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5186B1 - 수직윤곽 보정장치 - Google Patents

수직윤곽 보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186B1
KR900005186B1 KR1019840007256A KR840007256A KR900005186B1 KR 900005186 B1 KR900005186 B1 KR 900005186B1 KR 1019840007256 A KR1019840007256 A KR 1019840007256A KR 840007256 A KR840007256 A KR 840007256A KR 900005186 B1 KR900005186 B1 KR 900005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mplifier
output
circuit
video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7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3999A (ko
Inventor
도시미쯔 우메자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도오시바
사바 쇼오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도오시바, 사바 쇼오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도오시바
Publication of KR850003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3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0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 H04N5/205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for correcting amplitude versus frequency characteristic
    • H04N5/208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for correcting amplitude versus frequency characteristic for compensating for attenuation of high frequency components, e.g. crispening, aperture distortion correction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직윤곽 보정장치
제1도는 종래의 윤곽보정장치에 있어서, 2차미분회로를 이용한 것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파형도.
제2도는 종래의 수직윤곽보정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회로도.
제3도와 제4도는 제2도에 도시된 회로의 동작 설명에 제공되는 텔레비전화상의 설명도 및 각 부분의 신호파형도.
제5도는 종래의 수직윤곽보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
제6도는 제5도에 도시된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각 부분의 신호파형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윤곽보정장치의 1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
제8도와 제9도는 제7도에 도시된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파형도.
제10도와 제11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영상신호입력단자 2 : 1H 지연회로(딜레이라인)
3 : 감산회로 4 : 증폭기
5 : 가산회로 6 : 신호출력단자
10 : 음극선관표시화상 11 : 영상신호입력단자
12,13 : 1H 딜레이라인 14,16 : 반전증폭기
17 : 가산회로 18 : 신호출력단자
21 : 영상신호입력단자 22,27,29 : 증폭기
23,25 : 가산회로 24 : 1H 딜레이라인
26 : 궤환회로망을 구성하는 증폭기 28 : 신호출력단자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칼라텔레비전수상기와 같은 화상영출장치에 있어서의 윤곽보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직방향의 윤곽부에 프리슈트(preshoot)와 오버슈트(overshoot)를 부가시킬 수 있도록 된 수직윤곽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기술적 배경과 그 문제점]
텔레비전 송·수신시스템은 영상신호의 대역폭이 4.2㎒로 한정되어 있는 바, 그 이상의 고역성분은 전송되지 않기 때문에 본래의 그림무늬의 자세한 부분이나 모서리부분에 있어서 표준신호에 어긋나는 부위가 원리적으로 존재하게 되어 재현되는 텔레비전화상의 선명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그래서 이러한 선명도를 개선하기 위해 영상신호의 모서리부분 전후에 프리슈트와 오버슈트를 부가시키는 방법이 알려져 있는 바, 이 방법을 제1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1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모양으로 변화하는 영산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그 신호를 1차미분 또는 2차미분함으로써 윤곽보정신호를 얻을 수가 있다. 제1b도는 2차미분파형의 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 파형신호[제1b도]를 입력신호[제1a도]에 중첩시킴으로써 제1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슈트와 오버슈트가 부가된 신호가 얻어져 윤곽보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윤곽보정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상술한 2차미분파형을 얻기 위해 보통은 인덕터와 캐패시터, 저항기등을 이용한 회로가 사용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재현화상의 수평방향의 윤곽보정만을 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텔레비전 송·수신시스템에 있어서는, 영상을 보내는 측에서는 화상을 주사함으로써, 화소의 회색도를 시간적으로 연속적인 전기신호로 변환시키고, 영상을 받는 측에서는 영상을 보내는 측의 화상을 분해주사로 동기시켜 조립주사함으로써 2차원적인 화상으로서 재생하도록 되어있기 때문에 화상의 수직방향에 대해 윤곽보정을 하기 위해서는 1수평주사기간(1H)전의 신호가 필요하게 된다.
상술한 1H전의 신호를 얻기 위해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와 같은 지연회로를 사용하면 좋은 바, 이와 같은 지연회로를 이용해서 수직방향의 윤곽보정을 행하는 종래 장치의 일례를 제2도∼제4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2도는 수직윤곽보정회로의 블록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면에서 참조부호 1은 영상신호입력단자를 나타내고, 2는 상술한 CCD등에 대한 1H 지연회로(이하 1H 딜레이라인이라고도 칭한다), 3은 감산회로, 4는 증폭기, 5는 가산회로, 6은 신호출력단자를 각각 나타낸다.
이 제2도의 회로동작을 제3도와 제4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3도에 있어서, 참조부호 10은 음극선관등과 같은 표시부분에서의 화상을 나타낸 것으로, 제3도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흑","백","흑"과 같은 화상으로 이루어진 그림신호(繒信號)를 수신한 경우를 생각해보면, 제2도의 입력단자(1)에는 제4a도와 같은 영상신호파형이 인가된다. 이 제4a도에 있어서 S는 수평동기신호를 나타내고, Y는 그림무늬의 신호성분을 나타내며, 1H는 1수평주사기간을 나타낸다.
그리고 영상신호[제4a도]는 1H 딜레이라인(2)에 의해 1H만큼 지연되어 제4b도의 신호파형이 얻어지게 된다. 더욱이 감산회로(3)에 의해 영상신호[제4a도]로부터 신호[제4b도]가 감산되어 제4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감산출력이 얻어지게 된다. 이 신호[제4c도]는 증폭기(4)에 의해 소정의 증폭도로 진폭이 조정되어 가산회로(5)에서 입력신호[제4a도]에 중첩되게 된다. 그 결과, 출력단자(6)로부터는 제4d도와 같이 수직방향의 상승,하강부에 오버슈트가 부가된 신호파형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이 제2도의 회로는 오버슈트를 부가시킨 것이지만, 프리슈트를 부가시키는 회로도 쉽게 예상할 수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오버슈트나 프리슈트의 어느쪽이던지 한쪽만을 부가시키도록 된 보정에서는 어느 정도 선명도를 개선시킬수는 있지만, 재현화상을 부자연스럽게 만듬으로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오버슈트와 프리슈트를 동시에 부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5도는 오버슈트와 프리슈트를 동시에 부가시키는 것이 가능한 수직윤곽보정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제5도에 있어서 참조부호 11은 영상신호입력단자, 12,13은 1H 딜레이라인, 14,16은 반전증폭기, 15는 증폭기, 17은 가산회로, 18은 신호 출력단자를 각각 나타낸다.
이 제5도의 회로동작을 제6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6a도에는 제3도에 나타낸 것과 같은 화상에 대응되는 입력단자(11)의 신호파형을 나타낸 것으로, 상술한 제4a도와 동일한 것이다. 이 신호파형(a)은 1H 딜레이라인(12)에 의해 1H 지연되어 제6b도와 같이 된다. 더욱이, 1H 딜레이라인(13)에 의해 1H 지연되어 제6c도와 같이 된다. 또 제6d도는 증폭기(15)의 출력과 반전증폭기(14)의 출력을 가산한 신호 파형을 나타낸 것이고, 제6e도는 증폭기(15)의 출력과 반전증폭기(16)의 출력을 가산한 신호파형을 나타낸 것이다. 그 결과로서 가산회로(17)의 출력, 즉 출력단자(18)의 신호파형은 파형(b), (d), (e)가 가산되어 제6f도와 같이 프리슈트 및 오버슈트가 부가되게 된다.
여기서 제5도의 각 부분의 신호를 수식적으로 구해 본다. 제5도의 입력단자(11)의 입력신호를 V(t), 1H 딜레이라인(12,13)의 출력신호를 각가 VA,VB, 각 증폭기(14,15,16)의 출력신호를 각각 VC,VD,VE라 하고, 출력단자(18)의 출력신호를 VF라 하면,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2
(단, H는 1수평주사기간을 나타낸다)로 표현되고, 각 증폭기(14,15,16)의 증폭도를 각각 -g1,g2,-g3라 하면,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4
Figure kpo00005
로 된다.
따라서 출력신호 VF는,
Figure kpo00006
가 된다.
여기서, g1=g3=g, g2=1+2g 라 하면, 식(6)은
Figure kpo00007
로 되며, 또한
Figure kpo00008
로 표현할 수가 있다.
제6a도에 도시된 입력이 있었던 경우에 V(t-H) 및 V(t-2H)는 제6b,c도로 되고, 상기 (8)식 우변의 각항에 나타낸 값의 총합에 의한 출력 VF는 제6f도와 같이 된다. 이렇게 하여 윤곽부에 프리슈트 및 오버슈트를 부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5도의 1H 딜레이라인(12),(13)의 사상계수(寫像係數)를 D라 하고, 각 1H 딜레이라인의 입력측신호를 Vin, 출력측신호를 Vout라 하면,
Figure kpo00009
가 된다. 또한
Figure kpo00010
이기도 하므로 상술한 (8)식을 사상계수 D를 사용해서 표현하면,
Figure kpo00011
로 표현할 수 있고, 또한 (11)식은
Figure kpo00012
로 변형시킬 수가 있다.
그렇지만 제5도와 같은 수직윤곽보정장치에서는 2개의 1H 딜레이라인을 필요로 하고, CCD등과 같은 지연회로로 구성하게 되면 회로가 대규모로 커지게 되는 결점이 있다.
[발명의 목적]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방식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단 하나의 1H 딜레이라인을 사용함으로써 극히 작은 회로규모로 수직방향의 윤곽에 프리슈트와 오버슈트를 균형있게 부가시킬 수 있도록 된 수직윤곽보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의 구성]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직윤곽보정장치는, 영상신호원으로 부터의 영상신호가 입력되는 영상신호입력단자(21) 및 신호출력단자(28)와 ; 이 영상신호입력단자(21)에 입력단이 접속되고, 그 입력단에 공급된 영상신호를 소정의 증폭도를 가지고 증폭하는 증폭기(22) ; 제1신호와 제2신호를 합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영상신호원으로부터의 영상신호가 상기 증폭기(22)에 의해 증폭되어 제1신호로 공급되는 가산회로(23) ; 이 가산회로(23)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접속되고, 그 입력단에 공급된 신호를 1수평주사기간(1H)동안 지연시켜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지연회로(24) ; 이 지연회로(24)의 출력단과 상기 신호출력단자(28)사이의 신호전송선로로 부터 상기 가산회로(23)에 걸쳐 배치되어 신호전송선로로 부터 상기 가산회로(23)에 걸쳐 배치되어 신호전송선로상에 얻어진 신호를 처리해서 제1신호레벨보다 작은 레벨을 갖고, 또 극성이 반전된 신호를 제2신호로서 상기 가산회로(24)에 공급하는 증폭기(26) ; 상기 영상신호입력단자(21)에 입력단이 접속되고, 그 입력단에 공급된 영상신호를 소정의 증폭도를 가지고 증폭하는 증폭기(27) 및, 상기 지연회로(24)의 출력단에 얻어진 신호와 상기 증폭기(27)에 의해 증폭된 영상신호를 소정의 비율로 합성하여 프리슈트와 오버슈트가 부가된 영상신호를 추출해 낼 수 있도록 신호전송선로상에 설치되는 가산회로(25)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1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7도에 있어서, 참조부호 21은 영상신호입력단자를 나타내는 바, 이 입력단자(21)는 증폭기(22)를 매개해서 신호합성수단, 예를 들면 가산회로(23)의 한쪽 입력단에 접속되고, 이 가산회로(23)의 출력단은 1H 딜레이라인(24)의 입력단에 접속되며, 이 1H 딜레이라인(24)의 출력단은 신호합성수단, 예를 들면 가산회로(25)의 한쪽 입력단에 접속됨과 더불어 궤환회로를 이루는 증폭기(26)의 입력단에 접속되고, 이 증폭기(26)의 출력단은 상기 가산회로(23)의 다른쪽 입력단에 접속된다. 또한 상기 신호입력단자(21)는 증폭기(27)를 매개해서 상기 가산회로(25)의 다른쪽 입력단에 접속되고, 이 가산회로(25)의 출력단은 신호출력단자(28)에 접속된다.
이어, 제7도의 회로동작에 대해 제8도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8A도는 신호입력단자(21)에 인가되는 영상신호를 나타낸 것으로, 설명의 편의상 동기신호를 생략해서 나타내면 제8a도와 같이 된다. 여기서 제8A도 및 a에 있어서 1H는 1수평주사기간을 나타낸다.
이 입력신호(a)는 증폭기(22)에 의해 소정의 증폭도로 증폭되어 제8b도와 같은 신호로 된다. 또한 가산회로(23) 및 이 1H 딜레이라인(24)을 통과함으로써 1H 기간동안 지연되게 된다. 1H 딜레이라인(24)의 출력은 증폭기(26)에도 공급되는 바, 이 증폭기(26)에 의해서 소정의 증폭도를 가지고 반전되어 (c)와 같은 신호로 된다. 이 (c)의 신호는 가산회로(23)에 인가되므로 여기서 (b)와 (c)의 신호가 가산되게 된다. 이 가산출력을 (b1)으로 나타낸다. 더욱이 이 (b1)의 신호는 1H 딜레이라인(24) 및 증폭기(26)를 통해 다시 가산회로(23)에 인가되는 동작을 반복하는 바, 이 증폭기(26)에 의한 궤환회로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산회로(23)의 출력은 결국 제8b2도와 같이 되는 동시에 증폭기(26)의 출력 및 1H 딜레이라인(24)의 출력은 최종적으로 각각 제8c1,d도와 같이 된다.
한편, 신호입력단자(21)에 인가된 신호는 역시 증폭기(27)에도 공급되는 바, 이 증폭기(27)에 의해 소정의 증폭도를 가지고 반전됨으로써 제8e도에 나타낸 것과 같은 신호로 되어 가산회로(25)에 인가되게 된다. 그리고 이 가산회로(25)에서는 상기한 (d)신호와 (e)신호가 가산되기 때문에, 출력단자(28)에는 제8f도와 같은 신호가 얻어지게 되는바, 이 (f)신호는 프리슈트와 오버슈트가 부가된 수직윤곽보정 신호임에 틀림없다. 여기서, 제7도에 도시한 각점 ⓐ∼ⓕ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8a∼f도의 신호가 나타나게 된다.
이어, 제7도에 도시된 회로 각 부분의 신호를 수직적으로 구해보기로 한다. 여기서 각 부분의 신호레벨을 각각 다음과 같은 신호로 표현한다.
Va : 신호입력단자(21)에 인가되는 입력신호,
Vb : 증폭기(22)의 출력신호,
Vb2: 가산회로(23)의 출력신호,
Vc1: 증폭기(26)의 출력신호,
Vd : 1H 딜레이라인(24)의 출력신호,
Ve : 증폭기(27)의 출력신호,
Vf : 신호출력단자(28)의 출력신호,
또, 증폭기(22)의 증폭도를 (1+2g), 증폭기(26)의 증폭도를
Figure kpo00013
증폭기(27)의 증폭도를 -g라 하고, 1H 딜레이라인(24)의 사상계수를 D라고 하면,
Figure kpo00014
로 된다. 이(13)식으로부터 가산회로(23)의 출력 Vb2
Figure kpo00015
로 된다. 여기서 Va=V(t)라 하면,
Figure kpo00016
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1H 딜레이라인(24)의 출력 Vd=D·Vb2이기 때문에 (13)식, (14)식으로 부터,
Figure kpo00017
로 된다.
또한 가산회로(25)의 출력, 즉 신호출력단자(28)의 출력 Vf는 (13)식, (15)식으로 부터
Figure kpo00018
로 된다. 이 (16)식을 분해하면,
Figure kpo00019
로 된다. 다시 (17)식은
Figure kpo00020
로 나타낼 수 있다.
이 (18)식을 상술한(12)식과 비교해 보면, (18)식의 우변 제1항과 제2항의 합은 (12)식과 같고, 제3항이 (12)식에 대해 오차로 된다. 이 오차에 대해 제9도를 참조해서 설명하면, 제9a도는 입력신호를 나타내고, 제9b도는 (12)식에 의한 출력, 즉 제5도의 1H 딜레이라인을 2개 사용한 회로의 출력신호를 나타내며, 제9d도는 본 발명의 회로(제7도)에서의 출력신호를 나타낸다. 그리고 제9b도와 (d)를 비교했을 때의 오차량이 제9c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 오차량은 상술한 (18)식 제3항으로 표현되는 식에서 구할 수 있으나, 상술한 증폭도 g의 값을 선정함으로써 극히 작게 억제시킬 수 있게 되어, 결과적으로 출력단자(28)의 출력신호는 제9b도의 파형에 근사하게 된다. 예를 들면 증폭도 g는 1/2로 선택하면 좋다.
이렇게 하여 제7도의 회로에 의하면, 단 하나의 1H 딜레이라인(24)을 사용해서 수직윤곽의 보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어, 제10도, 제11도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단, 제7도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우선, 제10도에 있어서 제7도와 다른 점은 상술한 증폭기(27)대신 증폭기(29)를 설치한 것인 바, 이 증폭기(26)를 상기 증폭기(22)와 가산회로(25)사이에 배치시킨 점이다.
그리고, 증폭기(22)의 증폭도를 (1+2g)로 하고, 증폭기(26),(29)의 증폭도를
Figure kpo00021
로 설정하면, 제7도와 동일한 출력신호를 출력단자(28)에서 얻을 수가 있다. 또한, 제11도와 같이 가산회로(25)의 출력을 증폭기(26)를 매개해서 가산회로(23)에 궤환되도록 해도 좋다.
한편,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것이지만, 궤환회로를 구성하는 증폭기(26)의 증폭도는, 증폭기(22)의 출력의 진폭레벨보다 작은 진폭레벨의 궤환신호를 가산회로(23)에 공급하도록 하고, 또 극성이 반전되는 것과 같은 값으로 선택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가산회로(25)에 있어서 지연회로(24)의 출력단신호(d)와 증폭기(27,29)의 출력단신호(e)의 가산비율은 (d)의 레벨에 비해 신호(e)의 레벨쪽이 작고, 또 극성이 반전되도록 가산함으로써 프리슈트와 오버슈트를 부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해서 실시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2개의 1H 딜레이라인을 사용하지 않고, 1개의 1H 딜레이라인을 사용해서 수직방향의 윤곽에 프리슈트와 오버슈트를 부가시킬 수 있게 되어, 회로규모를 대폭적으로 축소시킬 수 있으며, 게다가 수직윤곽의 보정도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영상신호원으로 부터의 영상신호가 입력되는 영상신호입력단자(21) 및 신호출력단자(28)와 ; 이 영상신호입력단자(21)에 입력단이 접속되고, 그 입력단에 공급된 영상신호를 소정의 증폭도를 가지고 증폭하는 증폭기(22) ; 제1신호와 제2신호를 합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영상신호원으로부터의 영상신호가 상기 증폭기(22)에 의해 증폭되어 제1신호로 공급되는 가산회로(23) ; 이 가산회로(23)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접속되고, 그 입력단에 공급된 신호를 1수평주사기간(1H)동안 지연시켜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지연회로(24) ; 이 지연회로(24)의 출력단과 상기 신호출력단자(28)사이의 신호전송선로로 부터 상기 가산회로(23)에 걸쳐 배치되어 신호전송선로상에 얻어진 신호를 처리해서 제1신호레벨보다 작은 레벨을 갖고, 또 극성이 반전된 신호를 제2신호로서 상기 가산회로(24)에 공급하는 증폭기(26) ; 상기 영상신호입력단자(21)에 입력단이 접속되고, 그 입력단에 공급된 영상신호를 소정의 증폭도를 가지고 증폭하는 증폭기(27) 및, 상기 지연회로(24)의 출력단에 얻어진 신호와 상기 증폭기(27)에 의해 증폭된 영상신호를 소정의 비율로 합성하여 프리슈트와 오버슈트가 부가된 영상신호를 추출해 낼 수 있도록 신호전송선로상에 설치되는 가산회로(25)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윤곽보정장치.
KR1019840007256A 1983-11-26 1984-11-20 수직윤곽 보정장치 KR9000051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221396A JPS60114090A (ja) 1983-11-26 1983-11-26 垂直輪郭補正装置
JP58-221396 1983-11-26
JP83-221396 1983-11-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3999A KR850003999A (ko) 1985-06-29
KR900005186B1 true KR900005186B1 (ko) 1990-07-20

Family

ID=16766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7256A KR900005186B1 (ko) 1983-11-26 1984-11-20 수직윤곽 보정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658295A (ko)
JP (1) JPS60114090A (ko)
KR (1) KR900005186B1 (ko)
DE (1) DE3443067A1 (ko)
GB (1) GB215187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4853B1 (ko) * 1985-01-28 1989-11-29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영상신호 처리회로
JPS6276871A (ja) * 1985-09-30 1987-04-08 Toshiba Corp 画質補正回路
US4809070A (en) * 1987-11-06 1989-02-28 The Grass Valley Group,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ding texturing highlights to a video signal
US5225910A (en) * 1990-11-20 1993-07-06 Nippon Television Network Corporation Adaptive operation type low noise television system
JP2004159067A (ja) * 2002-11-06 2004-06-03 Sanyo Electric Co Ltd 垂直シャープネス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tv受像機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71053A (en) * 1956-06-13 1961-02-07 Rca Corp Video signal compensating circuits
GB1110319A (en) * 1965-05-03 1968-04-18 British Broadcasting Corp Apparatus for processing television signals
JPS5199922A (ko) * 1975-02-28 1976-09-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JPS5519551A (en) * 1978-07-31 1980-02-12 Mitsui Petrochem Ind Ltd Method of manufacturing plastic sheet reinforced with wire-netting
JPS5689173A (en) * 1979-12-20 1981-07-20 Sony Corp Vertical aperture correcting circuit
CA1187167A (en) * 1981-07-09 1985-05-14 Sadaaki Tanaka Video signal processing circuit
JPS5928766A (ja) * 1982-08-10 1984-02-15 Sony Corp 遅延回路
US4558347A (en) * 1983-08-26 1985-12-10 Rca Corporation Progressive scan television system employing vertical detail enhanc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151875A (en) 1985-07-24
US4658295A (en) 1987-04-14
GB8429584D0 (en) 1985-01-03
GB2151875B (en) 1987-10-21
DE3443067A1 (de) 1985-06-05
JPS60114090A (ja) 1985-06-20
DE3443067C2 (ko) 1988-08-11
KR850003999A (ko) 1985-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67900A (en) Digital apparatus for contour enhancement of video signal
KR900005186B1 (ko) 수직윤곽 보정장치
JP2541555B2 (ja) ビデオ信号の非直線伝送方法および回路装置
US5345265A (en) Gamma correction circuit for a video camera
GB2106746A (en) Tv signal processing
JP2751447B2 (ja) ノイズ低減装置
US4884140A (en) Vignetting compensating circuit for a video camera
US5218438A (en) Picture aperture correction circuit
US4654709A (en) Vertical contour correction device
KR900001796B1 (ko) 수직윤곽 보정장치
JPH06292053A (ja) モーション・アパーチャ補正方法、装置及びビデオシステム
KR900005187B1 (ko) 수직윤곽 보정장치
GB2058527A (en) Picture display device
JPH03500596A (ja) 情報表示装置
GB2106747A (en) Tv signal processing
KR100265324B1 (ko) 다중 동기 시알티(crt)디스플레이 장치에 이용되는 디지털 컨버전스 장치
JPH05244462A (ja) 映像信号処理装置
KR920004117Y1 (ko) 비디오 카메라에 있어서 화면의 셰이딩 보정회로
KR100209899B1 (ko) 카메라의 매트릭스회로 및 그 구현방법
EP0982936A1 (en) Contour correction circuit for an image display apparatus
KR950002214Y1 (ko) 윤곽보정 회로
JPS61136385A (ja) 輪郭補正装置
JPS60192466A (ja) 輪郭補償装置
JPS6031389A (ja) カラ−テレビジヨン信号処理回路
JPS61140280A (ja) 輪郭補償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6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