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5912Y1 - 디스크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912Y1
KR900005912Y1 KR2019870001864U KR870001864U KR900005912Y1 KR 900005912 Y1 KR900005912 Y1 KR 900005912Y1 KR 2019870001864 U KR2019870001864 U KR 2019870001864U KR 870001864 U KR870001864 U KR 870001864U KR 900005912 Y1 KR900005912 Y1 KR 9000059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cartridge
shutter
disc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18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6790U (ko
Inventor
다다요시 스가하라
히로시 요시다
마사오 오오기다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가다오까 가쓰다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가다오까 가쓰다로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167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67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9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9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04Arrangements for preventing, inhibiting, or warning against double recording on the same blank or against other recording or reproducing malfunc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5/00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 G11B25/04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flat record carriers, e.g. disc, card

Landscapes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디스크 구동장치
제1도는 이젝트판 근방을 나타낸 요부 측면도.
제2도는 디스크 구동장치의 평면도.
제3도는 일부를 절결한 디스크 구동장치의 측면도.
제4도는 홀더의 평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정면도.
제6도는 제4도의 우측면도.
제7도, 제8도, 제9도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평면도.
제10도, 제11도, 제12도는 각각 종래예의 동작을 나타낸 평면도.
제13도는 회동레버 근방을 나타낸 요부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 : (디스크)카아트라지 3b : 셔터
3s : 측연 7 : 홀더
7t : 스토퍼 34 : 이잭트판(레버)
34a : 선단 34b : 설치축
34c : 스프링 34d : 후단연
본 고안은 케이스내에 디스크 형상으 기록매체를 수납한 디스크 카아트리지를 사용한 디스크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스크카아트리지의 셔터의 개폐에 부수되는 오동작을 방지한 디스크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딱딱한 플라스틱제의 케이스내에 디스크형상의 정보기록 대체(이하 디스크라함)를 수압한 디스크카아트리지(이하 카아트리지라함)을 장치내에 도입하여 기록재생을 하는 것에 있어서는, 케이스내의 디스크를 기록 재생헤드에 대향시키기 위하여, 통상, 카아트리지의 셔터를 개방하는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이 셔터를 개방하는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본출원인이 출원한 일본국 실개소 59-177054호에 개시된 것이었다.
이 종래예를 제10도 내지 제13도에 나타내고, 도면에 의거하여, 그 개략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프레임(51)의 소정위치에는 디스크 회전축(52), 자기헤드 및 패드를 탑재한 카아트리지(53), 이 카아트리지(53)를 이동 시키기 위한 스탭핑모터(54)등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
프레임(51)의 양측면에는 측판(55a,55b)이 설치되고, 그 내측에는 로우드레버(56)를 거쳐 카이트리지 홀더(57)(이하 홀더라함)가 배치되고, 이 홀더(57)는 상기 디스크 회전축(52)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도시 생략되었으나, 제10도에 있어서 홀더(57)의 우단에는 카아트리지 삽입구가 설치되고, 이로 부터 카아트리지(58)가 캐리지(53)측을 향하여 삽입된다.
카아트리지(58)는 경질 합성수지로 성형되고 소정위치에 자기헤드 삽입구(59) 및 회전축 삽입구(60)등을 형성한 케이스(61)와, 케이스(61)내에 회전이 자유롭게 수용된 자기디스크(62)와, 케이스(61)의 자기헤드 삽입구(59)를 덮는 셔터(63)등으로 구성되어있다. 전체적으로는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있다.
그리고, 제10도의 상태로부터 카아트리지(58)가 삽입되면, 제1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회동레버(64)의 선단(64a)이 셔터(63)의 측연에 당접하고, 다시더 삽입하면, 회동레버(64)가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셔터(63)가 열리고 홀더(57)의 최심부에 도달했을때에 완전히 개방됨과 동시에 홀더(57)가 강하하여 디스크(62)가 자기헤드에 접촉되어 기록 재생이 행해지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셔터(63)의 개방동작이 가능한 디스크구동장치에서는 카아트리지(58)의 삽입과정에서, 급히 카아트리지(58)을 빼내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다시 삽입동작을 행하는등의 뜻하지 않는 동작이 행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때에는, 회동레버(64)의 선단(64a)이 셔터(63)의 측연을부터 빠져 셔터(63)가 폐쇄되고, 다시 셔터(63)의 전연에 그 선단(64a)이 당접된체 삽입되는 일이있다. 또, 이외의 외력에 의하여 그 선단(14a)과 측연과의 계합이 빗겨져 마찬가지의 상태가 되는것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카아트리지(58)가 소정위치까지 삽입되어 로우드(roud)상태가 되면, 자기헤드가 셔터(63)에 당접하게 되어, 자기헤드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이 종래예에서는 적정한 로우드 상태에 있을때는 셔터(63)의 전연에 당접하여, 카아트리지(58)의 최종위치 까지의 침입을 저지하고, 이로인하여 홀더(57)가 강하하지 않고, 따라서 자기헤드에 셔터(63)가 당접하는 일이 없도록 되어있다. 즉 이 스토퍼(57a)가 디스크 회전축(52)축으로 디스크(62)를 로우딩 할때의 안전장치로서의 기능을 하고 있다. 즉 이 스토퍼(57a)가 디스크 회전축(52)측으로 디스크(62)를 로우딩 할때의 안전장치로서의 기능을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디스크 구동장치에서는 그 스토퍼(57a)가 홀더(57)의 상면으로 부터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끼 때문에 회동레버(64)의 형상에 제한을 받는다.
즉, 제1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회동레버(64)의 아암부(64b)는 스토퍼(57a)의 아래쪽을 통과할 수 있도록 홀더(57)의 하측의 부재(57b)에 의하여 항상 제11도의 반시계 방향으로 힘이 작용되고 있다. 이와같이, 그 스토퍼(57a)의 선단을 회피하도록 구성하면, 아무리해도 홀더(57)의 두께가 증가하게되어, 디스크 구동장치의 박형화에 대응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하는 바는 박형화에 대응할 수 있는 오동작 방지기구를 구비한 디스크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된 정보기록 매체를 수납한 카아트리지를 유지하는 홀더와, 선단부가 카아트리지 배출 방향으로 부세된 상태에서 그 홀더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레버를 구비하여, 카아트리지의 홀더내에의 삽입심도에 따라 레버의 선단부가 카아트리지의 셔터의 측연에 당접한 상태로 회동하고, 카아트리지가 홀더내의 소정위치에 달했을 때엔 그 셔터를 개방하여 기록 재생을 행하는 디스크 구동장치에 있어서, 그 홀더에 레버의 셔터 개방각도 이상의 과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 수단에 의하면 셔터가 폐지된 상태 그 홀더의 최심부에 삽입되었을 경우, 그 레버의 선단부가 카아트리지 선단의 셔터 개폐홈내에 위치할 수가 없고, 셔터의 전연에 당접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셔터의 개방각도까지 레버는 회동하나, 그 이상의 레버의 회동이 저지되기 때문에 셔터 끼움홈의 깊이분 만큼 카아트리지가 소정의 로울딩 위치에 달할수가 없게된다. 이로 인하여 홀더의 하강동작이 행해지지 않고, 자기헤드가 셔터에 당접하는 일은 없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9도는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제1도는 이잭트판(회동레버) 설치부 근방을 나타낸 요부측면도, 제2도는 디스크 구동장치의 평면도, 제3도는 일부를 절결한 디스크 구동장치의 측면도, 제4도는 홀더의 평면도, 제5도는 그 정면도, 제6도는 그 우측면도, 제7도 내지 제9도는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평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프레임, 3은 카아트리지, 3b는 셔터, 7은 홀더, 7t는 스토퍼, 34는 이잭트판, 34a는 이잭트판의 선단부이다.
제2도, 제3도에 있어서 디스크 구동장치는 프레임(1)과, 프레임(1)의 도면에서 하면측으로부터 프레임(1)의 소정위치에 설치되는 하우징(2)과, 디스크 카아트리지(3)삽입측의 프레임(1)의 상면에 접동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드판(4)과, 슬라이드판(4)의 측면에 형성된 측벽(5a)의 캠부(6)와 계합되고 디스크 카아트리지(3)를 유지하는 홀더(7)와, 하우징(2)의 하면에서 상면측으로 돌출한 터언테이블(9)을 회전 구동하고, 터언테이블(9)과 함께 디스크 구동기구를 구성하는 모터와, 하우징(2)의 상면에 있으며,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이송되는 캐리지(12)와, 스팁핑모터(13)에 의하여 그 캐리지(12)를 이송하는 이송기구(14)와, 수동으로 카아트리지(3)를 이잭트 가능한 수동이잭트 기능을 구비한 자동이잭트 기구(8)로 주로 구성되어있다.
제2도, 제3도에 있어서 프레임(1)의 카아트리지 삽입측(A)프레임(1)의 상면에 돌설된 위치결정핀(24)을 거쳐 슬라이드 자재롭게 설치되어있다.
슬라이드판(4)의 측벽(5a,5b)에는 후술하는 홀더(7)의 측면에 설치된 로울러(7e,7f)가 전동하는 캠부(6)가 형성되고, 이 캠부(6)의 후방측(이하, 프레임 1의 카아트리지 삽입측 A를 전방, 스탭핑모터 13설치측을 후방이라 한다)은 아래쪽으로 경사진 경사캠부(6a)가 되고, 저방측은 프레임(1)의 상면과 평행인 평행캠부(6c)로 되어있다.
카아트리지(3)가 삽입되고 이것을 유지하는 홀더(7)는 제4도, 제5도, 제6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양측에 ㄷ자 형상의 카아트리지 유지부(7a,7b)와, 그 카아트리지 유지부(7a,7b)를 연결하는 탄성 박판으로된 연결부(7c)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카아트리지 삽입측(A)에 카아트리지 삽입구(7d)를 구비하고 있다.
홀더(7)의 상기 카아트리지 유지부(7a, 7b)의 측면에는 다시 캠부(6)를 전동하는 로울러(7e, 7f)와, 홀더(7)를 터언테이블(9)방향으로 부세하는 스프링(32)이 계합되는 계합돌기(7g)가 설치되어있다. 또, 이 홀더(7)의 카아트리지 유지부(7a)의 후방측에는 카아트리지(3)의 셔터(3b)를 개방하고, 또한 이잭트 동작의 최종단에서 카아트리지를 배출하는 이잭트판(34)이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홀더(7)의 상판(7s)의 하면에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이잭트판(34)을 설치하는 축(34b)에는 스프링(34c)이 장착되어, 이잭트판(34)의 선단부(34a)를 항상 카아트리지 배출방향으로 부세하고 있다. 그 카아트리지 유지부(7a)의 후단에는 다시 이잭트판(34)의 회동을 규제하는 스토퍼(7t)가 홀더(7)로부터 일체적으로 세워져 설치되어있다.
부호 29는 홀더케이스(12)의 승강용의 지지부재이다.
상면측에 슬라이드판(4)의 슬라이드 자재롭게 장착됨과 동시에, 하면측에 하우징(2)이 설치되는 프레임(1)의 측면에는 도시하지않은 윗뚜껑이 설치되고, 슬라이드판(4)의 가이드도 되는 측판(1a)이 상면측에 돌설되어 있다. 그리고 이 측판(1a)의 카아트리지 삽입측(A)의 단면(1b)에 상기 로울러(7e)가 당접하고, 홀더(4)의 후방측의 슬라이드 위치를 규제하도록 되어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한 디스크 구동장치의 로우딩 동작과, 이에 따른 셔터 개방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홀더(7)의 카아트리지 삽입구(7d)로부터 카아트리지(3)를 삽입하면, 이젝트판(34)의 선단부(34a)의 선단부(34a)가 카아트리지(3)의 서텨(3b)의 개방동작을 행한다. 이 과정에서 카아트리지(3)의 일측의 모서리부(3g)가 계합레버(30)의 돌기(30a)의 측부에 당접하여, 계지부(30d)와 홀더(7)의 후단부(7k)사이에 설치된 스프링(30c)의 탄선력에 대항하여 그 계합레버(3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그 돌기(30a)는 제8도에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같이 카아트리지(3)의 측면(3h)측에 이르고 이 측면(3h)에 접동하게 된다.
그리고, 제8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카아트리지(3)가 홀더(7)의 최심부에 도달하면 셔터(3b)가 완전히 개방되고, 동시에 계합레버(30)가 카아트리지(3)에 형성되어 있는 계합홈(3a)에 측면으로부터 상기 스프링(30c)의 탄성력에 의하여 계합되어 카아트리지(3)는 홀더(70)에 고정된다.
이때, 이젝트판(34)의 후연단(34d)이 상기 스토퍼(7t)에 당접하여 이젝트판(34)이 그이상 회동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이 홀더(7)에 카아트리지(3)가 셔터 개방상태로 고정된 후 슬라이드판(4)과 연동하는 특별히 설명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동작하는 디스크 구동장치에서 카아트리지(3)를 홀더(7)에 삽입하여 로우딩을 할때에 어떤 뜻하지 않은 불합리가 발생하여 셔터가 닫힌상태 그대로 홀더(7)의 안쪽깊이까지 삽입된 경우에는, 그 이잭트판(34)은, 닫힌셔터(3b)의 전연에 그 선단부(34a)가 당접된 상태에서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셔터 개방각도까지 회전하면, 이젝트판(34)의 후단연(34d)이 상기 스토퍼(7t)에 당접하여 그 이상의 회전이 저지된다.
이때, 카아트리지(3)는 상기한 제8도에 나타낸 상태보다도 셔터 개폐홈(3e)의 길이와 셔터(3b)의 전연과의 간격(H)만큼 홀더(7)의 카아트리지 삽입구(7d)측으로 후퇴한 상태로 되어있다. 따라서, 카아트리지(3)를 홀더(7)의 최심부까지 삽입할 수가 없고, 상기 계합레버(30)의 돌기(30a)가 카아트리지(3)의 계합홈(3a)에 계합 할 수도 없다.
이에 의하여, 카아트리지(3)는 홀더(7)에 고정되지 않고, 카아트리지로부터 손을 때면, 이잭트판(34)을 부세하는 스프링(34c)의 탄성력에 의하여 홀더(7)로부터 자동적으로 배출된다. 이와같이 카아트리지(3)가 로우딩 되지 않고 배출되면 무엇인가의 불합리가 생긴 증거이고, 다시 카아트리지(3)를 홀더(7)에 삽입하면, 이 불합리가 해소되어 제7도의 상태로부터 로우딩을 행할 수가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홀더(70에 카아트리지(3)를 고정하고, 홀더(7)와 카아트리지(3)을 일체로 로우딩하는 형식의 것에 적용한 예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종래예와 같이 홀더(57)내를 카아트리지(57)가 이동하여 로우딩되는 형식의 것에도 적요될 수 있음은 말할 것도 없다.
이상과같이 이 실시예에 의하면 홀더(7)에 이잭트판(34)의 회동각을 규제하는 스토퍼(7t)를 설치하므로서, 홀더(7)내에의 카이트리지(3)의 진입을 정상동작시에만 규정할 수 있기 때문에, 오동작을 방지하고, 자기헤드의 파손을 방지 할 수가 있다. 또, 이잭트판(34)을 홀더(7)의 상판(7s)의 하면에 설치할수가 있기 때문에 종래예와 같이 이잭트판(34)의 두께 방향의 형상에 규제를 받는일이 없고, 이에 의하여 홀더(70의 박형화, 나아가서는 디스크 구동장치의 박형화를 촉진할 수가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홀더에 이잭트판의 셔터 개방각도 이상의 과회동을 규제하는 스토퍼를 설칭한 본 고안에 의하면, 로우딩 동작시에 오동작이 원인이 되는 자기헤드의 파손방지와, 디스크 구동장치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Claims (1)

  1.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된 정보기록 매체를 수납한 디스크 카아트리지(3)를 유지하는 홀더(7)와, 선단부가 디스크 카아트리지 배출방향으로 부세된 상태에서 그 홀더(7)에 회동 가는하게 취부된 레버(64)를 구비하고, 디스크 카아트리지(3)의 홀더(7)내에의 삽입 심도에 따라 그 레버의 선단부(64a)가 디스크 카아트리지(3)의 셔터의 측연에 당접한 상태로 회동하고, 디스크 카아트리지 홀더내의 소정위치에 달했을때에 그 셔터(3b)를 개방하여 정보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재생을 행하는 것에 있어서, 그 홀더(7)에 레버(64)의 셔터 개방각도 이상의 과회동을 규제하는 스토퍼(7t)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디스크 구동장치.
KR2019870001864U 1985-11-15 1987-02-19 디스크 구동장치 KR90000591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5174842U JPS6283255U (ko) 1985-11-15 1985-11-15
JP176842 1985-11-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6790U KR880016790U (ko) 1988-10-08
KR900005912Y1 true KR900005912Y1 (ko) 1990-06-30

Family

ID=31113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1864U KR900005912Y1 (ko) 1985-11-15 1987-02-19 디스크 구동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283255U (ko)
KR (1) KR900005912Y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32555A (ja) * 1984-12-03 1986-06-20 日本セメント株式会社 高強度セラミツクス焼結体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283255U (ko) 1987-05-27
KR880016790U (ko) 1988-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85365A (en) Door assembly with inner shutter for closing opening for cartridge insertion in disk drive device
KR930011496B1 (ko) 테이프 레코더용 카세트 호울더 장치
JPS6145459A (ja) テ−プ駆動装置およびテ−プカ−トリツジの装着方法
JP3683239B2 (ja) ライブラリ装置
US5153867A (en) Cartridge shutter actuating device i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US5784351A (en) Loading apparatus for disk cartridge
KR900005912Y1 (ko) 디스크 구동장치
US4755900A (en) Tape cartridge drive with tape biasing arm to allow head movement normal to tape path
EP0151240B1 (en) Guiding and registering multiple sizes of diskettes in a floppy disk drive
US3988779A (en) Edge-loading tape deck or holder
EP0633569B1 (en) Door opening mechanism for ejection of magnetic tape cassette
US7055773B2 (en) Recording tape cartridge
US4839757A (en) Manual head loading mechanism for flexible disk drive
KR100427919B1 (ko) 대소두종류의카세트용자기기록재생장치
JP2908434B1 (ja) フロッピィディスク装置
JP2879626B2 (ja) 光ディスク駆動装置
JP2552144B2 (ja) 磁気記録装置
JP3024481B2 (ja) ディスク装置
KR890005700Y1 (ko) 디스크 카아트리지용 기록 재생장치
JP2658288B2 (ja) カセットホルダー装置
JPH0633572Y2 (ja) デイスク駆動装置
JPH1153797A (ja) カセット装着装置
JP2569490B2 (ja) テープカセットとカセット装着装置との組み合せ構造
JPH02162561A (ja) 情報記憶装置
JPH0731396Y2 (ja) カセツトの二重挿入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