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5708B1 - 4륜 구동차의 동력 전달장치 - Google Patents

4륜 구동차의 동력 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708B1
KR900005708B1 KR1019870014754A KR870014754A KR900005708B1 KR 900005708 B1 KR900005708 B1 KR 900005708B1 KR 1019870014754 A KR1019870014754 A KR 1019870014754A KR 870014754 A KR870014754 A KR 870014754A KR 900005708 B1 KR900005708 B1 KR 900005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wheel drive
switching
shaft
dif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4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7284A (ko
Inventor
오사무 가메다
Original Assignee
마쓰다 가부시끼가이샤
후루다 노리마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1310049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159142A/ja
Priority claimed from JP62105878A external-priority patent/JP2596931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쓰다 가부시끼가이샤, 후루다 노리마사 filed Critical 마쓰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7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7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3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4륜 구동차의 동력 전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동력전달장치의 전체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표시한 동력전달장치의 개략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관한 동력전달장치의 전체 종단면도.
제4도는 제3도에 표시한 동력전달장치의 개략도.
제5도는 종래의 동력전달장치의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입력축 2 : 전륜구동축
3 : 후륜구동축 4 : 부변속장치
5 : 중앙차동축 6 : 제1전환기구
7 : 제2전환기구 8 : 중간축
9 : 제1중심기어 10 : 제3중간축
11 : 제4중간축 15 : 체인
21 : 제1전환기어 22 : 제2전환기어
23 : 제3전환기어 24 : 제1중심기어
25 : 제1부 기어 26 : 제1링기어
27 : 제1캐리어 28 : 케이싱
29 : 제1슬리이브기어 31 : 제4전환기어
32 : 제5전환기어 33 : 제6전환기어
34 : 제2슬리이브기어 35 : 제2중심기어
36 : 제2부기어 37 : 제2링기어
38 : 제2캐리어 41 : 전측구동기어
42 : 전측종동기어 1a : 입력측(1)의 후단부
2a : 전륜구동축 전단부 31a,32a,33a,34a : 스플라인
50 : 주변속기 51 : 출력측
61 : 제1단기어 62 : 제2단기어
63 : 제3단기어 64 : 제4단기어
65 : (슬리이브기어식의)전환기구 66 : 클러치축두
67 : 제1의 기어휘일 68 : 제2의 기어휘일
69 : 슬리이브기어 66a,67a,68a,69a : 스플라인
71 : 중간축
본 발명은 차축간차종장치(중앙비틀림 동력전달부)와, 상기 중앙비틀림 동력전달부의 작동 상태의 절환(비틀림전환) 및 2륜구동↔4륜구동전환(2-4전환)을 실시하는 전환기구를 가지며, 상기 전환기구를 동축상으로 설치한 3개의 기어와, 그들 각 기어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미끄럼 기어로 구성한 것을 전제로 하여, 중앙비틀림형(기어기구)과, 이 형의 중앙비틀림의 각 구성부재 및 차륜족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축력축과 상기 3개의 기어와를 연결하여, 중앙비틀림을 유성연동식 기어기구로 구성하고, 전륜구동부재와 후륜구동부재를 구비함과 전륜 또는 후륜의 한쪽에 연결하는 제1출력축과 상기 제1출력부재를 연결시킨 구조로 결합된 4륜구동차의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전환기구의 제1의 기어를 일체화 작동이 이루어 지도록 상기 제1출력부재에, 제2의 기어를 상기 후륜구동부재에, 제3의 기어를 상기 전륜 또는 후륜의 다른쪽에 연결하는 후륜구동축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전환기구의 각 기어에 대한 미끄러짐의 맞물림, 또는 맞물림을 해재하는 경우의 맞물림이 많이 느슨해져서 전환조작을 한층 더 원활하게 할수 있게 함에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4륜 구동차의 동력전달장치는 제5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전륜 또는 후륜에 연결되는 제1출력축(101)과, 후륜 또는 전륜에 연결되는 제2출력축(102)와의 사이에서 차동작용을 하는 차축간차동장치(103)와, 차축간차동장치(103)의 작동 상태의 전환(즉, 차축간차동장치(103)의 작동을 자유롭게 하여 차동동작을 하게하는 비틀림 자유 상태와, 차축간차동장치(103)의 작동을 폐쇄하여 차동제한 작용을 하게하는 비틀림 폐쇄상태로의 전환이고, 이하 간단히 비틀림전환으로 약칭한다)하면, 2륜 주행(2WD)와 4륜 주행(4WD)과의 사이에서 주행방식의 전환(이하, 간단히 2-4전환이라고 약칭함)을 하기 위한 전환기구(104)를 설치하고 있다(실개소 60-127232호 참조).
그런데, 이 경우에 전환기구(104)는 상기 공지예에도 표시되는 바와 같이, 상대 회전가능하게 동축상으로 배치된 3개의 기어(105A),(105B),(105C)와, 상기 각 기어(105A),(105B),(105C)에 서로 맞물릴 수 있는 미끄럼기어(106)를 설치한 미끄럼기어 기구로 구성되고, 미끄럼기어(106)를 적절히 축방향으로 밀리게 하여 이것을 상기 3개의 기어(105A),(105B),(105C)에 선택적으로 결합함으로서 상기 비틀림 전환과 2-4전환과를 실시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와 같은 미끄럼기어식의 전환기구(104)에서는 회전위상이 불확실하게 변화하는 3개의 기어(105A),(105B),(105C)에 대하여 미끄럼기어(106)를 그 축방향(즉, 차폭방향)으로부터 서로 맞물림 또는 맞물림을 해제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전환기구(104)의 질환 조작을 보다 더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는 서로 맞물림 또는 맞물림 해제시에 각 기어 상호간에 회전방향에 있어서, 융통성이 있는 점(즉, 각 기어 105A,105B,105C와 슬리이브 기어와의 사이에 적절한 맞무림의 헐거워짐이 있는것)이 요구된다.
그리고, 상기 각 기어상호간의 회전방향에 있어서의 융통성은 이들 각 기어(105A),(105B),(105C)의 회전축 주위의 덜컹거리는 양, 예컨데 이들 각 기어(105A),(105B),(105C)의 회전축 상호간 기어가 결합되어 있을 경우에는, 그 결합부의 백 래쉬(기어의 맞물림)에 의하여 확보된다.
그런데, 상기 공지예의 것에 있어서는 제5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공지예의 것에 있어서는 제4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차축간차동장치(103)를 베벌기어 기구로 구성하는 동시에, 3개의 기어(105A),(105B),(105C)중에서 제1의 기어(105A)를 변속기(130)의 출력부재(131)에 연결된 입력축(100)에, 제2의 기어(105B)를 상기 변속기(130)의 제1출력부재(132)에 또한 제3의 기어(105C)를 제2출력축(102)에 연결된 동력전달부재(134)에 각각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전환기구(104)의 전환조작시에 각 기어(105A),(105B),(105C) 상호간에 회전방향으로의 융통성을 부여하는 기어 결합부분의 기어의 맞물림 차축간차동장치(103)의 제1의 출력부재(132)와 입력부재(135)와의 서로 맞물림부가 단지 1개소에서 밖에 발생하지 않아 충분한 맞물림의 여유를 확보하는 것이 곤란해지고, 전환기구(104)의 전환조작을 원활히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항에서 지적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후술하게 되는 제1의 작동패턴, 제2의 작동패턴 및 제3의 작동패턴으로써 구동되는 방식이고, 이것을 위해 차축간차동장치와 비틀림전환 및 2-4전환을 실시하는 전환기구를 구비하고, 더구나 상기 전환기구를 3개의 기어와 이들 각 기어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서로 맞물리는 슬리이브기어로 구성한 4륜 구동차의 동력전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환기구의 전환조작이 보다 더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변속기의 출력축에 연결되는 입력축과 어느 한쪽 전륜의 다른쪽이 후륜에 각각 연결되어 제1출력축과 제2출력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입력축과 각 출력축과의 사이에 입력부재와 제1의 출력부재와 제2출력부재를 가지며, 또한 입력부재가 상기 변속기의 출력축에, 또한 상기 제1의 출력부재가 상기 제1출력측에 각각 연결된 유성연동식 차축간차동장치와, 서로 상대 회전운동이 자유로이 되도록 동축상으로 설치된 제1의 기어와 제2의 기어와 제3의 기어와, 상기 각 기어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슬라이드기어로 형성되고, 각 기어의 결합형태를 선택하여 상기 차축간차동장치의 작동 상태를 전환하도록 작용하는 전환기구를 장치한 4륜 구동차의 동력전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환기구의 각 기어중에서 상기 제1전한기어를 상기 차축간차동장치의 제1의 출력부재에, 상기 제2전환기어를 상기 차축간차동장치의 제2의 출력부재에 또한 상기 제3전환기어를 상기 제2출력축에 연결된 동력전달부재에 각각 설치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수단에 의하여 전환기구의 전환조작을 실시할때에, 차축간차동장치의 입력부재와 제1의 출력부재와의 맞물림 부위에 발생하는 기어의 맞물림과 입력부재와 제2의 출력부재와의 맞물림부에 발생하는 기어의 맞물림과의 합계에 상당하는 양만큼, 상기 전환기구의 3개의 기어 서로가 회전방향으로 상대 회전운동가능으로 되어 각 기어와 슬라이드기어와의 맞물림 또는 맞물림 해제가 용이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제1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4륜 구동차용 동력전달장치로서 부호(1)은 주변속기(50)의 출력축(51)에 연결된 입력축, (2)는 입력축(1)과 동축형상으로 배치한 전륜구동축, 후륜구동축(3)은 전륜구동축(2)에 대하여 평행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입력축(1)과 전륜구동축(2)위에 후술하는 부변속장치(4)와 중앙차동장치(5)를 사이에 두고 전륜구동축(2)상에 전후방향으로 이것들의 전환을 하는 제1전환기구(6)와 제2전환기구(7)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부변속장치(4)는 주변속기(50)의 출력축(51)을 통하여 입력축(1)에 전달된 회전을 선택적으로 고·저 2단계로 바꿔서 후술하는 중앙차동장치(5)쪽에 전달하기 위한 유성연동식 기어기구로 구성되어 있고, 케이싱(23)에 고정된 제1링기어(26)와 제1중간축(8)위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제1중심기어(24)와, 제1중간축(8)에 고정된 제1캐리어(27)에 부착된 제1부 기어(25)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부변속장치(4)의 축방향 바깥쪽(입력축(1)폭)에는 상기 부변속장치(4)의 회전력 전달경로를 전환하는 제1전환기구(6)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제1전환기구(6)는 슬리이브기어식 전환기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캐리어(27)에 스플라인에 따라 물려 부착된 제2전환기어(@2)와, 상기 제1중심기어(24)에 형성된 제3전환기어(33)오, 그 축방향에 미끄러져 움직이면서 변위시켜짐으로서 이들 3개의 전환기어(21),(22),(23)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서로 맞물리는 제1슬리이브기어(29)를 장치하고 있다.
이에 반하여, 제1슬리이브기어(29)가 제1도의 상태로부터 후방향(부변속장치(4)측)으로 이동하여 제1전환기어(21)와 제3전환기어(23)에 서로 맞물리고, 제2전환기어(22)와는 서로 맞물리지 않는 상태로 되어 있어서, 입력축(1)의 회전은 부변속장치(4)의 제1중심기어(24)에 전달되고, 또한 제1중심기어(24)에서 제1부기어(@5)를 통하여 제1링기어(26)에 전달된다.
따라서, 입력축(1)의 회전은 감속되어서 제1캐리어(27)로부터 중앙차동장치(5)쪽으로 출력된다.
즉, 중심기어 입력캐리어 출력방식의 유성연동식 기어기구가 구성되어서 저속변속단이 구성된다.
또한, 이 경우에는 제1중심기어(24)가 특허청구의 범위중의 입력부재에, 또한 제1캐리어(27)가 특허청구의 범위중의 출력부재에 각각 해당한다.
중앙차동장치(5)는, 상기 전륜구동축(2)과 후륜구동축(3)과의 사이에서 차동작용을 실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부변속장치(4)는 유성연동식 기어기구로 구성되어 있고, 전륜구동축(2)에 형성된 제2중심기어(35)(특허청구의 범위중에 제1의 출력부재에 해당한다)와, 상기 부변속장치(4)의 제1캐리(27)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제2링기어(37)와, 제3중간축(10)과 일체적으로 형성된 제2캐리어(38)(특허청구의 범위중의 제2출력부재에 해당한다)에 고정된 제2부기어(36)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중앙차동장치(5)의 축방향 바깥쪽 즉, 전륜구동축 후방향에는 중앙차동장치(5)의 회전력 전달 경로를 전환함으로써 전륜구동축(2)과 후륜구동축(3)과의 사이에 있어서의 차동작용을 제어하는 동시에, 2륜구동(이하, 간단히 2WD라고 칭함)과 4륜구동(이하, 간단히 4WD라고 칭함)의 전환으 실시하는 제2전환기구(7)가 설치되어 있다.
즉, 제2전한기구(7)는 전륜구동축(2)에 대하여 스플라인 결합된 제4전환기어(31)와, 제3중간축(10)에 스프라인 결합된 제5전환기어(32)와, 제3중간축(!0)의 외측에 상대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되도록 끼워 맞춰진 제4중간축(11)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제6전환기어(33)와, 축방향으로 미끄러져 움직이면서 변위함으로서, 이들 3개의 전환기어(31),(32),(33)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맞물리게 하는 제2슬리이브기어(3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4중간축(11)에는 전측구동기어(41)로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전측구동기어(41)는 체인(15)을 통하여 상기 후륜구동축(3)쪽에 부착한 전측종동기어(42)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2전환기구(7)의 전환방식은 A,B,C 세개가 있고, 우선 방식(A)는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제2슬리이브기어(34)에 의하여 제4전환기어(31)와 제5전환기어(32)가 결합되어 제6전환기어(33)가 자유자재로 된 상태이다.
상기 방식 A에서는 중앙비틀림장치(5)의 제2중심기어(35)와 제2부기어(36)가 일체화되기 때문에, 제2링기어(37)의 회전은 그대로 전륜구동축(2)쪽으로만 전달되고, 2WD 상태가 실현된다.
방식(B)는 제3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제2슬리이브기어(34)에 의하여 제5전환기(32)와 제6전환기어(33)가 결합되어 제4전환기어(31)가 자유자재로 된 상태이다.
상기 방식(B)에서는 제4중간축(11)과 제3중간축(10)이 결합되기 때문에, 4WD 상태가 실현된다.
또한, 그와 동시에 중앙차동장치(5)는 자유로운 상태로 되어 있고, 전륜구동축(2)과 후륜구도욱(3)사이에서 차동작용이 실시된다.
방식(C)는 제4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제2슬리이브기어(34)에 의하여 제4전환기어(31)와 제5전환기어(32)와 제6전환기어(33)의 3자가 일체적으로 결합된 상태이다.
상기 방식(C)에 있어서는 제4중간축(11)과 제3중간축(10)이 결합되기 때문에 4WD 상태가 실현되는 동시에, 전륜구동축(2)과 제3중간축(10)이 결합되는 곳으로부터 중앙차동장치(5)가 폐쇄상태로 되어 전륜구동축(2)과 후륜구동축(3)과의 사이에 있어서의 차동작용은 실시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동력전달장치(Z)에 있어서는, 상기 제1전환기구(6)와 제2전환기구(7)의 전환패턴의 선택에 의하여, 제1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은 4개의 작동방식을 얻도록 되어 있다.
제1도로서 나타낸 제1전환기구에 있어서, 제1슬리이브기어(29)가 제1전환기어(21)와 제2전환기어(22)에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는 입력축(1)의 회전은 감속되지 않고 그대로 제1캐리어(27)에 전달되어 제1캐리어(27)로부터 중앙차동장치(5)측에 출력됨으로써 고속변속단이 구성된다(이하, 방식(a))으로 표시한다.
우선, 제1의 작동방식은 부변속장치(4)가 패턴(a)(고속변속단 방식)으로 되어 중앙차동장치(5)가 방식(A)로 된 상태이고, 고속변속단에서의 2WD가 실현된다(제2도의 상태).
제2의 작동방식은 부변속장치(4)가 방식(a)(고속변속단 방식)으로 되어 중앙차동장치(5)가 방식(B)로 된 상태이고, 고속변속단에서의 4WD이고 더구나, 전·후륜간에서 차동작용이 있는 주행상태가 실현된다(제3도의 상태). 제3의 작동방식은 부변속장치(4)가 방식(a)(고속변속단 방식)으로 되어 중앙차동장치(5)가 방식(C)로 된 상태이고, 고속변속단에서의 4WD이고 더구나, 전·후륜간에 차동작용이 없는 주행상태가 실현된다(제5도의 상태). 그런데, 상기와 같이 부변속장치(4)와 중앙차동장치(5)를 함께 유성연동식 기어기구로 구성하고 또한 이것을 동축상에 근접 설치하는 동시에, 부변속장치(4) 전환용의 제1전환기구(6)를 부변속장치(4) 전방쪽에 또한 중앙차동장치(5) 전환용의 제2전환기구(7)를 중앙차동장치(5) 후방쪽에 각각 설치하여 형성되는 본 실시예의 동력전달장치에 따르면, 부변속장치(4) 및 중앙차동장치(5) 전환용의 걸어맞춤부가 제1전환기구(6)와 제2전한기구(7)의 2개만으로 되기 때문에, 예컨데 상술한 공지예처럼 부변속장치와 중앙차동장치 전환용의 걸어멎춤부가 세개 필요한 경우에 비하여, 전환기구부분의 구조가 간단하고, 더구나 축길이를 짧게하여 그 치밀화를 촉진할수 있다는 이점을 얻을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부변속장치(4)가 중심기어 입력-캐리어 추력으로 된 유성연동식 기어기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감속비를 2개이상 취할 수가 있다(본 실시예에서는 2.5로 설정하고 있다).
따라서, 차륜이 진창에 빠졌을 때와 같은 더 큰 구동력을 필요로 하는 긴급시에 알맞다.
그러나, 상술한 공지예의 것은 부변속장치가 링기어 입력-캐리어출력의 유성연동식 기어구조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감속비는 최대에서도 2밖에 취할수가 없다.
따라서, 높은 회전력이 필요한 긴급시용 부변속장치로서는 부적당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부변속장치(4)의 제1캐리어(27)와 중앙차동장치(5)의 제2링기어(37)를 연결하고있기 때문에, 전륜구동축(2)와 후륜구동축(3)과의 사이의 회전력 배분은 5:5로 되지만, 그 밖에도, 예컨데 부변속장치(4)의 제1캐리어(27)를 중앙차동장치(5)의 제2캐리어(38)에 연결하는 구성으로 했을 경우에는, 전륜구동축(2)과 후륜구동축(3)과의 사이의 회전력 배분을 4:6이던가 3:7등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부변속장치(4)의 제1캐리어(27)와 중앙차동장치(5)의 제2링기어(37)를 일체적으로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예컨데 상기 양자간을 기어 걸어맞췄을 경우에 비하여 기어 맞물림부분이 적어지는 몫만큼 기어의 맞물림 선단 및 맞물림 회전력가 절감한다는 이점을 얻을 수가 있다.
다음은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3도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한 동력정달장치(Z2)와 그 전방에 설치된 부변속기장치(4)가 표시되어 있다.
상기 부변속장치(4)와 동력전달장치(Z2)중에서, 본 부변속장치(4)는 유성연동식 기어기구가 다단식치차기구로 구성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또한, 동력전달장치(Z2)는 제2전환기구(7)의 세개의 기어부재, 즉 제4전환기어(31)와 제5전환기어(32)와 제6전환기어(33)는 중앙차등장치(5)의 각 부재 등에 대한 결합위치가 다르고, 기본구성 및 그 작동은 대략 동일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하, 상기 상위점을 중심으로 하여 부변속장치(4)와 동력전달장치(Z2)의 구조 및 그 작동을 제3도 및 제4도를 병용하여 약술하기로 한다. 부변속장치(4)는 주변속기(50)의 출력축(51)에 형성한 제4단기어(64)와, 그 출력축(51)에 평행방향으로 향하여 간격을 유지하여 배치한 중간축(71)의 일단쪽에 일체로 형성되어서 상기 제1단기어(61)와 서로 맞물리는 제2단기어(62)와, 중간축(71)의 타단측에 일체로 형성된 제3단기어(63)와, 상기 출력축(51)의 후방쪽에 상기 제1단기어(61)와 동축상으로 설치되고, 또한 상기 제3단기어(63)와 서로 맞물리는 제4단기어(64)의 4개의 기어를 가지는 치차식으로 배열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4단기어(64)는 상기 출력축(51)의 축방향 후방쪽에 동축상으로 또한 상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배치된 후술하는 동력전달장치(Z2)의 입력축(1)의 축방향 중앙부분에 회전 자유자재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단기어(61)와 제4단기어(64)사이에는 감속비의 전환을 하기 위한 슬리이브기어식의 전환기구(6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환기구(65)는 상기 입력축(1)의 일단쪽 스플라인 결합되는 동시에, 그 외주면에 스플라인(66a)을 형성한 클럿치 축두(66)와 상기 제1단기어(61)의 단부에 고정되는 동시에, 그 외주면에 스플라인(67a)을 형성한 제1의 기어휘일(67)과, 상기 제4단기어(64)의 단부에 고정되는 그 외주면에 스플라인(68a)을 형성한 제2의 기어휘일(68)과, 이들 각 스플라인에 서로 맞물림 가능한 스플라인(69a)을 그 내주면에 형성한 슬리이브기어(69)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치차식 배열의 구성과 전환기구(65)를 구비한 부변속기장치(4)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즉, 슬리이브기어식의 전환기구(65)의 슬리이브기어(69)가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럿치축두(66)만에 맞물리고, 제1의 기어휘일(67) 및 제2의 기어휘일(68)에는 서로 맞물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출력축(51)과 입력축(1)과의 동력전달 경로가 끊어지고, 중립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 중립상태에서 슬리이브기어(69)가 전방쪽으로 이동하여 제1의 기어휘일(67)과 클럿치축도(66)의 양자에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는, 출력축(51)과 입력축(1)은 제1의 기어휘일(67)과 클럿치 축두부(66)를 통하여 직접결합되어 고속운전 상태가 된다.
이에 대하여, 슬리이브기어(69)가 중립상태에서 후방쪽으로 이동하고, 슬리이브기어(69)가 클럿치 축두(65)와 제2의 기어휘일(68)의 양자에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는, 제4단기어(64)와 클럿치 축두(66)가 일체적으로 결합되는 곳으로부터 동력은 출력축(51)으로부터 중간축(71)을 통하여 입력축(1)쪽에 감속상태에서 연결되고, 저속운전 상태로 된다.
동력전달장치(Z2)는, 유성연동식 기어기구로 구성되는 중앙차동장치(5)와 슬리이브기어기구로 구성되는 제2전환기구(7)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 중앙차동장치(5)와 제2전환기구(7)는 상기 입력축(1)의 후방쪽에 동축형상으로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 배치된 전륜구동축(2)위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전륜구동축(2)의 전단부(2a)는 상기 입력축(1)의 슬리이브 형상의 후단부(1a)안에 상대 회전가능하게 끼워 넣어져 있다.
중앙차동장치(5)는 상기 전륜구동축(2)의 전단부(2a)부분과 상기 입력축(1)의 후단부(1a)사이에 걸쳐서 설치되는 것이고, 그 입력축(1)의 후단부(1a)에 대하여 스플라인 따라 끼워맞춰진 제2링기어(37)와, 상기 전륜구동축(2)의 전단부(2a)에 일체로 형성된 제2중심기어(35)와, 전륜구동축(2)에 상대 회전운동 가능하게 부착된 제2캐리어(38)에 회전자유자재로 받혀진 복수의 제2부기어(36)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입력축(1)으로부터 제2링기어(37)족에 전달되는 동력을 제2중심기어(35)를 통하여 (38)전륜구동축 (2)측과 제2부기어(36)을 통하여 제2캐리어측으로 분배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2캐리어(38)는 후술하는 제2전환기구(7)를 통하여 후륜구동축(3)측에 연결가능토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2링기어(37)는 특허청구 범위중의 입력부재에 제2중심기어(35)는 특허청구의 범위중의 전륜구동부재에, 제2부기어(36)는 특허청구의 범위중의 후륜구동부재에 각각 해당한다.
제2전환기구(7)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슬리이브 기어기구로 구성되는 것이고, 상기 전륜구동축(2)의 후단부에 스플라인을 따라 끼워맞춰진 제4전한기어(31)와, 상기 제2캐리어(38)의 일단에 스플라인 결합된 제5전환기어(32)와, 상기 제2캐리어(38)의 외측에 상대 회전가능하게 끼워 넣어진 전측구동기어(41)로부터 연신되어 그 축방향으로 뻗어나오는 제6전환기어(33)와, 상기 각 전환기어부재(31),(32),(33)에 가각 부여도는 스플라인(31a),(32a),(33a)에 서로 맞물릴 수 있는 스플라인(34a)을 형성한 제2슬리이브기어(34)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전측구동기어(41)는 체인(15)을 통하여 후륜구동축(3)에 설치한 전측구동기어(42)에 연결된다.
상기 동력전달장치(Z2)의 작동을 약술한다면, 제2전환기구(7)의 제2슬리이브기어(34)가 제4도에서 부호 34A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위치(a)에 설정되었을 때에는 제2슬리이브기어(34)에 의하여 제4전환기어(31)에 제5전환기어(32)가 결합되는 동시에, 제6전환기어(33)는 제5전환기어(32)에서 분리됨으로써 중앙차동기어(5)의 제2중심기어(35)와 제2부기어(36)가 고정도어 중앙차동기어(5)는 폐쇄상태로 되는 한편, 중앙차동기어(5)로부터 제2캐리어(38)쪽에 전달되는 동력은 제2전한기구(7)를 통하여 전륜구동축(2)측만으로 전달되고, 후륜베이스의 2WD 주행이 실현된다.
그런데,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하여 제2전환기구(7)의 세개의 전환기어부재(31),(32),(33)중에서 특허청구의 범위중의 제4전환기어(31)를 특허청구의 범위중의 중앙차동기어(5)의 제2중심기어(35)에 제5전한기어(32)를 제2부기어(36)에 또한 제3전한기어(33)를 전측구동기어(42)에 각각 결합시키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전륜구동축(2)의 2개의 맞물림부, 즉 제2링기어(37)와 제2부기어(36)와의 맞물림부에서의 기어의 맞물림이 제2전환기구(7)의 전환조작시에 있어서, 각 전환기어부재(31),(32),(33)상호간의 회전방향에의 상대변위대(다시말하면, 상기 각 전화기어부재(31),(32),(33)가 제2슬리이브기어(34)와의 맞물림의 변위)로서 작용하고, 제2전환기구(7)의 전환조작이 원활하게 실시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주변속기의 출력축에 연결되는 입력축과 어느것인가 한쪽이 전륜에 다른쪽이 후륜에 각각 연결되는 전륜구동축과 후륜구동축을 가지는 동시에, 상기 입력축과 각 출력축과의 사이에 입력부재와 전륜구동부재와 후륜구동부재를 가지며, 또한 상기 입력부재가 상기 변속기의 출력축에 또한 상기 전륜구동부재가 상기 전륜구동축에 각각 연결된 유성연동식 중앙차등장치와, 서로 상대 회전 자유자재하도록 동축형상으로 설치된 제4전환(31)기어, 제5전환기어(32)와 제6전환기어(33) 및 이들 각 전환기어가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제2슬라이드기어 스플라인 형성도어 상기 각 전환기어의 결합형태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중앙차동장치의 전환작동되도록 전환기구를 설치한 4륜 구동차의 동력전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환기구의 각 전환기어중에서 상기 제4전환기어를 상기 중앙차동장치의 전륜구동부재에, 상기 제5전환기어를 상기 장치의 후륜구동부재에 또한 상기 제6전환기어를 상기 후륜구동축에 연결된 동력전달부재에 각각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Claims (2)

  1. 주변속기(50)의 입력부재에 출력부재가 연결되고, 그 출력부재에 부착된 제2전환기구(7)의 체인(5)을 통해서 후륜구동축(3)이 연결되며, 제2전환기구(7)사이에 유성연동식의 부변속장치(4)와 중앙차동장치(5)가 설치되어 하나의 골격구조를 이루고, 입력부재에 상대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된 상기 제1전환기구(6)로서 제1전환기어(21), 제2전환기어(22) 및 제3전환기어(23)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제2슬리이브기어(29)가 설치도어서 상기 각 기어의 선택적인 결합에 따라 입력부의 동력을 제1캐리어(27)로 또는 유성연동식 부변속장치(4)로 전달하여 각각 고속·저속 형태로 전환되도록 설치하고, 또한, 상기 제1전환기구(6)기능을 대체할 수 있고 동력이 부변속장치(4)를 거치지 않는 제2전환기구(7)로서 제4전환기어(31)는 상기 중앙차동장치(5)의 전륜구동부재에 제5전환기어(32)는 상기 중앙차동장치(5)의 후륜구동부재에, 또한 상기 제6의 전환기어(33)는 상기 후륜구동축(3)에 연결되어 전륜구동축과 후륜구동축의 차동제어 및 2륜 구동과 4륜 구동전환을 행하는 제2전환기구(7)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 구동차의 동력전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부변속장치(4)의 다른예로서, 출력축(51)상에 설치된 제1단기어(61)와 제4단기어(64)상에 제1의 기어휘일(67)과 제2의 기어휘일(68)이 가각 부착되고, 상기 제4단기어(64)위에 부여된 입력축(1)상에 클러치 축두(66)가 부착되어 상기 3자(67),(68) 및 (66)를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슬리이브기어(69)가 설치도고, 상기 제1단기어(61)와 서로 맞물리도록 중간축(71)상에 2단기어가 설치되며, 중간축(71)의 타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제3단기어(63)가 상기 4단기어(64)에 맞물리도록 설치된 치차식구조로서 주변속기(50) 작동에 따른 상기 슬리이브(69)의 선택적인 맞물림으로써 입력축(1)과 출력축(51)의 직접결합을 통한 고속운전 또는 입력축(1)으로부터 제2링기어를 통한 유성연동식 중앙차동장치(4)로의 전환을 행하는 4륜 구동차의 동력전달장치.
KR1019870014754A 1986-12-24 1987-12-23 4륜 구동차의 동력 전달장치 KR9000057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310049A JPS63159142A (ja) 1986-12-24 1986-12-24 4輪駆動車のトランスフア−装置
JP?61-31049 1986-12-24
JP310,049 1986-12-24
JP105,878 1987-04-27
JP105878 1987-04-27
JP62105878A JP2596931B2 (ja) 1987-04-27 1987-04-27 4輪駆動車の動力伝達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7284A KR880007284A (ko) 1988-08-26
KR900005708B1 true KR900005708B1 (ko) 1990-08-06

Family

ID=26446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4754A KR900005708B1 (ko) 1986-12-24 1987-12-23 4륜 구동차의 동력 전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570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7284A (ko) 1988-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1233795A3 (ru) Силова передача трактора с четырьм ведущими колесами
US5345840A (en) Transfer case with integrated planetary gear assembly
EP0180374B1 (en) Power transmission for four-wheel drive vehicle
US4804061A (en) Power transmission for four wheel drive vehicle
GB2074517A (en) Four-wheel-drive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
US4299140A (en) Transfer device for four wheel drive
EP0226666A1 (en) Four-wheel vehicle drive system
KR910000932B1 (ko) 차량용 트랜스퍼장치
JPS62204034A (ja) トルク伝達装置
US5904632A (en) Full-time four-wheel drive transmission
US4846016A (en) Direct-coupling/differential changeover transfer apparatus
KR900005708B1 (ko) 4륜 구동차의 동력 전달장치
JP2987879B2 (ja) トラクタの伝動装置
US4898259A (en) Four-wheel drive apparatus for automotive vehicles
SU1458255A1 (ru) Реверс-редуктор самоходной машины
JP2558235B2 (ja) 4輪駆動車の動力伝達装置
JPH0640998Y2 (ja) 車輌等の変速伝動装置
JP2551244B2 (ja) パワーテイクオフ付きトランスミッション
JP2526743B2 (ja) 車両用4輪駆動車の動力伝達切替装置
JPS635293B2 (ko)
JP2681179B2 (ja) 4輪駆動車の制御装置
JP2766904B2 (ja) フルタイム4輪駆動装置
JPS63159142A (ja) 4輪駆動車のトランスフア−装置
RU2196690C1 (ru) Раздаточная коробка
JPS632145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7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