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5813B1 - 직류무정류자모우터의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직류무정류자모우터의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813B1
KR900005813B1 KR1019850009544A KR850009544A KR900005813B1 KR 900005813 B1 KR900005813 B1 KR 900005813B1 KR 1019850009544 A KR1019850009544 A KR 1019850009544A KR 850009544 A KR850009544 A KR 850009544A KR 900005813 B1 KR900005813 B1 KR 900005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command signal
signal
absolute valu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9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5478A (ko
Inventor
도시오 이나지
히로시 미나구로
요시아끼 이가라시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야마시다 도시히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9277169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150695A/ja
Priority claimed from JP6013725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6312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야마시다 도시히꼬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5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5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0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speed or torque of more than one m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1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orque ripple, e.g. providing reduced torque ripp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직류무정류자모우터의 구동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을 실시한 모우터의 주요부에 대한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한 구동회로에 있어서 특정부분에 나타나는 파형을 도시하는 파형도.
제4도는 3상 전기자코일에 공급되는 합성전류가 변조되지 않은 경우에 얻어지는 파형도.
제5도는 3상 전기자코일에 공급되는 합성전류가 변조된 경우에 얻어지는 파형도.
제6도는 제1도에 도시한 구동회로에 사용될 수 있는 변조신호발생회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회로.
제7도는 제6도에 도시한 변조신호발생회로를 이용하는 경우에 제1도의 구동회로에 있어서 특정부분에 나타나는 파형을 도시하는 파형도.
제8도는 3상 전기자코일에 공급되는 합성전류를 제6도에 도시한 변조신호발생회로의 출력신호로 변조한 경우에 얻어지는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3 : 홀소자 4,5, 6 : 3상 전기자코일
7 : 회전축 8 : 디스크
9 : 원판형 회전자자석 10 : 고정자
11 : 베어링 20 : 직류전원
21, 22, 23 : 버퍼증폭기 31, 32, 33 : 감산회로
40 : 정류가산회로 120 : 변조신호발생회로
본 발명은 직류무정류자모우터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회전자위치검출기(예를들면 홀소자)의 출력에 따라서 여자된 전기자의 상을 반도체(예를 들면 트렌지스터)로 순차 절환되도록 구성한 직류무정류자모우터가 음향장치 및 영상장치에 응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직류무정류자모우터는 1상에 대하여 1개의 회전자위치검출기와 1개의 전기자여자제어회로가 필요하며, 모우터의 위상수를 증가시키는 것은 제어회로 자체의 구성이 복잡해지고 고가, 대형화 되므로 실용적이 못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2상 또는 3상의 전기자가 채용되고, 그 결과 토오크리플도 15∼20% P-P'존재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에 대응하여 직류무정류자모우터의 회전속도 변동이 증가하여 음향장치 또는 영상장치의 와우(wow) 또는 플러터(flutter)를 증가시킨다.
최근의 직류무정류자모우터에는 홀소자가 회전자위치검출기로서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잘 알려진 바와같이 홀소자는 감도의 변동이 크고, 이때문에 종래로부터 홀소자의 감도의 변동을 회로기술에 의하여 흡수하고, 또 직류무정류자모우터가 가진 토오크리플도 보정하려고 하는 시도가 거듭되어 왔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소59-35585호(이하 문헌 1로 약칭함)에는 회전자위치검출기로서 3개의 홀소자를 이용하는 대표적인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문헌 1의 구동회로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겠으나, 그 동작의 특징은, 상기 문헌 1에 나타낸 바와같이, 코일의 절환타이밍을 홀소자의 출력이 0으로되는 타이밍으로 맞추므로써 홀소자 출력의 변동에 강하게 하구 코일의 공급전류를 모우터의 회전에 동기한 변조신호에 따라 부분적으로 변조하므로써 토오크리플을 상쇄하는 데에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 1에 기재된 구동장치의 구성에 의하면, 홀소자의 0출력시를 기준으로 회로가 동작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홀소자 출력의 변동에 강하게 할 수는 있었으나, 전기자코일에의 여자제어가 ON/OFF제어로 되므로, 여자되는 코일의 절환에 수반하여 스파이크상 전압을 저감하기 위한 비교적 큰 콘덴서를 가진 필터가 전기자 코일에의 여자용단자에 필요하게 된다. 또, 전기자코일에 흐르는 전류가 급격히 ON/OFF되기 때문에 진동, 소음을 발생하기 쉽다고 하는 결점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직은 회전자위치검출기의 감도 변동에 강하고 저진동, 저소음 및 저 토오크리플을 실현한 직류무정류자모우터의 구동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직류무정류자모우터의 구동장치는, 모우터의 회전자자석의 자극위치를 검출하여 그 위치를 나타내는 다상신호를 출력하는 자극위치검출회로와, 이 자극위치검출회로로부터 다상신호의 정의 부분 흑은 부의 부분의 합을 출력하는 정류가산회로와, 모우터에 의하여 발생될 토오크를 지령하기 위한 토오크지령 신호를 발생하는 지령신호발생회로와, 정류가산회로의 출력신호가 토오크지령신호에 비례하도록 자극위치검출회로의 이득을 조절하는 제1오차 증폭기와, 다상신호에 응답하여 다상전기자코일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회로와, 전기자코일에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수단과, 전기자코일에 공급되는 전류를 변조하는 변조신호발생회로와, 전류검출수단의 출력신호가 변조신호발생회로의 출력신호와 일치하도록 전원회로의 이득을 조절하는 제2오차 증폭기로 구성된 것이다.
자극위치검출회로는 회전자위치검출기, 버퍼증폭기 및 감산기로 구성된다.
회전자위치검출기의 출력은 버퍼증폭기에 의하여 증폭되고, 감산회로는 버퍼증폭기의 2개의 출력신호 간의 차이 신호를 출력한다. 정류가산회로는 감산회로의 차이 신호의 정외 부분 흑은 부의 부분의 합을 출력한다. 정류가산회로의 출력신호는 토오크지령신호에 비례하는 일정한 값으로 제어된다. 토오크지령신호는 외부에서 입력된 신호일 수도 있다.
그 결과, 회전자위치검출기의 감도 흑은 오프셋이 변동하더라도 토오크리플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회전자위치검출기의 감도변동을 방지하거나 그것의 오프셋을 조절하기 위하여 별도의 조치를 취할 필요는 없다.
다상전기자코일에 공급되는 전류는 전압으로 변환되고, 이 전압은 모우터의 회전에 동기된 변조신호와 일치하게끔 제어된다. 다시 말해서, 전기자코일에 공급되는 전류는 모우터에 잔류하는 토오크리플의 상에 대하여 역상을 가지도록 제어된다.
이에 의하면 토오크리플의 저차성분이 제거되므로, 토오크리플이 거의 없는 직류무정류자모우터의 구동회로가 얻어진다.
위치검출회로의 위치신호는 전원회로에 의하여 증폭되어 다상전기자코일로 공급된다.
따라서 각각의 공급전류신호는 사인파형을 가지기 때문에 코일의 여자가 급격한 절환동작에 의하여 제어되는 일은 없다.
그러므로 전류의 절환에 의해 유발되는 스파이크상 전압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것은 스파이크상 전압은 감소시키기 위한 비교적 큰 콘덴서를 가진 필터회로가 없이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을 실시한 전기모우터의 주요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 모우터는 백요오크의 기능을 하는 연철재의 디스크(8)가 장착된 회전축(7)을 가진다.
원판형 회전자자석(9)은 디스크(8)의 하면에 부착되어 회전자를 구성한다.
3상 전기자코일(4)(5)(6)은 연철판으로 된 고정자(10)에 부착된다.
회전축(7)은 고정자(10)에 의해 고정되어 3상 전기자코일(4)(5)(6)로 둘러싸인 베어링(1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홀소자(1)(2)(3)는 3상 전기자코일(4)(5)(6)의 중심부에 각각 배치되어서 회전자자석(9)에 의해 발생되는 자장을 검출하므로써 회전자의 위치를 검출하는데에 이용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구동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이 구동장치는 회전자자석(9)의 자극위치를 검출하여 그 자극위치를 나타내는 3상신호를 출력하는 자극위치검출회로(110)를 가지며, 이 자극위치검출회로(110)는 3개의 홀소자(1)(2)(3)에 전압을 공급하는 직류전원(20)을 가진다. 버퍼증폭기(21)(22)(23)는 홀소자(1)(2)(3)의 뒤에 각각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버퍼증폭기(21)(22)(23)는 홀소자(1)(2)(3)로부터의 차동출력신호를 그 차동출력신호에 비례하는 전류(iH1)(iH2)(iH3)로 변환하여 동일한 크기의 3개의 전류를 출력한다.
또, 자극위치검출회로(110)는 감산회로(31)(32)(33)를 가진다. 버퍼증폭기(21)의 출력전류(iH1) 및 버퍼증폭기(22)의 출력전류(iH2)는 그들간의 차이신호, 즉 전류 iP1(=iH1-iH2)를 출력하는 감산회로(31)에 인가된다. 버퍼증폭기(22)의 출력전류(iH2) 및 버퍼증폭기(23)의 출력전류(iH3)는 그들간의 차이신호, 즉 전류 iP2(=iH2-iH3)를 출력하는 감산회로(32)에 입력된다. 마찬가지로, 버퍼증폭기(23)의 출력전류(iH3) 및 버퍼증폭기(21)의 출력전류(iH1)는 그들간의 차이신호. 즉 전류 iP3(=iH3-iH1)를 출력하는 감산회로(33)에 입력된다. 각각의 감산회로(31)(32)(33)는 동일한 크기의 2개의 전류를 출력한다. 감산회로(31)(32)(33)에 의해 각각 출력된 전류(iP1)(iP2)(iP3)는 전원회로(101)(102)(103)에 각각 입력된다. 감산회로(31)(32)(33)의 다른 출력전류는 다이오우드(41)(42)(43) 및 저항(44)으로 구성된 정류가산회로(40)에 입력된다. 정류가산회로(40)는 감산회로(31)(32)(33)의 출력전류 (iP1)(iP2)(iP3)중 정의 부분만을 저항(44)에 인가되게 하여 정류된 전류의 합에 대응하는 전압을 발생시킨다.
지령신호발생회로(80)는 2개의 출력단자를 가지며, 각각의 단자에서는 토오크지령신호(ET)에 비례하는 전류(토오크지령신호)(iT)가 출력된다. 하나의 출력전류(iT)는 저항(82)에 인가되어 전압으로 변환되고, 이 전압은 제1오차 증폭기(50)의 입력단자에 입력된다.
제1오차 증폭기(50)이 다른 입력단자는 정류가산회로(40)로부터 정류된 전류의 합을 입력받는다. 제1오차 증폭기(50)는 그것에 입력되는 2개의 입력전압을 서로 같게 하여 버퍼증폭기(21)(22)(23)의 이득을 조정한다.
변조신호발생회로(120)는 버퍼증폭기(21)(22)(23)로부터의 전류(iH1)(iH2)(iH3) 및 지령신호발생회로(80)로부터의 토오크지령신호(iT)를 받아서 변조신호(iC)를 출력한다. 이러한 변조신호발생회로(120)는 전류(iH1)(iH2)(iH3)를 절대값으로 변환하여 그것을 가산하는 절대값 가산회로(60)와, 지령신호발생회로(80)의 지령신호(iT)와 절대값 가산회로(60)의 출력전류(ir)간의 차이인 변조신호(iC)를 출력하는 합성회로로 구성된다.
3상 전기자코일(4)(5)(6)은 Y(스타)결선되어서 전원회로(101)(102)(103)의 출력전류(i1)(i2)(i3)를 각각 입력받는다. 전원회로(101)(102)(103)의 입력동작 점은 직류전원(114)에 의하여 결정된다. 저항(111)(112)(113)은 감산회로(31)(32)(33)의 출력전류(iP1)(iP2)(iP3)를 전압으로 변환한다.
저항(RCS)(90)은, 전압으로서 코일(4)(5)(6)에 공급되는 전류(i1)(i2)(i3)를 검출하는데에 이용된다. 제2오차 증폭기(70)는 2개의 입력단자를 가지며, 그중 하나에는 저항(90)에 의해 검출된 전압이 인가된다. 회로(120)에서 발생하는 변조신호는 다른 입력단자에 인가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절대값 가산회로(60)의 출력전류(ir)는 지령신호발생회로(80)의 출력전류(iT)로부터 감산되어 차이전류 iC(=(iT-r)를 발생하며, 이 차이전류((iC)는 저항(71)에 의해서 전압으로 변환된다. 상기 전압은 제2오차 증폭기(70)의 다른 입력단자에 변조신호로서 입력된다. 제2오차 증폭기(70)는 그것에 입력되는 2개의 입력전압을 서로 같게하여 3의 전원회로의 이득을 조정한다.
이하 상술한 바와같이 구성을 가진 직류무정류자모우터용 구동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3도는 회전자의 회전각(θ)(전기각도) 및 제1도의 구동장치에 있어 특정부분에 나타나는 파형을 도시한다. 제3도에 있어서, (a)는 홀소자(1)(2)(3)로부터의 차동출력전압(eH1)(eH2)(eH3)의 파형을 나타낸다. 전압(eH1)은 θ=0일때 정으로 된다.
전압(eH2)은 전압(eH1)에 대하여 120H만큼 지연된다. 또한, 전압(eH3)은 전압(eH2)에 대하여 120°만큼 지연된다. 홀소자(1)(2)(3)는 그 감도에 있어서 차이가 없고 오프셋도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한다.
일반적으로, 영구자석 회전자형 모우터에 있어서 그 영구자석은 모우터의 효율 및 생산얼을 높이기 위하여 사다리꼴 파형으로 자화되어 있다. 따라서, 자장검출 기능을 하는 홀소자의 차동출력전압은 고조파 성분을 포함한다. 제3a도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 제3차 5차 및 7차의 고조파 성분은 기본파에 대하여 각각 12.6%, 2.5% 및 0.6%이다.
제3도에 있어서, (b)는 버퍼증폭기(21)(22)(23)의 출력전류(iH1)(iH2)(iH3)의 파형을 나타내고, (c)는 감산회로(31)(32)(33)의 출력전류(iP1)(iP2)(iP3)의 파형을 나타낸다.
버퍼증폭기(21)(22)(23), 감산회로(31)(32)(33), 정류가산회로(40) 및 제1오차 증폭기(50)는 제어루우프를 구성하기 때문에, 감산회로(31)(32)(33)의 출력전류(iP1)(iP2)(iP3)의 최고값은 모우터에 주어진 지령신호(iC)(제3f도)에 비례하는 일정한 값으로 된다. 홀소자의 감도가 상이하고 오프셋을 나타내더라도, 상술한 제어루우프는 버퍼증폭기의 이득을 조정하여 감산회로(31)(32)(33)의 출력전류(iP1)(iP2)(iP3)의 최고값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한다.
제3도에 있어서, (d)는 절대값 가산회로(60)의 출력전류(ir)의 파형을 나타낸다. 여기서, 전류가 절대값 가산회로(60)에 유입되는 방향을 양의 방향으로 취한다. 절대값 가산회로(60)의 출력전류(ir)는 다음 식으로 표현된다.
Figure kpo00001
제3도에 있어서, (e)는 지령신호발생회로(80)의 줄력전류(iT)이다. 이 전류(iT)의 진폭은 모우터에 주어지는 지령신호에 비례한다.
제3f도는 저항(71)으로 입력되는 전류(iC)를 나타낸다. 지령신호발생회로(80)의 출력전류(iT) 및 절대값 가산회로(60)의 출력전류(ir)에 대한 전류(iC)의 관계는 iC=iT-ir로 주어진다. 전류(iC)의 파형은 6차 리플을 포함한다.
다시 제1도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같이, 전원회로(101)(102)(103)와 전기자코일(4)(5)(6)에 유입되는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는 저항(90)과, 제2오차 증폭기(70)는 제어루우프를 형성한다. 제2오차 증폭기(70)는 저항(90)에 의하여 발생한 전압과 저항(71)에 의하여 발생한 전압을 인가 받아서 전원회로(101)(102)(103)의 이득을 조정한다.
이하,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하여 제어루우프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는 절대값 가산회로(67)의 출력단자가 개회로 일때의 파형을 도시한다.
제4도에 있어서, (a)는 모우터의 회전자자석의 회전에 의하여 3상 전기자코일(4)(5)(6)에 각각 유도되는 3상전압 (e1)(e2)(e3)의 파형을 나타낸다. 유도전압 (e1)은 θ=-30°인 지점에서 양으로 된다. 유도전압(e2)은 (e1)에 대하여 120°만큼 지연되고, 유도전압(e3)은(e2)에 대하여 120°만큼 지연된다. 상기 각각의 유도전압(e1)(e2)(e3)은 홀소자로부터의 차동출력전압(eH1)(eH2)(eH3)에 대하여 30°만큼 전진한다. 전기자코일(4)(5)(6)에서 유도되는 가전압(e1)(e2)(e3)의 최고치는 상호 동일한 것으로 가정한다.
사실상 전기자코일의 형상 및 구성은 기계적으로 정확히 세팅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가정은 실용상 상당히 타당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코일에는 수십 가닥의 전선이 감겨져 있으므로 코일에서 유도된 전압은 비교적 소량의 고조파를 포함한다.
제4a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3차 및 제5차 성분은 기본조파에 대하여 각각 7.1% 및 0.4%이다.
제4도에 있어서, (b)는 각각의 전기자코일(4)(5)(6)에 공급되는 전류(i1)(i2)(i3)를 나타낸다. 감산회로(31)(32)(33)의 출력전류(iP1)(iP2)(iP3)는 각각의 전원회로(101)(102)(103)에 공급된다.
절대값 가산회로(60)의 출력신호는 개방되므로, 전원회로(101)(102)(103)의 이득은 지령신호에 대응하는 일정한 값으로 유지되므로써 입력신호는 직접 선형 증폭된다. 따라서 코일(4)(5)(6)에 공급되는 전류(i1)(i2)(i3)의 파형은 감산회로(31)(32)(33)의 출력전류(iP1)(iP2)(iP3)의 파형과 유사하다. 감산회로(31)(32)(33)의 출력전류((iP1)(iP2)(iP3)는 버퍼증폭기(21)(221(23)의 3개의 출력전류(iH1)(iH2)(iH3)중 2개간의 차이이므로, 항상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Figure kpo00002
따라서, 전원회로(101)(102)(103)에 의해 선형 증폭된 후 코일(4)(5)(6)에 공급되는 출력전류(i1)(i2)(i3)에 대하여는 i1+i2+i3=0의 관계가 성립한다. 즉, 전기자코일로 유입되는 전류의 합은 그 코일에서 흘러나오는 전류의 합과 일치한다. 그러므로 3상 전기자코일(본 실시예에서는 Y결선)에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코일에 유입되는 전류의 합은 지령신호에 비레하는 일정한 값으로 유지된다.
제4도에 있어서, (c)는 모우터의 전기자코일이(b)에 나타낸 전류로 여자되었을 경우에 모우터에 의해 발생하는 토오크의 파형을 도시한다. 모우터에 의해 발생된 토오크는, 코일에 유도된 전압(e1)(e2)(e3)(A에 도시함)과 코일에 공급된 전류(i1)(i2)(i3)(B에 도시함)를 곱한 것의 합에 비례한다. 즉, 토오크는(e1·i1+e2·i2+e3·i3)에 비례하는 것이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발생토오크의 최대치는 θ=30°, 90°, 150°, 210°,‥‥에서 나타나고, 그 최치는 θ=0°, 60°, 120°, 180°,‥‥에서 나타난다.
토오크리플의 주성분은 6차 성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절대값 가산회로(60)의 출력단자가 개회로 일때, 즉 전원치로(101)(102)(103)의 이득이, 3상 전기자코일에 유입되는 전류의 합이 지령신호에 비례하 일정한 값으로 되도록 조정된 경우에, 발생토오크리플의 크기는 약 14% P-P이다.
이러한 토오크리플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코일에 유입되는 전류의 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이득을 조정하는 대신에, 전류의 합이 리플비에 있어서는 제4도에 도시한 토오크파형(c)과 동일하고 위상에 있어서는 그것과 역으로 되도록 이득을 조정한다.
제1도에 도시한 직류무정류자모우터의 구동회로에 있어서, 절대값 가산회로(60)는 변조신호를 발생하여 제4도의 토오크리플을 억제한다. 절대값 가산회로(60)의 출력전류(ir)(제3d도)는 위상에 있어서 제4c도의 토오크파형에 포함된 토오크리플과 동일하다. 이 위상을 역전시키기 위해서는, 지령신호에 비례하는 일정한 전류(iT)(제3e도)로부터 전류(ir)를 감산하여변조신호 iC(제3f도)를 발생한다. 전류검출저항(90)에서 발생하는 전압은 코일에 유입되는 전류의 합을 제2오차 증폭기(70)의 하나의 입력단자에 인가될 전압으로 변환한다. 제2오차 증폭기(70)의 다른 입력단자는, 변조신호((iC)를 저항(71)에 의해 변환시킬때 얻어지는 전압을 받는다. 이 변조신호(iC)는 지령신호발생회로(80)의 출력전류(iT)와 절대값 가산회로(60)의 출력전류(ir)간의 차이다. 전원회로(101)(102)(103)의 이득은, 제2오차 증폭기(70)에 입력되는 2개의 입력전압이 서로 일치하게끔 조정된다. 변조신호(iC)의 리플비는 제4c도에 도시한 토오크파형의 리플비와 동일하게 되도록 하여 토오크리플을 억제한다.
변조신호(iC)의 리플비는 저항(82)과(44)간의 저항비에 의하여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저항(82)의 저항치는 토오크리플을 극소화하기 위하여 저항(44)의 저항치의 0.35배로 설정한다. 홀소자의 차동출력전압파형 및 코일유도전압파형의 고조파 성분이 상술한 고조파 성분들과 다른 경우에 있어서, 저항(44)과 (82)간의 저항비는 토오크리플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적절한 값으로 변화시켜도 된다.
홀소자의 차동출력전압 및 코일유도전압의 고조파 성분은 동일구조의 모든 모우터에 대하여 동일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으므로, 동일구조를 가진 각각의 모우터에 대하여 상기와 같은 저항비 설정 작업을 할 필요는 없다.
제5도는 모우터의 3상 전기자코일에 공급되는 전류의 합을 변조신호(iC)로 변조시켜서 토오크파형의 리플을 억제한 경우에 얻어지는 파형을 도시한다. 제5도에 있어서, (a)는 각각의 3상의 코일(4)(5)(6)에 의해 유도된 전압(e1)(e2)(e3)의 파형을 나타내고, (b)는 코일에 유입되는 전류의 합을 변조신호(iC)로 변조하는 경우에 코일(4)(5)(6)에 공급된 전류(i1)(i2)(i3)의 파형을 나타내며, (c)는 (b)에 나타낸 전류를 모우터의 전기자코일에 공급하는 경우에 모우터에 의해 발생하는 토오크의 파형을 나타낸다. 이 경우에 있어서, 토오크리플의 주성분은 12차 성분이다. 이 리플의 크기는 2.8% P-P로 억제된다.
제6도는 변조신호발생회로(12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회로는 iS=iH1+iH2+iH3로 주어지는 버퍼증폭기(21)(22)(23)의 출력전류(iH1)(iH2)(iH3)의 합(iS)을 입력받는 절대값 가산회로(61)로 구성된다. 합성전류(iS)는 ir=│iS│의 절대값으로 변환된다 이어서, 지령신호발생회로(80)의 출력전류(ir)와 절대값회로(61)의 출력전류(ir)간의 차이를 취하므로써 변조신호(iC)가 발생한다.
제7도는 제6도의 변조신호발생회로를 이용할 경우에 제1도에 도시한 회로의 특정부분에 나타나는 파형을 도시한다. 제7a,b,c도에 도시한 파형은 제3도의 (a)(b)(c)에 도시한 파형과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7도에 있어서, (d)는 버퍼증폭기(21)(22)(23)의 출력전류(iH1)(iH2)(iH3)의 합산에 의해 얻어지는 합성전류(iS)의 파형을 도시한다. 출력전류(iH1)(iH2)(iH3)는 서로 120°씩의 위상차를 가진다.
이들 각각의 전류파형은 3차, 5차 및 7차 고조파 성분은 기본조파에 대하여 각각 12.8%, 4.6% 및 1.5%이다.
전류(iH1)(iH2)(iH3)의 기본조파 및 5차, 7차 고조파는 이들 3개의 전류를 가산하므로써 상쇄된다. 3차 고조파 성분은 합성전류(iS)내에 잔류하며, 그 크기는 버퍼증폭기(21)(22)(23)의 각 출력전류(iH1)(iH2)(iH3)의 기본조파에 대하여 38.4%(12.8%×3)이다.
제7도에 있어서, (e)는 절대값회로(61)의 출력전류(ir)의 파형을 도시한다.
절대값회로(61)내에 전류가 유입되는 방향을 양의 방향으로 취한다. 전류(ir)와 합성전류(iS)간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3
제7도에 있어서, (f)는 지령신호발생회로(80)의 출력전류(iT)를 도시하는 것으로, 전류(iT)의 크기는 외부에서 주어진 지령신호(ET)와 비례한다.
제7도에 있어서, (g)는 저항(71)에 유입되는 전류(iC)를 도시한다. 지령신호발생회로(80)의 출력전류(iT)와 절대값회로(61)의 출력전류(ir)간에는 iC=iu-ir의 관계가 성립한다. 제7도의 (g)에 나타낸 전류(iC)는 6차 리플 성분을 포함한다.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절대값회로(61)의 출력전류(ir)(제7e도)는 토오크파형(제4c도)의 리플성분과 동일 위상이다. 따라서, 이 위상을 역전시키기 위해서는 지령신호에 비례하는 일정전류(iT)(제7f도)로부터 전류(ir)를 감산하면 된다. 그리하여 변조신호(iC)(제7g도)가 발생한다. 전류검출저항(90)은 모터의 전기자코일에 공급된 합성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고, 이 전압은 제2오차 증폭기(70)의 한쪽 입력단자에 인가된다. 지령신호발생회로(80)의 출력전류(iT)와 절대값회로(61)의 출력전류(ir)간의 차이를 산출하여 변조신호전류(iC)를 얻고, 이 전류(iC)는 저항(71)에 저항(71)에 의하여 전압으로 변환해서 제2오차 증폭기(70)의 다른 입력단자에 인가한다. 전원회로(101)(102)(103)의 이득은 제2오차 증폭기(70)에 인가된 2개의 입력전압이 서로 같아지도록 조정된다. 변조신호(iC)의 리플비는 제4c도에 도시한 리플파형의 리플비와 같게하여 토오크리플을 억제한다. 이와같은 변조신호(iC)의 리플비는 저항(82)과 (44)간의 저항비에 의하여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저항(82)의 저항치는 저항(44)의 저항치의 0.6배로 설정하여 토오크리플을 최소화 한다.
제8도는 모우터의 전기자코일에 유입되는 전류의 합을 변조신호(iC)를 이용하여 제1도의 회로에 의해 변조하므로써 토오크파형의 리플을 억제할 경우에 얻어지는 파형을 도시한다. 제8도에 있어서, (a)는 코일(4)(5)(6)에 유도된 전압(e1)(e2)(e3)의 파형을 나타내고, (b)는 전류의 합을 변조신호(iC)로 변조할 경우 코일(4)(5)(6)에 입력된 전류(i1)(i2)(i3)의 파형을 나타내며, (c)는 (b)에 도시한 전류를 모우터의 전기자코일에 공급할 경우 모우터에 의하여 발생된 토오크의 파형을 나타낸다. 이 경우에 있어서, 토오크 리플의 주성분은 12차 고조파이다. 토오크리플의 크기는 4.2% P-P'로 억제된다.
제4도를 참조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같이, 모우터의 전기자코일(4)(5)(6)에 유입되는 합성전류가 변조되지 않을 경우에는, 주요 리플성분은 6차 고조파이며, 그 크기는 약 14% P-P이다. 코일(4)(5)(6)에 유입되는 전류의 합을 변조신호(iC)로 변조한 경각에는 6차 고조파 성분은 0.5% P-P이하로 감소된다. 잔존 토오크리플의 12차 고조파 성분은 높은 주파수를 가지므로, 토오크리플로 인한 모우터의 회전변동은 회전자의 관성 때문에 충분히 감쇄된다. 따라서, 실용상의 문제는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1오차 증폭기(50)의 출력신호는 버퍼증폭기(21)(22)(23)의 이득을 제어한다. 그러나 홀소자(1)(2)(3)에 인가되는 입력전압을 제1오차 증폭기(50)의 출력신호에 의해 직접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의 구동장치를 응용할 수 있는 모우터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평판형 슬롯리스 모우터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슬롯가공 모우터나 원통형 모우터도 포함된다. 또, 이상의 설명에서는 홀소자를 위치검출기로서 사용하였으나, 홀소자와 유사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것이기만 하면 어떠한 종류의 센서를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다.

Claims (17)

  1. 모우터의 회전자자석의 자극위치를 검출하여 그 위치를 나타내는 다상신호를 출력하는 자극위치검출회로(21)(22)(23)와, 자극위치검출회로에서 입력된 다상신호의 정의 부분 또는 부의 부분을 합성하는 정류가산회로(40)와, 모우터에 의해 발생될 토오크를 지령하기 위한 토오크지령신호를 출력하는 지령신호발생회로(80)와, 정류가산회|로의 출력신호가 토오크지령신호에 비례하도록 자극위치검출회로의 이득을 조정하는 제1오차 증폭기(50)와, 다상신호에 응답하여 모우터의 다상전기자코일(4)(5)(6)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회로(101)(102)(103)와, 전기자코일에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수단(90)과, 전기자코일에 공급되는 전류를 변조하는 변조신호발생회로(120)와, 전류검출수단의 출력신호가 변조신호발생회로의 출력신호에 일치되도록 전원회로의 이득을 조정하는 제2오차 증폭기(70)를 구비한 직류무정류자모우터의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신호발생회로(120)는, 자극위치검출회로(21)(22)(23)의 다상신호를 절대값으로 변환하여 그것을 가산하는 절대값 가산회로(60)와, 절대값 가산회로의 출력신호(ir) 및 지령신호발생회로(80)의 토오크지령신호(iT)를 합성하여 출력하는 합성회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무정류자모우터의 구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회로는, 지령신호발생회로(80)의 토오크지령신호(iT)와 절대값 가산회로(60)의 출력신호(ir)간의 차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무정류자모우터의 구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신호발생회로(120)는, 자극위치검출회로(21)(22)(23)에서 입력된 다상신호의 합을 절대값으로 변환하는 절대값회로(61)와, 절대값회로의 출력신호 및 지령신호발생회로(87)의 토오크지령신호를 합성하여 출력하는 합성회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무정류자모우터의 구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회로는 지령신호발생회로(80)의 토오크지령신호(iT)와 절대값회로(61)의 출력신호(ir)간의 차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무정류자모우터의 구동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검출수단(90)은, 다상전기자코일에 공급되는 전류를 하나의 공통저항으로 통과시켜서 그 전류의 합을 전압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무정류자모우터의 구동장치.
  7. 모우터의 회전자자석의 자극위치를 검출하여 그 위치를 나타내는 다상신호를 출력하는 자극위치검출회로(21)(22)(23)와, 자극위치검출회로(21)(22)(23)의 2다상신호간의 차이신호를 출력하는 감산회로(31)(32)(33)와, 감산회로(31)(32)(33)에서 입력된 정의 부분 또는 부의 부분을 합성하여 출력하는 정류가산회로(40)와, 모우터에 의해 발생될 토오크를 지령하기 위한 토오크지령신호(iT)를 출력하는 지령신호발생회로(80)와, 정류가산회로의 출력신호가 토오크지령신호에 비례하도록 자극위치검출회로의 이득을 조정하는 제1오차 증폭기(50)와, 차이신호에 응답하여 모우터의 다상전기자코일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회로(101)(102)(103)와, 전기자코일에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수단(90)과, 전기자코일에 공급되는 전류를 변조하는 변조신호발생회로(120)와, 전류검출수단의 출력신호가 변조신호발생회로의 출력신호에 일치하도록 전원회로(101)(102)(103)의 이득을 조정하는 제2오차 증폭기(70)를 구비한 직류무정류자모우터의 구동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신호발생회로(120)는, 자극위치검출회로(21)(22)(23)의 다상신호를 절대값으로 변환하여 그것을 가산하는 절대값 가산회로(60)와, 절대값 가산회로의 출력신호(ir) 및 지령신호발생회로의 토오크지령신호(iT)를 합성(iC)하여 출력하는 합성회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무정류자모우터의 구동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회로는 지령신호발생회로(80)의 토오크지령신호(iT)와 절대값 가산회로(60)의 출력신호(ir)간의 차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무정류자모우터의 구동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신호발생회로(120)는, 자극위치검출회로(21)(22)(23)의 다상신호의 합을 절대값으로 변환하는 절대값회로(61)와, 절대값회로의 출력신호 및 지령신호발생회로(80)의 토오크지령신호를 합성하여 출력하는 합성회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무정류자모우터의 구동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회로는 지령신호발생회로(80)의 토오크지령신호(iT)와 절대값회로(61)의 출력신호(ir)간의 차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무정류자모우터의 구동장치.
  12. 모우터의 고정자에 부착되어 회전자자석에 의해 발생하는 자계를 검출하는 복수의 자전변환소자와, 자전변환소자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버퍼증폭기(71)(22)(23)와, 버퍼증폭기의 2출력신호 간의 차이신호를 출력하는 감산회로(31)(32)(33)와, 감산회로의 차이신호의 정의 부분 또는 부의 부분을 합성하여 출력하는 정류가산회로(40)와, 모우터에 의해 발생할 토오크를 나타내는 토오크지령신호를 출력하는 지령신호발생회로(80)와, 정류가산회로의 출력신호(40)가 토오크지령신호에 비례하도록 버퍼증폭기(21)(22)(23)의 이득을 조정하는 제1오차 증폭기(80)와. 감산회로(31)(32)(33)의 차이신호에 대응하여 모우터의 다상전기자코일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회로(101)(102)(103)와, 전기자코일에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수단(90)과, 전기자코일에 공급되는 전류를 변조하는 변조신호발생회로(120)와, 전류검출수단의 출력신호가 변조신호발생회로(120)의 출력신호에 일치하도록 전원회로(101)(102)(103)의 이득을 조정하는 제2오차 증폭기(70)를 구비한 직류무정류자모우터의 구동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신호발생회로(120)는, 버퍼증폭기(21)(22)(23)의 출력신호를 절대값으로 변환하여 그것을 가산하는 절대값 가산회로(60)와, 절대값 가산회로(60)의 출력신호(ir) 및 지령신호발생회로(80)의 토오크지령신호(iT)를 합성하여 출력하는 합성회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무정류자모우터의 구동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회로는 지령신호발생회로(80)의 토오크지령신호(iT)와 절대값 가산회로(60)의 출력신호(ir)간의 차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무정류자모우터의 구동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신호발생회로(120)는, 버퍼증폭기(21)(22)(23)의 출력신호의 합을 절대값으로 변환하는 절대값회로(61)와, 절대값회로(61)의 출력신호(ir) 및 지령신호발생회로(80)의 토오크지령신호(iT)를 할성하여 출력하는 합성회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무정류자모우터의 구동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회로는 지령신호발생회로(80)의 토오크지형신호(iT)와 절대값회로(61)의 출력신호(ir)간의 차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무정류자모우터의 구동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검출수단(90)은 다상전기자코일에 공급되는 전류를 하나의 공통저항으로 통과시켜서 전류의 합을 전압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무정류자모우터의 구동장치.
KR1019850009544A 1984-12-25 1985-12-18 직류무정류자모우터의 구동장치 KR9000058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77169 1984-12-25
JP59277169A JPS61150695A (ja) 1984-12-25 1984-12-25 直流無整流子モ−タの駆動装置
JP60137255A JPH0716312B2 (ja) 1985-06-24 1985-06-24 直流無整流子モ−タの駆動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5478A KR860005478A (ko) 1986-07-23
KR900005813B1 true KR900005813B1 (ko) 1990-08-11

Family

ID=26470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9544A KR900005813B1 (ko) 1984-12-25 1985-12-18 직류무정류자모우터의 구동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633150A (ko)
EP (1) EP0189676B1 (ko)
KR (1) KR900005813B1 (ko)
CN (1) CN1004040B (ko)
DE (1) DE3576254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3347A (en) * 1983-02-02 1988-08-09 General Electric Company Control system, electronically commutated motor system, blower apparatus and methods
US5023527A (en) 1974-06-24 1991-06-11 General Electric Company Control circuits, electronically commutated motor systems and methods
DE3546891C2 (de) * 1985-10-21 2000-06-08 Papst Licensing Gmbh & Co Kg Treiberschaltung zum Betrieb eines kollektorlosen Gleichstrommotors in einem Lüfter oder zum Antrieb eines Lüfters
DE3610253A1 (de) * 1986-03-26 1987-10-08 Sgs Halbleiterbauelemente Gmbh Steuerschaltung fuer einen kommutatorlosen gleichstrommotor
US4902944A (en) * 1986-11-20 1990-02-20 Staubli International Ag. Digital robot control having an improved current sensing system for power amplifiers in a digital robot control
JPH0750880Y2 (ja) * 1988-09-29 1995-11-15 株式会社三協精機製作所 ブラシレスモータの駆動回路
KR930007174B1 (ko) * 1989-03-31 1993-07-31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픽업 이송 장치
JP2554374B2 (ja) * 1989-07-03 1996-11-13 株式会社三協精機製作所 ブラシレスモータの駆動回路
JPH03135392A (ja) * 1989-10-19 1991-06-10 Sankyo Seiki Mfg Co Ltd ブラシレスモータの駆動回路
US5334921A (en) * 1990-12-20 1994-08-02 Robert Bosch Gmbh Circuit arrangement for operating a multi-phase synchronous motor in a direct voltage network
JP2624382B2 (ja) * 1991-01-21 1997-06-25 株式会社三協精機製作所 ブラシレスモータの駆動回路
JP2750788B2 (ja) * 1991-08-08 1998-05-13 ローム株式会社 モータ制御回路およびモータ制御装置
US5191269A (en) * 1991-10-10 1993-03-02 Sgs-Thomson Microelectronics, Inc. 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 with minimized current ripple and method
US5319289A (en) * 1992-02-24 1994-06-07 Silicon Systems, Inc. Adaptive commutation delay for multi-pole brushless DC motors
US5668449A (en) * 1994-10-27 1997-09-16 Sgs-Thomson Microelectronics, Inc. Motor with input-controlled high side driver
US5614797A (en) * 1995-02-28 1997-03-25 Sgs-Thomson Microelectronics, Inc. Stator coil driver circuit for a brushless DC motor
US5731670A (en) * 1995-03-31 1998-03-24 Sgs-Thomson Microelectronics S.R.L. Method for driving a brushless DC electric motor
US5767640A (en) * 1995-09-20 1998-06-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Brushless motor
GB9600549D0 (en) * 1996-01-11 1996-03-13 Lucas Ind Plc Motor drive control
JPH09271192A (ja) * 1996-03-29 1997-10-14 Sharp Corp ブラシレスモータの駆動装置
US5969489A (en) * 1996-07-31 1999-10-19 Victor Company Of Japan, Ltd. Motor driving system for driving brushless motor
US5869946A (en) * 1997-02-27 1999-02-09 Stmicroelectronics, Inc. PWM control of motor driver
US5952817A (en) * 1997-04-24 1999-09-14 Linear Technolog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waveform shaping for reducing high frequency noise from switching inductive loads
US6130989A (en) * 1998-07-17 2000-10-10 Sanyo Electric Co., Ltd. Motor drive circuit
TW453018B (en) * 1998-07-31 2001-09-01 Sanyo Electric Co Motor driving circuit
EP1605457A3 (en) * 1998-09-02 2007-05-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k drive apparatus
US6046555A (en) * 1998-10-23 2000-04-04 Nippon Kogaku Kk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magnetic offset of a brushless DC motor
US6710567B2 (en) 2000-11-27 2004-03-23 Seagate Technology Llc Velocity dependent reference profile for spindle motor acceleration control
US6577088B2 (en) 2001-02-09 2003-06-10 Seagate Technology Llc Closed loop spindle motor acceleration control in a disc drive
US6664749B2 (en) 2001-04-06 2003-12-16 Seagate Technology Llc Spindle motor initialization after a control processor reset condition in a disc drive
US6940235B2 (en) * 2001-05-10 2005-09-06 Analog Devic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a brushless DC motor
US6744587B2 (en) 2001-06-29 2004-06-01 Seagate Technology Llc Motor control circuit with adaptive controller path selection for different load conditions
US6707269B2 (en) 2001-09-11 2004-03-16 Seagate Technology Llc Motor control circuit with adaptive dynamic range selection
US7012391B2 (en) * 2002-08-09 2006-03-14 Seagate Technology Llc Motor acceleration using continuous sequence of current limit values
US6741049B2 (en) * 2002-10-28 2004-05-25 Melexis Nv Miroelectronics Integrated Systems Low voltage start up circuit for brushless DC motors
US7404073B2 (en) 2003-06-26 2008-07-22 Seagate Technology Llc Transitioning from startup code to application code during initialization of a processor based device
US6859001B2 (en) * 2003-07-24 2005-02-22 General Electric Company Torque ripple and noise reduction by avoiding mechanical resonance for a brushless DC machine
JP4221307B2 (ja) * 2004-01-07 2009-02-12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同期電動機の制御装置,電気機器およびモジュール
JP2008301678A (ja) * 2007-06-04 2008-12-11 Ntn Corp 多相モータの駆動制御回路およびこれを用いたスピンドル装置
CN114151936A (zh) * 2020-09-07 2022-03-08 中山大洋电机股份有限公司 一种hvac系统控制单元及hvac系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64711A (en) * 1976-11-19 1978-06-09 Sony Corp Brushless motor drive circuit
JPS5749386A (en) * 1980-09-10 1982-03-23 Hitachi Ltd Rotary phase detector for rotor
JPS58139687A (ja) * 1982-02-10 1983-08-19 Mitsubishi Electric Corp トランジスタモ−タの制御装置
JPH0632586B2 (ja) * 1983-04-20 1994-04-27 ソニー株式会社 3相直流モータ
JPS59194694A (ja) * 1983-04-20 1984-11-05 Sony Corp 3相両方向通電形ブラシレスモ−タの駆動回路
JPS59198891A (ja) * 1983-04-22 1984-11-10 Hitachi Ltd モ−タの駆動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633150A (en) 1986-12-30
KR860005478A (ko) 1986-07-23
CN1004040B (zh) 1989-04-26
CN85109333A (zh) 1986-07-09
DE3576254D1 (de) 1990-04-05
EP0189676B1 (en) 1990-02-28
EP0189676A1 (en) 1986-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5813B1 (ko) 직류무정류자모우터의 구동장치
US4658190A (en) Reduced ripple drive circuit for a brushless motor
US4651067A (en) Apparatus for driving brushless motor
US4240020A (en) Control system for suppressing torque ripple in synchronous motor
JP2005323490A (ja) 永久磁石式同期モータ装置およびコントローラ
JP2741214B2 (ja) ブラシレスd.cモータ
US11177759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lf-sensing of electric machines and reduction of noise and vibration associated therewith
KR880001837B1 (ko) 유도 전동기 구동방식
JP2004140897A (ja) 単相ブラシレスdcモータ
JP3473178B2 (ja) 回転電機の制御装置
JPS5956881A (ja) サ−ボモ−タの制御方式
US4131828A (en) Apparatus for rotatively driving a turn table
US3242405A (en) Brushless electric motor
US4354145A (en) Electronically commutating motor
US4713590A (en) Control circuit for DC brushless motor producing constant output torque
Madani et al. Reduction of torque pulsations by inductance harmonics identification of a permanent-magnet synchronous machine
JPH0378491A (ja) 駆動電動機を備えた駆動装置
EP0154863B1 (en) Apparatus for driving polyphase brushless motor
GB2070354A (en) Electronically commutating motor
JPS6333395B2 (ko)
JPH0568954B2 (ko)
EP0184860A1 (en) AC signal generating apparatus
JPS61295891A (ja) 直流無整流子モ−タの駆動装置
JPH088786B2 (ja) 直流無整流子モータの駆動装置
JPS622235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80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