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3394B1 - 항진균성 피리다지논 유도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항진균성 피리다지논 유도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3394B1
KR900003394B1 KR1019830001110A KR830001110A KR900003394B1 KR 900003394 B1 KR900003394 B1 KR 900003394B1 KR 1019830001110 A KR1019830001110 A KR 1019830001110A KR 830001110 A KR830001110 A KR 830001110A KR 900003394 B1 KR900003394 B1 KR 900003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ompound
formula
acid
at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1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4083A (ko
Inventor
히데오 다께시바
다까오 기노또
데루오미 죠오지마
Original Assignee
상꾜가부시끼가이샤
가와무라 요시부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꾜가부시끼가이샤, 가와무라 요시부미 filed Critical 상꾜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4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4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3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3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4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581,2-Diazines; Hydrogenated 1,2-diaz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23/00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5/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 C07C45/45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by condensation
    • C07C45/46Friedel-Crafts rea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5/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 C07C45/61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by reactions not involving the formation of >C = O groups
    • C07C45/63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by reactions not involving the formation of >C = O groups by introduction of halogen; by substitution of halogen atoms by other hal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 C07C51/347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by reactions not involving formation of carbox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 C07C51/347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by reactions not involving formation of carboxyl groups
    • C07C51/363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by reactions not involving formation of carboxyl groups by introduction of halogen; by substitution of halogen atoms by other hal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9/00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59/40Unsaturated compounds
    • C07C59/76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keto groups
    • C07C59/88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keto groups containing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ine or hydrogenated 1,2-diazine rings
    • C07D23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ine or hydrogenated 1,2-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7/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ine or hydrogenated 1,2-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less than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ine or hydrogenated 1,2-diazine rings
    • C07D23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ine or hydrogenated 1,2-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7/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ine or hydrogenated 1,2-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7/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ine or hydrogenated 1,2-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7/14Oxygen ato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항진균성 피리다지논 유도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귀중한 항진균 활성을 갖는 것으로 공지된 6-(치환페닐)-3(2H) 피리다지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국 특허 명세서 제 1533010호에 일련의 6-(치환페닐)-3(2H) 피리다지논 화합물이 발표되어 있는데, 귀중한 살균활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 명세서에 발표된 화합물중에서, 6-(3,5-디클로로-4-메틸페닐)-3(2H) 피리다지논이 특히 양호한 활성을 가지며 상품화에 적합하며. 특히 광범위한 항균 스펙트럼을 가지며 농업용 살균제 특히 얼룩병 방지에 매우 유용함을 발견하였다.
이 화합물 제조를 위한 상술한 영국 특허 명세서에 발표된 방법은 4-(3,5-디클로로-4-메틸페닐)-4-옥소부티르산을 히드라진과 반응시켜 6-(3,5-디클로로-4-메틸페닐)-4,5-디히드로-3(2H) 피리다지논을 제조한 다음 이를 탈수소화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 방법은 출발물질인 4-(3,5-디클로로-4-메틸페닐)-4-옥소부티르산의 제조가 어려우며, 이 방법은 고가이며 탈수소 단계가 발열반응일 경우 반응의 조절이 문제인 점에서 전혀 만족스럽지 못하다.
이 화합물 제조를 위한 다른 방법이 일본 특허 공보 제 428/81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4-(3,5-디클로로-4-메틸페닐)-4-옥소-2-부텐산을 무수탄산칼륨 존재하 20∼50℃에서 메탄올과 반응시켜 포타슘 4-(3,5-디클로로-4-메틸페닐)-2-메톡시부티레이트를 생성하고, 이 화합물을 상응하는 유리산으로 전환시킨 다음, 이산을 히드라진과 반응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 방법은 각종 부생물을 생성하는 부반응이 종종 일어나서 생성물의 순도가 낮으며 불순물의 성질때문에 정제가 어려운 불리한 점을 갖는다.
본 발명자들은 6-(3,5-디클로로-4-메틸페닐)-3(2H) 피리다지논 및 이와 관련된 화합물들의 제조방법을 발견하였는데, 이 방법은 종래 기술의 불리한 점을 극복할 수 있다. 정말 어떤 경우에 있어서, 100%에 가까운 수율 및 이정도의 순도로 소기의 화합물을 얻을 수 있으며, 일단 이 화합물이 반응 혼합물로부터 분리되면 어떤 특정한 정제 단계도 필요하지 않다. 더구나, 본 발명의 방법의 도중에, 우수한 항진균 활성을 갖는 일련의 신규의 화합물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a) 하기식(II)의 화합물을 하기식(III)의 화합물과 수소할라이드 존재하 반응시켜 하기식(IV)의 화합물을 생성하고 ; (b) 단계(a)의 생성물을 임의로 수소 또는 히드록시 이온 존재하 히드라진과 반응시켜 하기식(V)의 화합물 또는 하기식(VI)의 화합물을 생성하고 ; 그리고 상기 식(V)의 화합물을 산 또는 염기로 임의로 처리하여 상기 식(VI)의 화합물을 생성함을 특징으로하는 하기 일반식(I)의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2
[상기식에서, R1및 R3는 같거나 다르며 각각 수소원자 또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내며 ; R2는, Rl, R2및 R3중의 적어도 하나가 수소이외의 기 또는 원자를 나타내는 조건하, 수소원자, 저급(즉, C1∼C6) 알킬기, 저급(즉, C1∼C6) 알콕시기 또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내며 ;
Figure kpo00003
는 단일 또는 이중 탄소-탄소결합을 나타내며 :
Figure kpo00004
가 단일결합을 나타내는 경우, R4는 식-SR5(여기서 R5는 임의로 치환된 알킬기, 저급(즉, C2∼C6) 알케닐기,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 임의로 치환된 아르알킬기 또는 임의로 치환된 피리딜기를 나타냄)의 기를 나타내며,
Figure kpo00005
가 이중결합을 나타내는 경우 R4는 수소원자를 나타내며 ; R6는 식-SR5(R5는 전기정의한 바와 같음)의 기, 식-SR7(R7은 식
Figure kpo00006
나타냄, 여기서, Y는 산소원자 또는 황원자를 나타내며, R8및 R9는 각각 저급알콕시기를 나타내며 Rl0은 저급알콕시기, 저급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냄)의 기를 나타내며 ; 상기 식(IV)에서 R6는 메톡시기, 그의 메틸에스테르를 나타냄].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화합물중에서, 하기식(Vll)의 화합물, 즉,
Figure kpo00007
가 탄소-탄소 단일결합을 나타내고 R4가 식-SR5의 기를 나타내는 식(I)의 화합물이 신규이며 귀중한 항진균활성을 갖는다.
Figure kpo00008
(상기식에서, Rl, R2, R3및 R5는 선기 정의한 바와 같음).
식(I)의 잔존하는 화합물 즉, 전기 정의한 바의 식(VI)의 화합물은 그중에서도 특히 영국 특허 제 1533010호에 공지이며 또한 귀중한 항진균 활성을 갖는다.
Rl, R2또는 R3가 할로겐원자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화합물에서, 염소, 브롬, 플루오르 또는 요오드원자, 더욱 바람직하게는 염소 또는 브롬원자이어도 무방하다.
R2로 표시되는 기가 저급알킬기인 경우, 바람직하게는, C1∼C4알킬기, 예를들어,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또는 부틸기, 더욱 바람직하게는 메틸기이다. R2로 표시되는 기가 저급 알콕시기인 경우, C1∼C4알콕시기, 예를들어,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또는 부톡시기가 바람직하며, 더욱 메톡시기가 바람직하다.
R4가 식-SR5의 기를 나타내는 식(I)의 화합물 및 R5가 알킬기를 나타내는 식(Ⅶ)의 화합물에서, 이것은 치환 또는 비치환 알킬기일 수 있다. 비치환된 알킬기의 경우,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t-부틸, 펜틸 또는 헥실기와 같은 C1∼C6알킬기가 바람직하다. 치환 알킬기의 경우, 치환체는 히드록시, 저급(바람직하게는 C1∼C4) 알콕시, 카르복시 또는 알콕시카르보닐(바람직하게는 C2∼C5알콕시카르보닐) 기가 바람직하며 알킬기는 C1∼C4기가 바람직하며 ; 둘 이상의 치환체가 존재한다 할지라도 치환체들이 같거나 다른 경우, 각 알킬기는 단지 하나의 치환체를 가져야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5로 표시할 수 있는 치환된 알킬기의 예에는 2-히드록시에틸, 3-히드록시프로필, 2-메톡시에틸, 카르복시메틸, 1-카르복시에틸, 2-카르복시에틸, 3-카르복시프로필, 2-카르복시프로필, 에톡시카르브닐메틸, 2-메톡시카르보닐에틸 및 2-에톡시카르보닐에틸기가 속한다.
R5가 알케닐기를 나타내는 경우, C3또는 C4알케닐기, 예를들어, 2-프로페닐, 2-부테닐 또는 2-메틸-2-프로페닐기가 바람직하다. R5가 페닐, 아르알킬 또는 피리딜기를 나타내는 경우, 이들 기들은 치환 또는 비치환일 수 있다. 치환된 페닐, 아르알킬 또는 피리딜기의 경우, 치환체들은 할로겐원자(예, 염소, 브롬, 플루오르 또는 요오드), 저급(바람직하게는 C1∼C4) 알킬기(예, 메틸, 에틸, 프로필 또는 부틸기)또는 니트로기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R5로 나타내지는 이와같은 기의 예에는 페닐, 4-메틸페닐, 4-클로로페닐, 4-니트로페닐, 벤질, 펜에틸, 4-메틸벤질, 4-클로로벤질, 4-니트로벤질, 2-피리딜,3-피리딜, 4-피리딜, 3-니트로-2-피리딜, 4-클로로-2-피리딜 및 6-메틸-3-피리딜기가 속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화합물은 하기와 같은 내용의 화합물이다 : R1은 할로겐원자를 나타내고 R2및 R3는 둘다 수소원자를 나타내거나 ; 또는 Rl및 R3가 둘다 할로겐원자를 나타내고 그리고 R2는 저급알킬 또는 저급알콕시기를 나타내고 ; 그리고 R4가 식 -SR5의 기를 나타내는 경우 R5는 알킬기(특히 메틸기), 2-히드록시에틸기, 카르복시메틸기, 카르복시에틸기, (저급 알콕시) 카르보닐메틸기 또는 (저급 알콕시) 카르보닐에틸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화합물은 다음과 같은 화합물이다 : R1및 R3가 둘다 염소원자를 나타내고 R2가 메틸기를 나타내고, R4가 식-SR5의 기를 나타내는 경우 R5가 메틸, 카르복시에틸, 카르복시에틸, (저급알콕시) 카르보닐메틸 또는 (저급 알콕시)카르보닐메틸기를 나타내거나 ; 또는 R1이 브롬원자를 나타내고 R2및 R3가 둘다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R4가 식-SR5의 기를 나타내는 경우 R5가 메틸 또는 2-히드록시에틸기를 나타낸다.
식(VI)의 가장 바람직한 화합물은 R1및 R3가 둘다 염소원자를 나타내고 R2가 메틸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이미 언급한 6-(3,5-디클로로-4-메틸페닐)-3(2H) 피리다지논이다.
식(Ⅶ)의 신규 화합물의 예는 하기의 목록에 나타내었으며, 이제부터 적절한 경우 리스트에 주어진 번호로 화합물을 언급하겠다.
1. 6-(3-브로모페닐)-4-메틸티오-4, 5-디히드로-3(2H) 피리다지논
2. 6-(3-브로모페닐)-4-에틸티오-4, 5-디히드로-3(2H) 피리다지논
3. 6-(3-브로모페닐)-4-이소프로필티오-4, 5-디히드로-3(2H) 피리다지논
4. 6-(3-브로모페닐)-4-(2-히드록시에틸)티오-4, 5-디히드로-3(2H) 피리다지논
5. 6-(3-브로모페닐)-4-(2-카르복시에틸)티오-4, 5-디히드로-3(2H) 피리다지논
6. 6-(3-브로모페닐)-4-페닐티오-4, 5-디히드로-3(2H) 피리다지논
7. 6-(3-브로모페닐)-4-(3-니트로-2-피 리닐) 티오-4, 5-디히드로3(2H) 피리다지논
8. 6-(4-메틸페닐)-4-에틸티오-4, 5-디히드로-3(2H) 피리다지논
9. 6-(4-메톡시페닐)-4-메틸티오-4, 5-디 히드로-3(2H) 피리다지논
10. 6-(3,4-디클로로페닐)-4-메틸티오-4, 5-디히드로-3(2H) 피리다지논
11. 6-(3,4-디클로로페닐)-4-에틸티오-4, 5-디히드로-3(2H) 피리다지논
12. 6-(3,4-디클로로페닐)-4-이소프로필티오-4, 5-디히드로-3(2H) 피리다지논
13. 6-(3,4-디클로로페닐)-4-(2-히드록시에틸) 티오-4, 5-디히드로-3(2H) 피 러다지논
14. 4-(2-카르복시에틸) 티오-6-(3,4-디클로로페닐)-4, 5-디히드로-3(2H) 피러다지논
15. 6-(3,5-디클로로페닐)-4-(2-메톡시에틸) 티오-4, 5-디히드로-3(2H) 피리다지논
16. 6-(3-브로모-4-클로로페닐)-4-메틸티오-4, 5-디히드로-3(2H) 피리다지논
17. 6-(3-브로모-4-클로로페닐)-4-(1-카르복시에틸)티오-4,5-디히드로-3(2H) 피리다지논
18. 6-(3-브로모-4-플루오로페닐)-4-(4-클로로페닐)티오-4, 5-디히드로-3(2H) 피리다지논
19. 6-(3-클로로-4-메틸페닐)-4-(3-피리딜) 티오-4, 5-디히드로-3(2H) 피리다지논
20. 6-(3-브로모-4-메틸페닐)-4-(2-피리딜) 티오-4, 5-디히드로-3(2H) 피리다지논
21. 4-(2-메틸페닐) 티오-6-(3, 4, 5-트리클로로페닐)-4, 5-디히드로-3(2H) 피리다지논
22. 6-(3, 5-디클로로-4-메틸페닐)-4-메틸티오-4, 5-디히드로-3(2H) 피리다지논
23. 6-(3, 5-디클로로-4-메틸페닐)-4-에틸티오-4, 5-디히드로-3(2H) 피리다지논
24. 6-(3, 5-디클로로-4-메틸페닐)-4-이소프로필티오-4, 5-디히드로-3(2H) 피리다지논
25. 6-(3, 5-디클로로-4-메틸페닐)-4-(2-히드록시에틸)티오-4, 5-디히드로-3(2H) 피리다지논
26. 4-(2-카르복시에틸)티오-6-(3, 5-디클로로-4-메틸페닐)-4, 5-디히드로-3(2H) 피리다지논
27. 6-(3, 5-디클로로-4-메틸페닐)-4-에톡시카르보닐메틸티오-4, 5-디히드로-3(2H) 피리다지논
28. 6-(3, 5-디클로로-4-메틸페닐)-4-(2-에톡시카르보닐에틸)티오-4, 5-디히드로-3(2H) 피리다지논
29. 4-알릴티오-6-(3, 5-디클로로-4-메틸페닐 )-4, 5-디히드로-3(2H) 피리다지논
30. 6-(3, 5-디클로로-4-메틸페닐)-4-(4-니트로페닐)티오-4, 5-디히드로-3(2H) 피리다지논
31. 4-벤질티오-6-(3, 5-디클로로-4-에틸페닐)-4,5-디히드로-3(2H) 피리다지논
32. 4-카르복시메틸티오-6-(3, 5-디클로로-4-에톡시페닐)-4, 5-디히드로-3(2H) 피리다지논
33. 4-(4-클로로벤질) 티오-6-(3, 5-디브로모-4-에틸페닐)-4, 5-디히드로-3(2H) 피리다지논
34. 6-(3, 5-디브로모-4-에톡시페닐)-4-헥실티오-4, 5-디히드로-3(2H) 피리다지논-
35. 6-(3, 5-디브로모-4-에록시페닐)-4-(4-메틸벤질)티오-4, 5-디히드로-3(2H) 피리다지논
36. 6-(3, 5-디브로모-4-메톡시페닐)-4-메틸티오-4, 5-디히드로-3(2H) 피리다지논
37. 4-알릴티오-6-(3-브로모페닐)-4, 5-디히드로-3(2H) 피리다지논.
식(Ⅶ)의 화합물은 그 자체 귀중한 항진균제이거나, 또는 이하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역시 귀중한 항진균 활성을 갖는 식(VI)의 상응하는 화합물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이하 방법 A-D로 기술되어 있는 일련의 반응중의 하나를 사용하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법A]
식(Ⅶ) 및, 원한다면 식(VI)의 화합물은 하기 반응도에 설명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Figure kpo00009
Figure kpo00010
상기 반응도에서, Rl, R2, R3및 R4는 전기 정의한 바와 같다.
이 반응도의 단계(a)는 식(Ⅷ)의 상응하는 4-(치환페닐)-2-(치환티오)-4-옥소부티르산을 생성하기 위하여 식(II)의 4-(치환페닐)-4-옥소-2-부텐산을 식 R5SH의 티올과 반응시킴을 특징으로한다. 이 반응에서 사용된 티올의 성질은, 물론, 식(Ⅷ)의 화합물로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한 기 R5(임의로 치환된 알킬기, 저급알케닐기,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 임의로 치환된 아르알킬기 또는 임의로 치환된 피리딜기)의성질에 달려있다. 이와 같은 티올류의 특정예에는 알칸 분자체가 치환되지 않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히드록시, 저급알콕시, 카르복시 또는 저급알콕시카르보닐 치환체, 예를 들어, 메탄티올, 에딘티올, 부탄티올, 티오클리콜산, 3-메르캅토프로피온산, 이들 산의 저급 알킬에스테르 또는 메르캅토에탄올 같은 저급알칸 티올류 ; 벤젠티올, 4-메틸벤젠티올 또는 4-클로로벤젠티올 같은 임의로 치환된 벤젠티올류 ; 페닐메탄티올, 4-메틸페닐 메탄티올 또는 4-클로로페닐메탄티올 같은 임의로 치환된 아르알칸티올류; 2-프로펜-1-티올, 2-부텐-1-티올 또는 2→메틸-2-프로펜-1-티올 같은 알켄티올류 ; 또는 피리딘-2-티올, 피리딘-3-티올, 피리딘-4-티올, 3-니트로피리딘-2-티올, 4-클로로피리딘-2-티올 또는6-메틸피리딘-3-티올 같은 임의로 치환된 피리딘티올류가 속한다. 소기의 최종 생성물이 식(VI)의 화합물인 경우, 기-SR5눈 단계(C)에서 제거되며 그의 성질은 제한되지 않으며 여러가지 종류의 기가 R5로 나타내지는, 특히 상기한 기 이외의 치환체를 갖는 알킬, 아르알킬, 페닐 및 피리딜기로서 사용될수 있다. 그러나, 소기의 최종 생성물이 식(VII)의 화합물인 경우, 기 R5는 이 화합물에 남아 있으며 ; 이 경우에 있어서, R5가 치환된 알킬, 아르알킬, 페닐 또는 피리딜기를 나타낼때, 치환체는 상술한 것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단계(a)의 반응은 식(II)의 화합물을 불활성 용매중에서 티올 R5SH와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식(II)의 화합물에 대한 티올의 몰비는 적어도 1 : 1이 바람직하며, 원한다면, 대과량의 티올이 사용될 수 있다. 반응에 역효과를 미치지 않는한 용매의 성질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적절한 용매의 예에는 벤젠, 톨루엔 또는 크실렌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 ;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또는 디옥산 같은 에테르류 ; 메탄올, 에탄올 또는 이소프로판을 같은 알코올류 ; 디메틸포름아미드 같은 아미드류 ; 디메틸술폭시드 ; 물 ; 및 이를 둘 이상의 혼합물이 속한다. 바람직한 용매는 물 또는 물과 1종 이상의 알코올과의 혼합물이다.
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염기, 예를들어,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 같은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또는 중탄산나트륨 같은 알칼리금속 탄산염 또는 중탄산염 ; 또는 트리에틸아민, 트리에틸렌디아민 또는 피리딘 같은 3차 아민 존재하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반응을 방지하기 위하여 반응은 실온 또는 냉각하 수행되는것이 바람직하나 반응온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반응이 염기 존재하 수행된다면, 생성된 식(Ⅷ)의 화합물은 식(Ⅷ)과 이염기와의 염의 형태로 수득될 것이며 ; 원한다면, 이 염은 반드시 그렇지는 않다 할지라도 산으로 처리함으로써 유리산으로 전환될 수 있다.
단계(b)는 식(Ⅶ)의 상응하는 디히드로피리다지논 화합물을 얻기 위하여 식(Ⅶ)의 화합물을 히드라진과 반응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히드라진은 그의 수화물의 형태 또는 염산 또는 황산과 같은 무기산과의 염의 형태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은 불활성 용매 존재하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반응에 역효과를 미치지 않는한 용매의 성질은 제한되지 않는다. 적절한 용매의 예에는 메탄올, 에탄올 또는 이소프로판올 같은 알코올류 ; 아세트산 ; 물 ; 및 이들 둘 이상의 혼합물이 속한다. 바람직한 용매는 알코올 또는 알코올 수용액이다. 반응온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므로 실온 내지 사용된 용매의 환류온도의 범위내에서 반응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가열을 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생성된 식(Ⅶ)의 화합물이 소기의 생성물일 경우, 종래의 방법에 의하여 반응 혼합물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 그렇지 않으면 식(Ⅶ)의 화합물은 반응 혼합물로부터 분리하거나 분리하지 않고 단계(c)의 반응을 시킬 수 있다.
단계(C)에서, 식(Ⅶ)의 화합물을 산 또는 알칼리로 처리하여 소기의 식(VI)의 화합물을 얻는다.
사용된 산은 무기산이 바람직하며 염산, 황산, 질산 또는 인산이 속한다. 사용된 알칼리는 알칼리금속 수산화물 또는 탄산염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탄산나트륨 또는 탄산칼륨이다. 사용된 산 또는 알칼리의 양은, 원한다면 대과량 사용되어도 무방하나 식(Ⅶ)의 화합물의 당량 당 1 당량 이상이 바람직하다.
이 반응은 불활성 용매 존재하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반응에 역효과를 미치지 않는한 용매의 성질은 제한되지 않는다. 이와같은 용매의 예에는 메탄올, 에탄올 또는 프로판을 같은 알코올류 ; 디옥산 또는 테트라히드로푸란 같은 에테르류 ; 디메틸 포름아미드 같은 아미드류 ; 디메틸술폭시드 ; 물 ; 또는 이들 둘이상의 혼합물이 속한다. 물 또는 물과 1종 이상의 알코올과의 혼합물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온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므로 실온 내지 사용된 용매의 환류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반응을 촉진하기 위하여 가열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한다면, 단계(b) 및 (c)는 식(Ⅷ)의 화합물의 당량 당 1당량 이상의 수소 또는 히드록실 이온 존재하 히드라진과의 반응을 행함으로써 단일 단계로 수행될 수 있다.
반응이 완결된후, 식(VI)의 화합물은 종래의 방법에 의하여 회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방법뿐 아니라 방법 C 및 D도 매우 특징적이며 식(VI)의 화합물은 가열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단순히 냉각함으로써 결정의 형태로 얻을 수 있으며 생성된 결정은 재결정과 같은 정제를 더할 필요없이 고순도이다. 생성물은 여과로 수집하여 모액을 농축하여 제 2의 결정을 얻는데 역시 더 정제하지 않아도 고순도이다. 이는 물론 정제단계가 생략되기 때문에 사업적으로 중요하며, 원가가 감소되며 최종 생성물의 손실이 불가피하다.
이 방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화합물(Ⅷ), 또는 단계(c)가 수행된다면, 화합물(Ⅶ)이 분리될 필요가 없으며, 원한다면, 세가지 모든 단계는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연속적인 조작은 상업적으로 유리하다. 이 방법의 단계(c)는 티올 R5SH를 재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회수되어 단계(a)로 재순환될 수 있으므로 원가가 감소되며 본 방법의 상업적인 가치를 향상 시킨다.
[방법B]
본 발명의 방법의 본 실시예에서, 반응은 하기 반응도로 요약된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Figure kpo00011
상기식에서, Rl, R2, R3및 R7은 전기 정의한 바와 같으며, 특히, R7은 식
Figure kpo00012
(여기서, Y는 산소 또는 황원자를 나타내며, R8및 R9는 각각 저급 알콕시기를 나타내며 R10은 저급알콕시, 저급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냄)의 기를 나타낸다.
이 반응의 첫번째 단계(a)는 식(II)의 화합물을 티오카르본산, 티오인산 또는 티오포스폰산 에스테르 R7SH와 반응시켜 식(IX)의 화합물을 생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티오카르본산에스테르는 염, 더욱 알칼리금속(예, 칼륨)염의 형태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Y가 황원자를 나타내는 경우, 티오카르본산에스테르는 디티오카르본산의 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포타슘 O-에틸 디티오 카르보네이트이며 ; Y가 산소원자를 나타내는 경우, 에스테르는 모노티오카르본산의 에스테르, 예를 들어 포타슘 O-에틸 티오 카르보네이트이다.
R7이 식
Figure kpo00013
의 기를 나타내는 경우, 식 R7SH의 화합물은 모노티오-또는 디티오-인산 또는 포스폰산이며 이와같은 화합물의 특정예에는 O,O-디에틸티오인산 : O,O-디에틸디티오인산 : O,O-디에틸디티오인산 : O,O-디에틸디티오인산 : O,O-디이소프로필디티오인산 ; O,P-디메틸디티오포스폰산 ; 및 O-에틸-P-페닐-디티오포스폰산이 속한다.
등몰량의 식(II)의 화합물 및 화합물 R7SH를 사용하거나 또는 과량의 화합물 R7SH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은 용매 존재하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반응에 역효과를 미치지 않는한 성질은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될 수 있는 용매의 예에는 방법 A의 단계(a)에서 사용된 용매 및 아세톤과 같은 케톤류를 들 수 있다. 화합물 R7SH가 티오카르본산에스테르인 경우 용매로서 물이 바람직하며 ; 티오인산 또는 티오포스폰산 에스테르인 경우 용매로서 알코올 또는 케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은 실온 이하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티오카르본산 에스테르가 사용되는 경우, 식(IX)의 유리산을 분리시키기 위하여 반응 혼합물을 산으로 처리한 다음 단계(b)에서 사용한다.
단계(b)는 식(IX)의 화합물을 히드라진과 반응시켜 직접 식(VI)의 화합물을 생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히드라진은 수화물의 형태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반응은 방법 A의 단계(b)에서 사용된 것과 같은 불활성 용매 존재하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한다면, 단계(b)는 식(IX)의 화합물의 중간 물질의 분리없이 단계(a)후 직접 수행될 수 있다. 반응은 실온 이상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법C]
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하기의 반응도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
Figure kpo00014
상기식에서, Rl, R2및 R3는 전기 정의한 바와 같으며 X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이 방법의 단계(a)는 식(II)의 화합물을 메탄올 중에서 할로겐화 수소와 반응시켜 식(X)의 화합물을 생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 이 반응은 식(II)의 화합물의 이중결합에 메탄올을 가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데 메탄올이 알코올이기때문에 그의 카르복시기가 에스테르화 한다. 이 반응에서 사용될 수 있는 할로겐화 수소의 예에는 염화수소 및 브롬화 수소가 속하며 염화수소가 바람직하다. 할로겐화수소는 식(II)의 화합물에 대하여 대과량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은 메탄올을 함유하는 혼합 용매중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식(II)의 화합물을 메탄올에 단순히 현탁시킴으로써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메탄올은 용매로서 작용한다.
반응온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온도는 빙냉온도 내지 사용된 용매의 환류온도의 범위에서 수행될 수 있다.
고압액체 크로마도크래피에 의하여 반응을 상세히 조사한 결과, 이 반응은 두단계로 일어남이 발견하였는데 ; 첫째로, 식(II)의 화합물이 에스테르화 되고 할로겐화 수소가 촉매로 사용되는 반면, 할로겐화 수소는 이중결함에 동시에 첨가되어 상응하는 메틸 4-(치환페닐)-2-할로-4-옥소부티레이트를 생산하고 ; 그런 다음, 이 화합물에서 할로겐 원자는 메톡시기에 의하여 치환되어 식(X)의 화합물이 생성된다.
단계(b)는 식(X)의 화합물을 히드라진과 산 존재하 반응시키거나 또는 계속해서 산과 반응시켜 직접 식(VI)의 화합물을 생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이 단계는 방법 A의 단계(b) 및 (c)의 조합에 상응한다. 반응은 방법 A에서 형성된 식(VIl)의 화합물(그러나 기-SR5가 메톡시기에 의하여 치환됨)에 상응하는 중간 물질을 거쳐 진행하나, 이 중간물질은 거의 부적합하므로 중간물질을 분리함이 없이 직접 식(VI)의 화합물을 생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b)의 반응을 수행하기 위하여, 식(X)의 화합물을 적절한 용매중에서, 바람직하게는 가열하면서, 히드라진과 우선 반응시킨후, 산(등몰량 내지 대과량)을 가한 다음 가열을 계속하여 식(VI)의 화합물을 생성한다. 히드라진은 산염의 형태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방법으로, 히드라진과 함께 산을 반응 혼합물에 가할 수 있다. 산은 방법 A에 예시된 바와 같은 무기산 또는 아세트산과 같은 유기산일 수 있다. 식(X)의 화합물을 아세트산 중에서 히드라진과 가열함으로써 이 반응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아세트산은 용매로서 작용함.
[방법D]
본 발명의 방법의 본 실시예에서 반응은 하기 반응도에 의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Figure kpo00015
상기식에서, Rl, R2, R3및 X는 전기 정의한 바와 같다.
본 방법의 단계(a)는 식(II)의 화합물을 할로겐화수소와 반응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는데, 그러면 할로겐화수소는 화합물(II)의 이중결합에 가해진다. 이런 점에서, 반응은 이경우 식(XI)의 할로화합물이 소기의 생성물임에도 불구하고 방법 C의 단계(a)의 첫번째 단계와 유사하다. 이 반응에서 사용된 할로겐화수소는 방법 C의 단계(a)에서 사용되는 것중의 하나일 수 있으며 사용된 할로겐화 수소의 양은 식(II)의 화합물과관련하여 등몰량 내지 대과량의 범위내일 수 있다.
반응은 불활성 용매중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반응에 역효과를 미치지 않는한 그의 성질은 제한되지 않는다. 적절한 용매의 예에는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또는 메틸 이소부틸 케톤 같은 케톤류 ; 디메틸에테르, 디옥산 또는 테트라히드로푸란 같은 에테르류 : 및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에틸렌 디클로라이드 또는 테트라클로로에탄 같은 할로겐화 탄화수소류가 속하는데, 이들 중에서 케톤류가 바람직하다. 반응 온도 역시 제한적이 아니며 반응은 빙냉온도 내지 사용용매의 환류온도 범위내에서 수행될 수 있는데, 바람직한 반응 온도는 5∼20℃의 범위이다.
본 방법의 단계(b)는 생성된 식(XI)의 화합물을 산존재하 히드라진과 반응시키거나 또는 히드라진과 반응시킨후 산과 반응시켜 식(VI)의 소기의 화합물을 생성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반응조건은 방법 C의 단계(b)에 기재된 바와 같이 유사하나, 이경우 무기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모든 방법에서 사용된 출발물질인 식(II)의 화합물은 모두 공지의 화합물이다. 바람직한 식(II)의 출발물질은 R1및 R3가 둘다 염소원자를 나타내는 한편 R2가 메틸기를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이것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36434/80호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산의 몰당 적어도 2.5몰 이상의 무수염화 알루미늄 존재하 4-(4-메틸페닐)-4-옥소-2-부텐산을 염화 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다량의 염화 알루미늄을 필요로 하므로 원가가 증가하며 폐수처리의 문제를 야기 시킨다. 더우기, 소기의 디클로로 화합물에 덧붙여 다량의 상응하는 트리클로로 화합물이 또한 염화단계에서 생성되며 이 부생물은 제거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출발 물질로 사용된 4-(3, 5-디클로로-4-메틸페닐)-4-옥소-2-부텐산은 하기반응도에 요약된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것이 바람직하다 :
Figure kpo00016
이 방법의 첫번째 단계는 식(XII)의 톨루엔을 불활성 용매중 무수염화 알루미늄 존재하 아세틸 할라이드와 반응시켜 P-메틸아세토페논(XIII)을 제조하고, 중간물질을 분리하지 않고 염화시킨 다음 산으로 처리하여 식(XIV)의 3,5-디클로로-4-메틸아세토페논을 제조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식(XIV)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또따른 방법이 유기화학지, 23, 1412(1958)에 기재되어 있으며 용매 없이 55℃에서 4-메틸아세트페논의 몰당 2.5몰의 염화알루미늄을 4-메틸아세토페논과 가열함으로써 염소화를 행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데 ; 그러나 이 방법은 단지 수율이 15%이며 반응 생성물이 고체의 형태로 생성되므로 소기의 화합물을 회수하기가 어렵다.
사용될 수 있는 아세틸 할리이드의 예에는 아세틸 클로라이드 및 아세틸 브로마이드가 속한다. 아세틸 할라이드는 톨루엔의 몰당 1∼1.5몰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무수염화알루미늄은 톨루엔의 몰당1.1∼1.5몰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은 불활성 용매중에서 수행되며 반응에 역효과를 미치지 않는한 그의 성질을 제한되지 않는데 ; 적절한 용매는 에틸렌 디클로라이드, 테트라히드로푸란 또는 트리클로로에탄과 같은 할로겐화 탄화수소이다. 반응온도는 0∼10℃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생성된 P-메틸아세트페논을, 분리함이 없이,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10℃ 온도에서 염화시킨 다음 생성된 착화합물을 산으로 처리함으로써 분해시켜 소기의 식(XIV)의 3, 5-디클로로-4-메틸아세토페논을 제조한다. 이 방법은 상술한 공지의 방법에 의하여 이룩될 수 있는것보다 더 고수율로 식(XIV)의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더우기, 반응 혼합물은 액체이기 때문에 반응후 산처리에 의하여 착화합물을 분해하기가 쉬우며 생성물을 얻기가 쉽다.
본 발명의 두번째 단계는 식(XIV)의 화합물을 글리옥실산과 반응시켜 식(II)의 소기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 반응은 촉매량의 산, 바람직하게는 아세트산(일본 특허 공보 제 39020/77호) 존재하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 설명된다.
[실시예 1]
6-(3, 5-디클로로-4-메틸페닐)-4-메틸티오-4, 5-디히드로-3(2H) 피리 다지논
(a) 톨루엔으로부터 3, 5-디클로로-4-메틸아세토페논의 제조
34.7g(0.26몰)의 무수염화 알루미늄 분말을 150m1의 1, 2-디클로로에탄에 현탁시킨 현탁액에 빙냉 및 교반하 18.8g(0.24몰)의 아세틸 클로라이드를 적가한다. 혼합물을 빙냉하 30분 더 교반시킨후, 교반 시키면서 18.4g(0.2몰)의 톨루엔을 약 20분간 적가하고 5℃이하의 내부온도를 유지한다. 1시간 더 교반을 계속한 후, 이 혼합물에 드라이아이스/아세톤에 든 23m1의 액화염소를 4시간동안 조금씩 불어 넣고, 빙냉시켜 그의 내부 온도를 5∼10℃로 유지한다. 다가하였을때 혼합물을 5∼10℃에서 30분간 더 교반 시킨후 반응 혼합물을 50m1의 농염산 및 500g의 얼음파편의 혼합물에 부어 넣는다. 그런다음, 혼합물을 500m1의 디에틸 에테르로 추출하고 추출물을 수세한 다음 무수황산 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킨다. 그런다음, 용매를 유거하면 47.9g의 조생성물이 수득되는데 이를 헥산 및 벤젠의 혼합물(부피비 1 : 1)로 용출하는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시키면 융점이 64∼66℃이고 비점이 108∼11l℃/400Pa(3mmHg)인 소기의 3, 5-디클로로-4-메틸아세토페논 22.8g(수율 56.1%)이 수득된다.
원소분석 : C9H8OC12에 대한
계산치 : C ; 53.24%, H ; 3.97%. Cl ; 34.92%.
실측치 : C ; 53.69%, H ; 3.87%, C1; 35.03%.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Nujol-trade mark-mul1)νmaxcm-1: 1690
NMR 스펙트럼(CC14)∂ppm : 2.50(6H, 단일선, 메틸) ; 7.77(2H, 단일선, 페닐).
(b) 3, 5-디클로로-4-메틸아세트페논으로부터 4-(3, 5-디클로로-4-메틸페닐)-4-옥소-2-부텐산의제조
10.2g의 (0.1몰)의 아세트산 무수물을 9.3g(0.1몰)의 글리옥실산 l 수화물에 가하고 균일한 용액을 얻기 위하여 혼합물을 교반하 60℃의 오일욕상에서 10분간 가열한다. 이 용액에, 차례대로, 상술한 단계(a)에서 제조된 3,5-EL클로로-4-메틸아세토페논 20.3g(0.1몰), 28.8g의 아세트산, 및 촉매량(300mg)의 농황산을 가하고, 빙냉한다. 그런다음 혼합물을 교반 시키면서 105∼110℃의 유욕상에서 2시간동안 가열한 후 이를 냉각하고 100m1의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가한다. 혼합물을 교반하고 생성된 결정을 여과로 수집하여 먼저 수세한 다음 소량의 디이소프로필 에테르로 세척한 후 이를 건조시키면 206∼216℃에서 용융하는 20.8g(수율 80.3%)의 소기의 4-(3, 5-디클로로-4-메틸페닐)-4-옥소-2-부텐산이 생성된다.
(c) 4-(3, 5-디클로로-4-메틸페닐)-4-옥소-2-부텐산으로부터 4-(3, 5-디클로로-4-메틸페닐)-2-메틸티오-4-옥소부티르산의 제조
상술한 단계(b)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된 2.59g(0.01몰)의 4-(3, 5-디클로로-4-메틸페닐)-4-옥소-2-부텐산을 10ml의 물에 현탁시킨 다음 소디움 메탄티올레이트의 20% w/v 수용액 3.5g(0.01몰)을 현탁액에 부어넣고 물로 냉각시키고 교반 시킨다. 그런다음, 혼합물을 30분 더 교반시킨 후 혼합물에 2m1의 농염산을 적가하고 물로 냉각시켜 생성된 결정을 여과로 수집하여 물로 냉각 및 기건시키면 융점이 158∼160℃인 소기의 4-(3, 5-디클로로-4-메틸페닐)-2-메틸티오-4-옥소부티르산 3.03g(수율 98.7%)이 생성된다.
원소분석 : C12H12O3C12S에 대한
계산치 : C ; 46.88%, H ; 3.91%, C1 ; 23.11%, S ; 10.42%.
실측치 : C ; 47.11%, H ; 3.53%, C1 ; 23.04%, S ; 10.51%.
적외선흡수 스펙트럼 (Nujol mul1) νmaxcm-1: 2400∼2700, 1720, 1690
NMR 스펙트럼(헵타듀레로화 디에틸포름아미드)∂ppm : 2.30(3H, 단일선, 메틸) ; 2.53(3H, 단일선, 메틸티오) ; 3.12∼4.12(3H, 다중선, 메틸렌 및 메틴) ; 7.42(lH, 넓은 단일선, 카르복시) ; 8.13(2H,단일선, 페닐).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에 따라, 다음의 화합물이 제조된다 : (i) 4-(3-브로모페닐)-2-메틸티오-4-옥소부티르산, 융점 123∼134℃. (ii) 4-3(-브로모페닐)-2-에틸티오-4-옥소부티르산, 융점 125∼134℃.(iii) 5-(3-브로모페닐)-2-이소프로필티오-4-옥소부티르산, 융점 136∼138℃.(iV) 4-(3-브로모페닐)-2-(2-히드록시에틸)티오-4-옥소부티르산, 유상. (v) 4-(3-브로모페닐)-2-(2-카르복시에틸)티오-4-옥소부티르산, 융점 135∼137℃. (vi) 4-(3-브로모페닐)-2-페닐티오-4-옥소부티르산, 융점 125∼128℃. (vii) 4-(3-브로모페닐)-2-(3-니트로-2-피리딜)티오-4-옥소부티르산, 융점159∼162℃. (viii) 4-(4-메톡시페닐)-2-메틸티오-4-옥소부티르산, 융점 116∼118℃. (ix) 4-(3, 4-디클로로페닐)-2-메틸티오-4-옥소부티르산, 융점 136∼139℃. (x) 4-(3, 4-디클로로페닐)-2-에틸티오-4-옥소부티르산, 융점 108∼110℃. (xi) 4-(3, 4-디클로로페닐)-2-이소프로필티오-4-옥소부티르산, 융점 136∼138℃. (xii) 4-(3, 4-디클로로페닐)-2-(2-히드록시에틸)티오-4-옥소부티르산, 융점110∼112℃. (xiii) 2-(2-카르복시에틸)티오-4-(3, 4-디클로로페닐)-4-옥소부티르산, 융점150∼152℃. (xiv) 4-(3-브로모-4-클로로페닐)-2-에틸티오-4-옥소부티르산, 융점 143∼145℃. (xv) 4-(3, 5-디클로로-4-메틸페닐)-2-에틸티오-4-옥소부티르산, 융점 168∼172℃. (xvi) 4-(3,5-디클로로-4-메틸페닐)-2-이소프로필티오-4-옥소부티르산, 융점 166∼169℃. (xvii) 4-(3,5-디클로로-4-메틸페닐)-2-(2-히드록시에틸)티오-4-옥소부티르산, 융점 129∼131℃. (xviii) 2-(2-카르록시에틸) 티오-4-(3,5-디클로로-4-메틸페닐)-4-옥소부티르산, 융점 149∼151t. (xix) 4-(3,5-디클로로-4-메틸페닐)-2-에톡시카르브닐메틸티오-4-옥소부티르산, 융점 95∼97t. (xx) 4-(3,5-디클로로-4-메틸페닐)-2-(2-메톡시카르보닐에틸)티오-4-옥소부티르산, 융점 125∼127℃. (xxi) 2-벤질티오-4-(3,5-디클로로-4-에틸페닐)-4-옥소부티르산 융점 132∼135t. (xxii) 4-(3,5-디브로모-4-메톡시페닐)-2-헥실티오-4-옥소부티르산, 융점 103∼105℃. (xxiii) 2-알릴티오-4-(3-브로모페닐)-4-옥소부티르산, 융점 50∼63℃.
(d) 4-(3, 5-디클로로-4-메틸페닐)-2-메틸티오-4-옥소부티르산으로부터 6-(3, 5-디클로로-4-메틸페닐)-4-메틸티오-4, 5-디히드로-3(2H) 피리다지논(화합물 번호 22) 의 제조
상기의 단계(c)에 기재된 바와같이 제조된 1.54g(0.005몰)의 4-(3, 5-디클로로-4-메틸페닐)-2-메틸티오-4-옥소부티르산을 5m1의 에탄올에 현탁시킨 다음, 실온에서 현탁액에 0.25g의 히드라진 l수화물을 가한후,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동안 교반 시킨다. 그런다음 혼합물을 환류하 6시간동안 가열한 후 냉각하여 생성된 결정을 여과로 수집하여 소량의 에탄올로 세척하면 융점이 163∼165℃인 소기의 22번 화합물 1.32g(수율 87.1%)이 수득된다.
원소분석 : C12H12ON2Cl2S에 대한
계산치 : C ; 47.54%, H ; 3.99%, N : 9.24%, C1 ; 23.31%, S ; l0.57%.
실측치 : C ; 47.54%, H ; 3.63%, N ; 9.15%, Cl ; 23.68%, S ; 10.51%.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Nujol mul1) νmaxcm-l: 3200, 3100, 2000∼2800, 1680, 1610.
NMR 스팩트럼(듀레로클로로포름)∂ppm : 2.23(3H, 단일선, 메틸) ; 2.52(3H, 단일선, 메틸티오) : 3.19(2H, 이중선, J=6Hz, 메틸렌) ; 3.58(1H, 이중의 이중선, J=6Hz, 메틴) ; 7.78(2H, 단일선, 페닐) ; 9.72(lH, 넓은 단일선, NH).
상술한 방법에 따라, 상기의 단계(c)에 기재된 바와같이 제조된 상응하는 화합물을 출발물질로 하여 하기의 화합물이 제조된다 : (i)6-(3-브로모페닐)-4-메틸티오-4, 5-디히드로-3(2H)피리다지논, 융점 151∼152℃(1번 화합물), (ii) 6-(3-브로모페닐)-4-에틸티오-4, 5-디히드로-3(2H)피리다지논, 융점 126∼129℃ (2번 화합물), (iii) 6-(3-브로모페닐)-4-이소프로필티오-4, 5-디히드로-3(2H)피리다지논, 융점 155∼158℃ (3번 화합물), (iv) 6-(3-브로모페닐)-4-(2-히드록시에틸) 티오-4, 5-디히드로-3(2H)피리다지논, 융점 115∼118℃, (4번 화합물), (v) 6-(3-브로모페닐)-4-(2-카르복시에틸)티오-4, 5-디히드로-3(2H) 피리다지논, 융점 150∼152℃.(5번 화합물), (vi) 6-(3-브로모페닐)-4-메틸티오-4, 5-디히드로-3(2H) 피리다지논, 융점 153∼156℃ (6번 화합물), (vii) 6-(3-브로모페닐)-4」(3-니트로-2-피리딜) 티오-4, 5-디히드로-3(2H) 피리다지논, 융점 171∼174℃ (7번 화합물), (viii) 6-(4-메톡시페닐)-4-메틸티오-4, 5-디히드로-3(2H) 피리다지논, 융점 145∼147℃ (9번 .화합물), (ix) 6-(3, 4-디클로로페닐)-4-메틸티오-4, 5-디히드로-3(2H) 피리다지논, 융점 149∼152℃, (10번 화합물), (x)6-(3, 4-디클로로페닐)-4-에틸티오-4,5-디히드로-3(2H)피리다지논,융점134∼136℃(11번화합물),(xi) 6-(3,4-디클로로페닐)-4-이소프로필티오-4,5-디히드로-3(2H) 피리다지논, 융점 136∼138℃ (12번 화합물),(xii) 6-(3,4-디클로로페닐)-4-(2-히드록시에틸)티오-4,5-디히드로-3(2H) 피리다지는,응점 127∼129℃ (13번 화합물),(xiii) 4-(2-카르복시에틸)티오-6-(3,4-디클로로페닐)-4, 5-디히드로-3(2H) 피리다지논, 융점 162∼165℃ (14번 화합물), (xv) 6-(3, 5-디클로로-4-메틸페닐)-4-에틸티오-4, 5-디히드로-3(2H)피리다지논, 융점 174∼177℃,(23번 화합물), (xvi) 6-(3, 5-디클로로-4-메틸페닐)-4-이소프로필티오-4, 5-디히드로-3(2H)피리다지논, 융점 174∼177℃.(24번 화합물), (xvii) 6-(3, 5-디클로로-4-메틸페닐)-4-(2-히드록시에틸)티오-4, 5-디히드로-3(2H)피리다지논, 융점 192∼195℃ (25번 화합물), (xviii) 4-(2-카르복시에틸) 티오-6-(3, 5-디클로로-4-메틸페닐)-4, 5-디히드로-3(2H)피리다지논, 융점 192∼194℃ (26번 화합물), (xix) 6-(3,5-디클로로-4-메틸페닐)-4-에톡시카르보닐에틸티오-4, 5-디히드로-3(2H)피리다지논, 융점 146∼149℃ (27번 화합물), (xx) 6-(3, 5-디클로로-4-메틸페닐)-4-(2-메톡시카르보닐에틸)티오-4, 5-디히드로-3(2H)피리다지논, 융점 126∼128℃,(28번 화합물), (xxi) 4-벤질티오-6-(3, 5-디클로로-4-메틸페닐)-4, 5-디히드로-3(2H)피리다지논, 융점 161∼163℃ (31번 화합물), (xxii) 6-(3, 5-디브로모-4-메톡시페닐)-4-헥실티오-4, 5-디히드로-3(2H)피리다지논, 융점 80∼83℃ (34번 화합물), (xxiii) 4-알릴티오-6」(3-브로모페닐)-4, 5-디히드로-3(2H)피리다지논, 융점 122∼115℃ (37번 화합물).
[실시예 2]
6-(3, 5-디클로로-4-메틸페닐)-4-메틸티오-4, 5-디히드로-3(2H)피리다지논으로부터 6-(3, 5-디클로로-4-메틸페닐)-3(2H) 피리다지논의 제조
실시예 1(d)에서 제조된 6.06g(0.02몰)의 6-(3, 5-디클로로-4-메틸페닐)-4-메틸티오-4, 5-디히드로-3(2H)피리다지논, 20m1의 물 및 5.2ml의 농염산의 혼합물을 교반하 2시간동안 가열한다. 이 혼합물을 냉각 시킨후 생성된 결정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여 기건시키고 소량의 에틸아세테이트로 세척한 후 다시 기건시켜 융점이 254∼258℃인 4.59g(수율 90%)의 바람직한 6-(3,5 -디클로로-4-메틸페닐)-3(2H)피리다지논을 얻는다.
[실시예 3]
4-(3, 5-디클로로-4-메 틸 페 닐 )-4-옥소-2-부텐산으로부터 6-(3, 5-디클로로-4-메틸페닐 )-3(2H)피리다지논의 제조
7g의 20% w/v소듐메탄티올레이트용액을 20m1의 물에 녹인 실시예 1(b)에서 제조된 5.18g(0.02몰)의 4-(3, 5-디클로로-4-메틸페닐)-4-옥소-2-부텐산의 현탁액에 수냉하면서 붓고, 이 혼합물을 30분간 교반한다. 생성된 혼합물에 2.08ml(0.02몰)의 농염산을 수냉하면서 가한후 혼합물을 교반한다. 1.1g의 히드라진 모노히드레이트를 수냉하면서 혼합물에 가한후 실온에서 1시간동안 교반하고, 교반하 2시간동안 가열한다. 말기에 5.2ml(0.04몰)의 농염산을 가하고 이 혼합물은 교반하 1.5시간동안 더 가열한다. 혼합물을 냉각시킨후, 생성된 결정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수세, 기건시켜 융점 254∼258℃인 순수한 형태의 바람직한 생성물 3.90g(수율 76.5%)를 얻는다.
[실시예 4]
6-(3, 5-디클로로-4-메틸페닐)-3(2H) 피리다지논(a) 4-(3, 5-디클로로-4-메틸페닐)-4-옥소-2-부텐산으로부터 메틸 4-(3, 5-디클로로-4-메틸페닐)-2-메톡시-4-부틸레이트의 제조
실시예 1(b)에서 제조된 5.18g(0.02몰)의 4-(3, 5-디클로로-4-메틸페닐)-4-옥소-2-부텐산을 50m1의 메탄올에 현탁시키고 이 현탁액을 빙냉시키면서 가스를 현탁액에 통과시켜 건조한 염화수소로 포화시키고 교반한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동안 교반하여 메틸2-클로로-4-(3, 5-디클로로-4-메틸페닐)-4-옥소부틸레이트를 얻는다. 생성된 혼합물은 교반하 2시간동안 더 가열하여 2-위치의 염소치환체를 메톡시기에 의해 치환한다. 이 반응을 완결한 후, 메탄올은 증류시키고, 잔기는 디에틸에테르로 추출한다. 추출물은 수세한 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다. 용매를 증류시켜 5.93g의 조생성물을 얻으며, 이것을 실리카겔을 넣은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 넣어 벤젠으로 용출시키고, 연속해서 벤젠과 에틸아세테이트의 20 : 1 부피 혼합물로 용출시켜서 융점 75∼78℃의 바람직한 메틸 4-(3, 5-디클로로-4-메틸페닐)-2-메톡시-4-옥소부틸레이트 4.46g(수율 73.1%)를 얻는다.
원소분석 : C13H14O4Cl2에 대한
계산치 : C ; 51.17%, H ; 4.62%, C1 ; 23.24%
실측치 : C ; 51.00%, H ; 4.38%, Ci ; 23.45%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Nujol mull)Vmaxcm-1: 1740, 1675 NMR 스펙트럼(듀테로클로로포름)∂ ppm : 2.50(3H, 단일선,메틸); 3.05∼3.75(2H, 다중선, 메틸렌) ; 3.55(3H, 단일선, 메톡시) ; 3.80(3H, 단일선, 메톡시카르보닐) : 4.40(lH, 이중의 이중선, J=6Hz, 메틴) ; 7.77(2H, 단일선, 페닐).
(b) 메틸4-(3, 5-디클로로-4-메틸페닐)-2-메톡시-4-옥소부틸레이트로부터 6-(3,5-디클로로-4-메틸페닐)-3(2H) 피리다지논의 제조
3.05g(0.01몰)의 메틸 4-(3, 5-디클로로-4-메틸페닐)-2-메톡시-4-옥소부틸레이트, 0.6g(0.012몰)의 히드라진 모노히드레이트 및 30m1의 메탄올 혼합물을 3.5 시간동안 교반하 가열한다. 1.lm1의 농염산을 혼합물에 가한후, 6시간동안 교반하 더 가열한다. 말기에, 용매는 증류시키고, 잔기는 수세하여 다시 소량의 디에틸에테르로 세척한 후, 건조시켜 1.80g의 바람직한 생성물을 얻는다. 세척물은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이 추출물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유기용매는 증류시킨다. 잔기는 벤젠과 디에틸에테르로 차례대로 세척하여 0.1lg의 바람직한 생성물을 더 얻는다. 6-(3, 5-디클로로-4-메틸페닐)-3(2H)피리다지논의 총수율은 1.91g(74.9%)이며 생성물의 성질은 실시예 1(d), 2 및 3의 생성물과 동일하다.
[실시예 5]
메틸4-(3, 5-디클로로-4-메틸페닐)-2-메톡시-4-옥소부틸레이트로부터 6-(3, 5-디클로로-4-메틸페닐)-3(2H) 피리다지논의 제조
1.53g(0.005물)의 메틸 4-(3, 5-디클로로-4-메틸페닐)-2-메톡시-4-옥소부틸레이트를 4m1의 아세트산에 가하고 이 혼합물을 가열하여 용액을 만들고 여기에 0.275g(0.0055몰)의 히드라진 모노히드레이트를 가한다. 이 혼합물을 3시간동안 교반하 가열하였다가 냉각시킨 후 40m1의 물로 희석하고 교반한다. 생성된 결정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여 물과 소량의 에틸아세테이트로 계속해서 세척하고 건조시켜 상기 실시예의 생성물과 같은 성질을 가진 바람직한 6-(3, 5-디클로로-4-메틸페닐)-3(2H) 피리다지논 1.1g(수율 86.2%)를 얻는다.
[실시예 6]
6-(3, 5-디클로로-4」메틸페닐)-3(2H) 피리다지논(a) 4-(3, 5-디클로로-4-메틸페닐)-4-옥소-2-부텐산으로부터 2-클로로-4-(3, 5-디클로로-4-메틸페닐)-4-옥소부틸산의 제조
실시예 1(b)에서 제조된 5.18g(0.02몰)의 4-(3, 5)-디클로로-4-메틸페닐)-4-옥소-2-부텐산을 450ml의 메틸이소부틸케톤에 현탁시킨 현탁액을 빙냉하면서 기체를 통과시켜 건조한 염화수소 기체로 포화시키고 교반한다.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동안 더 교반한 후 30m1의 냉수로 희석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다. 이 추출물을 수세하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용매는 증류시키고 잔기는 소량의 헥산으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융점 129-132℃의 바람직한 2-클로로-4-(3, 5-디클로로-4-메틸페닐)-4-옥소부틸산 5.91g(수율 100%)를 얻는다.
원소분석 : CllH9O3Cl3에 대한
계산치 : C ; 44.70%, H ; 3.07%, C1 ; 35.99%
실측치 : C ; 44.73%, H ; 3.26%, C1 ; 35.78%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Nujol mull) Vmaxcm-1: 2400∼2800, 1720, 1685.
NMR스펙트럼(듀테로클로로포름)∂ppm : 2.54(3H, 단일선, 메틸) ; 3.65, 3.70
(2H,이중선, J=6Hz, 이중선 J=8Hz, 메틸렌); 4.80(lH, 이중의 이중선, J=6 & 8Hz, 메틴) ; 7.88(2H, 단일선, 페닐) ; 10.06(lH, 넓은 단일선, 카르복시).
(b) 2-클로로-4-(3, 5-디클로로-4-메틸페닐)-4-옥소부틸산으로부터 6-(3, 5-디클로로-4-메틸페닐)-3(2H) 피리다지논의 제조
상기(a)에서 제조된 2-클로로-4(3, 5-디클로로-4-메틸페닐)-4-옥소부틸산 1.48g(0.005몰)을 15m1의 에탄올 및 2m1의 물에 녹인 0.68g(0.01몰)의 히드라진염화수소용액에 용해시킨다. 이 용액을 교반하 3시간동안 더 가열한 후 냉각시킨다. 용매는 증류시키고 잔기에 20m1의 물을 가한다. 이 혼합물을 교반하고 생성된 결정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여 물과 소량의 디에틸에테르로 계속해서 세척하고 건조시켜 상기 실시예에서 얻어진 생성물과 같은 성질을 가진 바람직한 6-(3, 5-디클로로-4-메틸페닐)-3(2H) 피리다지논 0.85g(수율 66.7%)을 얻는다.
[실시예 7]
6-(3, 5-디클로로-4-메틸페닐)-4-메틸티오-4, 5-디히드로-3(2H)피리다지논(화합물 22번)으로부터 6-(3, 5-디클로로-4-메틸페닐)-3(2H) 피리다지논의 제조
실시예 1(d)에서 제조된 1.52g(0.005몰)의 6-(3, 5-디클로로-4-메틸페닐)-4-메틸티오-4, 5-디히드로-3(2H)-피리다지논을 3m1의 1N 무수수산화나트륨에 현탁시킨 현탁액을 1시간동안 교반한다. 이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수냉시키면서 농염산을 가하여 산성화시킨다. 침전된 결정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철저히 수세한 후 건조시켜 융점 254∼258℃의 바람직한 6-(3, 5-디클로로-4-메틸페닐)-3(2H) 피리다지논 1.2g(수율 94%)를 얻는다.
상기의 방법을 사용하여 하기 화합물을 제조한다.
6-(3-브로모페닐)-3(2H)피리다지논, 융점 202∼204℃ : 6-(3, 4-디클로로페닐)-3(2H)피리다지논, 융점 258∼262℃ ; 6-(3-브로모-4-클로로페닐)-3(2H)피리다지논, 융점 289∼293℃ : 6-(4-메톡시페닐)-3(2H)피리다지논, 융점 189∼192℃.
[실시예 8 ]
(a) 4-(3-브로모페닐)-4-옥소-2-부텐산으로부터 4-(3-브로모페닐)-2-디에톡시포스피노티오일-티오-4-옥소부탄산의 제조
1.12g(0.006몰)의 O,O-디에틸디티오포스포릭산을 20㎖의 아세톤에 녹인 1.28g(0.005몰)의 4-(3-브로모페닐)-4-옥소-2-부텐산의 용액에 적가한후,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한다. 말기에, 용매는 증류시키고, 잔기는 디에틸에테르로 추출한다. 추출물을 수세하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후 용매는 증류시킨다. 잔기는 실리카겔을 넣은 컬럼크로마토그래VL에 넣어 벤젠과 에틸아세테이트 4 : 1 부피 혼합물로 용출한다. 생성된 고체를 벤젠 및 헥산의 혼합물로부터 재결정하여 융점이 107∼111℃인 바람직한 4-(3-브로모페닐)-2-디에톡시포스피노티오일티오-4-옥소부텐산 1.54g(수율 69.8%) 를 얻는다.
적외선 흡수 스팩트럼 (Nujol mul1) Vmaxcm-1: 2050∼2800, 1750, 1680, 1010, 960.
NMR 스펙트럼(듀테로클로로포름) δppm : 1.37(6H, 삼중선, 2메틸기) : 3.6∼3.8(2H, 다중선, 메틸렌) ; 3.9∼4.7(5H, 다중선, 2 메틸렌기 및 메틴) : 7.2∼8.1(4H, 다중선, 페닐) : 8.90(lH, 단일선, 카르복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하기의 화합물을 제조한다.
4-(3-브로모페닐)-2-디이소프로폭시포스피노티오일티오-4-옥소부탄산, 융점 106∼112℃.
4- (3, 5-디클로로-4-메틸페닐)-2-디에톡시-포스피노티오일티오-4-옥소부탄산, 융점 97∼99℃.
메틸 4-(3, 5-디클로로-4-메틸페닐)-2-디에톡시포스피노티오일티오-4-옥소부타노에이트, nD 25=1.5604;4-(3, 4-디클로로페닐)-2-디에톡시 포스피노티오일티오-4-옥소부탄산, 융점 136∼137℃.
이 화합물들은 하기(b)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일반식(I)의 피리다지논 유도체를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b) 4-(3-브로모페닐)-4-옥소-2-부텐산으로부터 6-(3-브로모페닐)-3(2H) 피리다지논의 제조
1.12g(0.006몰)의 O,O-디에틸디티오포스포릭산을 실온에서 10m1의 에탄올에 현탁시킨 1.28g의 4-(3-브로모페닐)-4-옥소-2-부텐산의 현탁액에 가하고, 혼합물을 10분간 교반한다. 4-(3-브로모페닐)-2-디에톡시포스피노티오일티오-4-옥소부탄산의 생성을 박층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확인하며, 이 화합물은 반응 혼합물로부터 분리하지 않는다. 0.3g(0.006몰)의 히드라진 모노히드레이트를 반응 혼합물에 가하고, 실온에서 밤새 교반한다. 말기에, 침전된 결정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에탄올로 수세하여, 바람직한 6-(3-브로모페닐)-3(2H) 피리다지논 0.48g을 얻는다. 여과액을 농축한 후 실리카겔을 통한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 넣고 벤젠과 에틸아세테이트 4 : 1 부괴 혼합물로 용출하여 0.48g의 생성물을 더 얻는다. 생성물의 총량은 0.96g(수율 76%)이며 융점은 202∼204℃이다.
[실시예 9]
(a) 4-(3, 5-디클로로-4-메틸페닐)-4-옥소-2-부텐산으로부터 4-(3, 5-디클로로-4-메틸페닐)-2-에톡시티오카르보닐티오-4-옥소부탄산의 제조
40m1의 물에 2.59g(0.01몰)의 4-(3, 5-디클로로-4-메틸페닐)-4-옥소-2-부텐산 및 1.60g(0.01몰)의 포타슘 O-에틸디티오카르보네이트를 현탁시킨 현탁액을 실온에서 3시간동안 교반한다. 말기에 이 혼합물을 빙냉하고 농염산을 가하여 산성화한 후 디에틸에테르로 추출한다. 추출물을 실리카겔을 통해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 넣고 융점 126∼128℃의 바람직한 4-(3, 5-디클로로-4-메틸페닐)-2-에톡시티오카르보닐티오-4-옥소부텐산 3.60g(수율 94.5%)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Nujol mul1) Vmaxcm-1: 2100∼2750, 1700, 1690.
NMR 스펙트럼(듀테로클로로포름)δppm : 1.42(3H, 삼중선, J=7Hz, 메틸) ; 2.50(3H, 단일선, 메틸) ; 3.64(2H, 이중선, J=6Hz, COCH2) ; 4.68(2H, 4중선, J=7Hz, 메틸렌) ; 5.03(lH, 3중선, J=6Hz, 메틴) ; 7.82(2H, 단일선, 페닐) ; 9.40(lH, 넓은 단일선, 카르복시).
(b) 4-(3, 5-디클로로-4-메틸페닐)-2-에톡시티오카르보닐티오-4-옥소부탄산으로부터 6-(3, 5-디클로로-4-메틸페닐)-3(2H) 피리다지논의 제조
0.275g(0.0055몰)의 히드라진모노히드레이트를 20m1 에탄올에 상기(a)에서 제조한 l.91g(0.005물)의 4-(3,5-디클로로-4-메틸페닐)-2-에톡시티오카르보닐티오-4-옥소부탄산 용액에 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3시간동안 교반한다. 이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침전된 결정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에탄올로 세척하여 융점 254∼258℃의 바람직한 생성물을 얻는다.
에탄올 세척물을 농축하고 잔기를 실리카겔을 통한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 넣어 융점 184∼187℃의 6-(3,5-디클로로-4-메틸페닐)-4-메르캡토-4, 5-디히드로-3(2H) 피리다지논을 얻는다.
상기 대부분의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형태의 6-(3, 5-디클로로-4-메틸페닐)-3(2H) 피리다지논은 적외선 스펙트로스고피 1705cm-1에서 흡수를 나타내며 이것은 카르보닐기를 가지며 분말상 결정형태를 가진다. 그러나 화합물이 N,N-디메틸포름아미드로부터 재결정될때, 그 형태가 투명한 침상으로 변하고 적외선 흡수도 1680 및 1660cm-1으로 변화되며 카르보닐기를 갖는다. 그러나 이 두형태의 화합물은 융점, 박충크로마토그래피, 고효율 액체크로마토그래피 및 NMR 스펙트로메트리에서 동일한 성질을 나타내므로 이들은 같은 화합물이다.
공지된 일반식(VI)의 화합물과 같은 일반식(V1l)의 신규화합물은 유효한 항진균활성을 가지며 식물에 손상을 일으키지 않으며 식물질병에 대해 예방 및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농업적 살균제로서 이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화합물은 벼에 나타나는 매우 심각한 질병인 잎집무늬마름병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이다. 사용시, 이 화합물은 잎 또는 표면분무의 형태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화합물은 또한 사탕수수, 목화, 오이, 멜론 및 호박류의 식물을 포함한 각종식물에 나타나는 리조크토니아 족의 병원균에 의해 야기되는 질병인 모잘록병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 더우기, 화합물은 가지 및 오이에 나타나는 코르티시움족의 병원균에 의해 야기되는 질병인 줄기부패증을 억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유효한 복용량을 사용하면, 본 발명의 화합물은 벼, 토마토, 감자, 목화, 가지, 오이 및 강낭콩등의 식물에 어떤 독성도 나타내지 않는다. 더우기 과수원, 비경작기 및 삼림에 살균제로서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농업적 살균제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형태, 예를 들면 담체 및 필요하다면 다른 보조제와 혼합한 분말가루, 굵은가루, 미세한 과립, 굵은 과립, 수화분제, 유화농축액, 액체, 수용성분말 및 유제현탁액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사용된 담체는 천연 또는 합성 및 유기 뜨는 무기일 수 있다. 사용된 담체는 천연 또는 합성 및 유기 또는 무기일 수 있다. 담체는 활성화물질과 혼합되어 화합물이 처리된 물질로되며, 활성화합물을 저장, 운반 또는 취급하기 쉽도록 도와준다.
적당한 고체 담체로는 점토(예를 들면 고령토, 몬트모리로 나이트 또는 에터펄자이트), 활석, 운모, 피로필라이트, 경석, 흑운모, 석고, 탄산칼슘, 백운석, 규조트, 탄산마그네슘, 인회석, 지올라이트, 무수실리카 및 합성칼슘실리케이트와 같은 무기물질 ; 콩가루, 담배분말, 호도분말, 밀가루, 목분, 녹말 및 투명한 셀룰로오즈와 같은 식물성 유기물질 ; 큐마론수지, 석유수지, 알키드수지, 염화폴리비닐, 폴리 알킬렌글리콜, 케톤수지, 에스테르고무, 코펄고무 및 대머고무와 같은 합성 또는 천연고분자 중량 중합체 ; 카나우바왁스 및 비즈왁스와 같은 왁스 ; 또는 우레아가 있다.
적당한 액체 담체로는 등유, 광물유, 스핀들유 및 화이트유와 같은 파라핀 또는 나프탈렌 탄학수소 ; 벤젠, 톨루엔크실렌, 에틸벤젠, 큐멘 및 메틸나프탈렌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 ; 사염화탄소, 클로로포름, 트리클로로에틸렌, 모노클로로벤젠 및-클로로톨루엔과 같은 염소화탄화수소 ; 디옥산 및 테트라히드로푸란과 같은 에테르 ;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디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아세토페논 및 이소포론과 같은 케톤; 에틸아세테이트, 아밀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 아세테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아세테이트, 디부틸말레이트 및 디에틸숙시네이트와 같은 에스테르 ; 메탄올, 헥사놀,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시클로헥사놀 및 벤질알콜과 같은 알콜 ; 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페닐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및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와 같은 에테르알콜 ; 디에틸포름아미드 및 디메틸설폭시드와 같은 극성용매 : 및 물이 있다.
본 발명의 살균 조성물은 살균조성물의 유화, 분산, 수화, 확장, 결합, 분해조절 유동성향상 또는 녹방지 또는 활성화합물의 안정화를 위해 표면활성제를 함유할 수 있다. 어떤 공지의 표면활성제 즉 비이온, 음이온, 양이온 또는 양쪽성이온의 활성제도 사용될 수 있지만, 비이온 및/또는 양이온 포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당한 비이온 표면활성제의 예로는 라우릴알콜. 스테아릴알콜 또는 올레일알콜과 같은 고급알콜을 가진 에틸렌옥시드의 중합부가물 ; 이소옥틸페놀 또는 노닐페놀과 같은 알킬페놀을 가진 에틸렌옥시드의 중합부가물 ; 부틸나프톨 또는 옥틸나프톨과 같은 알킬나프톨을 가진 에틸렌옥시드의 중합부가물 ;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또는 올레산과 같은 고급지방산을 가진 에틸렌옥시드의 중합부가물 ; 스테아릴포스포산 또는 디라우릴포스포산과 같은 모노-또는 디-알킬포스포산을 가진 에틸렌옥시드의 중합부가물 ; 도네실아민과 같은 아민을 가진 에틸렌옥시드의 중합부가물 ; 스테아르아미드와 같은 고급지방산아미드를 가진 에틸렌옥시드의 중합부가물 ; 소르비탄과 같은 폴리히드릭알콜의 고급지방산에스테르 및 지방산에스테르 그 자체를 가진 에틸렌옥시드의 중합부가물 ; 및 프로필렌옥시드를 가진 에틸렌옥시드의 중합부가물이 있다.
적합한 양이온 표면활성제의 예로는 소듐라우릴설페이트 또는 올레일포스페이드 아민염과 같은 알킬설페이트염 ; 소듐디옥틸술포숙시네이트 또는 소듐 2-에틸헥센술포네이트와 같은 알킬술포네이트염 ; 및 소듐이소프로필나프탈렌술포네이트, 소듐메 틸비스나프탈렌술포네이트, 소듐리그닌술포네이트 또는 소듐도테실벤젠술포네이트와 같은 아릴술포네이트염이 있다.
더우기, 본 발명의 농업적 살균조성물은 고분자화합물 또는 그외의 보조제 즉 카제인, 젤라틴, 알부민, 아교, 소듐알지네이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메틸셀룰로오즈,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 또는 폴리비닐알콜과 배합하여 사용하면 품질의 향상 및/또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생물적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담체 및 각종 보조제는 제조, 사용 및 다른 요인등에 따라 단독으로 또는 바람직한 배합으로 사용될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살균조성물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1∼99중량% 정도로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조성물에서 활성성분의 정확한 량은 조성물의 형태, 사용되는 방법 및 조성물이 다른 활성성분을 포함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말은 일반식(I)의 화합물을 약 1∼25중량%를 함유할 수 있으며 나머지는 고체 담체이다.
수화 분말은 예를 들어 25∼90중량%의 화합물(I)을 함유할 수 있으며, 나머지는 필요에 따라 보호콜로이드제, 틱소트로피제 및 거품방지제를 함유한 고체 담체, 분산제 및 수화제이다.
과립은 1∼35중량%의 일반식(I)의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나머지의 대부분은 고체 담체이다. 활성화합물은 고체담체와 균일하게 혼합되거나 담체 표면에 부착 또는 흡수될 수 있다. 각 과립의 직경은 0.2∼1.5mm가 바람직하다.
유화 농축물은 예를 들어 5∼50중량%의 일반식( I )의 화합물 및 5∼20중량%의 유화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나머지는 필요하다면 부식방지제를 함유한 액체담체이다.
상기에 기재된 각종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본 발명의 살균조성물은 전 또는 후에 살균작용을 나타내기 위하여 10 아르당 1∼5000g 더 바람직하게는 1∼1000g량의 일반식(I)의 화합물을 논 또는 산지에 사용할수 있다. 이 살균조성물들은 잎분무, 토양분무, 관개수분무 또는 다른 공지의 방법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종 살균 또는 코우팅에 사용되는 본 발명의 살균조성물은 종자의 중량을 기준으로 0.1∼2% 바람직하게는 0.2∼0.5중량%의 일반식(Ⅰ)의 화합물을 종자에 코우팅함으로써 도양에 나타나는 또는 종자에 감염된 질병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살균조성물은 살균스펙트럼을 넓히기 위해, 어떤 경우에는 상승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다른 살균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 조성물은 공지된 바와같이 또한 식물성장 조절제, 제초제, 살충제 또는 비료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살균 조성물은 벼잎마름, 점무늬병, 박테리아잎마름, 벼줄기좀, 플랜트호퍼 및/또는 리프호퍼 대해 효과적인 억제제와 함께 사용될 수 있어 2중으로 사용하는 노력을 줄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조절제와 본 발명의 조성물과의 배합은 억제되는 질병 및/또는 곤충의 종류, 사용되는 조성물의 형에 따라 사용될수 있다. 특히 분제형태의 본 발명의 조성물은 벼의 질병을 조절하는데 및/또는 토양처리하는데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효능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설명된다.
[실험예 1]
벼의 잎집무늬마름병에 대한 예방효과
4∼5 잎단계에서 각종 니혼베어(Nihonbare)의 벼모를 하기표에 기재된 활성화합물중 하나를 30ppm 함유하여 총량이 3포트당 50ml가 되는 시험제조제로 분무한다. 숙주식물을 실온에서 24시간동안 방치한 후, 잎집무늬마름병 리조크토니아 솔라니의 병원균이 미리 배양된 4∼5의 귀리알을 각 벼줄기의 아랫부분에 뿌린다. 이 식물을 25∼27℃에서 유지시킨 온실에서 균을 넣은 후 7일동안 방치하고 질병이 일어난 점무늬의 크기를 cm로 측정하여 손상의 정도를 결정한다. 결과는 하기표에 기재되어 있으며, 점무늬의 크기는 3포트의 것을 평균한 것이다.
비교를 위해, 모를 살균화합물로 처리하지 않고 같은 실험을 반복한다. 결과는 하기표에 기재되어 있다.
[실험예 2]
수표면에 사용한 벼의 잎집무늬마름병에 대한 예방효과
4∼5 잎단계에서 각종 니혼베어의 벼모를 포트에 심고 각 포트를 깊이 1cm의 물에 잠기게 한다. 물로 희석한 하기표에 기재된 활성화합물중 하나를 함유한 시험제조제를 10 아르당 800g의 활성성분의 속도로 관개수에 붓는다. 포트를 온실에서 7일동안 방치한 후 물을 제거한다. 벼의 잎집무늬마름병의 병원균이 미리 배양된 4∼5 귀리알을 각 모의 줄기 아랫부분에 뿌린다. 이 식물을 25∼27℃에서 유지한 온실에서 병균을 넣은 후 7일동안 방치한 후, 병이 일어난 점무늬의 크기를 cm로 측정하여 손상의 정도를 결정한다.
비교를 위해, 살균화합물을 사용하지 않고 실험을 반복한다. 결과는 하기표에 나타나 있다.
[실험예 3]
종드레싱으로서 사용시 강낭콩의 모잘록병에 대한 예방효과
26℃에서 2주동안 귀리알배지에서 배양된 병원균 리조크토니아 솔라니를 토양과 함께 충분히 섞는다. 하기표에 기재된 활성성분중 하나를 0.25%의 비율로(알의 크기를 기준으로 한 활성성분으로서)함유한 분제형으로 드레싱된 강낭콩알 60알을 토양에 심고, 이들을 25℃에서 유지시킨 온실에서 2주간 방치한다. 말기에 병이 감염된 모종의 수를 센다. 살균화합물을 사용하지 않고 같은 실험을 반복한다. 결과는 하기표에 기재되어 있다.
[표]
Figure kpo00017

Claims (36)

  1. (a) R6가 메톡시기 또는 그의 메틸에스테르를 나타내는 조건으로 할로겐화 수소 존재하 하기식(II)의 화합물을 하기식(III)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하기식(IV)의 화합물을 얻고 ; (b) 단계(a)의 생성물을 임의로 수소 또는 히드록시 이온 존재하 히드라진과 반응시켜 하기식(V)의 화합물 또는 하기식(VI)의 화합물을 얻고 ; 그리고 (c) 식(V)의 상기의 화합물을 산 또는 염기로 처리하여 식(VI)의 상기의 화합물을 생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일반식(I)의 화합물의 제조방법.
    Figure kpo00018
    Figure kpo00019
    Figure kpo00020
    [상기식에서, Rl및 R3는 갖거나 다르며 각각 수소원자 또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내며; R2는, Rl, R2및 R3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은 수소 이외의 기 또는 원자를 나타내는 조건하 수소원자, 저급 알킬기, 저급 알콕시기 또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내며 ;
    Figure kpo00021
    는 단일 또는 이중 탄소-탄소 결합을 나타내며;
    Figure kpo00022
    가 단일결합을 나타낼때, R4는 식-SR5(여기서 R5는 임의로 치환된 알킬기, 저급 알케닐기,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 임의로 치환된 아르알킬기 또는 임의로 치환된 피리딜기를 나타냄)의 기를 나타내고,
    Figure kpo00023
    가 이중결합을 나타낼때, R4는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 R6는 식-SR5(R5는 전기 정의한 바와 같음)의 기, 식-SR7
    (여기서 R7
    Figure kpo00024
    의 기를 나타내고, Y는 산소원자 또는 황원자를 나타내고, R8및 R9는 각각 저급 알콕시기를 나타내고, R10은 저급 알콕시기, 저급 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냄)의 기, 메톡시기 또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냄].
  2. 제 1 항에 있어서,(al) 상기식(II)의 화합물을 식 R5SH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하기식(VIII)의 화합물을 얻고,(bl) 상기식(VIII)의 화합물을 히드라진과 반응시켜 하기식(VII)의 화합물을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Figure kpo00025
    [상기식에서, R1및 R3는 갖거나 다르며 각각 수소원자 또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내며 ; R2는, Rl, R2및 R3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이 수소이외의 기 또는 원자를 나타내는 조건하 수소원자, 저급 알킬기, 저급 알콕시기 또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내며 ; R5는 임의로 치환된 알킬기, 저급 알케닐기,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 임의로 치환된 아르알킬기 또는 임의로 치환된 피리딜기를 나타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식(VII)의 화합물을 산 또는 염기로 처리하여 하기식(VI)의 화합물을 생성하는 단계(c1)가 추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Figure kpo00026
    [상기식에서, R1및 R3는 갖거나 다르며 각각 수소원자 또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내며 ; R2는, Rl, R2및R3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이 수소 이외의 기 또는 원자를 나타내는 조건하 수소원자, 저급 알킬기, 저급 알콕시기 또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냄].
  4. 제2 또는 3항 중의 하나에 있어서, Rl이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R2및 R3가 둘다 수소원자를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2 또는 3항에 있어서, R1및 R3가 둘다 할로겐원자를 나타내고 R2가 저급 알킬기 또는 저급 알콕시기를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R5가 알킬기, 2-히드록시메틸기, 카르복시메틸기, 카르복시에틸기, (저급 알콕시) 카르보닐메틸기 또는 (저급 알콕시) 카르보닐에틸기를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2 또는 3항에 있어서, R1및 R3가 둘다 염소원자를 나타내고 R3가 메틸기를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R5가 메틸, 카르복시메틸, 카르복시에틸, (저급 알콕시) 카르보닐메틸 또는 (저급알콕시) 카르보닐 에틸기를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2 또는 3항중의 하나에 있어서, R1이 브롬원자를 나타내고 R2및 R3가 둘다 수소원자를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R5가 메틸 또는 2-히드록시에틸기를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3 항에 있어서, R1및 R3가 둘다 염소원자를 나타내고 R2가 메틸기를 나타내고 R5가 저급 알킬기,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 또는 임의로 치환된 아르알킬기를 나타내고, 그리고 단계(c1)이 산과 함께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a2) 상기식(II)의 화합물을 식 R7H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하기식(IX)의 화합물을 생성하고, 그리고 (b2) 상기식(IX)의 화합물을 히드라진과 반응시켜 상기식(VI)의 화합물을 생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Figure kpo00027
    [상기식에서, R1및 R3는 갖거나 다르며 각각 수소원자 또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내며 ; R2는, Rl, R2및 R3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은 수소 이외의 기 또는 원자를 나타내는 조건하 수소원자, 저급 알킬기, 저급 알콕시기 또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내며 ; R7은 식
    Figure kpo00028
    의 기를 나타내고, Y는 산소원자 또는 황원자를 나타내고, R8및 R9는 각각 저급 알콕시기를 나타내고 R10은 저급 알콕시기, 저급 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냄.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식 R7SH의 화합물이 모노티오카르본산 또는 디티오카르본산 모노에스테르이며 알칼리금속염의 형태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염이 O-에틸 디티오카르본산 칼륨 또는 O-에틸 티오카르본산 칼륨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식 R7SH의 화합물이 O,O-디에틸티오인산, O,O-디메틸디티오인산, O,O-디에틸디티오인산, O,O-디이소프로필디티오인산, O,P-디메틸 디티오포스폰산 또는 O-에틸-P-페닐디티오포스폰산 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R1이 할로겐원자를 나타내고 R2및 R3가 둘다 수소원자를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2 항에 있어서, R1및 R3가 둘다 할로겐원자를 나타내고 R2가 저급 알킬 또는 저급 알콕시기를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2 내지 15 항 중의 하나에 있어서, R1및 R3가 둘다 염소원자를 나타내고 R3가 메틸기를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2 내지 15 항 중의 하나에 있어서, Rl이 브롬원자를 나타내고 R2및 R3가 둘다 수소원자를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 1 항에 있어서, (a3) 상기식(II)의 화합물을 할로겐화 수소 존재하 메탄올과 반응시켜 하기식(X)의 화합물을 생성하고, 그리고 (b3) 생성된 상기 식(X)의 화합물을 히드라진과, 다음으로 산과 반응시키거나 또는 산 존재하 히드라진과 반응시켜 상기식(VI)의 화합물을 생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Figure kpo00029
    [상기식에서, R1및 R3는 갖거나 다르며 각각 수소원자 또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내며 ; R2는, Rl, R2및 R3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이 수소 이외의 기 또는 원자를 나타내는 조건하 수소원자, 저급 알킬기, 저급알콕시기 또는 할로겐원자를 나다냄].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할로겐화 수소가 염화수소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R1이 할로겐원자를 나타내고 R2및 R3가 둘 다 수소원자를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 20 항에 있어서, R1및 R3가 둘다 할로겐원자를 나타내고 R2가 저급 알킬기 또는 저급 알콕시기를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 20 또는 21 항에 있어서, R1및 R3가 둘다 염소원자를 나타내고 R2가 메틸기를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 20 또는 21 항에 있어서, Rl이 브롬원자를 나타내고 R2및 R3가 둘다 수소원자를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 1 항에 있어서,(a4) 상기식(II)의 화합물을 할로겐화 수소와 반응시켜 하기식(XI)의 화합물을 생성하고,(b4) 상기식(XI)의 화합물을 히드라진과 산 존재하 반응시키거나 또는 히드라진 다음으로 산과 반응시켜 상기식(VI)의 화합물을 생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Figure kpo00030
    [상기식에서, R1및 R3는 갖거나 다르며 각각 수소원자 또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내며 ; R2는, Rl, R2및 R3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이 수소 이외의 기 또는 원자를 나타내는 조건하 수소원자, 저급 알킬기, 저급 알콕시기 또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내고 ; X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냄].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할로겐화 수소가 염화수소이며 X가 염소원자를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 26 항에 있어서, R1이 할로겐원자를 나타내고 R2및 R3가 둘다 수소원자를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방법.
  29. 제 26 항에 있어서, R1및 R3가 둘다 할로겐원자를 나타내고 R2는 저급 알킬기 또는 저급 알콕시기를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제 26 또는 27 항에 있어서, R1및 R3가 둘다 염소원자를 나타내고 R2가 메틸기를 나타냄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31. 제 26 또는 27 항에 있어서, R1이 브롬원자를 나타내고 R2및 R3가 둘다 수소원자를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2. (a5) 2-(알킬, 임의로 치환된 페닐 또는 임의로 치환된 아르알킬)티오-4-(3, 5-디클로로-4-메틸페닐)-4-옥소부티르산을 제조하기 위하여 4-(3, 5-디클로로-4-메틸페닐)-4-옥소-2-부텐산을 식R12SH(여기서 Rl2는 저급 알킬기,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 또는 임의로 치환된 아르알킬기를 나타냄)의 티올과 반응시키고 ; (b5) 4-(저급 알킬, 임의로 치환된 페닐 또는 임의로 치환된 아르알킬)티오-6-(3, 5-디클로로-4-메틸페닐)-4, 5-디히드로-3(2H) 피리다지논을 제조하기 위하여 단계 (a5) 의 생성물을 히드라-진과 반응시키고 ; (c5) 단계(b5)의 생성물을 산과 반응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6-(3, 5-디클로로-4-메틸페닐)-3(2H)피리다지논의 제조방법.
  33. 메틸 4-(3, 5-디클로로-4-메틸페닐)-4-메톡시-4-옥소부티레이트를 제조하기 위하여 할로겐화수소 존재하 4-(3, 5-디클로로-4-메틸페닐)-4-옥소-2-부텐산을 메탄올과 반응시키고, 상기 메틸 4-(3, 5-디클로로-4-메틸페닐)-2-메톡시-4-옥소부티레이트와 히드라진을 산 존재하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6-(3, 5-디클로로-4-메틸페닐)-3(2H) 피리다지논 유도체의 제조방법.
  34. 4-(3,5 -디클로로-4-메틸페닐)-2-할로-4-옥소부티르산을 제조하기 위하여 4-(3, 5-디클로로-4-메틸페닐)-4-옥소-2-부텐산을 할로겐화 수소와 반응시키고, 상기 4-(3, 5-디클로로-4-메틸페닐)-2-할로-4-옥소부티르산을 산 존재하 히드라진과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6-(3, 5-디클로로-4-메틸페닐)-3(2H) 피리다지논의 제조방법.
  35.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할로겐화 수소가 염화수소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6.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할로겐화 수소가 염화수소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830001110A 1982-03-19 1983-03-18 항진균성 피리다지논 유도체의 제조방법 KR9000033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7044193A JPS58162577A (ja) 1982-03-19 1982-03-19 6−フエニルピリダジノン化合物の製造法
JP44193 1989-02-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4083A KR840004083A (ko) 1984-10-06
KR900003394B1 true KR900003394B1 (ko) 1990-05-18

Family

ID=12684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1110A KR900003394B1 (ko) 1982-03-19 1983-03-18 항진균성 피리다지논 유도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603201A (ko)
EP (1) EP0089650B1 (ko)
JP (1) JPS58162577A (ko)
KR (1) KR900003394B1 (ko)
CA (1) CA1199327A (ko)
DE (1) DE3368615D1 (ko)
ES (1) ES520790A0 (ko)
HU (1) HU19387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49B2 (ja) * 1983-01-31 1994-01-12 三共株式会社 6−フエニルピリダジノンの製法
IL79280A (en) * 1985-07-05 1990-07-12 Smith Kline French Lab 4-(6-oxo-dihydro or tetrahydropyridazin-3-yl)benzene derivatives,their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US5240709A (en) * 1988-10-04 1993-08-31 Union Oil Company Of California Stabilized solid thiocarbonat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CN1038249C (zh) * 1991-08-28 1998-05-06 罗姆和哈斯公司 含有二氢哒嗪酮及其相关化合物的杀菌组合物
US5886210A (en) * 1996-08-22 1999-03-23 Rohm And Haas Company Method for preparing aromatic compounds
US8884010B2 (en) * 2010-09-08 2014-11-11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Method for producing pyridazinone compounds and intermediat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35244A1 (de) * 1974-07-22 1976-02-05 Lentia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3-phenylpyridazonen
AT333774B (de) * 1974-09-24 1976-12-10 Chemie Linz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3-phenylpyridazonen
US4052395A (en) * 1975-09-11 1977-10-04 Sankyo Company Limited Agricultural fungicidal compositions containing 6-(substituted phenyl)-pyridazinones and said pyridazinones
DE2757923A1 (de) * 1977-12-24 1979-06-28 Hoechst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3-pyridazonen
JPS56428A (en) * 1979-06-15 1981-01-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Bathtub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58162577A (ja) 1983-09-27
KR840004083A (ko) 1984-10-06
ES8500910A1 (es) 1984-11-01
EP0089650B1 (en) 1986-12-30
US4603201A (en) 1986-07-29
HU193875B (en) 1987-12-28
EP0089650A1 (en) 1983-09-28
DE3368615D1 (en) 1987-02-05
CA1199327A (en) 1986-01-14
ES520790A0 (es) 1984-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39728A2 (en) Pyridazinone derivatives and the preparation thereof
KR900003394B1 (ko) 항진균성 피리다지논 유도체의 제조방법
FR2597866A1 (fr) Derives du pyrazole, procede de preparation de ceux-ci et fongicide les contenant.
US4839378A (en) Fluorophthalimides and agricultural and horticultural fungicides containing them
US3922161A (en) Novel herbicidal compositions
JP2530071B2 (ja) イソチアゾ―ルカルボン酸誘導体およびこれらを有効成分とするイネいもち病防除剤
US4088767A (en) 4-Dichlorophenylurazole compounds and use in agricultural fungicidal compositions
US5039696A (en) Maleimide derivatives and fungicides for agriculture and horticulture containing the same
US4170464A (en) Herbicidal combinations
US4035378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1,3,4-thiadiazol-5(4H)-onyl dithiophosphoric acid esters
JP2835641B2 (ja) 若干種のグリオキシル―シクロヘキセンジオン化合物
JP3511729B2 (ja) 4−〔2−(トリフルオロアルコキシ置換フェニル)エチルアミノ〕ピリミジン誘導体、その製法及び農園芸用の有害生物防除剤
GB2121042A (en) ???-(1-triazolyl)-keto-derivatives having fungicidal activity
JPH0768220B2 (ja) 新規ピラゾ−ル誘導体、その製造法およびそれらを含有する農園芸用殺菌剤
US4220577A (en) Iodopropargyl pyridyl and picolinyl ethers and thioethers as paint fungicides
US3452016A (en) Substituted trihalopyrazines
JPS63166808A (ja) 2−ニトロ−5−(置換フエノキシ)ベンゾヒドロキシム酸誘導体系除草剤
JPS6160684A (ja) アミジノアゾール
JP3041957B2 (ja) N−フェニルテトラヒドロフタラミン酸誘導体およびその製造法ならびにそれを有効成分とする除草剤
JPS587627B2 (ja) 1、2−ジアルキル−3、5−ジフエニルピラゾリウム塩の製造法
JP2000095778A (ja) ピラゾール誘導体、その製造法及び農園芸用の殺菌剤
US4512795A (en) Norbornane compounds,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these compounds, and their intermediates
US4504303A (en) Derivatives of azoles having phytogrowth regulating activity
US4828601A (en) Chemical tobacco sucker control
KR900003390B1 (ko) 피라졸 유도체, 그의 제조방법 및 농원예용 살균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4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