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5759B1 - 회전수검출수단을 구비한 전동기 - Google Patents

회전수검출수단을 구비한 전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759B1
KR900005759B1 KR1019860003221A KR860003221A KR900005759B1 KR 900005759 B1 KR900005759 B1 KR 900005759B1 KR 1019860003221 A KR1019860003221 A KR 1019860003221A KR 860003221 A KR860003221 A KR 860003221A KR 900005759 B1 KR900005759 B1 KR 900005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magnets
cycle
length
rotor magnet
wave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3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8648A (ko
Inventor
지로 카타오카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0093022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254057A/ja
Priority claimed from JP60139339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2846A/ja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8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8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5/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two or more electric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9/00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 H02K29/14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speed sens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01P3/42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P3/44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 G01P3/46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amplitude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 G01P3/465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amplitude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by using dynamo-electro tachometers or electric gene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rushless Motors (AREA)
  • Permanent Magnet Type Synchronous Machin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회전수검출수단을 구비한 전동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편평형전동기의 단면도.
제2도는 동 실시예에서의 도체패턴을 구비한 프린트기판의 평면도.
제3도는 동 실시예의 로우터자석을 표시한 사시도.
제4a,b도 및 제5a도 내지 (d)도는 동 실시예의 동작설명도.
제6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로우터자석의 사시도.
제8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제9도는 동 실시예에서의 가요성프린트기판의 사시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제11도는 동 실시예에서의 로우터자석의 사시도.
제12도는 동 실시예에서의 회전수검출수단으로서의 가요성프린트 기판의 사시도.
제13도의 종래예를 표시한 편평형전동기의 단면도.
제14도는 제13도에서의 로우터자석의 착자상태를 표시한 로우터자석의 평면도.
제15도는 제13도에서의 회전수검출용프린트기판의 패턴을 표시한 형면도.
제16도는 제15도의 패턴에 쇄교하는 자속수의 변화를 표시한 설명도.
제17도는 제2의 종래예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4 : 로우터요우크 3 : 로우터보스
4,105 : 축 5,102 : 고정자코일
6 : 고정자요우크 8,108 : 베어링
11,16,106 : 프린트기판 11a,17 : 도체패턴
13,15,103 : 로우터자석 18 : 프린트기판부착용 링
본 발명은, 테이프레코오더나 플로피디스크 구동에 사용되는 회전 검출수단을 구비한 전동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테이프 레코오더, VTR등의 휴대형기기가 점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구동원으로서 전동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 기기의 소형화에 따라, 전동기에 대해서도 강력하게 경박단소(輕薄短小)화가 요망되어오고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종래 전동기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 제13도는 종래의 편평형전동기의 단면을 표시한 것이다. 제13도에 있어서, (1)은 로우터자석, (2)은 로우터요우크, (3)은 로우터보스, (4)는 축 ,(5)는 로우터자석(1)과 대향하는 위치에 고정되고, 로우터자석 (1)의 자극형상에 맞춰어서 자기융착전선등으로 형성된 고정자코일, (6)은 고정자요우크, (7)은 호올소자등의 상절환 센서, (8)은 베어링이다. 또한(9)는 로우터자석(l)과 고정자코일(5)의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고정자코일 위에 부착된 회전수검출수단으로서의 프린트기판이며, 이 프린트기판(9)은, 로우터자석(1)과 고정자코일(5)의 사이의 에이갭을 작게하기 위하여, 필름을 베이스로한 박형의 가요성프린트기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이 프린트기판(9)에는, 상기 호올소자(7)를 납땜하는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모우터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이외에 구동회로가 필요하나 본 발명에는 직접관계가 없으므로 생략한다.
제14도는, 상기 종래예의 로우터자석(l)의 착자(着磁)패턴을 표시한 것이다. 동도에 있어서 A의 부분을 주자속용, B의 부분은 회전검출용의 착자부이다. 일반적으로 B부의 착자폭은, 모우터 외경이 40㎜∼100㎜정도의 편평형전동기에서는 2㎜∼3㎜정도되는 것이 많다. 제14도에 있어서는 일례로서 주자속부는 8극, 회전검출부는 64극의 경우를 표시하고 있다.
이하 이 극수의 조합으로 설명해 가는 것으로 한다.
제15도는 상기 종래예의 회전수검출수단으로서의 프린트기판(9)의 회전수검출용패턴을 표시하고 있으며, 패턴(10)은 파형(波形)으로 형성된 구리등의 도체이며, 또한, 로우터자석(l)의 B부의 착자의 1사이클의 길이 및 착자폭에 일치하고 있으며, 패턴의 볼록부(10a)의 수는 64/2개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종래의 편평형전동기에 대해서, 이하 그 동작을 설명한다. 패턴(10)의 볼록부(10a)가 로우터자석(l)의 회전수 검출용착자부 B의 N극과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경우는, 패턴(10)에는 정(正)의 쇄교자속+ψ㎜가 쇄교하고, 또, 패턴(10)의 블록부가 로우터자석(l)의 회전수검출용착자부 B의 S극과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부(負)의 쇄교자속-ψ㎜가 쇄교한다. 이 모양을 제16도에 표시한다. 제16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로우터자석이 360°/64 회전할때마다 패턴(10)의 쇄교자속ψ은 +ψ㎜에서부터 -ψ㎜의 사이를 변화한다. 따라서, 만약 로우터가 회전을 계속한다면 패턴(10)의 단자 C와 D간에는,
Figure kpo00001
라는 유기전압 e이 발생하게 된다. 이 유기전압 e은 1회전당 32사이클의 대략 정현파에 가까운 파형을 얻을 수 있어, 전동기의 회전수검출이 가능해진다.
제17도에 제2의 종래예를 표시한다. 동도에 있어서, (2)에서부터(8)까지는 제1의 종래예의 경우와 전적으로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제17도에 있어서(11)은 주자속용로우터자석이며, (12)는 회전수검출용자석으로서, 제1의 종래예의 로우터자석(1)을 2개로 분리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13)은 회전수검출수단으로서의 프린트기판이며, 제1의 종래예와 다른점은 고정자요우크(6)와 고정자코일(5)의 사이에 프린트기판(13)이 위치하고 있는 일이다. 이 프린트기판(13)은 제1의 종래예와 동일한 패턴의 형성되어 있다. 제2의 종래예의 동작은 제1의 종래예의 경우와 전적으로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제1의 종래예에서는, 로우터자석(1)의 회전수검출용착자부의 자속은, 전동기의 발생토오크에는 전혀 기여하지 않으며, 따라서 자석직경에 비해서는, 전동기토오크가 감소해 버린다. 또 회전수검출용착자부가 자석의 외주부에 있는 경우는 그 감소의 정도는 특히 크며, 20%전후의 토오크감소를 가져오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제17도의 제2의 종래예에 있어서는, 별도부착의 회전수검용 자석이 필요하게 되며, 코스트가 올라감과 동시에, 전동기 외경이 커지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결점을 해소하는 것으로서, 전동기의 토오크의 발생에 전혀 유효하지 않고 회전수를 알기 위해서만 필요한 로우터자석의 회전수검출용의 착자부나, 회전수검출용자석을 필요로 하지않는 전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동기에 있어서 로우터자석에 할당된 스페이스를 토오크의 발생에 유효하게 되도록 구성하고, 회전수검출을 위한 여분의 스페이스를 필요로하지 않아, 소형화가 가능하고, 동일한 크기에 대해서, 종래의 전동기보다 보다 큰 토오크를 얻을 수 있는 전동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동기의 로우터가 어떤 특정한 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원점검출을 로우터부분의 크기를 증대하는 일없이 얻을 수 있는 전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동기는 다극을 착자한 로우터자석과, 상기 로우터자석과 대향하는 위치에 고정된 고정자코일과, 상기 로우터자석과 대향하여 고정쪽에 배치되며, 1사이클의 길이가 미리 정해진 일정한 길이를 가진 파형의 도체패턴을 가진 회전수검출수단을, 구비한 전동기에 있어서, 상기 로우터자석의 일부분에 상기 회전수검출수단으로 파형의 도체패턴에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도체패턴의 파형의 1사이클길이와 동일한 1사이클 길이의 요철부를 전체둘레에 걸처서 형성하고, 로우터자석의 N극과 S극으로 각각 형성되는 요철부는 서로 반사이클분의 회전방향으로 위상을 다르게해서 형성한 구성을 가지며,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다극을 착자한 로우터자석과, 상기 로우터자석과 대향하는 위치에 고정된 고정자코일과, 상기 로우터자석과 대향하여 고정쪽에 배치되며, 1사이클의 길이가 미리정해진 일정한 길이를 가진 파형의 도체패턴을 가진 회전수검출수단을, 구비한 전동기에 있어서, 상기 로우터자석을 원반형상으로 하여, 고정자 코일과의 사이에서 면대향형의 전동기를 구성함과 동시에, 이 로우터자석의 일부에 전체둘레에 걸쳐서 요철부를 형성하고, 이 요철부에 대향시켜서 상기 회전수검출수단을 조립하고, 요철부의 1사이클의 길이를 상기 회전수검출수단의 파형의 도체패턴의 1사이클과 동일한 길이로하고, 로우터자석의 N극과 S극에 각각 형성되는 요철부는 서로 반사이클분회전방향으로 위상을 다르게해서 형성한 구성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전동기는, 다극을 착자한 로우터자석과, 상기 로우터자석과 대향하는 위치에 고정된 고정자코일과, 상기 로우터자석과 대향하여 고정쪽에 배치되며, 1사이클의 길이가 미리정해진 일정한 길이를 가진 파형의 도체패턴을 가진 회전수검출수단을 구비한 전동기에 있어서, 상기 로우터자석의 일부분에 상기 회전수검출수단으로 파형의 도체패턴에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도체패턴의 파형의 1사이클의 길이와 동일한 1사이클 길이의 요철부를 전체둘레에 걸처서 형성하며, 로우터자석의 N극과 S극에 각각 형성되는 요철부는 서로 반사이클분의 회전방향으로 위상을 다르게해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로우터자석내에서 자극의 중앙부에 상기 요철부 보다 길이가 긴 1개의 슬릿을 형성하고, 상기 슬릿의 폭 및 길이에 동등한 형상의 코일을 원점검출수단으로서 구비하고 있는 구성을 가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에 의해서, 로우터자석의 N극부의 볼록부가 파형의 도체패턴의 볼록부에 대향하는 경우와, 그 위치로부터 파형의 도체패턴의 반사이클분만큼 로우터자석이 회전하여, 로우터자석의 S극부의 볼록부가 패턴의 블볼록부에 대향하는 경우가 출현하게되며, 그 결과 파형의 패턴의 쇄교자속이 변화하여 파형의 패턴의 단자간에는 회전수에 비례한 주파수의 유기전압을 얻게된다.
이 경우, 로우터자석의 블록부와 오목부의 단차는, 코일두께도 포함한 실질에어갭에 비해 작게할 수 있으므로, 주자속의 감소는 거의 오지않게하고, 또한 별도부착의 회전수검출용자석도 필요없는 전도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로우터자석에 형성한 슬릿과, 원점검출수단에 의해 상기한 회전수검출에 추가해서 로우터자석의 1회전당 1개의 회전펄스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편평형전동기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이다. 동도에 있어서(2)에서부터 (8)까지는 제13도의 제1의 종래예에서 설명한 구성과 전적으로 동일하며 설명을 생략한다. (11)은 회전수검출수단으로서의 프린트 기판이며,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의 반복사이클을 가진 파형(본 실시예에서는 구형)의 도체패턴(11a) 및 원점검출용의 도체패턴(11b)이 구리등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13)은 본 발명에 관한 로우터자석이며, 제3도에 그 사시도를 표시한다. 로우터자석(13)에는, 자석의 외주부분의 전체둘레에 걸쳐서 볼록부(13a)와 오목부(13b)가 형성되어 있으며, 볼록부의 하나의 폭과 오목부의 하나의 원주방향의 폭은 같고, 또한 제2도에 표시한 파형의 도체패턴(11a) 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의 폭에 같도록되어 있으며, 그 반복사이클의 길이가 양자에서는 같게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로우터자석(13)의 N극부의 볼록부(오목부)와 S극부의 볼록부(오목부)는, 도체패턴(11a)의 반사이클분(전기각으로 180°)만큼 어긋난 구성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서로 인접하는 N극과 S극에서는 볼록부(오목부)가 서로 인접해서 형성되어있다. 여기서, 자석의 요철부는, 수지성형자석에서는 금형을 사용해서 정밀도 높고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로우터자석(13)의 극수는 8극이고, 또한 로우터자석(13)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의 폭은 360°/64의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1극당 8개의 블록부와 오목부가 구성되어 있으나, 이 1극당의 볼록부와 오목부의 합계수는 홀수라도 좋으며, 또 정수(整數)라야할 필요도 없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편평형전동기에 대해서, 제4도를 사용해서 그 동작을 설명한다. 제4a도는, 도체패턴의 볼록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로우터자석(13)의 N극의 볼록부가 왔을 경우이다. 이 경우, 로우터자석(13)의 S극의 오목부가 패턴(11a)의 볼록부에 대향하고 있다. 그 때문에 패턴(11a)의 볼록부와 대향하는 로우터자석(13)과의 갭은 N극부에 있어서는 작지만 S극부에서는 크게되어 버린다. 따라서, 패턴(11a)에 쇄교하는 자속은 N극쪽이 많아지게 된다. 제4b도는, 로우터자석(13)이 패턴(11a)의 반사이클분(전기각180°) 오른쪽으로 이동한 경우이며, 이번에는, 패턴(11a)의 볼록부에 대해서, S극부의 볼록부가 대향하고, N극부는 오목부가 대향하게 된다. 따라서, 패턴(11a)에 쇄교하는 자속은 S극쪽이 많게된다.
이상과 같은 동작에 의해서, 로우터자석(13)이 패턴(11a)의 반사이클분 이동할때마다, 제16도에 표시한 종래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쇄교자속의 극성이 변화하고, 그 결과, 로우터자석이 회전을 계속하면, 패턴(11a)의 단자 C,D간에, 1회전당패턴(11a)의 볼록극수에 동등한 사이클수의 유기전압파형을 얻을 수 있어, 회전수의 검출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로우터자석(13)과 회전수검출용의 프린트기판(11)과의 거리를 접근시키므로서, 로우터자석(13)의 볼록부와 오목부의 단차를 작게해도 실용상 충분한 회전수검출신호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고정자코일(5) 및 회전수검출용의 프린트기판(11)의 두께를 포함시킨, 로우터자석(13)과 고정자요우크(6)의 사이의 실질에 이갭에 대해서, 로우터자석(13)의 볼록부와 오목부의 단차량(段差量)은 상대적으로 대단히 작은것으로 된다. 따라서, 로우터자석(13)의 일부분에 회전수검출용의 요철부(13a),(13b)를 형성하는데 따른 주자속의 감소는 거의 무시할 수 있을 정도가 되어, 전동기의 토오크 특성의 감소도 거의 없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원점검출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13)은 상기한 로우터자석이나, 이 로우터자석(13)의 하나의 자극의 중앙에는 방사형상으로 슬릿(14)이 1개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릿(14)의 폴 및 길이는 각각 W.L로 한다. 또한, 상기 프린트기판(11)에는 이 슬릿(14)과 동일한 폭(W)과 길이(L)를 가진 코일 형상의 원점검출용의 패턴(11b)을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편평형전동기에 있어서, 이하 제5도를 사용해서 그 동작을 설명한다. 제5a도는, 제3도에 표시한 8극 착자의 로우터자석을 사용해서 제1도에 표시한 모우터를 구성하고,또한 모우터를 정속도로 1회전한 경우의, 프린트기판(11)상의 패넌(11b)의 위치에서의 자속밀도 Bg의 변화모양을 표시하고 있다. 시각 ts에 있어서, 자속밀도가 급격히 감소되어있는 것은, 로우터자석(13)의 슬릿(14)이, 프린트기판(11)상의 패턴(11b)의 위치에 왔기 때문이다. 제5b도는, 패넌(11b)에 쇄교하는 자속ψc의 변화모양을 표시하고 있으며, 패턴 폭 W이 로우터자석(13)의 자석폭에 비해 작은 경우에는 대략(a)도의 자속밀도 Bg의 변화와 동일하게 된다. 제5c도는 제2도에 표시한 프린트기판(11)상의 패턴(11b)의 양단의 A점과 B점간에 발생하는 유리전압e의 파형이다. e는
Figure kpo00002
로 되므로, 시각 ts의 부근에서는 제5c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플러스쪽과 마이너스쪽에 피이크치 ep1의 값을 가진 큰 펄스형상의 전압이 발생한다. 이 피이크치 ep1는, ts부근이외의 피이크치 ep2보다 큰 값으로 된다. 여기서 ep1과 ep2와의 사이의 중간치 ec를 비교레벨로한 비교회로에 제5c도의 유기전압파형을 입력하면, 그 출력파형 eo는 (d)도와 같이 되며, 결과적으로 1회전당 1개의 회전펄스를 얻을 수 있다.
기타의 실시예에 대해서, 다음에 설명한다. 제6도, 제7도는 상기 실시예의 로우터자석의 변형예를 표시한 것으로서, 여기서, 제6도에 도시한 것은 로우터자석(15)의 요철부(15a)는, 로우터자석의 내경쪽에 형성되고, 제7도에서는 중앙부에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의 경우, 회전수검출용의 프린트기판(11)의 도체패턴(11a)을 이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하면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편평형전동기에 대해서, 제8도, 제9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8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이다. 동도에 있어서, (2)에서부터(8)까지는 종래예에서 설명한 구성과 전적으로 동일하다. 회전수검수단으로서의 가요성프린트기판(16)에는 제9도에 표시한 도체패턴(17)을 가지고 있다. 이 경우, 가요성프린트기판(16)은 통형상으로 굽혀지고, 또한 고정자요우크(6)에 고정된 프린트기판부착링(18)에 부착되어 있다.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같은 로우터자석이며, 제3도에 그 사시도를 표시한다. 로우터자석(13)에는 자석의 외주부분의 전체둘레에 걸쳐서 블록부와 오목부가 형성되어있으며, 볼록부의 하나의 폭과 오목부의 하나의 원주방향의 폭은 같으며, 또한 제9도에 표시한 패턴(17)의 볼록극부 또는 오목극부의 폭에 같고, 반복하는 1사이클의 길이도 같게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편평형전동기에 한전되는 것은 아니며, 통형상의 로우터자석을 가진 레이디얼 갭타이프의 전동기에도 적용을 도모할 수 있다.
제10도에 그 일실시예를 표시한다. 동도에 있어서, (101)은, 고정자코일(102
)을 권회한 고정자이며, (103)은 통형상의 로우터자석, (104)는 로우터요우크, (105)는 축이다. 또한(106)은 회전펄스검출 수단으로서의 프린트기판이다. 또(107)은 하우징, (108)은 베어링이다.
제11도 및 제12도는 각각 로우터자석(103) 및 회전펄스 검출수단의 프린트기판(106)의 사시도이다.
로우터자석(103)은 제1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자석표면의 일부의 주위에 폭 2∼3㎜정도의 요철부(103a)를 형성하고, 또한 S극과 N극의 요철의 위상을 반사이클 어긋나게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회전펄스검출수단의 프린트기판(106)은, 자석의 요철에 동등한 사이클길이의 도체패턴(160a)이 자석의 요철부(103a)와 대향하는 위치의 고정자(101) 위에 고정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하면, 편평형전동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체패턴(106a) 양단에 로우터자석(103)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수에 비례한 주파수와 진폭을 가진 전압이 유기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파형의 도체패턴을 가진 회전수검출수단과 이 검출수단에 대향하는 위치에 약간의 요철을 형성하는 것만으로 회전수검출신호를 얻는 것이 가능해지고, 종래예와 같이 회전수검출용착자부를 주자석에 만드는데 따른 대폭적인 토오크감소도 없고, 또한, 별도부착의 회전수검출용자석도 불필요하며, 코스트적으로도 치수적으로도 그 장점은 크며, 공업적가치는 대단히 큰 것이 있다.
또한, 상기 효과에 더하여, 본 발명은, 면대향형 로우터자석의 하나의 자극의 중앙부에 방사형상의 슬릿을 형성하고, 또한 로우터자석과 고정자코일간에 로우터자석의 슬릿과 같은 폭의 길이의 방사형으로 배치된 하나의 코일을 형성하므로서, 종래예와 같은 1회전에 1개의 회전펄스를 얻기 위한 부품이 불필요하며, 또한 그 때문에, 모우터의 치수도 종래예보다 작게 할 수가 있어, 그 공업적 장점은 대단히 큰것이었다.

Claims (4)

  1. 다극을 착자한 로우터자석과, 상기 로우터자석(13),(15)과 대향하는 위치에 고정된 고정자코일(5)과, 상기 로우터자석(13),(15)과 대향하여 고정쪽에 배치되며, 1사이클의 길이가 미리 정해진 일정한 길이를 가진 파형의 도체패턴(11a),(106a)을 가진 회전수검출수단을 구비한 전동기에 있어서, 상기 로우터자석(13),(15)의 일부분에 상기 회전수검출수단으로 파형의 도체패턴(11a),(106a)에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도체패턴(11a),(106a)의 파형의 1사이클길이와 같은 1사이클길이의 요철부(13a),(13b),(15a)를 형성하고, 로우터자석(13),(15)의 N극과 S극에 각각 형성되는 요철부(13a),(13b),(15a)는 서로 반사이클분의 회전방향으로 위상을 다르게하여 형성한 회전수검출수단을 구비한 전동기.
  2. 다극을 착자한 로우터자석(13),(15)과, 상기 로우터자석(13),(15)과 대향하는 위치에 고정된 고정자코일(5)과, 상기 로우터자석(13),(15)과 대향하여 고정쪽에 배치되며, 1사이클의 길이가 미리정해진 일정한 길이를 가진 파형의 도체패턴(11a),(106a)을 가진 회전수검출수단을 구비한 전동기에 있어서, 상기 로우터자석(13),(15)을 원반형상으로하고, 고정자코일(5)과의 사이에서 면대향형의 전동기를 구성함과 동시에, 이 로우터자석(13),(15)의 일부에 요철부(13a),(13b),(15a)를 형성하며, 이 요철부(13a),(13b),(15a)에 대향시켜서 상기 회전수검출수단을 조립하고, 요철부(13a),(13b),(15a)의 1사이클의 길이를 상기 회전수검출수단의 파형의 도체패턴(11a),(106a)의 1사이클과 같은 길이로하며, 로우터자석(13),(15)의 N극과 S극에 각각 형성 되는 요철부(13a),(13b),(15a)는 서로 반사이클분 회전방향으로 위상을 다르게하여 형성한 회전수검출수단을 구비한 전동기.
  3. 제2항에 있어서, 요철부(13a),(13b),(15a)가 로우터자석(13),(15)의 제일 바깥둘레에 형성된 회전수검출수단을 구비한 전동기.
  4. 다극을 착자한 로우터자석과(13),(15)과, 상기 로우터자석(13),(15)과 대향하는 위치에 고정된 고정자코일(5)과, 상기 로우터자석(13),(15)과 대향하여 고정쪽에 배치되며, 1사이클의 길이가 미리 정해진 일정한 길이를 가진 파형의 도체패턴(11a),(106a)을 가진 회전수검출수단을 구비한 전동기에 있어서, 상기 로우터자석(13),(15)의 일부분에 상기 회전수검출수단으로 파형의 도체패턴(11a),(106a)에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도체패턴(11a),(106a)의 파형의 1사이클길이와 같은 1사이클 길이의 요철부(13a),(13b),(15a)를 형성하며, 로우터자석(13),(15)의 N극과 S극에 각각 형성되는 요철부(13a),(13b),(15a)는 서로 반사이클분의 회전방향으로 위상을 다르게하여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로우터자석(13),(15)내에서 자극의 중앙부에 상기 요철부(13a),(13b),(15a)보다 길이가 긴 1개의 슬릿(14)을 형성하고, 상기 슬릿의 폭 및 길이에 동등한 형상의 코일을 원점검출수단으로서 가지고 있는 회전수검출수단을 구비한 전동기.
KR1019860003221A 1985-04-30 1986-04-26 회전수검출수단을 구비한 전동기 KR9000057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022 1982-06-02
JP60093022A JPS61254057A (ja) 1985-04-30 1985-04-30 偏平形電動機
JP139339 1985-06-25
JP60139339A JPS622846A (ja) 1985-06-25 1985-06-25 偏平形電動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8648A KR860008648A (ko) 1986-11-17
KR900005759B1 true KR900005759B1 (ko) 1990-08-09

Family

ID=26434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3221A KR900005759B1 (ko) 1985-04-30 1986-04-26 회전수검출수단을 구비한 전동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0200537A3 (ko)
KR (1) KR9000057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13305A1 (de) * 1987-04-18 1988-11-03 Heldt & Rossi Servoelektronik Tachogenerator fuer elektrische maschinen
JPH01234071A (ja) * 1988-03-15 1989-09-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磁気式エンコーダ装置付き超音波モータ
FR2655735B1 (fr) * 1989-12-07 1994-05-13 Skf France Dispositif de capteur de vitesse de rotation.
MY107816A (en) * 1990-06-01 1996-06-29 Mitsubishi Electric Corp Electric motor.
DE4117801C2 (de) * 1990-06-01 1994-03-17 Mitsubishi Electric Corp Elektromotor
US5245234A (en) * 1990-12-28 1993-09-14 Nippon Densan Corporation Motor
DE19806118A1 (de) * 1998-02-14 1999-08-19 Bosch Gmbh Robert Wellenantriebsvorrichtung
DE102005050670A1 (de) * 2005-10-20 2007-04-26 Helmut-Schmidt-Universität Universität der Bundeswehr Hamburg Messeinheit zur Messung von Bewegung im Luftspalt
DE202007018710U1 (de) * 2007-11-13 2009-03-19 Hanning Elektro-Werke Gmbh & Co. Kg Synchronmoto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46291B (de) * 1961-07-21 1963-03-28 Philips Patentverwaltung Elektronischer Drehzahlmesser
DE1936348C3 (de) * 1969-07-17 1974-02-14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6000 Frankfurt Anordnung zur Messung der Drehzahl und Drehrichtung eines Elektromotors mit elektrisch betriebener Motorbremse
US4302692A (en) * 1978-02-06 1981-11-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otational speed signal sensor
JPS5924970Y2 (ja) * 1979-07-10 1984-07-23 株式会社デンソー 回転位置検出装置
JPS57151862A (en) * 1981-03-16 1982-09-20 Mitsubishi Electric Corp Speed detecting device for moving body
EP0080055A3 (de) * 1981-11-20 1986-04-09 Vacuumschmelze GmbH Elektromagnetischer Wegsensor
JPS58175960A (ja) * 1982-04-08 1983-10-15 Akai Electric Co Ltd サ−ボモ−タ等の周波数発電器
JPS5935556A (ja) * 1982-08-24 1984-02-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ブラシレスモ−タ
JPS59166869A (ja) * 1983-03-12 1984-09-20 Mutsuji Kamimura 超伝導リングを利用した回転数記憶素子
JPS59217269A (ja) * 1983-05-25 1984-12-07 Takahashi Yoshiteru デジタル・オ−デイオ・デイスク等に適するブラシレスモ−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00537A2 (en) 1986-11-05
KR860008648A (ko) 1986-11-17
EP0200537A3 (en) 1987-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99075A (en) Two-phase DC brushless motor
US6031304A (en) Motor structure
KR900005759B1 (ko) 회전수검출수단을 구비한 전동기
US4737675A (en) Brushless motor with center leads for preventing signal distortion
JPH11233338A (ja) 多極磁気リング
JPH058784Y2 (ko)
US4701649A (en) Brushless motor with symmetrical leads for preventing signal distortion
JPH10243624A (ja) モータ
KR100334668B1 (ko) 브러시레스모터
JPS6142262A (ja) ブラシレスモ−タ
JPS61254057A (ja) 偏平形電動機
JP2539926Y2 (ja) モータの回転位置検出装置
JP2697202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
JPS6260457A (ja) 偏平形電動機
JPS622846A (ja) 偏平形電動機
SU1511819A1 (ru) Торцовый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ь посто нного тока
JPS62262644A (ja) 偏平形電動機
JPS5928865A (ja) 着磁ヨ−ク
JPH0332349A (ja) 無刷子電動機
JPH0374165A (ja) パルス信号発生器付きモータ
JPS5963970A (ja) ブラシレスモ−タ
KR200265987Y1 (ko) 인덕션 교류 서보모터의 구조
JPS6325900Y2 (ko)
KR900003895Y1 (ko) 1상 통전되는 브러시리스 모터
KR950007108Y1 (ko) 회전체의 속도제어용 신호발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7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