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4173B1 - 대역설정에 의한 주파수 판별회로 - Google Patents

대역설정에 의한 주파수 판별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4173B1
KR900004173B1 KR1019870012749A KR870012749A KR900004173B1 KR 900004173 B1 KR900004173 B1 KR 900004173B1 KR 1019870012749 A KR1019870012749 A KR 1019870012749A KR 870012749 A KR870012749 A KR 870012749A KR 900004173 B1 KR900004173 B1 KR 900004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signal
frequency
input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2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9097A (ko
Inventor
송웅호
이희
김은수
이효충
Original Assignee
삼성반도체통신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반도체통신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반도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70012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4173B1/ko
Publication of KR890009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9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4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3/00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ies; Arrangements for analysing frequency spectra
    • G01R23/02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y, e.g. pulse repetition rate; Arrangements for measuring period of current or volt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대역설정에 의한 주파수 판별회로
제 1 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동기신호 발생회로도.
제 3 도는 동기신호의 타이밍도.
제 4 도는 입력주파수가 대역조건을 만족할 때의 파형도.
제 5 도는 입력주파수가 대역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때의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동기펄스발생회로부 2 : 하한지정용 분주기
3 : 상한지정용 분주기 4 : 하한대역지정회로
5 : 상한대역지정회로 6 : 주파수대역설정회로
7 : 동기펄스카운터 8 : 출력회로부
ø1, ø2: 동기신호 fB: 하한대역신호
fT: 상한대역신호 fV: 입력주파수
fR: 기준주파수 f6: 주파수대역설정회로출력
fA: 동기펄스카운터리세트입력 FF1∼FF3: 플립플롭
AND : 앤드 게이트 OR : 오아게이트
본 발명은 외부 입력단자의 전위에 의하여 선택되는 주파수대역에 따라 외부로부터 입력된 주파수가 선택된 대역에 맞는가를 판별하기 위한 대역설정에 의한 주파수 판별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되는 주파수 판별회로는 입력주파수의 판별을 위하여 사용 입력주파수보다 수십배가 큰 기준발진회로가 필요하였고, 대역을 선별하기 위하여 복잡한 회로의 구성이 필요하는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입력주파수를 인가하여 동기펄스발생회로부에서 동기신호를 발생시켜 동기펄스카운터의 클럭입력으로 인가하며, 미리 설정된 상한 및 하한 대역조건을 만족했을 경우 주파수대역설정회로 출력과 상기 동기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앤드게이트의 출력으로 동기펄스카운터의 리세트 입력을 로레벨로 하여 입력주파수가 출력되게 하며, 미리 설정된 상한 및 하한 대역조건을 만족하지 못할 경우 동기펄스카운터의 리세트 입력을 하이레벨로 하여 동기펄스카운터를 리세트 시키므로써 입력주파수가 출력될 수 없게 구성한 것으로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발명 대역설정에 의한 주파수 판별회로도로써, 입력주파수(fV)와 기준주파수(fR)가 입력되어 입력주파수(fV)와 동일한 주기를 갖고 기준주파수(fR)와 동기되어 동기신호(ø1)(ø2)를 발생하는 동기펄스발생회로부(1)와, 기준주파수(fR)를 클럭(CK)으로 사용하여 출력주파수인 QN(QN=fe/2n)을 발생하며 동기신호(ø2)가 하이레벨일 때 출력주파수(QN)가 리세트되는 하한지정용 분수기(2)와, 대역설정을 위하여 동기신호(ø2)를 리세트 입력으로 하는 하한지정용 분주기(2) 및 상한지정용 분주기(3)와, 각 분주기(2)(3)의 출력을 각각 인가받는 하한대역지정회로(4) 및 상한대역지정회로(5)와 상한대역지정회로(5)에서 출력되는 상한대역신호(fT)와 동기신호(ø2)에 의한 오아게이트(OR) 출력과 하한대역지정회로(4)에서 출력되는 하한대역신호(fB)를 입력으로 하여 동기펄스카운터(7)의 리세트 발생여부를 결정짓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주파수대역설정회로부(6) 와, 동기 신호(ø1) 를 입력으로 하고 동기 신호(ø1) 와 주파수대역실정회로출력 (f6) 을 앤드게이트(AND) 입력으로 하여 앤드게이트 출력이 동기펄스카운터 리세트입력(fA)으로 된 동기펄스카운터(7)와, 대역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동기신호(ø1)를 카운터하여 일정카운터 후 카운터의 최종단이 출력회로부(8)를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에서 하한지정용 분주기(2)는 기준주파수(f)를 클럭으로 사용하여 출력주파수 QN(QN=fR/2n)을 발생하고 동기신호(ø2) 가 하이레벨일때 출력주파수(QN)는 리세트되며, 상한지정용 분주기(3)는 초기에 동기신호(ø2)에 의하여 리세트된 후 하한대역신호(fB)가 발생되어야 동작을 하게된다.
하한대역지정회로(4)는 S∼SN으로 미리 지정하여 하한지정용 분주기(2)가 동기신호(ø2)에 의하여 리세트되면 하한대역신호(fB)를 발생케하고, 상한대역지정회로(5)는 R1∼RK로 미리 지정하여 상한지정용 분주기(3)가 동기신호(ø2)에 의하여 리세트되면 상한대역신호(fT)를 발생케한다.
따라서 S₁∼SN1나 R1∼RK의 지정에 따라서 상한 및 하한대역지정신호의 주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때 하한대역지정회로(4)에 의한 하한대역신호(fB)는 상한지정용 분주기(3)의 인에이블신호로 동작한다. 또한 제 2 도는 본 발명 동기펄스발생회로부(1)의 회로중 동기신호(ø1)발생부의 상세회로도로써 리셋터블 D타입 플립플롭(FF1)과 D타입 기준주파수(fR)와 입력주파수(fV)의 에지(edge)간에 발생될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플립플롭(FF2) (FF3) 및 앤드게이트(AND2) 의 논리결합으로 구성되어,플립플롭(FF1)은 입력주파수(fV)의 라이징 에지에서 하이레벨 상태의 D1입력을 출력(Q1)을 통해 출력하고, 플립플롭(FF2)(FF3)은 기준주파수(fR)의 폴링 에이지에서 D2, D3입력을 출력(Q2)(Q3)을 통해 출력하며, 기준주파수(fR)와 플립플롭(FF2)(FF3)의 출력(Q2)(Q3)을 앤드게이트(AND) 입력으로 하여 그 출력으로서 동기신호(ø₁)를 제공할 수 있게한 것이다.
이때 동기신호(ø₁)는 플립플롭(FF1)의 리세트 단자에 피드백시켜서 플립플롭(FF1)을 초기상태로 한다.
제 3 도는 동기펄스발생회로부(1)에 입력되는 기준주파수(fR)와 입력주파수(fV) 및 이로 인한 출력동기신호(ø₁)(ø₂)의 파형도를 도시한 것이고, 제 4 도는 입력주파수(fV)가 대역조건을 만족했을 때 주파수대역실정회로(6)의 주파수대역설정회로출력(f6) 및 동기펄스카운터(7)의 동기펄스카운터 리세트입력(fA) 이며, 제 5 도는 입력주파수(fV)가 대역조건을 만족하지 못하였을 경우 주파수대역설정회로(6)의 주파수대역설정회로출력(f6) 및 동기펄스카운터(7)의 동기펄스카운터 리세트입력(fA)을 나타낸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구성으로된 본 발명의 작용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3 도와 같은 기준주파수(fR)에 대하여 입력주파수(fV)가 인가되면, 기준주파수(fR)의 폴링에지에서의 제 2 도와 같이 동기신호(ø₁)를 발생할 수 있게한 동기신호 발생회로에 의하여 동기신호(ø₁)가 발생되고 이를 지연시켜서 출력되게한 동기신호(ø₂)가 발생되게 된다.
따라서 입력주파수(fV)가 대역조건을 만족할 경우, 제 4 도와 같이 하한대역신호(fS) 및 상한대역신호(fT)의 대역내에 동기펄스발생회로부(1)에 의한 동기신호(ø₁)(ø₂)가 존재하게 되고, 주파수대역설정회로(6)는 평소 하이레벨이지만 하한대역신호(fB)가 인가되면 로레벨을 유지하므로 앤드게이트(AND)를 통하여 동기펄스카운터 리세트입력(fA)이 로레벨로 되고, 동기펄스카운터(7)는 동기신호(ø₁)를 카운트하여 일정카운트후 카운터의 최종단으로서 출력회로부(8)를 구동시켜 출력을 얻을 수 있다. 이때 동기신호(ø₂)와 상한대역신호(fT)중 일측이라도 하이레벨이 인가되면 오아게이트(OR)를 통하여 하이레벨이 주파수대역설정회로(6)에 인가되어 주파수대역설정회로출력(f6)을 하이레벨로 바꿔준다.
따라서 로레벨의 동기신호(ø₁)와 하이레벨의 주파수대역설정회로출력(f6)을 입력으로 하는 앤드게이트(AND) 출력은 동기펄스카운터 리세트입력(fA)으로 동기펄스카운터(7)의 리세트에 상기와 같이 로레벨이 인가되므로 동기신호(ø₁)를 카운트하여 출력회로부(8)를 통하여 출력을 얻는다.
만약 입력주파수(fV)가 대역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 제 5 도와 같이 동기신호(ø1)(ø₂)가 하한대역신호(fB)와 상한대역신호(fT)를 벗어나게 되고, 주파수대역설정회로(6)는 평소 하이레벨이지만 하한 대역신호(fB)가 인가되면 로레벨을 유지하므로 앤드게이트(AND)를 통하여 동기펄스카운터 리세트입력(fA)이 로레벨로 되나, 상한 대역신호(fT)의 하이레벨신호가 오아게이트(OR)를 통하여 주파수대역설정회로(6)에 인가되면 주파수대역설정회로출력(f6)이 하이레벨로 바뀌게되어, 로레벨의 동기신호(ø₁)와 하이레벨의 주파수대역설정회로출력(f6)을 입력으로 하는 앤드게이트(AND)의 출력인 동기펄스카운터 리세트입력(fA)은 로레벨로 되어 동기펄스카운터(7)를 구동케 하나, 대역을 벗어난 동기신호(ø₁)가 로레벨로 인가되어 동기펄스카운터(7)가 동작치 않고 동기신호(ø₁)가 발생하면 앤드게이트(AND)를 통하여 동기펄스카운터 리세트입력(fA)이 하이레벨로 되어 동기펄스카운터(7)가 리세트 되므로 카운터는 증가되지 않게되어 출력회로부(8)가 구동되지 않게 된다. 입력주파수(fV)는 동기신호(ø1)의 피이드백에 의하여 매 주기마다 동기신호(ø₁)를 발생케 되므로 매주기마다 동작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입력주파수를 기준주파수에 동기되는 입력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의 펄스로서 내부적으로 변환시켜 주파수의 대역판별에 이용함에 따라 내부 구조를 단순화시킴은 물론 판별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고, 기준주파수의 분주를 사용자의 대역설정을 위한 기준으로 사용하여 주파수대역의 설정회로가 간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외부 입력선택에 따라서 음성주파수나 기타 외부로부터 발생되는 주파수를 입력주파수로 사용하여 용도에 따라 광범위하게 이용될 수 있게 하였다.

Claims (2)

  1. 입력주파수(fV)와 기준주파수(fR)를 입력으로 하여 동기신호(ø1)(ø₂)를 발생시키는 동기신호발생회로부(1)와, 기준주파수(fR)를 클럭(CK)으로, 동기신호(ø₂)를 리세트(Reset)로 하는 하한지정용 분주기(2) 및 상한지정용 분주기(3)와, 각 분주기(2)(3)가 리세트될 때 하한대역신호(fB) 및 상한대역신호(fT)를 각각 발생시키는 하한대역지정회로(4) 및 상한대역지정회로(5)와, 동기신호(ø₂)와 상한대역신호(fT) 가 오아게이트(OR)를 통과한 신호와, 하한대역신호(fB)를 입력으로 하는 주파수대역설정회로(6)와, 동기신호(ø1)와 주파수대역설정회로출력(f6)을 앤드게이트(AND)를 통과시켜 동기펄스카운터 리세트입력(fA)으로 하고 동기신호(ø₁)를 입력으로 하는 동기펄스카운터(7)를 출력회로부(8)를 통하여 출력케하여 외부로부터의 입력주파수가 선택된 대역에 맞는가를 판별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설정에 의한 주파수 판별회로.
  2. 상기 1항에 있어서, 입력주파수(fV)를 리셋터블 D다입 플립플롭(FF1)의 클럭(CK)에 인가하되 출력(Q1)은 D타입 플립플롭(FF2)의 입력(D2)에 인가하고 출력(Q2)은 D타입 플립플롭(FF3) 입력(D3)에 인가하며, 기준주파수(fR)는 D타입 플립플롭(FF2)(FF3)의 클럭(CK)에 인가하고, 출력(Q2)(Q3)과 기준주파수(fR)를 앤드게이트 입력으로하여 고출력으로 동기신호(ø₁)를 제공하며, 동기신호(ø₁)를 피드백시켜 리셋터블 D타임 플립플롭(FF1)을 리세트시켜 D타입 플립플롭(FF1)을 초기화 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설정에 의한 주파수 판별회로.
KR1019870012749A 1987-11-12 1987-11-12 대역설정에 의한 주파수 판별회로 KR900004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2749A KR900004173B1 (ko) 1987-11-12 1987-11-12 대역설정에 의한 주파수 판별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2749A KR900004173B1 (ko) 1987-11-12 1987-11-12 대역설정에 의한 주파수 판별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9097A KR890009097A (ko) 1989-07-13
KR900004173B1 true KR900004173B1 (ko) 1990-06-18

Family

ID=19265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2749A KR900004173B1 (ko) 1987-11-12 1987-11-12 대역설정에 의한 주파수 판별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417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9097A (ko) 1989-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1290A (en) Clock generating circuit for use in single chip microcomputer
KR950000761B1 (ko) 직렬 입력신호의 동기회로
US4412342A (en) Clock synchronization system
JPS6243568B2 (ko)
JPH0439690B2 (ko)
KR840005000A (ko) 수평주사 주파수 체배회로
US3840815A (en) Programmable pulse width generator
US6108393A (en) Enhanced prescaler phase interface
KR900004173B1 (ko) 대역설정에 의한 주파수 판별회로
GB2227136A (en) Frequency tracking system
US5101419A (en) Fixed duty cycle clock generator
JPH1198007A (ja) 分周回路
JP2580940B2 (ja) ゲートパルス幅測定回路
KR200164990Y1 (ko) 50% 듀티의 홀수분주기
JP3372858B2 (ja) カウンタ
US4081755A (en) Baud rate generator utilizing single clock source
KR930005643B1 (ko) 일정펄스폭을 갖는 1쇼트회로
KR950002296B1 (ko) 펄스폭 변조(pwm)방식의 모터 제어시스템의 제어된 pwm신호 발생장치
JPH03171820A (ja) 2n―1分周回路
US4164712A (en) Continuous counting system
KR920006931Y1 (ko) 홀수분주회로
KR100188079B1 (ko) 링 카운터를 이용한 분주회로
JPS6053930B2 (ja) 可変分周回路
KR950001436B1 (ko) 기준펄스 발생회로
KR880001348B1 (ko) 고속 1/32 및 1/33 씨 모오스 프리스케일러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0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