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4020B1 - 자동응답장치의 아웉고잉 메세지 빞 발생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응답장치의 아웉고잉 메세지 빞 발생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4020B1
KR900004020B1 KR1019860007909A KR860007909A KR900004020B1 KR 900004020 B1 KR900004020 B1 KR 900004020B1 KR 1019860007909 A KR1019860007909 A KR 1019860007909A KR 860007909 A KR860007909 A KR 860007909A KR 900004020 B1 KR900004020 B1 KR 900004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bib
output
central processing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7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4452A (ko
Inventor
이승구
Original Assignee
삼성반도체통신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반도체통신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반도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60007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4020B1/ko
Publication of KR880004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4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4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Landscapes

  • Recording O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응답장치의 아웃고잉 메세지 빕 발생장치 및 방법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각부 파형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 제 1, 2브리지 정류회로 3 : 링감지회로
10 : 카세트 데크 헤드부 20, 30 : 제 1, 2스위치부
40 : 증폭부 50 : 버퍼증폭부
60 : 비교부 70 : 파형 정형회로
80 : 중앙처리장치
본 발명은 자동응답(Auto Answering)장치의 아웃고잉 메세지(OGM : Outgoing Message)테이프 사용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웃고잉 메세지(이하 "OGM"이라 칭함) 테이프에 녹음된 메세지가 끝남을 알려주기 위한 빕(Beep)신호를 발생시켜 방문자에게 메세지 종료를 알려줄 수 있도록 한 자동응답장치의 아웃고잉 메세지 빕 발생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응답장치는 주인이 부재중일때 방문자를 위해 주인이 메세지(전달내용)를 OGM데이프에 녹음해 두고, 방문자가 대문에 초인종 스위치를 압압하면 OGM테이프가 구동되어 주인의 전달내용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상기 기능은 주인의 메세지 내용의 끝난 시점을 방문자가 인식하기 어려워 메세지가 끝났음에도 더 이상의 메세지가 있는지를 알 수 없어서 테이프 전체를 오랫동안 기다리면서 다 들어보아야만 하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주인의 메세지 내용의 끝남을 알리는 빕("삐삐"소리음)신호를 발생시켜 메세지 종료를 알려줄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은 OGM테이프로부터 주인의 메세지와 빕신호를 녹음, 재생할 수 있는 카세트 데크 헤드(Cassete Deck Head)부와, 상기 카세트 데크 헤드부의 재생모드(Mode)에서 재생 신호를 선택할 수 있는 제 1 스위치부와, 상기 제 1 스위치부의 스위칭에 따라 상기 카세트 데크 헤드부로 부터 출력되는 재생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를 구동하는 증폭부와, 후술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연결되어 이로 부터 발생되는 소정 주파수의 빕 신호를 파형 정형하는 파형 정형회로와, 상기 파형 정형회로 및 상기 증폭부의 출력신호를 재증폭 및 버퍼링(Buffering)하는 버퍼증폭부와, 상기 카세트 데크 헤드부에 상기 버퍼증폭부에서 출력되는 빕 신호를 기록하기 위해 기록신호를 선택하는 제 2 스위치부와, 상기 버퍼증폭부의 출력을 기준값에 따라 비교하여 빕신호로 검파출력하는 비교부와, 기록 모드에서 사용자의 기록할 메세지가 끝나는 시점에서 빕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파형 정형회로에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제 2 스위치부를 제어하여 카세트 데크 헤드부의 제어로 OGM테이프에 상기 빕 정보를 녹음하도록 제어하고 재생시 상기 카세트 데크 헤드부와 제 1 스위치부를 제어하여 테이프에 기록 정보를 재생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재생신호로부터 비교부에서 검출된 빕 신호를 입력하여 카운트에 의해 소정횟수 도달되었을때 정확한 빕정보로 인식하는 중앙처리장치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도로서, 라인(L1, L2)과 연결되어 입력되는 통화신호를 정(+)신호로 변환하는 제 1, 2 브리지 정류회로(1, 2)와, 상기 제 2 브리지 정류회로(1)로 부터 출력되는 링신호를 검출하는 링감지회로(3)와, 상기 제 1, 2 브리지 정류회로(1, 2) 및 링감지회로(3)는 종래의 자동응답장치에 있어서 이미 설치되어 있었던 구성임을 밝혀둔다.
자동응답장치의 각 모드에 따라 전체를 제어하며 방문자를 위한 메세지를 녹음/재생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메세지 녹음이 완료되었을시 빕음을 발생시키는 중앙처리장치(80)와, 상기 중앙처리장치(80)와 연결되어 테이프로부터 주인의 메세지와 빕신호를 상기 중앙처리장치(80)의 제어에 의해 녹음/재생할 수 있는 카세트 데크 헤드부(10)와, 상기 중앙처리장치(80)의 제어에 의해 재생모드에서 카세트 데크 헤드부(10)로부터 재생되는 신호나 라인(L1, L2)을 통해 제 1 브리지 정류회로(2)로부터 출력되는 상대방 통화 신호를 스위칭하는 제 1 스위치부(20)와, 상기 제 1 스위치부(20)를 통한 재생신호나 상대방 통화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40)와, 상기 중앙처리장치(80)의 출력포트(P0)를 통하는 빕신호를 파형 정형하는 파형 정형회로(70)와, 상기 증폭부(40)에서 출력되는 증폭 신호나 상기 파형 정형회로(70)에서 출력되는 빕신호를 버퍼링하는 버퍼증폭부(50)와, 상기 버퍼증폭부(5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빕신호를 검파 출력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80)의 입력포트(P1)에 입력하는 비교부(60)와, 상기 중앙처리장치(80)의 제어에 의해 기록 모드에서 상기 카세트 데크 헤드부(10)의 OGM테이프에 빕신호를 녹음하기 위해 상기 버퍼증폭부(50)의 출력빕 신호를 입력토록 스위칭하는 제 2 스위치부(30)와, 대문에 설치되어 방문자가 사용자의 메세지를 들을수 있도록 음성으로 모니터링하는 제 2 스피커(SP2)와, 자동응답장치의 내부스피커폰 기능 및 메세지기록상태를 들을수 있도록 하는 제 1 스피커(SP1)와, 상기 제 1, 2 스피커(SP1, SP2)는 자동응답장치 및 대문에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며 상기 중앙처리장치(8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증폭부(40)의 출력을 상기 제 1, 2 스피커(SP1, SP2)를 통해 출력토록 스위칭하는 제 1, 3 스위치(SW1, SW3)와, 대문에서 사용자의 초인종 입력을 받을 수 있도록 스위칭하는 제 2 스위치(SW2)로 구성된다.
제 2 도는 제 1 도의 각부 빕신호의 출력 파형도로서 (a)는 OGM테이프에 녹음된 빕신호 파형이고, (b)는 중앙처리장치(80)의 포트(P0)의 출력 빕 발생파형이며, (c)는 파형 정형회로(70)의 출력파형이고, (d)는 버퍼증폭부(50)의 출력신호이며, (e)는 비교부(60)의 출력상태 파형도이다.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흐름도로서, 빕신호 검출을 위한 입력 시작시간을 체킹하기 위한 제 1 과정과, 상기 제 1 과정에서 빕신호시작부터 "로우"상태가 소정시간에 도달 되었는가를 체킹하기 위한 제 2 과정과, 상기 제 2 과정의 상기 소정시간에 도달했을때 빕 신호를 입력하는 포트가 하이상태인가를 체킹하여 이 상태를 카운트하기 위한 제 3 과정과, 상기 제 3 과정에서 입력포트가 "하이"가 아닐때 상기 제 3 과정에서 카운트한 "하이"상태 구간의 값이 빕신호의 구간신호에 해당하는가를 체킹하기 위한 제 4 과정과, 상기 제 4 과정에서 해당구간의 값일때 이를 빕신호의 값으로 인식하여 이를 카운팅에 의해 카운트를 증가하여 N회 입력되었는가를 검색하기 위한 제 5 과정과, 상기 제5 과정에서 빕신호가 N회 입력되었으면 정확한 빕신호 입력으로 인정하고 상기 감지상태를 세팅하여 메세지 송출후 빕신호음을 방문자가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제 6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적 일실시예를 제 1 도-제 3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하면, 제 2 도의 (a)파형과 같이 녹음시 100msec중 20msec동안만 빕신호음으로 녹음되고, 나머지 80msec동안은 녹음 신호가 없는 구간이다. 사용자가 방문자에게 전달한 메세지를 자동응답장치(전화기)에 녹음할때 메세지끝에 사용자에게 메세지가 마지막이라는 상기(a)와 같은 빕음을 메세지 끝에 남기게 되는데, 사용자는 카세트 데크 헤드부(10)를 녹음 모드로 둔후 메세지 녹음이 끝남과 동시에 빕음을 기록하기 위해 키를 누르면 중앙처리장치(80)에서 이를 인식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80)가 제 2 스위치부(30)를 온시켜 카세트 데크 헤드부(10)로 빕신호가 인가되도록 한다.
이전에는 카세트 데크 헤드부(10)에서는 사용자의 녹음용 메세지를 기록하고 있으므로 이 상태를 제 1 스피커(SP1)로 듣기 의해 제 1 스위치부(20)를 온시킨다.
그러나 제 2 스위치부(30)를 통해 빕신호를 OGM테이프에 녹음시에는 상기 중앙처리장치(80)의 제어에 의해 제 1 스위치부(20)를 오프시킨다. 이때 상기 중앙처리장치(80)에서는 (a)와 같은 저주파의 "하이"펄스에 (b)와 같은 1KHz의 고주파가 중앙처리장치(80)의 포트(P0)를 통해 출력시켜 싣고자 하는곳으로 이때 파형 정형회로(70)에서 제 3 도의 (c)와 같은 톱니파로 변형되어 버퍼증폭부(50)에 입력된다. 상기 버퍼증폭부(50)의 출력은 제 2 도의 (d)와 같은 신호로 변형된다. 그리고 이때 제 2 스위치부(30)가 온되어 있으므로 카세트 데크 헤드부(10)를 통해 OGM테이프에 사용자의 메세지의 녹음이 끝난 다음에 빕음이 녹음되며, 한편 상기 버퍼증폭부(50)의 빕음이 비교부(60)를 통해 반전되어 기준신호와 비교로 제 2 도 (e)와 같은 예로 중앙처리장치(80)에 입력된다.
상기 비교부(60)는 일반적으로 많이 알려진 연산증폭기를 비교기로 구성하여 상기 버퍼증폭부(50)의 출력단을 반전단(-)에 연결하고 연산증폭기의 비반전단(+)에 기준전압을 발생하도록 인가하면, 상기 버퍼증폭부(50)를 통해 출력하는 빕음에 대해 비교에 의해 상기(e)신호를 충분히 얻어낼 수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상기 비교부(60)의 출력상태를 중앙처리장치(80)의 포트(P1)를 통해 중앙처리장치(80)에서 받아 내부에서 소정의 카운트에 의해 빕음의 녹음 상태를 정확히 감지하며, 방문자의 메세지 송출에 대한 빕음 처리를 위해 중앙처리장치(80)의 내부레지스터에 세팅되도록 한다.
자동응답장치 빕음 서비스에 따른 처리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 3 도(☆)과정에서 "로우"상태를 체크하는데, 여기서 중앙처리장치(80)의 내부에서 "로우"상태를 카운트하여 "로우"상태가 25msec만큼 카운트하기 이전에는 포트(P1)가 "하이"상태로 감지되어 빕이나 "로우"의 카운트량을 (ㄹ), (ㅁ)과정에서 초기화시키고, 포트(P1)가 "하이"가 아니면 (ㄷ)과정에서 현재의 "로우"카운트를 계속 증가시켜 로우카운트 버퍼로 전송한다.(로우카운트←로우카운트+1)
한편, 제 3 도의 (ㄱ)과정에서 "로우"카운트량이 25msec와 같거나 25msec보다 커지는 시점을 중앙처리장치(80)가 체킹하여 (ㅂ)과정에서 상기 포트(P1)의 "로우"상태를 계속 카운팅한다. 상기 (ㅂ)과정에서 "로우"상태를 계속 카운팅하여 "로우"시간이 90msec에 도달해지는 시점을 (ㅅ)과정에서 체킹한다. 상기 (ㅅ)과정에서 지연된 "로우"카운트의 값을 90msec정도임을 체크하면, 여기서부터 실제 빕신호음에 대한 신호가 발생된다.
상기 시간상 90msec에 도달할때는 (ㅇ)과정에서 중앙처리장치(80)의 포트(P1)가 "하이"상태인가를 체크하여 "하이"상태가 아니면 "로우"상태를 카운트하여 "로우"카운트 버퍼에 저장시키고, 그리고 리턴으로 빠져나가므로 빕신호가 없는 것으로 처리한다. 상기 (ㅇ)과정에서 "하이"이면 "하이"카운트 시점이 (ㅊ)과정에서 전체 카운트량의 115msec에 도달했는가를 체크한다. 이때 카운트량이 115msec보다 적으면 (ㅋ)과정에서 95msec의 시점에 도달했는가를 체킹한다. 상기 (ㅋ)과정에서 95msec보다 크거나 같으면 빕신호음에 대한 주기로 +1씩 (ㅌ)과정에서 계속 더하여 (ㅎ)과정에서 빕주기가 4개 도달했을때 정확한 빕신호음으로 인식하여 빕신호 플랙신호를 중앙처리장치(80)내의 레지스터의 소정영역에 세트시키어 중앙처리장치(80)는 빕신호의 녹음이 되었음을 최종 감지한다.
상기 제 2 도에서 100msec구간을 115msec을 체크하는 것과 빕신호음 주기 20msec를 25msec를 체크하는 완전한 빕음을 체킹하기 위해 허용시간을 부여한 것이다. 한편 주인의 부재중상태에서 방문자가 초인종을 압압했을 경우 초인종의 제 2 스위치(SW2)가 온되며, 이때 중앙처리장치(80)에서 이를 인식하여 카세트 데크 헤드부(10)의 제어로 재생모드로 구동하여 사용자 녹음된 메세지를 재생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80)의 제어에 의해 제 3 스위치(SW3)를 온하여 대문에 설치된 제 2 스피커(SP2)를 열고, 제2 스위치부(30)를 오프하며 제 1 스위치부(20)가 온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 1 스위치(SW1)를 오프시켜 내부의 제 1 스피커(SP1)로 들리지 않도록 하여 대문의 제 2 스피커(SP2)로만 출력되도록 한다. 이때 카세트 데크 헤드부(10)를 통해 재생되는 OGM테이프의 기록된 주인의 메세지가 제 1 스위치부(20)를 통해 증폭부(40)에서 증폭되고, 제 3 스위치(SW3)를 통해 제 2 스피커(SP2)로 출력되는 한편, 버퍼증폭부(50)에서 다시 증폭되어 비교부(60)에서 OGM테이프의 메세지 끝의 녹음된 빕음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여 중앙처리장치(80)의 포트(P1)로 입력한다.
재생시 빕신호감지도 녹음시의 제 3 도와 같은 중앙처리장치(80)의 처리에 의해 감지된다. 이때도 제 3 도의 (ㅌ)과정과 같이 빕신호음 발생시마다 이를 +1씩 카운팅하여 빕카운터 버퍼에 저장하여 (ㅎ)과정에서 4개의 주기가 도달될때까지 수행하여 이 주기를 체크한다. 즉 이 과정은 빕신호 검출의 에러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빕형태의 주기가 4개에 들어왔올때 (a)과정에서 빕검출 출력 플랙을 세트시킨다. 그리고 중앙처리장치(80)는 제 1, 3 스위치(SW1, SW3)를 제어하여 원위치시키고, 제 1 스위치(20)를 오프시키며, 카세트 데크 헤드부(10)를 초기상태로 하여 다음 방문자 서비스를 위해 초기상태로 돌린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방문자가 OGM테이프를 모두 돌려보지 않아도 주인의 전달사항의 끝을 알 수 있으므로 종래의 시간낭비등 불편한 점을 해소한 이점이 있다.

Claims (2)

  1. 내부스피커폰 기능을 하는 제 1 스피커(SP1) 및 대문에 설치된 제 2 스피커(SP2) 및 초인종 스위치인 제 2 스위치(SW2)와, 아웃고잉 메세지 테이프로 부터 신호를 녹음, 재생할 수 있는 카세트+데크 헤드부(10)와, 제 1, 2 브리지 정류회로(1, 2)와, 명령어 신호를 받아 프로그램을 처리하여 제어 및 데이타 신호를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80)를 구비한 아웃고잉 메세지 테이프를 이용한 자동응답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80)와 연결되어 제어에 의해 재생모드에서 카세트 데크 헤드부(10)로 부터 재생되는 신호나 국선 라인을 통해 상기 제 1 브리지 정류회로(2)로부터 출력되는 상대방 통화신호를 스위칭하는 제 1 스위치(20)와, 상기 제 1 스위치(20)의 출력단자로 연결되어 이를 통한 재생신호나 상대방 통화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40)와 상기 중앙처리장치(80)의 출력포트(P0)와 연결되어 출력되는 빕신호를 파형 정형하는 파형 정형회로(70)와, 상기 증폭부(40)에서 출력되는 증폭 신호나 상기 파형 정형회로(70)에서 출력되는 빕신호를 버퍼링하는 버퍼증폭부(50)와, 상기 버퍼증폭부(5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빕신호를 검파 출력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80)의 입력포트(P1)에 입력하는 비교부(60)와, 상기 중앙처리장치(80)와 연결되어 제어에 의해 기록 모드에서 상기 카세트 데크 헤드부(10)의 OGM테이프에 빕신호를 녹음하기 위해 상기 버퍼증폭부(50)의 출력 빕신호를 입력토록 스위칭하는 제 2 스위치부(30)와, 상기 중앙처리장치(80)와 연결되어 제어에 의해 상기 증폭부(40)의 출력을 상기 제 1, 2 스피커(SP1, SP2)를 통해 출력토록 스위칭하는 제 1, 3 스위치(SW1, SW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응답장치의 아웃고잉 메세지 빕 발생장치.
  2. 신호를 녹음, 재생할 수 있는 카세트 데크 헤드부(10)와, 재생, 녹음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스위칭되는 제 1, 2 스위치부(20, 30)와, 증폭 및 버퍼링장치인 버퍼증폭부(50)와, 기준신호와 비교하는 비교부(60)와, 파형을 정형하는 파형 정형회로(70)와, 입력신호를 프로그램에 따라 처리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80)와, 제 1, 2 스피커(SP1, SP2) 및 제 1-3 스위치(SW1-SW3)를 구비한 자동응답장치의 주인의 부재중 메세지 전달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60)를 통해 입력되는 빕신호 검출을 위한 입력 시작시간을 상기 중앙처리장치(80)에서 체킹하기 위한 제 1 과정과, 상기 제 1 과정에서 빕신호시작부터 "로우"상태가 소정시간에 도달 되었는가를 상기 중앙처리장치(80)에서 체킹하기 위한 제 2 과정과, 상기 제 2 과정의 소정시간이 도달했을때 빕 신호를 입력하는 상기 중앙처리장치(80)의 입력포트의 상태가 "하이"상태인가를 체킹하여 이 상태를 카운트하기 위한 제 3 과정과, 상기 제 3 과정에서 입력포트가 "하이"가 아닐때 상기 제 3 과정에서 카운트한 "하이"상태 구간의 값이 빕신호의 구간에 해당하는가를 상기 중앙처리장치(80)에서 체킹하기 위한 제 4 과정과, 상기 제 4 과정에서 빕신호의 해당구간의 값일때 이를 빕신호 값으로 인식하여 이를 카운팅에 의해 계수하여 4회 입력되었는가를 검색하기 위한 제 5 과정과, 상기 제 5 과정에서의 빕신호가 N회 입력되었으면 정확한 빕신호 입력으로 하여 감지 상태를 중앙처리장치(80)에서 세팅하여 빕신호를 방문자가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제 6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응답장치의 아웃고잉 메세지 빕발생방법.
KR1019860007909A 1986-09-22 1986-09-22 자동응답장치의 아웉고잉 메세지 빞 발생장치 및 방법 KR900004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7909A KR900004020B1 (ko) 1986-09-22 1986-09-22 자동응답장치의 아웉고잉 메세지 빞 발생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7909A KR900004020B1 (ko) 1986-09-22 1986-09-22 자동응답장치의 아웉고잉 메세지 빞 발생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4452A KR880004452A (ko) 1988-06-04
KR900004020B1 true KR900004020B1 (ko) 1990-06-09

Family

ID=19252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7909A KR900004020B1 (ko) 1986-09-22 1986-09-22 자동응답장치의 아웉고잉 메세지 빞 발생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402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4452A (ko) 1988-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181559A (ja) 電話装置
US4263481A (en) Automatic telephone answering and recording apparatus
KR900004020B1 (ko) 자동응답장치의 아웉고잉 메세지 빞 발생장치 및 방법
US3931470A (en) Tape marking and indicating device for remote control operation
US3887773A (en) Automatic telephone answering apparatus
US5367560A (en) Telephone answering device with a plurality of passwords
EP0392446B1 (en) Communication terminal unit having an automatic answering function
JPS61139151A (ja) 応答装置
JP2760055B2 (ja) 留守番電話装置
US3920910A (en) Automatic telephone answering apparatus
JP2552379B2 (ja) 留守番電話機
JPS583358A (ja) 動作状況を音声で明示する留守番電話装置
JP2543042B2 (ja) 留守番電話装置
CA1244167A (en) Automatic telephone answering and recording apparatus
JPS62108645A (ja) 留守番電話装置
JP3001032U (ja) 無音検出留守番電話装置
JPH0231541B2 (ja) Rusubandenwasochi
JPH02119491A (ja) 留守番テレビ電話
JPS6089158A (ja) 留守番電話装置のモ−ドチエツク方式
JPH01162460A (ja) 留守番電話装置
JPH02119459A (ja) 留守番電話装置
JPS60139051A (ja) 留守番電話装置
JPH0320189B2 (ko)
JPH0275258A (ja) 留守番電話機
JPH05122311A (ja) 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2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