of sprung suppor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25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 G11B7/0935Details of the moving pa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1/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magnetic circuits
    • H02K2201/18Machines moving with multiple degrees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광학식 픽업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그 와이어의 부착상태를 도시한 단면의 약도.
제3도는 렌즈홀더로의 포커싱코일 및 트랙킹코일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4도는 렌즈홀더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제5a 및 (b)는 각각 자기회로의 자속방향을 도시한 평면 및 측면 모형도.
제6도는 와이어의 휘어지는 정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렌즈홀더 2 : 대물렌즈
12 : 프레임 13,14,15,16 : 와이어
17 : 프린트기판 18 : 구멍부재
본 발명은 신호 기록매체에 기록된 신호를 광학적으로 독출하기 위한 광학식 픽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물렌즈의 자세 제어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광학식 픽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호 기록매체로부터 광학식 픽업장치를 사용하여 신호 독출을 행하는 장치가 존재한다. 상기 장치의 대표적인 것으로서는, 디지탈신호에 대응하는 요철이 형성된 콤팩트디스크(CD)를 재생하는 CD플레이어가 공지되어 있다. 상기 CD플레이어에 있어서는, 상기 광학식 픽업장치에서 발생된 광 비임을 디스크상의 신호면에 정확하게 수속(收束)시키기 위하여 이 광 비임을 광 축방향, 소위 포커싱 방향으로 제어하는 포커싱제어 및 디스크상의 신호 트랙에 추종시키기 위하여 상기 광 비임을 디스크의 래디얼방향, 소위 트랙킹 방향으로 제어하는 트랙킹제어를 행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통상의 광학식 픽업장치는 대물렌즈를 렌즈홀더내에 배치하고, 이 렌즈홀더에 트랙킹코일 및 포커싱코일을 권회하여 상기 트랙킹코일 및 포커싱코일에 제어신호를 공급하여 트랙킹제어 및 포커싱제어를 행하고 있다. 그때문에, 상기 광학식 픽업장치는, 공급되는 제어신호에 따라서, 트랙킹방향 및 포커싱방향으로 자유로이 움직이도록 렌즈홀더를 지지할 필요가 있었다.
그와 같은 광학식 픽업장치로서는, 예를들어 일본국 특허 공개(소) 제57-127,934호 공보 제1도와 같이, 렌즈홀더로 되는 피구동체를 지지하기 위하여 점 탄성체로 이루어진 지지체를 사용하는 방법이 나타나 있지만, 상기 지지체가 탄성을 갖기때문에, 상기 지지체의 축방향으로 가하는 힘에 의하여 비틀림이 생기고, 상기 렌즈홀더의 자세를 바르게 유지할 수 없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예를들어, 4개의 강선재를 평행으로 배치하고, 이 강선재의 일단을 프레임에 고정함과 동시에, 타단에 렌즈홀더를 고정하여 편지형(片持型)으로 한 지지장치가 종래 공지되어 있다. 이 지지장치는, 편지형인 때문에 지지체로서 축방향으로 탄성을 갖지 않은 강선재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축방향으로 가하는 힘에 대해서 렌즈홀더의 자세가 흐트러지지 않는 이점을 갖는다.
그렇지만, 상기 강선재(와이어)를 사용하는 편지형의 지지장치는, 상기 와이어만으로 렌즈홀더의 중량을 보존하여야 하며, 상기 와이어를 굵게하여 강도를 크게하여야 하므로, 스티프네스가 크게 되고, 공진 주파수가 높게되며, 진동에 약한 결점이 있었다. 또한, 트랙킹제어 및 포커싱제어를 행할때의 구동력의 언밸런스나 렌즈홀더 중량의 언밸런스에 의하여 회전동작이 발생하고, 바른 자세를 지탱할 수 있는 결점이 있었다.
그때문에, 본원 출원인은 앞서 일본국 특허출원(소) 제59-273,110호의 명세서 및 도면에 나타낸 바와같이 와이어의 일단을 광학식 픽업장치의 외부틀로 되는 프레임에 고정하고, 이 와이어의 타단을 이 프레임에 천설된 구멍에 삽입하고, 상기 와이어의 중간부를 렌즈홀더에 결합하여 이 렌즈홀더를 상기 프레임에 지지함으로써 상술한 결점을 해결한 광학식 픽업장치를 제안하였다. 상기 광학식 픽업장치는 렌즈홀더의 중앙에 대물렌즈를 배치하고, 이 렌즈홀더를 중점 위치의 4점에서 와이어와 결합하고 있음과 동시에 포커싱코일 및 트랙킹코일을 상기 렌즈홀더에 상기 결합점의 4점을 이어서 형성되는 가상면에 대해서 면대칭으로 하고, 또한 자기회로를 상기 가상면에 대해서 면대칭의 자계가 발생되도록 구성하고 있었다. 그때문에, 와이어 각각의 결합점의 중심이 되는 지점과 자기회로의 자계 및 구동코일에 흐르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발생하는 힘의 합력의 작용점이 함께 렌즈홀더의 중심에 위치하여,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상술한 편지형 지지장치가 갖는 결점이 거의 해결되었다.
그렇지만, 일본국 특허출원(소) 제59-273,110호에 나타나는 광학식 픽업장치는 와이어의 각각의 단의 결합 방법이 다르고, 렌즈홀더의 이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항력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이 와이어와 렌즈홀더와의 결합점의 위치를 고려하지 않고 관습적으로 대개 프레임 양 단간의 중점 위치에서 상기 와이어와 렌즈홀더를 결합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 렌즈홀더가 포커싱방향으로 이동한때에 대물렌즈가 기울고, 대물렌즈에 수차가 발생하며, 신호독출의 신뢰성이 저하해 버릴 염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렌즈홀더가 포커싱방향 및 트랙킹방향으로 이동한 때에 대물렌즈가 너무 기울지 않도록 와이어 길이에 여유를 둘 필요가 있고, 광학식 픽업장치를 소형화하는데 장해로 되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점에 감안하여 된 것으로, 일단이 프레임에 고정됨과 동시에 타단이 이 프레임에 천설된 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프레임의 양단간에 길게 늘어진 복수개의 와이어와, 대물렌즈가 보존되고 있음과 동시에 상기 프레임 양단간의 중점위치로부터 와이어의 프레임에 고정된 단으로부터 먼 부분으로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의 각각에 결합된 렌즈홀더를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렌즈홀더와 복수개의 와이어의 각각의 결합점을 프레임 양단간의 중점위치로부터 와이어의 프레임에 고정된 단으로부터 소정량 멀리 함으로써 렌즈홀더가 포커싱방향 및 트랙킹방향으로 이동한때의 대물렌즈의 기울어짐을 억제하도록 한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 (1)은 일체 성형된 통(1a)내에 대물렌즈(2)를 구비하는 렌즈홀더, (3)은 이 렌즈홀더(1)에 장착된 포커싱코일, (4)는 상기 렌즈홀더(1)에 장착된 트랙킹코일, (5)는 한쌍의 영구자석(6) 및 (7)과 이 한쌍의 영구자석(6) 및 (7)의 각각에 부설된 요오크(8) 및 (9)와 이 요오크(8) 및 (9)사이에 가설된 플레이트(10) 및 (11)로 이루어지며, 자계를 형성하는 자기회로, (12)는 이 자기회로 (5)가 부착된 프레임, (13) 내지 (16)은 이 프레임(12)에 상기 렌즈홀더(1)을 지지하기 위한 와이어, (17)은 이 와이어(13) 내지 (16)의 일단을 고정하기 위한 프린트기판, (18)은 상기 와이어(13) 내지 (16)의 타단이 삽입되는 구멍(18a)를 갖는 구멍부재이다. 그리고, 상기 프린트기판(17)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나사(19)에 의하여 프레임(12)에 고정되어 있으며, 와이어(13) 내지 (16)의 일단이 상기 프레임(12)의 구멍(12a)를 관통해서 상기 프린트기판(17)에 납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멍부재(18)은 나사(20)에 의하여 프레임(12)에 고정되어 있으며, 와이어(13) 내지 (16)의 타단이 상기 프레임(12)의 덤프재가 충전된 구멍(12b)를 관통하여 상기 구멍부재(18)의 구멍(18a)에 삽입되어 있다.
포커싱코일(3) 및 트랙킹코일(4)는 렌즈홀더(1)에 장착되어 있지만,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 포커싱코일(3)은 렌즈홀더(1)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권장되면, 상기 트랙킹코일(4)는 상기 렌즈홀더(1)의 정면으로부터 배면을 돌아 다시 정면으로 되돌아오도록 대물렌즈(2)를 끼워서 2개 권장되어 있다.
그런데, 렌즈홀더(1)에는 제4도의 부분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대물렌즈(2)가 지지되는 통(1a)가 형성된 윗면으로부터 복수의 구멍(21)이 천설되어 있다. 상기 구멍(21)은 개구로부터 안을 향해서 서서히 좁게되어 있음과 동시에 관통하지 않고 폐색되어 있으며, 중앙에 형성된 상기 통(1a)에 대해서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때문에, 렌즈홀더(1)은 대물렌즈(2)가 장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무게 중심이 중앙의 아래쪽으로 치우치고 있으며, 상기 통(1a)에 대물렌즈(2)가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이 렌즈홀더(1)은 무게중심이 중심으로 되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구성된 광학식 픽업장치의 조립을 행할 경우, 우선, 포커싱코일(3) 및 트랙킹코일(4)가 장착된 렌즈홀더(1)을 자기회로(5)의 소정위치에 배치하고, 그후, 일단이 프린트기판(17)에 납땜 고정된 와이어(13) 내지 (16)을 프레임(12)의 외측으로부터 이 프레임(12)의 구멍(12a)에 삽입하고, 상기 렌즈홀더(1)의 부착부(1b)의 구멍에 삽입한후에 상기 프레임(12)의 구멍 및 구멍부재(18)의 구멍(18a)에 삽입하여 계지(係止)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13) 내지 (16)에 상기 렌즈홀더(1)의 부착부(1b)를 접착하면 조립은 완료된다. 이때, 상기 렌즈홀더(1)의 부착부(1b)의 위치가 프린트기판(17)로부터 구멍부재(18)까지의 거리를 2 : 1로 분할한 분할점 P에 일치하도록 상기 렌즈홀더(1)을 와이어(13) 내지 (16)에 접착한다.
상술한 2 : 1이라고 하는 분할점의 수치는, 일단이 굳게 접합(고정)되고, 타단이 부드럽게 접합(이동자재로 지지)된 것의 구부림 모멘트의 해석으로 하중과 휘어짐과의 관계에 있어서, 휘어짐 량이 최대로 되는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이때, 포커싱코일(3)은 평행하는 2면이 각각 영구자석(6) 및 (7)의 N극의 자극면에 대향하고, 트랙킹코일(4)는 렌즈홀더(1)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부분이 각각 영구자석(6) 및 (7)의 N극의 자극면에 대향하고 있다. 또한, 플레이트(10) 및 (11)은 요오크(8) 및 (9)를 통하여 상기 영구자석(6) 및 (7)의 S극의 자극면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자기회로(5)는 제1도의 광학식 픽업장치를 모형화한 평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한 제5a도 및 (b)의 실선 및 파선의 화살표로 나타낸 자속을 발생시킨다. 그때문에, 렌즈홀더(1)에 보존된 대물렌즈(2)를 포커싱코일(3) 및 트랙킹코일(4)에 공급되는 제어신호에 따라서 포커싱방향 및 트랙킹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다. 즉, 상기 포커싱코일(3)의 영구자석(6) 및 (7)의 각각의 자극면에 대향하는 부분에서는, 제5a도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제어신호가 흐르고, 상기 자기회로(5)는 영구자석(6) 및 (7)의 중앙부근으로부터 이 포커싱코일(3)에 대해서, 제5a도의 파선 화살표 방향의 자속을 발생시키고 있는 것으로 되므로, 플레밍법칙에 의하여 렌즈홀더(1)은 제5a도에 있어서 이쪽 또는 저쪽(제1도에 있어서 화살표 A-A'방향)의 포커싱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또한, 제5a도의 실선으로 나타난 자기회로(5)에서 발생되는 원호상의 자속은, 포커싱코일(3)에 제어신호가 흘러도 렌즈홀더(1)의 움직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즉 렌즈홀더(1)의 인접 측면에 있어서, 예를 들면 영구자석(6)으로부터 플레이트(10)으로 향하는 자속에 대해서 생각해 보면, 이 자속과 포커싱코일(3)에 흐르는 전류와의 방향 관계가 반대로 되므로 상기 자속에 의하여 렌즈홀더(1)에는 서로 방향이 반대인 동등한 힘이 인가되게 된다. 그리고, 이것은 제5a도의 실선으로 나타난 각각의 방향 자속에 대해서도 말할 수 있다.
한편, 트랙킹코일(4)의 영구자석(6) 및 (7)의 각각의 자극면에 대향하는 부분에서는, 제5b도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제어신호가 흐르고, 이 트랙킹코일(4)에 대해서, 제5b도의 실선 및 파선의 화살표 방향의 자속을 발생시키고 있으므로, 플레밍법칙에 의하여 렌즈홀더(1)은 제5b도에 있어서 이쪽 또는 저쪽(제1도에 있어서 화살표 B-B'방향)의 트랙킹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적절한 제어신호를 포커싱코일(3) 및 트랙킹코일(4)로 흐르게 함으로써, 렌즈홀더(1)에 보존된 대물렌즈(2)를 소망하는 위치로 구동할 수 있다.
그런데, 와이어(13) 내지 (16)은, 예를들어 인 청동의 선재로 이루어지고, 축방향으로는 탄성을 갖지 않으며, 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13) 내지 (16)은 각각 동일축의 타단이 프레임(12) 및 구멍부재(18)의 구멍에 삽입되어 있을 뿐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렌즈홀더(1)이 포커싱방향 및 트랙킹방향으로 이동할때 상기 프레임(12) 및 구멍부재(18)의 구멍 안을 접동(摺動)하고, 상기 렌즈홀더(1)의 이동은 바르게 행하여진다. 한편, 상기 와이어(13) 내지 (16)은 각각 동일측 일단은, 프레임(12)에 고정된 프린트기판(17)에 납땜 고정되어 있고, 이 와이어(13) 내지 (16)은 각각의 단의 결합 방법이 다르므로, 렌즈홀더(1)의 이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항력이 다르다. 그렇지만, 상기 와이어(13) 내지 (16)의 결합방법을 고려해서, 이 와이어(13) 내지 (16)으로의 상기 렌즈홀더(1)의 접속점을 프레임(12)의 양단간의 거리, 즉 프린트기판(17)로부터 구멍부재(18)까지의 거리를 2 : 1로 분할한 분할점에 일치시키고 있으므로, 상기 렌즈홀더(1)이 포커싱방향 및 트랙킹방향으로 이동하여도 이 렌즈홀더(1)의 수평상태가 보존되며, 대물렌즈(2)의 수평상태는 보존된다. 즉, 일단 a 가 굳게 접합되고, 타단 b가 부드럽게 접합된 와이어의 휘어지는 정도를 도식화한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와이어(실험으로 나타냄의 휘어지는 양이 최대로 되는 점(굳게 접합된 단으로부터 부드럽게 접합된 단으로 향해서 2 : 1로 거리를 분할한 점)에 있어서의 접선은, 언제나 평행하다. 그리고, 상기 렌즈홀더(1)의 부착부(1b)의 위치는, 와이어(13) 내지 (16)의 휘어지는 양이 최대로 되는 점이며, 이 부착부(1b)는 와이어(13) 내지 (16)의 축방향에 대해서 렌즈홀더(1)의 중앙선상에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렌즈홀더(1)의 중심에 대해서 점대칭의 위치에 형성되는데, 상기 렌즈홀더(1)이 상기 와이어(13) 내지 (16)에 의하여 균형이 잡혀져 있기 때문이다.
이상 기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렌즈홀더와 복수개의 와이어의 각각과의 결합점을 프레임 양단간의 중점 위치로부터 와이어의 프레임에 고정된 단으로부터 소정량 멀리 함으로써 상기 렌즈홀더가 포커싱방향 및 트랙킹방향으로 이동한때의 기울어짐을 억제하고, 대물렌즈의 자세를 언제나 디스크면에 대해서 적정하게 하고 있으므로, 신호 기록매체로부터 신호독출이 확실하게 행하여짐과 동시에 장치를 소형화하는데 유리하다.

Claims (1)

  1. 대물렌즈(2)를 구동함으로써 신호독출을 행하기 위한 광 비임을 신호기록매체의 신호면에 수속시키는 광학식 픽업장치에 있어서, 일단이 프레임(2)에 고정됨과 동시에 타단이 이 프레임에 천설된 구멍(18a)에 삽입되고, 상기 프레임의 양단간에 길게 늘어진 복수개의 와이어(14,15,16,17)와 상기 대물렌즈(2)가 보존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에 결합되어서 상기 프레임에 지지된 렌즈홀더(1)를 구비하여, 이 렌즈홀더와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의 각각을 상기 프레임의 양단간의 중점위치로부터 와이어의 프레임에 고정된 단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식 픽업장치.
KR1019870001849A 1986-03-04 1987-03-03 광학식 픽업 장치 KR9000061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58436 1981-10-05
JP86-46792 1986-03-04
JP4679286A JPH0650572B2 (ja) 1986-03-04 1986-03-04 光学式ピツクアツプ装置
JP46792 1986-03-04
JP61158436A JPH0646459B2 (ja) 1986-07-04 1986-07-04 光学式ピツクアツプ装置
JP86-158436 1986-07-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9353A KR870009353A (ko) 1987-10-26
KR900006183B1 true KR900006183B1 (ko) 1990-08-25

Family

ID=26386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1849A KR900006183B1 (ko) 1986-03-04 1987-03-03 광학식 픽업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811320A (ko)
KR (1) KR900006183B1 (ko)
DE (1) DE37069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9228B2 (ja) * 1986-04-22 1997-05-14 ソニー株式会社 光磁気記録装置
JPH01118275A (ja) * 1987-10-31 1989-05-10 Toshiba Corp 光学ヘッド駆動装置
JP2536436Y2 (ja) * 1988-05-25 1997-05-21 シャープ株式会社 対物レンズ駆動装置
US5265079A (en) * 1991-02-15 1993-11-23 Applied Magnetics Corporation Seek actuator for optical recording
US6141300A (en) 1989-06-20 2000-10-31 Discovision Associates Optical actuator including lens assembly with optical axis having symmetric suspensory forces acting thereon and optical disc system including same
US5136558A (en) * 1989-06-20 1992-08-04 Applied Magnetics Corporation Two axis electromagnetic actuator
US5107372A (en) * 1989-09-06 1992-04-21 Daniel Gelbart Focus servo actuator for moving lens scanners
US5729511A (en) 1991-02-15 1998-03-17 Discovision Associates Optical disc system having servo motor and servo error detection assembly operated relative to monitored quad sum signal
US6236625B1 (en) 1991-02-15 2001-05-22 Discovision Associates Optical disc system having current monitoring circuit with controller for laser driver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5808980A (en) 1991-02-15 1998-09-15 Discovision Associates Seek actuator for optical recording
US6069857A (en) 1991-02-15 2000-05-30 Discovision Associates Optical disc system having improved circuitry for performing blank sector check on readable disc
US5677899A (en) 1991-02-15 1997-10-14 Discovision Associates Method for moving carriage assembly from initial position to target position relative to storage medium
US5214513A (en) * 1991-07-11 1993-05-25 Eastman Kodak Company Apparatus for imparting motion to a solid-state image sensor
US5177640A (en) * 1991-10-08 1993-01-05 Applied Magnetics Corporation Two-axis moving coil actuator
US5825545A (en) * 1992-09-21 1998-10-2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stabilizing device
US5920539A (en) 1995-01-25 1999-07-06 Discovision Associates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ression of electromagnetic emissions having a groove on an external surface for passing an electrical conductor
US5748578A (en) 1995-01-25 1998-05-05 Discovision Associates Colpitts type oscillator having reduced ringing and improved optical disc system utilizing same
US6091684A (en) 1995-01-25 2000-07-18 Discovision Associates Optical disc system and method for changing the rotational rate of an information storage medium
US6434087B1 (en) 1995-01-25 2002-08-13 Discovision Associates Optical dis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bias coil and light source to process information on a storage medium
US5742440A (en) * 1995-10-25 1998-04-21 Eastman Kodak Company Actuator with reduced lens tilt error
DE19751378B4 (de) * 1997-11-20 2009-03-19 Deutsche Thomson-Brandt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r Abtasteinrichtung für optische Aufzeichnungsträger
US6801483B2 (en) * 2000-07-13 2004-10-05 Lg Electronics Inc. Optical pickup actuator performable tilting operation
KR100364353B1 (ko) * 2000-09-04 2002-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지지구조
JP2004158080A (ja) * 2002-11-05 2004-06-03 Sharp Corp 光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及び光ピックアップのチルト補正方法
JP4166715B2 (ja) * 2004-02-25 2008-10-15 株式会社リコー 対物レンズ駆動装置,光ピックアップ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KR100690361B1 (ko) * 2005-06-02 2007-03-09 삼성전기주식회사 모바일용 액츄에이터
EP2226801A1 (en) * 2009-03-02 2010-09-08 Thomson Licensing SA Actuator for accessing moving storage media and drive having the actuato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8035A (en) * 1980-07-03 1982-01-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Optical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JPS5771532A (en) * 1980-10-22 1982-05-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Two axia driver
JPS57122030U (ko) * 1981-01-26 1982-07-29
JPS57127934A (en) * 1981-01-30 1982-08-09 Hitachi Ltd Supporter for electromechanical converter
JPS57133529A (en) * 1981-02-13 1982-08-1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Optical head
JPS58111135A (ja) * 1981-12-23 1983-07-02 Akai Electric Co Ltd 光ピツクアツプ装置の対物レンズ上下左右移動装置
US4568142A (en) * 1982-04-26 1986-02-04 Hitachi, Ltd. Objective lens drive apparatus
US4475179A (en) * 1982-06-30 1984-10-02 Eastman Kodak Company Optical disc write/read methods and apparatus with improved focus and tracking control
US4658390A (en) * 1983-04-18 1987-04-14 Sharp Kabushiki Kaisha Optical focus position control in an optical memory system
DE3469814D1 (en) * 1983-05-31 1988-04-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pparatus for driving objective lens of optical disc player
CA1249744A (en) * 1983-08-03 1989-02-07 Mitsuru Takashima Optical pickup having a driving unit
US4633456A (en) * 1984-01-23 1986-12-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wo axis electromagnetic actuator
JPH064415Y2 (ja) * 1984-04-23 1994-02-02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NL8403052A (nl) * 1984-10-08 1986-05-01 Philips Nv Optische inrichting.
JPH0676039A (ja) * 1992-08-28 1994-03-18 Toppan Printing Co Ltd レイアウ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706966C2 (ko) 1990-03-08
KR870009353A (ko) 1987-10-26
DE3706966A1 (de) 1987-09-10
US4811320A (en) 1989-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6183B1 (ko) 광학식 픽업 장치
US4845699A (en) Electric mechanical transducer and optical type pickup apparatus driven by a magnetic field
US7028318B2 (en) Optical head with lens holder supported by suspension wires at central and end portions
US5787067A (en) Optical pick-up apparatus
KR100702636B1 (ko) 2축 액추에이터, 광학 부품 및 광학 디스크 장치
JPH01128238A (ja) 光学手段支持装置
JP2003233919A (ja) 光学式ピックアップ
KR100684011B1 (ko) 광 픽업 엑츄에이터
JPH0349137B2 (ko)
US5231541A (en) Driver for optical system
KR100207626B1 (ko) 렌즈구동장치
US6996039B2 (en) Optical pick-up actuator
JPH0650572B2 (ja) 光学式ピツクアツプ装置
JPS6314334A (ja) 光学式ピツクアツプ装置
JP3401774B2 (ja) 二軸アクチュエータ
JP3317519B2 (ja) 光学系駆動装置
JPS6076039A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KR19980083599A (ko) 광픽업장치의 일체형 엑츄에이터
JPH07201054A (ja) 光学式ピックアップ装置
JP3521540B2 (ja) 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
JPH0538410Y2 (ko)
KR100624850B1 (ko) 광 픽업 장치
KR0150964B1 (ko) 대물렌즈 구동부 지지장치
KR100358098B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
JP2005018837A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10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