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1796B1 - 수직윤곽 보정장치 - Google Patents

수직윤곽 보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1796B1
KR900001796B1 KR1019840007272A KR840007272A KR900001796B1 KR 900001796 B1 KR900001796 B1 KR 900001796B1 KR 1019840007272 A KR1019840007272 A KR 1019840007272A KR 840007272 A KR840007272 A KR 840007272A KR 900001796 B1 KR900001796 B1 KR 900001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ircuit
output
delay
inpu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7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4000A (ko
Inventor
도시미쯔 우메자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도오시바
사바 쇼오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도오시바, 사바 쇼오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도오시바
Publication of KR850004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4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1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0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 H04N5/205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for correcting amplitude versus frequency characteristic
    • H04N5/208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for correcting amplitude versus frequency characteristic for compensating for attenuation of high frequency components, e.g. crispening, aperture distortion cor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직윤곽 보정장치
제1도는 종래의 윤곽보정장치에 2차미분회로를 이용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파형도.
제2도는 종래의 수직윤곽보정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회로도.
제3도와 제4도는 제2도에 도시된 수직윤곽보정장치의 동작설명에 이용되는 텔레비젼화상의 설명도와 각부 신호파형도.
제5도는 종래의 수직윤곽보정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회로도.
제6도는 제5도에 도시된 수직윤곽보정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각부 신호파형도.
제7도는 NTSC 방식 컬러텔레비전신호의 주파수스펙트럼 및 빗형 필터특성을 나타낸 파형도.
제8도는 빗형 필터의 블록도.
제9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수직윤곽보정장치를 나타낸 회로도.
제10도와 제11도는 제9도에 도시된 수직윤곽보정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파형도.
제12도와 제13도는 제9도에 도시된 수직윤곽보정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회로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직윤곽보정장치를 나타낸 회로도.
제15도는 제14도에 도시된 수직윤곽보정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1, 21, 31, 41 : 영상신호입력단자
2, 12, 13, 22, 33, 44 : 1H지연회로(1H딜레이라인)
3, 4, 24, 35, 46 : 감산회로 5, 17, 23, 32, 34, 43, 45 : 가산회로
6, 18, 38 : 신호출력단자 14, 16 : 반전증폭기
25 : 휘도신호출렬단자 26, 53 : 반송색신호출력단자
39, 40 : 반전회로 42, 47 : 지연소자
49 : 저역통과여파기 Y : 그림무늬신호성분
S : 수평동기신호 fH : 수평주파수
1H : 1수평주사기간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컬러텔레비젼 수상기와 같은 표시장치에서의 수직윤곽보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직방향의 윤곽부에 대해 프리슈트(PRESHOOT)와 오버슈트(OVERSHOOT)를 수행할수 있도록 된 수직윤곽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및 그 문제점]
텔레비전 송수신시스템에서는 영상신호의 대역폭이 4.2MHZ로 한정되어 있어, 그 이상의 고역성분은 전송되지 않게 되므로 본래의 그림무늬(繪柄)의 미세한 부분이라던지 엣지(EDGE)부분에서 화상의 둔화 등이 원리적으로 존재하게 되므로 재현되는 텔레비전화상의 선명도가 저하되는 요인으로 되고 있다.
그래서, 텔레비전의 선명도를 개선하기 위해 영상신호 엣지부의 전후에 프리슈트와 오버슈트를 부가하는 것이 알려져 있는 바, 이에 대해 제1도를 참조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텝형상으로 변환하는 영상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그 신호를 1차미분 혹은 2차미분함으로써 윤곽보정신호를 얻을 수 있다. 즉, 제1도(b)에는 2차미분파형예가 도시되어 있는바, 이 파형신호(b)를 입력신호(a)에 중첩시킴에 따라 제1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슈트와 오버슈트가 부가된 신호가 얻어져 윤곽보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윤곽보정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는 바, 상기한 2차미분파형을 얻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인덕터와 캐패시터 및 저항을 이용한 회로를 사용해야 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재현화상의 수평방향에 대한 윤곽보정밖에는 수행되지 않는 불리함이 발생되게 된다.
또, 텔레비젼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화상송신측에서 화상을 주사하여 화소의 회색도(灰色度)를 시간적으로 연속적인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화상수신측에서는 화상송신측으로부터 전송되는 화상의 분해주사에 동기되게 화상의 조립주사를 수행함으로써 2차원적 화상으로 재생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화상의 수직방향에 대해 윤곽보정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1수평주사기간1H 이전의 신호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1H 이전의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서는CCD(Charge Coupled Device)등의 지연회로를 사용하면 좋은데, 이와 같은 지연회로를 이용하여 수직방향의 윤곽보정을 수행하는 종래 수직윤곽보정장치의 일례를 제2도~제4도를 참조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수직윤곽보정회로의 블록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면의 참조부호 1은 영상신호입력단자, 2는 상기 CCD등에 의한 1H지연회로[이하 1H딜레이라인(1H delay line)이라 칭함], 3은 감산회로, 4는 증폭기, 5는 가산회로, 6은 신호출력단자를 나타낸다.
이 제2도에 도시된 지연회로의 동작을 제3도와 제4도를 참조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3도에서 도면의 참조부호 10은 음극선관등의 표시부에 표시된는 화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지금 이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흑", "백"과 같은 화상으로 되는 그림무늬신호를 수신하는 경우를 고려해보면, 제2도의 입력단자(1)에는 제4도 (a)와 같은 영상신호파형이 인가되는데, 이 제4a도에서는 S는 수평동기신호를 나타내고, Y는 그림무늬신호성분을 나타내며, 1수평주사기간은 1H로 나타내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영상신호(a)는 1H딜레이라인(2)에서 1H정도 지연되어 제4도(b)의 신호파형으로 얻어지고, 이어 상기 감산회로(3)에 의해 상기 영상신호(a)와 1H지연된 신호(b)가 감산되어 제4도(c)에 도시된 감산출력이 얻어지게 된다. 이어, 이 감산출력신호(c)는 증폭기(4)에서 소정의 증폭도로 진폭조정된 다음 가산회로(5)에 인가되어 상기 영상신호(a)와 중첩되고, 그 결과 출력단자(6)에는 제4도(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의 상승부와 하강부에 오버슈트가 부가된 신호파형이 얻어지게 된다. 이 경우, 제2도의 지연회로는 오버슈트를 부가하도록 된 구성이지만, 프리슈트를 부가하는 회로도 쉽게 유추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오버슈트 또는 프리슈트중 어느 하나만을 부가하는 정도로만 보정하는 경우에는 어느 정도 선명도를 개선시킬수는 있더라도 재현화상이 부자연스럽게 되어 버려 충분한 정도의 보정이 수행되는 것이라고는 말할수 없기 때문에 프리슈트와 오버슈트를 동시에 부가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 요망되고 있다.
제5도는 오버슈트와 프리슈트를 동시에 부가할 수 있는 수직윤곽보정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이 제5도에서 도면의 참조부호 11은 영상신호입력단자, 12와 13은 1H지연회로(1H딜레이라인). 14와 16은 반전증폭기, 15는 증폭기, 17은 가산회로, 18은 신호출력단자를 각각 나타낸다.
이러한 제5도의 수직윤곽보정장치의 동작을 제6도를 참조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6도(a)는 상기 제3도에 도시된 하상에 대응하는 영상신호입력단자(11)의 신호파형으로서 상기 제4도(a)와 동일한 신호파형을 나타내는데, 이 신호파형(a)은 1H딜레이라인(12)에 의해 1H지연되어 제6도의 (b)에 도시된 신호로 된 다음 1H딜레이라인(13)에 의해 1H지연되어 제6도(c)에 도시된 신호로 되고, 여기서 제6도(d)는 증폭기(15)의 출력과 반전증폭기(14)의 출력을 가산한 신호파형을 나타내며, 제6도의 (e)는 증폭기(15)의 출력과 반전증폭기(16)의 출력을 가산한 신호파형을 나타내고, 이 경우 가산결과로서의 가산회로(17)의 출력, 즉 츨력단자(18)의 신호파형은 파형(b)(d)(e)가 가산되어 제6도(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슈트와 오버슈트가 부가된 파형으로 된다.
여기서, 제5도의 각부 신호를 수식적으로 구해보면 제5도에서 입력단자(11)의 입력신호를 V(t), 1H딜레이라인(12, 13)의 출력신호를 각각 VA, VB, 각 증폭기(14, 15, 16)의 출력신호를 각각 CC, VD, VE, 출력단자(18)의 출력신호를 VF라 하면,
Figure kpo00001
(단, H는 1수평주사기간을 나타낸다.)
로 표시되고, 각 증폭기(14,15,16)의 증폭도를 각각 -g1, -g2, -g3라고 하면
Figure kpo00002
로 된다.
따라서, 출력신호(VF)는
Figure kpo00003
로 되고, 여기서 g1=g3=g, g2=1+2g라고 하면, 상기 (6)식은
Figure kpo00004
로 되며, 또한
Figure kpo00005
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6도 (a)에 도시된 파형이 입력되는 경우 V(t-H)와 V(t-2H)는 제6도의 (b, c)로 되고, 상기식(8)에서 우변의 각항에 나타낸 값의 총합에 의한 출력 VF은 제6도의 (f)와 같이 되며, 이와 같이 해서 윤곽부에 프리슈트 및 오버슈트를 부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5도에서 1H딜레이라인(12, 13)의 사상(寫像)함수를 D라 하고, 각 1H딜레이라인 입력측의 신호를 Vin, 출력측의 신호를 Vout이라 하면,
Figure kpo00006
로 된다. 또,
Figure kpo00007
로도 되므로 상기 식(8)은 사상함수(D)를 사용해서 나타내면,
Figure kpo00008
로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제5도에 도시된 수직윤곽보정장치에서는 2개의 1H딜레이라인 필요하게 되므로 CCD등의 지연회로에 의해 구성되면 회로가 대규모로 되어 버리는 결점이 있다.
또, NTSC방식에 의한 컬러테레비전송수신 시스템에서는 색신호를 휘도신호의 고역성분에서 반송색신호로서 주파수인터리빙(inrerleaving ; 주파수중간삽입)하여 다중전송하는 방식이 주지되어 있다. 즉, 제7도(a)의 실선은 휘도신호의 주파수스펙트럼으로서, 수평주파수(fH)간격에서 피크를 갖고 있고,이에 대해 반송색신호(그 중심주파수는 3.58MHZ)는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휘도신호의 고역측에서 주파수스펙트럼으로부터 관측해서 휘도신호의 주파수스펙트럼사이에 피크를 갖도록 중간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신호형태를 갖는 컬러텔레비전신호에 의해 컬러화상을 재생하는 경우 휘도신호와 반송색신호를 각각 분리해서 취출해낼 필요가 있는데, 휘도신호와 반송색신호를 분리하여 취출해내기 위한 회로가 제8도에 도시되어 있다.
즉, 제8도에서 도면의 참조부호 21은 컬러텔레비전신호가 공급되는 영상신호입력단자, 22는 1H지연을 수행하는 1H딜레이라인, 23과 24는 이 1H딜레이라인(22)에 의한 지연출력과 상기 입력단자(21)에서 공급되는 신호를 각각 가산 및 감산적으로 혼합하기 위한 가산회로와 감산회로, 25는 휘도신호출력단자, 26은 반송색신호출력단자이다.
이 제8도는 휘도신호와 반송색신호의 파워스텍트럼의 큰부분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소위 빗형(Comb型)필터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으로, 이 빗형 필터특성이 제7도(b)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7도 및 제8도는 일반적으로 주지되어 있으므로 그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 제8도의 시스템과 상기 제2도의 수직윤곽보정회로를 조합해서 휘도신호의 분리와 수직윤곽의 보정을 행하도록 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오버슈트 혹은 프리슈트중 어느 하나만이 부가되게 되어 재현화상이 부자연스럽게 되어 버리는 불리함이 발생되고, 또 1H딜레이라인을 2개 사용하여 오버슈트와 프리슈트를 부여하는 방식도 실현할 수 있지만 회로가 대규모로 되어 비경제적으로 되는 결점이 있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상의 결점을 개선한 것으로, 극히 간단한 회로규모로 빗형 필터를 구성하여, 수직방향의 윤곽에 프리슈트와 오버슈트를 균형있게 부여할 수 있는 수직윤곽보정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발명의 구성]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수직윤곽보정장치는 영상신호입력단자와, 이 영상신호입력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영상신호인 제1신호와 제2신호를 합성시키는 제1가산회로, 이 제1가산회로에 입력단이 접속되면서 그 입력단에 공급되어지는 신호를 1수평주사기간동안 지연시켜서 그 출력단으로부터 취출해내는 딜레이라인(지연회로), 이 딜레이라인의 출력단에서 얻어지는 신호와 상기 제1신호를 감산적으로 혼합시키는 감산회로와 이 감산수단의 출력신호를 처리해서 제1신호의 레벨에 대해 작은레벨을 가지면서 극성이 반전된 신호를 출력하는 증폭기로 구성되어 상기 제1가산회로에 제2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궤환회로망, 상기 딜레이라인의 출력단에서 얻어지는 신호와 상기 감산회로의 출력신호를 소정의 비율로 가산적으로 혼합시켜 프리슈트와 오버슈트가 부가된 영상신호를 취출해내는 가산회로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직윤곽보정장치는 컬러텔레비전 영상신호입력단자와, 이 영상신호입력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영상신호인 제1신호와, 제2신호를 합성시키는 제1가산회로, 이 제1가산회로에 입력단이 접속되면서 그 입력단에 공급되어지는 신호를 1수평주사기간 동안 지연시켜 그 출력단으로부터 취출해내는 딜레이라인(지연회로), 이 딜레이라인의 출력단에서 얻어지는 신호와 상기 제1신호를 감산적으로 혼합시키는 감산회로와 이 감산회로에 의해 감산적 혼합출력신호로부터 저주파성분을 분리해서 취출해내는 저역통과여파기 및 이 저역통과여파기에 의해 분리된 신호를 처리해서 상기 제1신호 레벨에 대해 작은 레벨을 가지면서 극성이 반전된 신호를 상기 제1가산회로에 제2신호로 공급하기 위한 증폭기로 구성된 궤환회로망, 상기 제1신호와 상기 딜레이라인에 의해 지연된 신호 및 상기 저역통과여파기에 의해 분리된 신호를 소정의 비율로 가산적으로 혼합시켜 그 출력으로서 프리슈트와 오버슈트가 부가된 휘도신호를 취출해내는 가산회로 및, 상기 저역통과여파기를 통과함에 의해 신호가 자연작용을 받을 때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저역통과여파기의 출력에 기초하는 신호에 합성, 혼합된 신호에 대해 상기 지연작용에 따른 시간적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지연회로가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용]
본 발명은 영상신호를 신호합성수단을 매개해서 1수평주사기간1H의 지연시간을 갖는 1H딜레이라인에 공급함과 더불어, 이 딜레이라인의 출력신호와 상기 영상신호를 감산적으로 혼합하여 감산적 혼합출력을 소정의 진폭과 극성을 갖고서 상기 신호합성수단에 궤환되도록 하고, 또한 상기 감산적 혼합출력과 상기 딜레이라인의 출력을 소정의 비율을 갖고서 가산적으로 혼합함으로써 프리슈트와 오버슈트가 부가된 영상신호를 얻도록 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은 컬러텔레비전신호를 신호합성수단을 매개해서 1수평주사가기간(1H)을 지연시키는 수단에 공급함과 더불어 이 지연수단의 출력을 상기 컬러텔레비전입력에 가산 및 감산적으로 혼합함으로써 휘도신호와 반송색신호를 분리해서 취출해내는 빗형 필터구성을 갖추고서, 상기한 반송색신호출력의 저주파성분을 저역통과여파기에 의해 분리하여 이 저역통과여파기의 출력을 소정의 진폭과 극성을 갖고서 상기 신호합성수단에 궤환되도록 하고, 상기 저역통과여파기의 출력과 상기 휘도신호를 소정의 비율을 갖고서 중첩시킴으로써 프리슈트와 오버슈트가 부가된 휘도신호를 얻도록 되어 있다.
[실시예]
이하, 도면에 기초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윤곽보정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9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수직윤곽보정장치의 기본적인 회로구성도로서, 도면의 참조부호 (31)은 영상신호가 공급되는 영상신호입력단자로서, 이영상신호입력단자(31)는 신호합성회로인 예컨대 가산회로(32)의 한쪽 입력단에 접속되고, 이 가산회로(32)의 출력단은 1H딜레이라인(지연회로 ; (33))의 입력단에 접소되며, 이 1H딜레이라인(33)의 출력단은 신호의 가산적 혼합회로인 예컨대 가산회로(34)의 한쪽 입력단에 접속됨과 더불어, 신호의 감산적 혼합회로인 예컨대 감산회로(35)의 한쪽 입력단에 접속되어 있다. 이 감산회로(35)의 다른쪽 입력단은 상기 영상신호입력단자(31)에 접속되는 한편, 출력단은 소정의 증폭도(본 실시예에서는 부(-)증폭도)를 갖는 증폭기(36)를 매개해서 상기 가산회로(32)의 다른쪽 입력단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감산회로(35)의 출력단은 소정의 증폭도(본 실시예에서는 정(+)증폭도)를 갖는 증폭기(37)를 매개해서 상기 가산회로(34)의 다른쪽 입력단에 접속되고, 이 가산회로(34)의 출력단이 신호출력단자(38)로서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9도의 수직윤곽보정장치에 대한 동작을 제10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먼저, 제10도의 (a)는 상기 신호입력단자(31)로 공급되는 영상신호로서 편의상 상기 제6도(a)에 도시된 신호중 동기신호성분을 생략해서 나타낸 것으로, 이 제10도(a)에서 1수평주사가기간 1H로 표시되고 있다. 이 제10도(a)의 신호가 가산회로(32)를 매개해서 1H딜레이라인(33)으로 공공급되어 1H지연되게 되는데, 그 지연출력이 제10도(c1)에 도시되어 있다.
이어, 이 지연출력(c1)은 감산회로(35)에 상기 영상신호(a)와 합성되어 지연출력(c1)에서 영상신호(a)가 감산됨에 따라 제10도(d1)에 도시된 출력이 얻어지고, 그 출력(d1)은 상기 증폭기(36; 증폭도는 -g로 함)에 의해 반전되어 그 증폭기(36)의 출력단자에서는 제10도(e1)에 도시된 신호가 얻어지며, 이신호(e1)가 궤환신호로서 상기 가산회로(32)의 다른쪽 입력단에 인가되므로 이 (32)에서는 제10도(b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신호(a)와 궤환신호(e1)가 가산된 신호가 출력된다. 또한 그 가산출력(b1)은 1H딜레이라인(33)에 의해 1H지연되어 제10도(c2)에 도시된 지연출력으로 되고, 이 지연신호(c2)가 감산회로(35)에 의해 다시 상기 영상신호(a)와 감산처리된다. 이어, 그 감산출력은 증폭기(36)에서 다시 반전되어 궤환신호로서 다시 가산회로(32)로 궤환되고, 이러한 동작이 반복되는 결과 가산회로(35)의 출력은 제10도(d2), 증폭기(36)의 출력은 제10도(e2), 감산회로(32)의 출력은 제10도(b2), 1H딜레이라인(33)의 출력은 제10도(c2), 증폭기(37 : 증폭도를 g라고 함)의 출력은 제10도(f)에 표시된 신호파형으로 된다. 그리고, 상기 1H딜레이라인(33)의 출력(c2)과 증폭기(37)의 출력(f)이 가산회로(34)에 의해 가산되어 그 가산회로(34)의 출력단자(38)에서는 제10도(g)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슈트와 오버슈트가 동시에 부가된 수직윤곽보정신호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9도에 도시된 수직윤곽보정장치에서는 1H딜레이라인(33)의 출력단과 가산회로(32)의 다른쪽 입력단사이에 프리슈트와 오버슈트(35)와 증폭기(36)로 구성되는 궤한회로를 배치함으로써 단 1개의 1H딜레이라인(33)만을 사용하여 프리슈트와 오버슈트를 부가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제9도의 회로각부 신호를 수식적으로 구해 보기로 하는데, 여기에서 각부의 신호레벨을 각각 다음의 기호로 표시하기로 한다.
Va : 영상신호입력단자(31)에 인가되는 입력신호.
Vb2: 가산회로(32)의 출력신호.
Vc2: 1H딜레이라인(33)의 출력신호.
Vd2: 감산회로(35)의 출력신호.
Ve2: 증폭기(36)의 출력신호.
Vf : 증폭기(37)의 출력신호.
Vg : 신호출력단자(38)의 출력신호.
또, 상기 증폭기(36)의 증폭도를 -g, 증폭기(37)의 증폭도를 g, 1H딜레이라인(33)의 사상함수를 D라고 하면,
Figure kpo00009
로 된다.
여기서 Va=V(t)로 하면,
Figure kpo00010
로 표시된다.
또,
Figure kpo00011
로 되고, 상기한 Vg=Vc2+VKf에 상기 식(14)와 식(16)을 대입하면,
Figure kpo00012
로 되며, 이 식(17)중의 Vb2가 상기 식(13)을 대입하면,
Figure kpo00013
로 된다. 또 이 식(18)은
Figure kpo00014
로 되고, 이 식(19)은
Figure kpo00015
로 변형할 수 있다.
여기서, 이 식(20)과 상기한 식(11)을 비교하면 상기 식(20)의 우변 제1항, 제2항, 제3항의 압은 상기식(11)과 같은 반면, 제4항, 제5항, 제6항이 상기 식(11)에 대해 오차로 되는데 , 이 오차에 대해 제11도를 참조해서 설명하면 제11도(a)는 입력신호를 나타내고, 제11도(b)는 상기 식(11) 즉 상기 제5도에 도시된바와 같이 1H딜레이라인을 2개 사용한 회로의 출력신호를 나타내며, 제11도(d)는 제9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수직윤곽보정장치에서 출력되는 신호파형을 나타내고, 제11도(b)와 제11도(d)를 비교하는 경우의 오차량이 제11도(c)에 도시되어 있다. 이 오차량은 상기 식(20)의 제4항 이후에서 표시되는 식으로부터 구해낼 수 있는데, 이는 상기한 증폭도(g)의 값을 적절하게 선정해줌으로써 상당히 작게 억제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출력단자(38)의 출력신호는 제11도(b)의 파형에 근사하게 되고, 이 경우 증폭도(g)는 예컨대 1/4등으로 선택하면 좋으며, 이렇게 해서 출력신호에서는 수직방향의 윤곽에 프리슈트와 오버슈트를 부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제12도 및 제13도를 참조해서 제9도에 도시된 회로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는데, 이 제12도와 제13도에서 제9도와 동일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우선, 제12도에는 감산회로(35)의 출력단에 증폭기(37: 증폭도는 g)가 접속되고, 이 증폭기(37)의 출력단이 가산회로(34)에 접속됨과 더불어 반전회로(39)를 미개해서 가산회로(32)에 접속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또, 제13도에 감산회로(35)의 출력단에 증폭기(36: 증폭도는 -g)가 접속되고, 이 증폭기(36)의 출력단이 가산회로(32)에 접속됨과 더불어 반전회로(40)를 매개해서 가산회로(34)에 접속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제12도 및 제13도에 도시된 회로구성에서도 제9도에 도시된 회로와 동일한 작용을 달성할 수 있음은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이어, 본 발명에 의한 수직윤곽보정회로를 빗형 필터와 조합해서 휘도신호, 반송색신호의 분리 및 수직윤곽의 보정이 가능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해 제14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14도에서 도면의 참조부호 41은 컬러텔리비전신호가 공급되는 영상신호입력단자로서 이 영상신호입력단자(41)는 지연시간(
Figure kpo00016
)를 갖는 지연소자(42)의 입력단에 접속되고, 이 지연소자(42)의 출력단은 가산회로(43)의 한쪽 입력단에 접속되며, 이 가산회로(43)의 출력단은 (1H-
Figure kpo00017
)의 지연시산을 갖는 딜레이라인(44; 지연회로)의 입력단에 접속되어 있다. 또, 이 딜레이라인(44)의 출력단이 가산회로(45)의 한쪽 입력단 및 감산회로(46)의 한쪽 입력단에 각각 접속되고, 이들 가산회로(45)와 감산회로(46)의 다른쪽 입력단은 각각 상기 영상신호입력단자(41)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산회로(45)의 출력단은 지연시간(
Figure kpo00018
)을 갖는 지연소자(47)를 매개해서 가산회로(48)의 한쪽 입력단에 접속되고, 상기 감산회로(46)의 출력단은 저역통과여파기(49)를 매개해서 증폭기(50, 51)의 입력단에 각각 접속되는데, 이 증폭기(50)는 본 실시예에서 부(-) 증폭도(-g)를 갖는 반면 증폭기(51)는 정(+)증폭도(g)를 갖고 있다. 그리고, 상기 증폭기(50)의 출력단은 상기 가산회로(43)의 다른쪽 입력단에 접속되는 한편 증폭기(51)의 출력단은 상기 가산회로(48)의 다른쪽 입력단에 접속되고, 상기 가산회로(48)의 출력은 휘도신호 출력단자(52)에 접속되며, 상기 감산회로(46)의 출력단은 반송색신호출력단자(53)에 접속되어 있다.
이 제14도에서 상기 지연소자(42, 47)의 지연시간(
Figure kpo00019
)은 저역통과여파기(49)에 의해 발생된 신호의 지연시간과 거의 동일한 시간으로 선택된다. 즉 저역통과여파기(49)의 지연시간(
Figure kpo00020
)로 되고, 또 이 저역통과여파기(49)의 차단주파수는 약 2MHz로 선택된다.
여기서, 이 제14도의 회로동작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영상신호입력단자(41)에는 컬러텔레비전영상신호가 공급되어, 이 신호가 지연소자(42)에 의해(
Figure kpo00021
)정도 지연된 다음, 가산회로(43)를 매개해서 딜레이라인(44)으로 공급되는데, 이 딜레이라인(44)의 지연시간은(1H-
Figure kpo00022
)이므로 이 딜레이라인(44)의 출력은 입력단자(41)의 입력신호에 대해 정확히 1H정도 지연된 것으로 된다.
따라서, 가산회로(45)및 감산회로(46)에서는 입력단자(41)에 인가되는 신호와 1H지연되는 신호의 감산적 혼합 및 가산적 혼합이 이루어지게 되고, 가산회로(45)의 출격단에서 휘도신호가, 가산회로(46)의 출력단에는 반송색신호가 얻어지게 된다.
또 NTSC방식에 있어서는 색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색부반송파(3.58MHz)를 색신호에 의해 변조해서 4.2MHz의 영상대역중 2.1MHz로부터 4.2MHz사이에 중첩시키고 있는 바, 즉 반송색신호는 3.58MHz를 중심으로 해서 상측에서 4.2MHz, 하측에서는 2.1MHz의 범위내에만 존재하게 된다. 한편, 제14도의 저역통과여파기(49)는 그 차단주파수가 약 2MHz로 선택되어 있기 때문에 2MHz이상인 신호에 대해서는 제8도와 등가적으로 된다.
그리고, 상기 감산회로(46)의 출력, 즉 반송색신호출력단자(53)에 나타나는 출력의 저주파성분이 상기 저역통과여파기(49)에 의해 분리된 다음 증폭기(50)에 의해 소정의 증폭도를 갖고서 반전되어 가산회로(43)에 공급된다. 즉, 상기 제9도에서 감산회로(35), 증폭기(36)에 의한 궤환회로망이 제14도에서는 감산회로(46), 저역통과여파기(49), 증폭기(50)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가산회로(43)에 인가되는 한쪽 입력신호는 지연소자(42)에 의해 (
Figure kpo00023
)시간지연되고, 다른쪽의 입력신호(궤환신호)는 저역통과여파기(49)에 의해(
Figure kpo00024
)시간지연되기 때문에 가산회로(43)에 인가되는 2개의 입력신호는 시간적오차가 없으므로 가산시 악영향이 초래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상기 저역통과여파기(49)의 출력은 후단의 증폭기(51)에서 소정의 증폭도로 증폭된 다음 가산회로(48)에 공급되고, 이 경우 가산회로(48)의 증폭기(51)는 제9도에서의 가산회로(34)와 증폭기(37)에 대응되는 것으로, 이 가산회로(48)의 출력에는 프리슈트와 오버슈트가 부가된 휘도신호성분이 나타나게 되어 수직윤곽의 보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가산회로(45)의 출력이 지연소자(47)에 의해 시간(
Figure kpo00025
)의 지연을 갖고서 가산회로(48)의 한쪽 입력신호로서 공급되는데, 이 가산회로(48)의 다른쪽 입력신호로서 저역통과여파기(49)에 의해 시간(
Figure kpo00026
)의 지연을 갖는 신호가 공급되기 때문에 2개 신호의 시간적오차는 없게 되어 가산시에는 악영향이 초래되지 않는다.
이렇게 해서 제14도에 도시된 회로는 빗형 필터특성을 갖고서 휘도신호와 반송색신호의 분리가 가능하게 될 뿐만아니라 프리슈트와 오버슈트가 부가된 수직윤곽의 보정도 가능하게 된다. 더구나 1H지연시간(제14도에서는 1H-
Figure kpo00027
의 딜레이라인)을 1개만 사용하게 되므로 회로규모도 작게 할 수 있고, 지연소자(42, 47)는 CCD등의 대규모 회로에 의존하지 않고 통상의 소형 지연소자부분을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그다지 부담으로 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15도에는 상기 제14도를 응용한 다른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는바, 상기 제14도와 동일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기되어 있다.
이 제15도에서 (1H-
Figure kpo00028
)의 딜레이라인(44)의 출력은 지연소자(47)를 매개해서 가산회로(54)에 공급되는데, 이 가산회로(54)에는 증폭기(51)의 출력과 지연소자(42)의 출력이 공급되고, 이 가산회로(54)의 출력단이 휘도신호출력단자(52)에 접속되어 있으며, 이 제15도의 가산회로(54)는 제14도에서 도시된 2개의 가산회로(45, 48)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제14도 및 제15도에 있어서 저역통과여파기(49)가 지연시간을 갖지 않도록 하면 지연소자(42, 47)를 설치할 필요는 없고, 지연시간(44)도 1H지연시간을 갖도록 하면 좋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해서 실시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 같이 2개의 1H딜레이라인을 필요로 하지 않고, 단 1개의 1H딜레이라인을 이용해서 수직방향의 윤곽에 프리슈트와 오버슈트를 균형좋게 부가할 수 있으므로 회로규모를 대폭적으로 축소할 수 있다. 또 종래의 빗형 필터효과를 손상시키지 않고 휘도신호와 반송색신호의 분리가 가능하게 되어 수직윤곽의 보정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Claims (2)

  1. 영상신호입력단자(31)와, 이 영상신호입력단자(31)로부터 공급되는 영상신호인 제1신호와 제2신호를 합성시키는 제1가산회로(32), 이 제1가산회로(32)에 입력단이 접속되면서 그 입력단에 공급되어지는 신호를 1수평주사기간(1H)동안 지연시켜서 그 출력단으로부터 취출해내는 딜레이라인(지연회로; (33)이 딜레이라인(33)의 출력단에서 얻어지는 신호와 상기 제1신호를 감산적으로 혼합시키는 감산회로(35)와 이 감산수단(35)의 출력신호를 처리해서 제1신호의 레벨에 대해 작은 레벨을 가지면서 극성이 반전된 신호를 출력하는 증폭기(36)로 구성되어 상기 제1가산회로(32)에 제2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궤환회로망(35, 36), 상기 딜레이라인(33)의 출력단에서 얻어지는 신호와 상기 감산회로(35)의 출력신호를 소정의 비율로 가산적으로 혼합시켜 프리슈트와 오버슈트가 부가된 영상신호를 취출해내는 가산회로(34)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윤곽보정장치.
  2. 컬러텔레비전 영상신호입력단자(41)와, 이 컬러텔레비전 영상신호입력단자(41)로부터 공급되는 영상신호인 제1신호와 제2신호를 합성시키는 제1가산회로(43), 이 제1가산회로(43)에 입력단이 접속되면서 그 입력단에 공급되어지는 신호를 1수평주사기간(1H-
    Figure kpo00029
    )동안 지연시켜 그 출려간으로부터 취출해내는 딜레이라인(지연회로; 44), 이 딜레이라인(44)의 출력단에서 얻어지는 신호와 상기 제1신호를 감산적으로 혼합시키는 감산회로(46)와 이 감산회로(46)에 의해 감산적혼합출력신호로버터 저주파성분을 분리해서 취출해내는 딜레이라인 및 이 저역통과여파기(49) 및 이 저역통과여과기(49)에 의해 분리된 신호를 처리해서 상시 제1신호레벨에 대해 작은 레벨을 가지면서 극성이 반전된 신호를 상기 제1가산회로(43)에 제2신호로 공급하기 위한 증폭기(50)로 구성된 궤환회로망(46, 49, 50), 상기 제1신호와 상기 딜레이라인(44)에 의해 지연된 신호 및 상기 저역통과여파기49)에 의해 분리된 신호를 소정의 비율로 가산적으로 혼합시켜 그 출력으로서 프리슈트와 오버슈트가 부가된 휘도신로를 취출해내는 가산회로(48) 및, 상기 저역통과여파기(49)를 통과함에 의해 신호가 지연작용을받를 때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저역통과여파기(49)의 출력에 기초하는 신호에 합성, 혼합된 신호에 대해 상기 지연작용에 따른 시간적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지연회로(42)가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윤곽보정장치.
KR1019840007272A 1983-11-26 1984-11-21 수직윤곽 보정장치 KR9000017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1395 1983-11-26
JP58221395A JPS60114089A (ja) 1983-11-26 1983-11-26 垂直輪郭補正装置
JP58-221395 1983-11-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4000A KR850004000A (ko) 1985-06-29
KR900001796B1 true KR900001796B1 (ko) 1990-03-24

Family

ID=16766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7272A KR900001796B1 (ko) 1983-11-26 1984-11-21 수직윤곽 보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0114089A (ko)
KR (1) KR900001796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9420U (ko) * 1980-07-28 1982-02-1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216634B2 (ko) 1990-04-17
JPS60114089A (ja) 1985-06-20
KR850004000A (ko) 1985-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08382B1 (en) Color video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US5767900A (en) Digital apparatus for contour enhancement of video signal
KR950001577B1 (ko) 색분리 및 윤곽 보정회로
US5345265A (en) Gamma correction circuit for a video camera
KR900001796B1 (ko) 수직윤곽 보정장치
KR900005186B1 (ko) 수직윤곽 보정장치
US4654709A (en) Vertical contour correction device
US5087967A (en) Color image pickup device having a level correcting circuit for correcting level variations in color image signals
KR900005187B1 (ko) 수직윤곽 보정장치
KR870001836B1 (ko) 영상신호 처리장치
JPH10108208A (ja) 固体撮像素子の撮像出力の輪郭強調方法
EP1289314A2 (en) Color difference signal processing
KR100251104B1 (ko) 자동 윤곽 보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데 적합한 자동 윤곽보정 회로
KR880000842B1 (ko) 휘도신호/색신호 분리방법
KR930011979B1 (ko) 영상신호의 휘도 및 색신호 분리회로
KR920003756Y1 (ko) 비디오 카메라의 윤곽 보정회로
SU117207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ррекции апертурных искажений в видеосигнале
JPH01248784A (ja) ディジタル信号処理回路
KR820001556B1 (ko) 전기신호 처리장치
JP3355975B2 (ja) 色信号処理回路
JPH06133188A (ja) 映像信号処理回路
JPS60253392A (ja) 適応型輝度信号色信号分離フイルタ
JPS63198495A (ja) ビデオカメラ
JPH02288576A (ja) 固体撮像装置
JPS61136385A (ja) 輪郭補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22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