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3156B1 - 정렬된 단자부의 납땜 방법 및 자동납땜 장치 - Google Patents

정렬된 단자부의 납땜 방법 및 자동납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3156B1
KR900003156B1 KR1019870003326A KR870003326A KR900003156B1 KR 900003156 B1 KR900003156 B1 KR 900003156B1 KR 1019870003326 A KR1019870003326 A KR 1019870003326A KR 870003326 A KR870003326 A KR 870003326A KR 900003156 B1 KR900003156 B1 KR 900003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p
iron
soldering
solder
flat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3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0766A (ko
Inventor
세이지 가와꾸지
Original Assignee
아폴로세이고 가부시기 가이샤
세이지 가와꾸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폴로세이고 가부시기 가이샤, 세이지 가와꾸지 filed Critical 아폴로세이고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10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0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3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6Surface mounting
    • H05K13/0465Surface mounting by solder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1Surface mounted components
    • H05K3/3421Leaded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94Heating methods for reflowing of sol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정렬된 단자부의 납땜 방법 및 자동납땜 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자동 납땜장치를 조립한 장치의 정체 평면도.
제 2 도는 제 1 도를 화살표 II방향에서 본 장치의 측면도.
제 3 도는 위치 결정 스테이지를 표시한 평면도.
제 4 도는 위치 결정 핀기구를 도시한 측면도.
제 5 도는 전개 프레임이 닫힌 상태의 자동 납땜 장치를 도시하는 전체 측면도.
제 6 도는 제 5 도의 자동납땜 장치의 전개프레임이 벌어진 상태를 도시하는 전체측면도.
제 7 도는 제 5 도의 화살표 VII 방향으로 본 측면도.(단, 땜납 공급기구 생략)
제 8 도는 땜납을 공급하는 인두끝의 확대도.
제 9 도는 인두끝의 궤적 표시도.
제 10 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제 5 도에 상응하는 전체 측면도.
제 11 도는 제 10 도의 자동 납땜장치의 전개 프레임이 벌어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제 12 도는 제 10 도의 화살표 VII 방향으로 본 측면도.(단, 땜납 공급기구 생략)
제 13 도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인두끝의 확대도.
제 14 도는 제 13 도의 화살표 XIV-XIV선으로 절단한 단면도.
제 15 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관한 FPC와 PCB를 도시한 평면도.
제 16 도는 제 1 도의 FPC와 PCB를 납땜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제 17 도는 플렛팩 IC의 평면도.
제 18 도는 제 17 도에 도시한 플렛팩 IC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5 : 플렛팩IC 2, 6 : 기판
3 : 플렉팩 IC(1)의 핀 5 : 자동 납땜장치
6, 5 : 로보트 아암 7, 57 : 헤드
8 : 자유이송콘베이어 10 : 진송반송기구
11 : 위치결정스테이지 12 : 밀대
14 : 스톱파 18, 61 : 지지판
19, 53 : 땜납공급기구 20, 60 : 전개프레임
21 : 회동힌지 22 : 전개용 캠
23, 34 : 캠활로워 24 : 에어실린더
25, 48, 75 : 납땜인두 26 : 플러크스공급노즐
27, 49, 76 : 납땜인두의 끝 29,55 : 회동아남
30 : 수평 슬라이드아암 31 : 회동축
33 : 전개프레임의 경사부 35 : 슬라이드볼가이드
36, 44, 62 : 펄스모터 39, 68 : 땜납공급노즐
40, 69 : 플렉크스공급노즐 45, 70 : 땜납공급유니트
46 : 플럭크스공급디스펜서 47 : 실 땜납
52 : 납땜인두(49)의 경사부 58 : 진공반송 장치
67 : 플랫팩(50)의 핀
본 발명은 정열된 단자부를 납땜질하는 방법 및 자동납땜 장치로서 특히 플렛팩(FLAT PACK IC)의 정열된 단자부를 가장 좋은 납땜질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복수 단속상태인 정열된 단자부를 자동적으로 납땜질 하기 위한 장치로서 정열된 단자부에 땜납을 공급한후 이녹은 땜납이 단자들 사이에 엉켜 서로 연결하는 브리지 현상(BRIDGE PHENOMENON)을 생기지 않게 하기 위하여 정열된 단자부 근처에 있는 납땜 인두의 끝을 단자부 정열 방법에 직각되는 방향 또는 거의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SLEDE)시킨후 정열된 단자부에서 떼어 내도록 하는 자동 납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IC를 PCB 기판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통상적으로 기판에 구멍을 뚫고 핀(단자부)를 기판 뒷면에서 납땜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최근 들어서는 기판에 구멍을 뚫지 않고 그대로 핀을 기판의 전면에서 납땜하는 플렛팩(FLAT PACK) IC를 사용하는 경향이 증가추세에 있으며 이러한 플렛팩 IC(1)는 기판(2)에 구멍을 뚫을 필요가 없으므로 단자부로서 다수개의 핀(3)을 단속적으로 미소간격 만큼의 거리로 정열시킬 수 있으므로 IC의 소형 고성능화를 기할 수 있다.
그러나 이 플렛팩 IC(1)에 있어서 복수 단속적으로 정열된 각개핀 끼리의 핀 간극이 미소한 이유로 납땜할때 각개 핀(3)은 용해된 땜납(H)에 의해 서로 엉켜 연결되어 브릿지(BRIDGE)(4) 현상이 생기기 쉬워 납땜의 자동화가 매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브릿지 현상을 일으키는 일이 없이 자동적으로 납땜할 수 있는 정열된 단자부의 납땜 방법과 그 자동납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은 복수 단속적인 상태의 정열된 판자부에 땜납을 묻혀 놓은 다음 정열단자부에서 납땜 인두끝을 떼어 낼때 인두끝을 정열된 단자부의 정열 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거의 수평 이동시킨 다음 떼어내도록 하여 정열된 단자부에 용융된 땜납이 서로 연결되지 않도록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설명에 있어서 인두 끝을 이동하는 방향을 가르키는 단자부의 정열 방향과 직각되는 방향과 플렛팩 IC에서 떼어내는 방향과는 실제적으로 동일한 방향을 의미하는데 설명의 편의상 납땜하는 대상물이 플렛팩 IC로 한정될 경우에는 후자를 이용하여 설명하고 특정 대상물이 플렛팩 IC가 아닐 경우에는 전자를 써서 설명한다.
[실시예 1]
그럼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제 1-9도 및 제 17-18 도에 의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정열된 단자부의 자동 납땜장치의 전체 장치의 개요를 제 1-4 도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인 정열된 단자부 자동 납땜장치(5)는 플렛팩 IC를 납땜하는 자동 납땜장치로서 임의의 위치로 이동되는 자유회동로보트 아암(6)의 헤드(7)에 취부되어 있다.
또한 이 자동 납땜장치(5)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그리고 이 기판(2)은 두벌의 벨트를 감은 자유이송 콘베이어(FREE FLOW CONVEYER)(8)에 그 양쪽끝 부분만이 실려진 상태로 연속 운반된다. 트래이(TRAY)(9)에는 여러개의 플렛팩 IC가 얹혀 수납되고 또한 상, 하단에는 여러개가 비치된다.
이 트래이(9)에 수납된 플렛팩 IC는 후술하는 자동 납땜장치(5)의 진공반송기구(10)(제 7 도 참조)에 의거 일단 위치 결정스테이지(11)에 운반된다.
이 위치결정 스테이지(11)에서는 트레이(9)에서 운반되어온 플렛팩 IC(1)를 평면상에서 직각되는 두 방향에서 밀대(12)에 의해 모서리(13)쪽으로 밀려져서 자동 납땜장치(5)가 플렛팩 IC(1)를 항상 정확한 위치에서 들어낼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더우기 이 위치 결정 스테이지(11)는 그 형상이나 크기가 다른 두 종류의 플렛팩 IC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제 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좌, 우에 2개의 스테이지를 마련하여 두고 사용시에는 어느 한쪽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 3 도에서는 알아보기 쉽게하기 위하여 좌, 우 2개의 스테이지에 각기 다른 형상과 크기의 플렛팩 IC를 설치해 놓은 상태를 도시하였다.
그리고 이 위치 결정 스테이지(11)로서 위치가 결정된 플렛팩 IC(1)은 자동 납땜장치(5)의 진공반송기구(10)에 의거 재차 들어 올려져서 자유이송 콘베이어(8)의 스톱퍼(14)에 정지되어 있는 기판(2)상의 소정위치에 놓여진다.
또한 스톱퍼(14)에 의해 정지되어 있는 기판(2)은 벨트의 마찰 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들어 올리는 장치(8)에 의해 약간 들려진 상태로 있다.
또 정지상태의 기판(2)의 일측의 형성된 통공(15)에는 자유이송 콘베이어(8)의 일측에 마련된 핀기구(16)의 위치 결정핀(17)이 2개소에 삽입되어 기판(2)의 위치 결정되어 정지상태를 더욱 확실한 것으로 한다.
이 정지상태의 기판(2)위에 놓여진 플렛팩 IC(1)는 자동 납땜장치(5)에 의해 기판(2)상에 인쇄된 프린트 배선에 납땜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것이 본 발명에 관계되는 자동 납땜장치(5)를 조립한 전체 장치의 구조이다.
제 5 도에서 제 9 도까지 플렛팩 IC의 자동 납땜장치(5)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이 자동 납땜장치(5)는 전술한 바와같이 로보트아암(6)의 헤드(7)에 취부되어 전체가 전후 방향(제 1 도의 화살표 X방향) 좌,우방향(제 1 도의 화살표 Y방향) 상향방향(제 7 도의 화살표 Z방향) 회전방향(제 7 도의 화살표 θ방향) 즉 X. Y. Z. θ의 3축 1방향으로 자유이동이 가능한 것이다.
이 로보트아암(6)의 헤드(7)에는 지지판(18)이 고정되어 있고 (제 7도 참조) 이 지지판(18)에는 땜납 공급기구(19)가 달린 한쌍의 전개프레임(20)과 진공 반송기구(10)이 취부되어 있다. 전개 프레임(20)은 지지판(18)의 상단에 회동힌지(21)로서 회전되도록 취부되어 있어서 서로가 자유롭게 접근되고 벌어지도록 되어 있다.
전개 프레임(20)이 이와같이 서로 접근 또는 벌어지는 것은 지지판(18)에 설치된 전개용캠(22)의 회전으로 이루어지며 양쪽 전개 프레임(20)에 설치된 캠 팔로워(23)의 회전은 모터(44)의 구동력에 의해 얻어진다.
이 전개 프레임(20)의 각각의 끝에는 납땜인두(25)가 각각 설치되어 있어 이 납땜 인두(25)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으로서 항시 아래쪽으로 밀리는 힘이 가해져 있다.
또 이 납땜 인두(25)의 인두끝(27)는 그 형상이 평평한 판으로 되어 있고 그 폭은 제 17 도에 도시한 플렛팩 IC(1)의 한변(28)의 길이 L과 같은 길이로 되어 있다.
이 인두끝(27)이 폭은 납땜 대상물인 플렛팩 IC(1)의 한변(28)의 길이 L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플렛팩 IC(1)가 직사각형인 경우에는 그중 긴변의 길이로 결정해야 한다.
또 전술한 전개프레임(20)에는 각각 회동 아암(29)와 수평 슬라이드 아암(30)으로서 구성되는 땜납 공급기구(19)가 부설되어 있다. 회동아암(29)는 회전 중심축(31)으로 각각 전개프레임(20)에 취부되어 있다.
그리고 이 회동 아암(29)에는 전개프레임(20)의 경사면(33)에 대응하는 캠팔로워(34)가 각각 설치되어 있어서 회동아암(29) 전체를 에어실린더(24)로서 위쪽으로 끌어올려 주므로서 이 캠팔로워(34)가 경사면(33)에 의해 밀려져서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회동아암(29)에는 슬라이드볼 가이드(35)에 의해 수평 슬라이드를 자유로 할 수 있도록 수평 슬라이드 아암(3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수평 슬라이드아암(30)은 회동아암(29)의 옆쪽에 설치된 펄스모터(36)로 부터 나오는 회전력이 래크기어(37)와 피니언기어(38)에 의해 전달되므로 수평 슬라이드 되는 것이다.
이 수평슬라이드 아암(30)의 끝쪽에는 실 땜납(47)을 공급하는 실 땜납 공급노즐(39)와 플럭크스를 공급하는 플럭크스 공급노즐(40)의 끝이 서로 밀접되도록 지지되어 있다(제 8 도 참조).
그리고 실 땜납 공급노즐(39)은 실 땜납(47)을 원천 공급하는 실 땜납 공급유니트(45)와 접속되어 있고 또 플럭크스 공급노즐(40)은 플럭크스 공급 디스펜서(46)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 땜납 공급노즐(39)가 플럭크스 공급노즐(40)과의 서로 접속 부분은 땜납 인두(25)의 인두끝(27)에 연하여 화살표 X 방향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수평 슬라이드시켜 실 땜납(47)과 플럭크스(26)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진공 난방기구(10)은 전술한 지지판(18)에 취부되어 있고 또 도시하지 않은 진공흡입 장치에 접속되어 있다.
이 진공 반송기구(10)은 진공헤드(41)를 두개의 실린더(42, 43)로서 땜납 인두(25)에 대하여 자유로히 상하 이동 및 접근 또는 멀어지게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한 자동 납땜장치(5)를 행하는 납땜 작업에 대하여 설명 하기로 한다.
우선 로보트 아암(6)으로서 헤드(7)를 움직이고 각 지지판(18)에 달려있는 진공반송기구(10)를 이동시켜서 진공헤드(41)를 트레이(9) 윗쪽에 대응하는 자리를 잡게한다.
그리고 실린더(42)를 이용하여 진공헤드(41)를 하강시켜 트레이(9)내에 있는 어느 임의의 플렛팩 IC(1)를 진공흡착으로 들어내서 위치 결정 스테이지(11)로 옮겨 놓는다.
이 위치 결정 스테이지(11)에 옮겨진 플렛팩 IC(1)는 제 3 도에 도시된 좌우 어느 한곳의 스테이지에 놓여지게 된다.
거기에서 두개의 직각 방향에 밀대(12)에 의해 모서리부(13)로 밀려지므로 해서 정확한 "기준전위"에 자리잡게 된다.
이 기준위치는 자동 납땜 장치(5)가 작동하여 플렛팩 IC(1)를 자유 이송콘베이어(8)위에 미리 정치 시켜놓은 기판(2)상의 일정한 위치에 옮겨 놓기 위한 스타트 위치로서 사용된다.
그리고 다음에는 위치 결정스테이지(11)의 윗쪽에 로보트아암(6)으로서 이동되는 자동 납땜장치(5)가 자동 납땜처리를 하기 위하여 작동한다.
첫째로 진공 반송기구(10)의 진공헤드(41)를 전술한 기준위치(스타트위치)에서 하강시켜 플렛팩 IC(1)을 진공 흡착으로 위치 결정 스테이지(11)에서 들어낸다. 자동 납땜장치(5)를 그대로 자유이송콘베어(8)위에 미리 정지되어 있는 기판(2)의 납땜지정 위치 윗쪽에 위치 시킨다.
이 자동 납땜장치(5) 자체를 이동 시키는 것은 도시하지 않은 컴퓨터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다. 이 위쪽에 위치하고 있는 시점에서 납땜인두(25)의 인두끝(27)은 이미 기판(2)의 납땜위치에 대하여 정확한 위치가 결정되어 있는 것이다.
둘째로 진공헤드(41)가 플렛팩 IC(1)를 흡착한 상태로 실린더(43)에 의해 화살표 방향으로 즉 뒷쪽에서 앞쪽으로 (제 7 도에서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하므로서 납땜인두(25)사이에 위치되도록 옮겨 놓는다.
그리고 진공반송기구(10)은 실린더(42)에 의해 하강하여 플렛팩 IC를 기판 위에 지정위치에 얹어놓고 그대로 위치를 결정한 상태를 유지한다.
셋째로 자동 납땜장치(5) 자체가 하강하고 납땜인두(25)의 인두끝(27)이 사각형의 플렛팩 IC(1)의 서로 마주보는 변(28a, 28a, 28b, 28b)의 어느 한조를 골라서 최초의 2변으로 하여 각각 누르게 되고 또 땜납공급기구(19)의 수평 슬라이드 아암(30)에 꽂혀있는 실 땜납 공급노즐(39) 및 플럭크스 공급노즐(40)이 각각 인두끝(27)의 한쪽끝(제 8 도의 27a)에 위치 결정된다.
또한 이때 실 땜납 공급노즐(39) 및 플럭크스 공급노즐(40)의 각각의 끝에서는 실 땜납 47 및 플럭크스(26)이 공급된 상태에 놓여진다.
그리고 바로 인두끝(27)에 실 땜납노즐(39)과 플럭크스 공급노즐(40)에서 각각 공급되는 실 땜납(47)과 플럭크스(26)를 수렴한 상태로 인두끝(27)을 따라 뒷쪽으로 (제 8 도에서 오른쪽) 수평 슬라이드시켜 인두끝의 다른쪽(제 8 도에서 뒷쪽)(27b)까지 이동 시킨다.
따라서 플렛팩 IC(1)의 마주보는 2변 (28a 및 28a)에는 실 땜납(47)과 플럭크스(26)가 동시에 균일하게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넷째로 수평 슬라이드 아암(30)이 인두끝(27)이 한쪽 끝에서 다른쪽 끝으로 수평 슬라이드한 시점에서 지지판(18)의 중앙에 배치된 전개용 캠(22)이 회동하고 각 전개 프레임(20)의 캠 팔로우(23)가 밀리면서 전개 프레임(20)이 서로 전개하는 방향으로 윗쪽 회동 힌지부(21)를 중심으로 열린다.
이 회동힌지(21)에서 인두끝(27)의 거리는 충분하기 때문에 인두끝(27)은 플렛팩 IC(1)에 대하여 거의 수평으로 슬라이드한다.
즉 회동힌지(21)에서 인두끝(27)까지의 거리가 길기 때문에 그만큼 인두끝(27)의 이동 궤적은 커다란 반경을 갖는 원호를 그리며 단자부(구체적으로 말하면 핀(3))의 윗쪽에서 인두끝(27)의 이동궤적은 거의 수평으로 되는 것이다.
그리고 그 뒤에는 자동 납땜장치(5) 전체가 로보트아암(6)에서 윗쪽으로 돌려서 올라간다. 이때 인두끝(27)의 궤적을 제 9 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인두끝(27)이 일단 플렛팩 IC(1)에서 떨어져 나가는 방향으로 수평 슬라이드 궤적을 취하는 것으로 플렛팩 IC(1)의 핀(3)에 적당한 양의 실 납땜(47)은 묻히고 여분의 땜납은 인두끝(27)이 가져가 버린다.
인두끝(27)에 용해된 실 땜납(47)은 그 자체의 표면 장력으로 그렇게 퍼져나가지 않기 때문에 용해된 실 땜납(47)은 각핀(3)을 서로 연결하게 되는 소위 "브릿지 현상"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동작으로 플렛팩 IC(1)의 최초의 두변 말하자면 변(28a 와 28a)의 납땜작업을 완료하는데 이 시점에서 다섯째로 진공반송기구(10)는 진공이 해제되어 윗쪽으로 가버리고 또 2개의 납땜인두(25)사이에 진공헤드(41)이 빠져서 뒷쪽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또 여섯째로 서로 마주보는 2변 (28a 및 28a)의 납땜 작업이 완료되어 윗쪽으로 들어 올려진 자동 납땜장치(5)는 도시하지 않은 크리닝장치로 운반되어 거기서 벌려진 상태의 땜납인두(25)에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불어서 인두끝(27)에 부착되어 있는 잔여분의 땜납을 제거토록 하였다.
클리닝할때 땜납 공급기구(9)가 전개 프레임(20)에 대하여 벌려진 상태로 되어 있어서 전개 프레임(20)의 끝쪽에 취부한 땜납인두(25)를 클리닝하는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같은 땜납공급기구(19)가 전개프레임(20)에서 떨어진다는 것은 땜납인두(25)를 교환할때도 편리할뿐 아니라 납땜작업이 아닌 다른 작업시에 땜납 공급기구(19)의 실 땜납(47)이 땜납인두(25)에 의해 가열되어 용해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그리고 클리닝이 끝나면 일곱번째로 자동 납땜장치(5)는 재차 기판(2)위에 되돌아와 위쪽에서 90°회전하여 하강하여 전과 동일한 방법으로 플렛팩 IC(1)의 나머지 두변(28b 와 28b)를 납땜하는 것이다.
[실시예 2]
다음에 제 10 도 내지 제 14 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며 제 1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하여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땜납인두(48)의 인두끝(49)는 제 1 실시예의 인두끝(27)과 달라서 플렛팩 IC(30)의 변(51)의 길이보다 그 폭이 좁은 것으로 되어있다.
이 인두끝(49)의 단면의 모양은 제 14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한쪽에는 경사부(52)가 형성되어 있다.
땜납 공급기구(53)의 아암(54)은 회동아암(55)과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서 제 1 실시예와 같이 납땜인두(48)에 대하여 전후 방향(화살표 X방향)으로 수평 슬라이드 하도록 되어 있지는 않다.
로보트 아암(56)을 헤드(57)에 취부하는 구조로서는 우선 진공반송장치(58)을 지지하는 취부판(59)이 헤드(57)에 취부되어있다. 따라서 진공반송장치(58)는 헤드(57)에 대하여 그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되어있다. 전개 프레임(60)을 자유로이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고 있는 지지 프레임(61)의 위쪽은 펄스모터(62)로서 자유로이 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이송나사(63)이 설치되어 있다. 이 이송나사(63)은 전술한 진공반송장치(58)용의 취부 플레이트(59)의 위쪽에 있는 암나사에 삽입되어 있어서 이 이송나사(63)을 펄스모터(62)로서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시키므로서 지지판(61)전체를 전후방항(화살표 X방향)에서 수평 이동이 가능토록 하였다.
즉, 납땜인두(48)을 진공 반송장치(58)에 대하여 플렛팩 IC(50)의 변(51)의 길이에 합당하는 스트로크의 양 St만큼 자유로이 이동하는 것으로 되어있다. 취부 플레이트(59)에는 지지판에 설치된 모터(64)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멍(65)를 마련하여 두었다. 그 작동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진공 반송기구(58)로서 플렛팩 IC(50)를 기판(66)위의 일정한 위치에 셋팅할때 까지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이다. 땜납인두(48)의 인두끝(49)이 플렛팩 IC(50)의 서로 마주보는 처음 두변에서 그 한쪽(앞쪽)의 핀(67a)에 맞대어져 그 핀들과 함께 실 땜납공급노즐(68) 및 플럭크스 공급노즐(69)이 같이 상대되는 위치에 자리잡게 된다. 그 실 땜납공급노즐(68) 및 플럭크스 공급노즐(69)에서 인두끝(49)에 실 땜납(70)과 플럭크스를 묻혀가면서 전술한 이송나사(63)를 회전시키므로해서 땜납인두(48)를 다른쪽(뒷쪽)의 핀(67b)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실 땜납(70)은 도시한 바와 같이 땜납인두(48)의 바깥쪽에서 공급되는 것이나 용해된 실 땜납(70)은 납땜인두(48)의 다른쪽에도 돌아 들어서 땜납인두(48)의 이동에 따라 핀(67)을 차례차례로 확실하게 납땜질 할 수 있게 한다.
그리하여 땜납인두(48)가 이동하여 갈때 이 인두끝(49)의 한쪽끝 즉, 인두끝(49)이 이동하는 방향에서 뒷쪽끝에 전술한 경사부(52)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전술한 브릿지 현상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인두끝(49)의 횡단면 형상에 제 1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경사부(52)를 형성한 것은 실 땜납(70) 및 플럭크스(78)를 공급하면서 인두끝(49)을 이동시켜 납땜될 여러개의 핀(67)위에 땜납을 묻히면서 납땜해 갈때 필요이상의 땜납이 남지않고, 필요한 양 만큼의 땜납을 묻혀 들어가서 브릿지현상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경사부(52)를 인두끝(49)에 형성시켜두면 무슨 이유로 브릿지현상을 방지하는가에 대한 메카니즘이라던가 이유는 확실치 않다. 그러나 본 발명자가 여러종류의 실험에 의해 여러종류의 형상의 경사부(52)를 실험해 본 결과로 브릿지 현상을 방지하는데 있어서는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인정되어 제 1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형상을 갖는 경사부(52)를 사용한바 특히 브릿지 현상의 발생을 방지하는데 매우 적합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인두끝(49)이 다른쪽(최후)의 핀(36b)에 도달하면 제 1 실시예와 같이 전개 프레임(60)을 벌려서 땜납(48)의 인두끝(49)을 플렛팩 IC(50)에서 벌어지는 방향으로 거의 수평 이동시킨다. 이와같이 하므로서 다른쪽 핀(67b)의 근처에서 브릿지 현상의 방지를 기할 수 있다.
기타의 작동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 납땜인두(48)를 수평으로 이동시켜 주기위하여 이동나사(63)으로서 슬라이드 기구를 구성하였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로보트 아암(56)으로서 장치 전체를 수평 이동시켜 주므로서 납땜인두(48)의 수평이동을 수행해도 무방하다 하겠다. 단 이런경우에는 플렛팩 IC(50)를 미리 기판위에 접착시켜 둘 필요가 있다.
[실시예 3]
제 15 도 및 제 16 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납땜을 위한 장치는 전술한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의 장치와 같은 전개 프레임(20, 60)등을 준비할 필요없이 땜납(77) 및 플럭크스(78)를 공급할 수 있는 한개의 납땜인두(75)가 로보트 아암으로 수평 슬라이드 되도록 된 것이면 족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 8 도와 같은 폭이 넓은 인두끝을 갖는 납땜인두(75)로 하였지만 이것을 대신하여 제 13 도와 같은 폭이 좁은 인두끝(49)이 부착된 납땜인두로 해도 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정열된 단자부로서 FPC(FLEXIBLE PRINTER CIRCUIT)(71)에 동(銅)으로 된 단자(75)와 PCB(PRINTED CIRCUIT BOARD)(73)의 동(銅)으로 된 배선단자(74)를 납땜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우선, PCB(73)의 배선단자(74)위에 각각 FPC(71)의 단자(72)를 겹쳐서 위치를 맞춘다. 그리고 제 16 도에서와 같이 납땜인두(75)의 인두끝(76)을 그 겹친 부분에 눌러서 댄다. 그리고 인두끝(76)에 실 땜납(77) 및 플럭크스(78)을 공급한다.
땜납(77)의 공급이 완료되면 로보트 아암에 의하여 납땜인두(75)를 단자(72) 및 배선단자(74)의 정열 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제 15 도에서는 좌, 우방향)으로 수평 슬라이드 된다. 이와같이 하므로 해서 FPC(71)의 단자(72)와 PCB(73)의 배선단자(74)의 납땜을 전술한 브릿지를 형성함이 없이 확실히 수행하게 된다.
위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정열된 단자부의 납땜방법에 있어서 납땜인두의 인두끝을 일단 단자부의 정열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수평 슬라이드 시키므로 각 단자부를 브릿지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정확하게 납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우기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정열 단자부의 자동 납땜장치에 있어서는 그 전개 프레임, 납땜인두, 납땜기구에 의해서 정열된 단자부의 납땜작업을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기때문에 종래의 수동작업에 의한 납땜작업방법보다 그 능률이 현격히 향상되었을 뿐아니라 그 작업 마무리에 있어서 작업자의 개인차가 없어 일정한 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9)

  1. 복수단속상태로 정열되어 있는 단자부에 납땜 인두의 인두끝을 눌러 대고 다음에 인두끝에 땜납을 묻히다음 땜납은 공급한후에 일단 인두끝을 단자부의 정열 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거의 수평 슬라이드 시킨다음 납땜인두를 떼어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열단자부의 납땜 방법.
  2. 기판위에 얹힌 플렛팩 IC의 한변에 복수 단속상태로 설치된 정열된 단자부에 납땜인두의 인두끝을 눌러대고 그 인두끝에 땜납을 묻힌다음 땜납을 묻힌(공급한) 인두끝을 플렛팩 IC에서 떼어내는 방향으로 거리수평 슬라이드시켜 납땜인두끝을 떼어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특허청구범위 제 1 항 기재의 정열된 단자부를 납땜하는 방법.
  3. 인두끝을 적어도 플렛팩 IC의 한변의 길이 이상으로 한폭 너비의 평판형상으로 하고 다음에 전술한 인두 끝을 정열된 단자부에 눌러대고 인두끝을 플렛팩 IC에서 떨어져 나가는 방향으로 거의 수평 슬라이드 시키기전에 인두끝을 연하여 땜납을 묻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특허청구 범위 제 2 항 기재의 정열된 단자부의 납땜 방법.
  4. 인두끝을 플렛팩 IC의 변길이 이하로 한 폭너비로 하고 전술한 인두끝을 플렛팩 IC에 있어서 변의 한쪽끝의 단자부에 눌러대고 그 다음 그 인두끝에 땜납을 묻히면서 그 인두끝을 변의 다른쪽의 단자부를 향하여 이동시켜 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특허청구 범위 제 2 항 기재의 정열된 단자부의 납땜 방법.
  5. 임의 위치로 자유로히 이동하고 또 회전하는 로보트아암의 헤드에 취부된 것으로서 그 헤드에 고정한 지지판에 취부되어 있고 서로 자유로히 접근 또는 벌어질 수 있는 한쌍의 전개프레임과 그 전개프레임의 끝에 실 땜납을 자유로히 공급하는 땜납 공급기구등을 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열된 단자부의 자동납땜 장치.
  6. 임의 위치로 자유로히 이동하고 또 회전하는 로보트아암의 헤드에 취부된 것으로서 그 헤드에 고정한 지지판에 취부되어 있고 서로 자유로이 접근 또는 벌어질 수 있는 한쌍의 전개프레임과 그 전개 프레임의 끝에 각각 취부된 납땜인두와 전개프레임에 대하여 자유로이 접근 또는 벌어지게 설치되고 또 납땜인두의 인두끝에 실 땜납을 자유로히 공급하는 땜납 공급기구와 전술한 지지판이 설치되고 플렛팩 IC를 진공 흡착하고 집어내어 반송 및 위치 결정하여 주는 진공 반송 기구등을 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특허청구 범위 제 5 항에 기재의 정열된 단자부의 자동 납땜장치.
  7. 인두끝을 적어도 플렛팩 IC의 변길이 이상으로 한폭 너비를 가진 평판 형상으로 하고 또 땜납 공급기구가 플렛팩 IC의 단자부에 눌러댄 상태의 땜납 인두의 인두끝에 연하여 실 땜납을 공급하여야 할 땜납의 인두에 대하여 자유로히 수평 슬라이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특허청구 범위 제 6항 기재의 정열된 단자부의 자동땜납장치.
  8. 인두끝을 플렛팩 IC의 변의 길이 이하로 한 폭 넓이로 하고 또 땜납인두의 인두끝을 플렛팩 IC의 변에서 한쪽끝의 단자부에서 다른쪽의 단자부로 향해 자유로히 이동하고 또 이동에 맞추어 인두끝에 땜납을 자유로히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특허청구 범위 제 6 항 기재의 정열된 단자부의 자동 땜납장치.
  9. 납땜인두는 인두끝의 한쪽끝에 그리고 인두끝의 이동 방향에서 뒷쪽끝으로 인두끝의 횡단면 형상이 경사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특허청구의 범위 제 8 항 기재의 정열된 단자부의 자동 납땜장치.
KR1019870003326A 1986-04-09 1987-04-08 정렬된 단자부의 납땜 방법 및 자동납땜 장치 KR9000031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0220 1986-04-09
JP8022086 1986-04-09
JP86-80220 1986-04-09
JP167869 1986-07-18
JP61167869A JPS6352762A (ja) 1986-04-09 1986-07-18 整列端子部の半田付け方法及びその自動半田付け装置
JP86-167869 1986-07-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0766A KR870010766A (ko) 1987-11-30
KR900003156B1 true KR900003156B1 (ko) 1990-05-09

Family

ID=13712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3326A KR900003156B1 (ko) 1986-04-09 1987-04-08 정렬된 단자부의 납땜 방법 및 자동납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352762A (ko)
KR (1) KR9000031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33813A (ja) * 1988-03-14 1989-09-19 Toshiba Corp 可変利得増幅器
JPH0641726Y2 (ja) * 1988-05-12 1994-11-02 富士通テン株式会社 電子部品半田付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57057A (en) * 1975-11-05 1977-05-11 Nippon Electric Co Soldering device
JPS5410338A (en) * 1977-06-27 1979-01-25 Tokyo Tokushu Densen Toryo Polyimide resin coating
JPS54112758A (en) * 1978-02-23 1979-09-03 Nitto Seiko Kk Automatic soldering machine
JPS61265896A (ja) * 1985-05-21 1986-11-25 ソニー株式会社 多点自動半田付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0766A (ko) 1987-11-30
JPS6352762A (ja) 1988-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05830A (en) Method for soldering arrayed terminals and an automatic soldering device
US4787550A (en) Automatic soldering apparatus
KR20040101040A (ko) 전자 부품 장착 방법
JPS63193595A (ja) プリント基板組立体のはんだ付方法および装置
KR100283432B1 (ko) 표면실장기용 그립퍼
KR900003156B1 (ko) 정렬된 단자부의 납땜 방법 및 자동납땜 장치
US5056844A (en) Multiple jaw centering head structure for surface mounted component placement machines
JP3533417B2 (ja) スクリーン版自動交換装置
CN211267292U (zh) 一种自动贴片机
JPH0983121A (ja) 電子部品搭載方法及び装置並びに基板
JPH09223897A (ja) 電子部品実装装置
JP4637405B2 (ja) 対回路基板作業機
JPH0335484Y2 (ko)
KR100345902B1 (ko) 표면실장기의 테이프 릴 비닐 회수장치
KR200239770Y1 (ko) 인쇄회로보드 팔레트
KR100350154B1 (ko) 테이프 피더의 클램핑 장치
JPS5941890A (ja) 電子部品実装機
JPH0258300A (ja) 回路基板への部品装着装置
JPH04316393A (ja) プリント基板用ルータ装置
JP3462577B2 (ja) プリント基板の組立装置
JPH02244665A (ja) Ic用はんだ被覆装置におけるicの保持装置
JP4194813B2 (ja) バックアップピンの段取り替え方法及びその段取り替え装置
KR940006202Y1 (ko) 소형 전자부품의 센터링장치
JP2527420Y2 (ja) 電子部品のはんだ被覆装置
KR200218628Y1 (ko) 부품고정대 회전식 납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3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