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2668B1 - 편평모우터의 전기자의 제조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편평모우터의 전기자의 제조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668B1
KR900002668B1 KR1019860009852A KR860009852A KR900002668B1 KR 900002668 B1 KR900002668 B1 KR 900002668B1 KR 1019860009852 A KR1019860009852 A KR 1019860009852A KR 860009852 A KR860009852 A KR 860009852A KR 900002668 B1 KR900002668 B1 KR 900002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unit
armature
commutator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9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5501A (ko
Inventor
히로시 가와조에
도쿠히도 하마네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5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5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windings, prior to mounting into mach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windings, prior to mounting into machines
    • H02K15/0435Wound windings
    • H02K15/0464Lap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windings, prior to mounting into machines
    • H02K15/0435Wound windings
    • H02K15/0464Lap windings
    • H02K15/0471Lap windings manufactured by flattening a spiral win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009Dynamoelectric machine
    • Y10T29/49011Commutator or slip ring 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02Electromagnet, transformer or inductor
    • Y10T29/49071Electromagnet, transformer or inductor by winding or coi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143Motor or genera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143Motor or generator
    • Y10T29/53157Means to stake wire to commutator or arm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편평모우터의 전기자의 제조방법 및 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전체의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Ⅰ-Ⅰ선에 관한 단면도.
제 3 도는 권선연속재의 형성상태를 도시한 권선형성수단일부의 사시도.
제 4 도는 권선형성수단의 권선연속재를 바꾸어 옮기기를 가능하게 하는 선감기안내의 떼어낸 상태를 도시한 일부의 사시도.
제 5 도는 권선형성수단으로부터 권선중간지지수단으로의 권선연속재를 바꾸어 옮긴 상태를 도시한 일부의 사시도.
제 6 도는 권선중간지지수단으로부터 전기자형성대위의 정류자에 대하여 권선연속재를 세트하는 상태를 도시한 일부의 사시도.
제 7 도는 제 6 도의 단위권선을 바꾸어 옮기는 직전상태를 도시한 일부의 단면도.
제 8 도는 제 6 로부터 1작업진행된 시점의 권선연속재 세트상태를 도시한 일부의 사시도.
제 9 도는 제 8 도에 있어서의 연결륜 바꾸어 옮기는 상태를 도시한 일부의 단면도.
제 10 도는 제 7 도에 있어서의 연결륜 바꾸어 옮긴 후의 정류자훅에 대한 연결처리 상태를 도시한 일부의 단면도.
제 11 도는 권선연속재를 정류자에 세트완료한 상태를 도시한 일부의 사시도.
제 12 도는 제 11 도의 상태의 전기자형태물에 있어서의 연결륜과 정류자의 훅과의 용단처리상태를 도시한 일부의 단면도.
제 13 도는 제 12 도의 전기자형태물에 대한 각 단위권선결합상태를 도시한 일부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기자형성대 3 : 권선연속재
3a : 단위권선 3b : 연결륜
3c : 선재 4 : 권선형성수단
5 : 전기자 6 : 권선중간지지수단
7 : 정류자 7a : 훅
9 : 용단수단 10 : 권선결합수단
61 : 정류자지지부 62 : 단위권선위치결정핀
본 발명은, 복사기 등의 사무용기기 혹은 자동차 등의 전장(電場)용 등, 한정된 스페이스 내에서 사용되는 편평모우터의 전기자(電機子)의 제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전기자는 정류자의 주위에 편평한 단위권선(卷線)을 적당한 순서로 원주방향으로 조금씩 위치 어긋나게 해서 맞포 개면서 배치하고, 각 단위권선의 양단리이드선을 정류자의 각 권선연결부에 소정의 순서로 연결해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한편 배치된 각 단위권선을 그 접촉부간에서 결합하여, 정류자의 주위에 단위권선군이 하나의 원반체를 이루어지게 한다.
종래, 이와 같은 전기자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일본국특개소 58-130753 호 공보로 알려진 것이 있다. 이것은, 간헐적으로 회전되는 터언테이블상에 배치된 각 단위권선형대에 대하여 선재를 감는 공정, 그 감는 선재에 대한 안전휴지(安全休止)공정, 감기시작, 감기완료 단부의 지지, 절단, 끼워넣기, 굴곡과 같은 각 단부처리공정, 단위권선 형성대위에 형성유지되어 있는 단위권선을, 정류자지지부의 주위에 배치되어서 대향하는 소정의 단위권선위치 결정부로 바꾸어 옮기고, 또 그 바꾸어 옮기는 단위권선의 감기시작, 감기완료 각 단부를 정류자의 소정의 권선피연결부에 연결하는 공정을 가진 것이다. 또 한편, 일본국특개소 60-5759 호 공보로 알려진 것으로는, 형틀에 선재를 감아서 단위권선을 1개 형성할 때마다, 그것을 정류자의 주위에 배치된 소정의 단위권선위치 결정부로 바꾸어 옮기는 동시에, 그 바꾸어 옮긴 단위권선으로부터 뻗어 있는 선재의 도중을 다음의 단위권선형성전에 정류자의 권선피연결부에 연결하는 작업을 반복행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터언테이블식의 것은, 필요한 공정이 터언테이블상의 각 단위권선 형성대의 각 정지위치에 대응하는 다수의 스테이션에서 분담하여 동시 진행되는 것이나, 상기 선재의 감기시작, 감기완료 단부의 지지, 절단, 끼워넣기, 굴곡과 같은 귀찮은 작업의 공정이 많아, 사고를 발생하기 쉽고, 고속화에 또하나 적합하지 않다.
또, 단위권선을 1개 형성할 때마다 그것을 장착하는 형식의 것은, 각 단위권선의 리이드선의 정류자에의 연결 및 전기적접속이, 선재의 각 단위권선형성부간에 설정되는 연결부에서, 선재의 절단 및 그에 수반되는 처리 없이도 행할 수 있으나, 단위권선을 형성하는 선재감기 작업이 비교적 긴시간 소요됨에도 불구하고, 단위권선 1개 1개에 대해서 단독으로 이루어져가기 때문에 생산성이 나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편평한 단위 권선과 정류자의 권선피연결부에 대응하는 연결부가 교호로 연속해서 형성된 권선연속재를 사용하여, 정류자의 각 권선피연결부에의 상기 연결부의 연결과, 정류자의 주위에 배치된 단위권선위치 결정부에의 상기 단위권선의 장착을 교호로 소정의 위치순으로 행하고, 상기 서로 연결된 피연결부와 연결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며, 또 정류자의 주위에 위치결정되어 맞포 개진 각 단위권선을 그들 접속부간에서 결합하므로서, 편평모우터의 전기자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류자의 권선피연결부를 훅부, 권선연결재의 연결부를 상기 후부에 감합하는 연결륜(連結倫)으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각 단위권선의 결합에는, 그들 중첩간부간에서의 접착제의 열융착을 통전가열방식으로 행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여, 미리 형성된 권선연속재를 사용하므로서 권선작업과는 전혀 무관계로 전기자의 형성을 행할 수 있고, 권선 작업과 병행해서 동시적으로 전기자의 형성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어떻든 간에 권선연속재를 사용한 전기자의 형성이, 권선연속 재형성의 동안, 중단될 필요는 없다.
또, 권선연속재는, 단위권선의 단위권선위치결정부를 이용한 정류자 주위에의 배치와, 연결부의 정류자의 권선피연결부에의 연결에 의한 각 단위권선양단부의 정류자에의 상기 단위권선배치에 대응하는 전기적인 접속과, 정류자주위에 배치되어 맞포개진 각 단위권선의 접촉부 간에서의 결합에 의해서, 각 단위권선간에서의 절단과 이를 위한 각종 부대작업 없이도 사용될 수 있어, 전기자의 형성이 신속하고도 확실하게 달성된다.
또, 제 2 의 발명으로는, 편평한 단위권선과 정류자의 권선피연결부에 대응하는 연결부를 교호로 연속해서 형성하여 권선연속재를 얻는 공정과, 그 권선연속재를 사용하여, 정류자의 각 권선피연결부에의 상기 연결부의 연결, 및 정류자의 주위에 배치된 단위권선위치결정부에의 단위권선의 장착을 교호로 소정위치순으로 행하고, 상기 서로 연결된 피연결부와 연결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며, 또 정류자의 주위에 위치 결정되어 맞포개어진 각 단위권선을 그들 접속부간에서 결합하는 공정을 상호 병행해서 진행시키므로서, 편평모우터의 전기자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은 그와 같은 방법을 실시하는 장치로서, 편평한 권선이 소정의 간격으로 연속하는 권선연속재를 형성하는 권선형성수단과, 이 권선형성수단상의 권선연속재를 권선중간지지수단상으로 바꾸어 옮기는 바꾸어 옮기기 수단과, 정류자지지부 및 그 주위에 배설된 단위권선위치 결정부를 가지고 상기 권선중간지지수단의 권선연속재 지지부에 따른 이동과정류 자지지부를 중심으로 한 회전이 가능한 전기자형성대와, 전기자형성대의 각 단위권선위치결정부 및 전기자 형성대에 지지되는 정류자의 각 권선피연결부를 권선중간지지수단에 지지되는 권선연속재의 각 단위권선 및 그들간의 연결부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순으로 대향하도록 전기자형성대를 이동 및 회전시키는 제어수단과, 순차대향하는 단위권선을 단위권선위치결정부에 장착하는 장착수단과, 순차대향하는 연결부를 권선피연결부에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권선형성수단은, 일면에 적어도 단위권선 편평하게 감는 부가 소정수 병설되고, 선재(線材)의 감는 방향과 권선인도방향으로 반전동작 가능하게 착설된 권선형성대와, 선재감기방향으로 있는 권선형성대상의 각 단위권선편평감기부와 대향하고 그것들에 연속된 선재를 순차 감아서 권선연속재를 형성하는 선재 감는 헤드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권선중간지지수단은, 권선형성대상의 단위권선 편평하게 감는 부와 대응하는 단위권선지지부를 일면에 가지고, 그것이 권선형성대와 대향하는 권선연속재 인수방향과 그 권선연속재를 전기자형성대에 공급하는 공급방향으로 반전동작 가능하게 착설된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방법의 발명에서는 편평한 단위권선과 정류자의 권선피연결부에 대응하는 연결부가 교호로 연속된 권선연속재가 형성된다. 또 이 권선연속재의 형성에 병행하여 그 형성되는 권선연속재를 단위권선간에서 절단하는 등의 부가작업없이 그대로 사용해서, 단위권선의 단위권선위치결정부를 이용한 정류자주위에의 배치와, 연결부의 정류자의 권선피연결부에의 상기 단위권선배치에 대응하는 전기적인 접속과, 정류자주위에 배치되어 맞포개어진 각 단위권선의 접촉부간에서의 결합에 의한 전기자의 형성에 행해진다.
또 상기 장치발명에서는, 권선중간지지수단이 권선연속재를 형성하는 권선형성수단과, 권선연속재를 사용해서 전기자를 형성하는 전기자 형성대 등의 수단과의 사이에 있고, 권선형성수단으로 형성되는 권선연속재의 바꾸어 옮김을 그때마다 받아서, 권선형성수단에서의 권선연속재 형성을 상기 권선연속재의 바꾸어 옮김을 사이에 넣기만 하는 연속작으로 행하게 하는 한편, 바꾸어 옮김을 받은 권선연속재를 전기자 형성에 공급하고, 상기 권선연속재성에 병행해서, 그 형성되는 권선연속재를 사용한 전기자의 형성을 진행시킨다. 전기자형성대는, 권선중간지지수단에 지지되는 권선연속재의 각 단위 권선 및 각 연결부에 대하여, 지지한 정류자의 주위의 각 단위권선위치 결정부 및 지지한 정류자의 각 권선피연결부를 소정의 위치순으로 대향시키도록 이동 및 회동되어, 권선연속재에 있어서의 각 단위권선의 정류자주위에의 배치와, 그에 대응하는 각 연결부의 정류자의 각 권선피연결부의 연결을 순차연속적으로 수행시켜, 상기 연결되는 연결부와 권선피연결부와의 전기적접속, 및 정류자주위에 배치되어 맞포개어지는 각 단위권선의 상호접촉부간에서의 결합과 더불어서 전기자를 완성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정치의 전체를 도시하며, 기로로 긴 기대(機台) B 상에 전기자형성을 위한 평면적으로 구형(矩刑)인 환형상의 라인(2)이 형성되어 있다. 이 라인(2)의 한쪽의 길이방향반부분에, 제 3 도, 제 4 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권선연속재(3)를 형성하는 권선형성수단(4)과, 그 형성되는 권선연속재(3)를 인수하여, 라인(2)상의 전기자형성대(1)상에서의 전기자(5)의 형성에 공여하는 권선중간지지수단(6)이 병설되어 있다. 라인(2)의 상기 권선형성수단(4) 및 권선중간지지수단(6)을 병설하고 있는 쪽의 단부옆에, 상기 권선연속재(3)와 결선해서 전기자(5)를 형성하는 정류자(7)를 라인(2)상의 전기자형성대(1)에 공급하는 정류자공급수단(8)이 착설되어 있다.
라인(2)의 상기 권선형성수단(4) 및 권선중간지지수단(6)을 병설하고 있는 권선장착라인(2a)으로 이어지는 완성라인(2b)에, 정류자(7)와 그것에 세트된 권선연속재(3)의 소요부와의 전기적접속을 행하는 용단수단(8), 정류자(7)에 세트된 권선연속재(3)를 그 중합접촉부간에서 결합시키는 권선결합수단(10)이 순차배설되어 있다.
라인(2)의 권선결합수단(10)설치쪽의 단부에는, 형성된 전기자(5)를 송출하는 송출라인(11)이 접속되며, 라인(11)과의 사이에 전기자(5)를 라인(2)에 있어서의 전기자형성대(1)상으로부터 라인(11)상으로 바꾸어 옮기는 전기자 바꾸어 옮기기 수단(12)이 착설되어 있다.
라인(2)의 권선장착라인(2a) 및 완성라인(2b)과 병행인 전기자 형성대반환라인(2c)의 앞부분에, 장치전체의 데이터설표시상자(13), 권선형성수단(4) 및 권선중간지지수단(6)에 대한 개별동작제어부(14), 용단수단(9)에 대한 개별동작제어부(15), 권선결합수단(10)에 대한 개별동작제어부(16)가 각각 배설되어 있다. 또, 정류자공급수단(8)의 설치대(17)의 앞에서 정류자공급수단(8)에 대한 개별동작제어부(18)가 착설되어 있다. 설치대(17)의 앞면아래에는 기초데이터설정부(19)가 착설되어 있다.
권선연속재(3)는, 제 3 도, 제 4 도,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평한 단위권선(3a)과 정류자(7)의 외주에 착설되어 있는 권선피연결부로서의 훅(7a)(제 6 도)에의 연결륜(3b) 이 교호로 연결한 것으로 되어 있으며, 1개의 전기자(5)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수의 단위권선(3a) 및 연결륜(3b)을 1단위로서 형성된다. 이 권선연속재(3)를 형성하는 권선형성수단(4)은, 제 1 도, 제 2 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수평축(20)을 중심으로 180도 범위에서 왕복회동되는 가로로 착설된 기둥형성 회동체(21)를 가지고 있다. 회동체(21)는, 그 양쪽면에 단위권선형성대(22)와, 연결륜형성축(23)이 가로방향으로 배설되어 있다. 단위권선형성대(22)는, 그 앞단면에 선재(3c)를 편형하게 감기위한 감는통(22a)이 그 주위의 권선끄르는 통(22b)에 대하여 약간의 단차를 가지고 돌출하게 형성되어 있다. 감는통(22a)의 중심에는 제 3 도, 제 4 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선감는 안내(24)가 착탈자재하게 장착되어 있다.
선재감 안내(24)는, 감는통(22a)의 돌출단면에 당접되는 그것보다 큰직경의 안내플랜지(24a)를 가지며, 이 안내플랜지(24a)의 중앙부에 돌설한 장착축(24b)을 감는통(22a)의 중앙장착구멍(22c)에 착탈자재하게 감입시키므로서 장착되며, 감는통(22a)에의 선재(3c)의 감는 것을, 단위권선형성대(22)와 안내플랜지(24a)와의 사이의 극간(S)에서 안내하여, 선재(3c)를 편평한 상태로 감기도록 하고 있다. 선감는 안내(24)의 장착상태는, 장착축(24b)의 선단부옆에 형성되어 있는 계합오목부(24c)에 장착구멍(22c)내에 착설된 도시하지 않는 클릭스토퍼가 탄성계합하므로서 분리가능한 상태로 안정된다. 선감는 안내(24)는 또 단위권선형성대(22)에의 착탈을 위하여 클램프되는 미끄럼방지형성의 피클램프축(24d)이 배변에 형성되어 있다. 연결륜형성축(23)도 그 주위의 연결륜끄르는 통(23a)과 단차를 이루어서 돌출되고, 그 돌출부에 선재(3c)의 감기는 것을 받도록 되어 있다. 권선형수단(4)은 또, 상기 회동체(21)의 라인(2)과는 반대의 쪽에 대향하고 있는 선재감는 기구(25)를 가지고 있다. 선재감는 기구(25)는, 제 2 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횡설가이드(26)에 의한 안내로 회동체(2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이동대(27)를 가지며, 나사축(28)에 의해서, 왕복이동된다. 이동대(27)에는, 감는통(22a)의 축선과 같은 높이로 지지된 선감는 회전체(29)가 지지되어 있다. 선감는 회전체(29)는, 이동대(27)상의 모우터(30)로부터의 전동(傳動)에 의해 구동되며, 회전네(21)와 대향단(端)의 편심위치에 선감는 관(管)을 가지는 동시에, 중심부에 선재(3c)의 통과구멍(29a)이 형성되고, 통과구멍(29a)의 선감는관(31) 측 단부에 형성된 갈라진홈(29b)내에 1쌍의 안내로울러(33)를 배설하고 있다.
선재감는 기구(25)의 배후부에는, 제 1 도, 제 2 도에서 볼수 있는 바와 같은 선재(3c)의 공급대(34)가 척설되어 있다. 공급대(34)는, 선재(3c)의 수용용기(35)를 재치하고, 그 용기(35)로부터 인출된 선재(3c)를 오동아암(36)을 개재해서 선감는 회전체(29)에 공급하여, 통과구멍(29a), 안내로울러(33)를 거쳐서 선감는 관(31)으로 통과시키도록 되어 있다.
선감는 회전체(29)는, 단위권선형성대(22)와 대향하고 또한 선감는 관(31)으로부터 인출한 선재(3c)의 단부를 일부에 고정한 상태에서 회전하게 되면, 선감는 관(31)이 단위권선형성대(22)의 바깥둘레를 선회하게 되며, 선감는 관(31)의 선단부에 대응해 있는 상기 극간(s)에 선재(3c)를 끼워 넣어, 선재(3c)의 계속 내보냄에 따라서 감는 통(22a)의 외주에 극간(s)분의 두께로 제한되어 감는 통(22a)의 외주형상에 닮은 편평한 단위권선상태가 된다.
또, 연결륜형성축(23)에 대한 선재(3c)의 감기는, 선감는 회전체(29)가 연결륜형성축(23)과 정확하게 대향하지 않기 때문에, 선감는 관(31)의 상기 선회에 의해서는 행할 수 없으며, 선감는 관(31)이 연결륜형성축(23)에 대하여 낮은 위치에서의 왕동(往動), 높은 위치에서의 복동(復動), 또한 낮은 위치에서의 왕동에 의해서 행해진다. 하긴 선감는 회전체(29)와 연결륜형성축(23)과의 축선을 맞추고, 선감는 관(31)의 회전에 의해서 연결륜형성축(23)에 선재(3c)를 감도록 하게 할 수도 있다. 이 선재(3c)의 감기로 연결륜(3b)이 형성된다.
회동체(21)의 단위권선형성대(22) 및 연결륜형성축(23)의 배설면에는, 그 배설부의 양단바깥쪽에 위치하는 선재(3c)의 감기시작단(3d)과, 감기종료단(3e)에 대한 클램프수단(37) 및 (38)이 착설되어 있다(제 3 도, 제 4 도, 제 5 도).
각 클램프수단(37)(38)은 솔레노이드나 유체압동작실린더 등의 도시하지 않는 구동수단에 의해서 적시적으로 개폐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 회동체(21)의 클램프수단(38)설치위치의 바로 바깥쪽위치나, 선감는 관(31)의 근처에 선재(3c)에 대한 절단수단을 구비해두는 것이 편리하다. 회동체(21)는 모우터, 감속기유니트(39)에 의해서 180도 범위의 왕복회동이 행해진다(제 1 도).
권선중간지지수단(6)은, 제 1 도, 제 2 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수평축(41)을 중심으로 도시하지 않는 구동기구에 의하여 90도 범위에서 왕복회동되는 회동체(42)를 가지고 있다. 회동체(42)는 권선형성수단(4)의 라인(2)쪽에 횡설되어 있으며, 1개의 회동위치에서, 회동체(21)와 대향하는 선감는 안내착탈기구(43)와, 다른 1개의 회동위치에서 회동체(21)와 대향하는 권선연속재지지기구(44)가 장비되어 있다. 선감는 안내착탈기구(43)는, 회동체(42)상에 고정된 에어실린더(45)와 이에 연결된 클램퍼(46)로 이루어지며, 클램퍼(46)는, 회동체(21)사에 배설되어 있는 각 단위권선형성대(22)에 대응하여 그것과 동수착설되어 있다. 클램퍼(46)가 에어실린더(45)에 의해서 회동체(21)쪽으로 진출 되었을때, 각 단위권선형성대(22)에 장착되어 있는 각 선감는 안내(24)의 피클램프축(24d)을 클램프하고 에어실린더(45)에 의해 후퇴하게 될때, 피클램프축(24d)을 개재하여 선감는 안내(24)를 단위권선형성대(22)로부터 빼낸다.
권선연속재지지기구(44)는, 회동체(41)상에 고정된 에어실린더(47)와, 그것에 연결된 단위권선지지체(48) 및 연결륜지지축(49)으로 이루어지며, 단위권선지지체(48)는 회동체(21)상의 각 단위권선형성대(22)에 대응해서 그것과 동수착설되고, 연결륜지지축(49)은 회동체(21)상의 각 연결륜형성축(23)에 대응해서 그것과 동수착설되어 있다. 각 단위 권선지지체(48)는, 제 7 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지한 단위권선(3a)의 탈락을 방지하는 권선계지클릭(51)이 착설되어 있다. 권선계지클릭(51)은, 단위권선지지체(48)내에 삽입하여 축착(軸着)된 1쌍의 아암(51a)이, 그들 사이에 작용시킨 스프링(53)에 의한 밀어벌리는 힘을 받아서, 하단부의 클릭부(51b)를 제 7 도 가상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단위권선지지체(48)의 하단면 넷구석부로부터 약간 나오게 하여, 단위권선(3a)의 탈락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권선 계지클릭(51)은, 도시하지 않는 솔레노이드 등의 구동수단에 연결되어 있어서 단위권선지지체(48)가 단위권선(3a)을 인수하고, 또 공여할때 클릭부(51b)가 제 7 도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후퇴하도록 되어 있다.
지지체(21)상의 각 단위권선형성대(22) 및 각 연결륜형성축(23)상의 단위권선(3a) 및 연결륜(3b)을, 히동체(41)상의 단위권선지지체(48)및 연결륜지지축(49)상으로 바꾸어 옮기는 권선 바꾸어 옮기는 수단으로서 장비된 상기 감는 통(22a)의 바깥쪽의 권선끄르는 통(22b) 및 연결륜형성축(23)의 바깥쪽의 연결륜끄르는 통(23a)은, 각 단위권선형성대(22) 및 각 연결륜형성축(23)에, 회동체(41)상의 단위권선지지체(48) 및 연결지지축(49)이 맞닿은 상태에서, 각 끄르는 통(22b)(23a)이 단위권선형성대(22) 및 연결륜형성축(23)보다도 돌출해서, 단위권선지지체(48) 및 연결륜지지축(49)쪽으로 덮을 정도로까지 이르므로서, 단위권선(3a)을 단위권선지지체(48)로, 연결륜(3b)을 연결륜지지축(49)상으로 바꾸어 옮기도록 하고 있다.
전기자형성대(1)는, 제 2 도, 제 6 도, 제 8 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중앙에 정류자지지부(61)가 배설되고, 그 주위에 단위권선위치 결정핀(62)이 배설되어, 이동팰리트(63)상에 회전자재하게 지지되며, 이동팰리트(63)에 의해서 라인(2)상에 재치되어 있다.
라인(2)중, 권선장착라인(2a)은, 제 2 도에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권선장착라인(2a)에 따라서 이동하도록 레일(64)로 안내된 이동대(65)가 배설되어 있다. 이동대(65)는, 나사축(66)의 회전에 의해 권선장착라인(2a)을 왕복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전기자형성대(1)를 이동팰리트(63)마다 받아 얹는 수재(受載)부(55)와, 이 받아 얹은 전기자형성대(1)를 소요의 각도씩 회전구동시키는 펄스모우터(56)를 서브이동대(57)에 조립하여 장비하고 있다. 서브이동대(57)는 에어실린더(58)에 의해서 권선장착라인(2a)과 직각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펄스모우터(56)는, 전기자형성대(1)에 대하여 그 받아 얹는 구멍(59)에 감입하는 구동핀(67a)을 가진 구동판(67)을 개재해서 회전을 부여하도록 되며, 구동판(67)은 실린더(68)에 의한 상하동으로 상기 전기자형성대(1)와 계탈하고, 이탈상태에서 전기자형성대(1)의 권선장착라인(2a)에 대한 받아들이기, 내보내기를 가능하게 하고, 계합상태에서 전기자형성대(1)에 대한 구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동대(65)에는 또, 아래방향으로 회동된 각 단위권선지지체(48) 및 연결륜지지축(49)에 대하여 전기자형성대(1)를 이동시켜서 순차대향시켜갈때, 그 대향한 단위권선지지체(48)상의 단위권선(3a)을, 또 대향한 연결륜지지축(49)상의연결륜(3b)을, 각각 대향시점에서 전기자형성대(1)상으로 긁어 떨어뜨리는 포오크(68)(69)가 장비되어 있다.
포오크(68)(69)는, 모두 이동대(65)상의 권선장착라인(2a)에 대하여 이접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드(70)(71)에 상하동용 에어실린더(72)(73)을 작용시켜서 지지되며, 슬라이드(70)(71)의 상기한 것과 별도의 에어실린더(74)(75)에 의한 진퇴에 의하여 단위권선(3a) 및 연결륜(3b)을 긁어 떨어뜨릴 수 있는 작용위치와, 이동대(65)의 이동에 의하나 단위권선지지체(48)나 연결륜지지축(49)과 간섭하지 않는 비작용위치에 이동된다. 또, 에어실린더(72)(73)에 의해, 단위권선지지체(48)상의 단위권선(3a) 및 연결륜지지축(49)상의 연결륜(3b)을 긁어 떨어뜨리는 동작과 그 동작전의 상태에의 복귀동작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동대(65)상에는 또 연결륜(3b)을 연결한 훅(7)을 압압해서 굽혀 넣는 압압투울(79)이 실린더(54)에 의해 진퇴도록 해서 착설되어 있다.
완성라인(2b)에도, 상기 이동대(65)가 배설되나, 권선장착라인(2a)에서의 전기자형성대(1)의 이동조건이 다르므로, 전기자형성라인(2a)과는 별개의 나사축(66)에 의해서 왕복이동되도록 되어있다. 또, 완성라인(2b)에서의 이동대(65)에는 포오크(68)(69)등은 착설되어있지 않다.
권선장착라인(2a)과 완성라인(2b)과의 사이에는, 그것들로서 이동대(65)를 별도구동으로 하고 있는데 기인하는 전기자형성대(1)의 이동불량을 방지하는 건너주기 콘베이어(80)가 착설되어 있다(제 1 도).
전기자형성대반환라인(2c)는 전기자형성대(1)를 이동팰리트(63)마다 단지 반송하는 것만으로도 되므로, 단순한 벨트콘베이어가 채용되고 있다.
정류자공급수단(8)은, 제 1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의 정류자(7)를 적층상태로 감합지지하는 세워진 축(81)이 원주상에 배설되고,간헐 구동되는 터언테이블(82)과, 소정위치에 정지되어 있는 세워진 축(81)상의정류자(7)를 위의 것부터 1개씩 들어올리는 아암(83)과, 아암(83)이 들어올린 정류자(7)를 집어올려서, 전기자형성대반환라인(2c)의 종단부에 위치하고 있는 전기자형성대(1)상의 정류자지지부(61)에 장착하는 로보트아암(84)을 가지고 있다. 세워진 축(81)에의 정류자(7)의 장착은 손작업으로 이루어지나, 자동수단을 채용할 수도 있다.
용단수단(9)은, 완성라인(2b)을 이동해와서 대향위치에서 일단 정지되는 전기자형성대(1)상의 정류자(7)에 대하여, 그 연결륜(3b)이 연결되어 있는 훅(7a)을 제 1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욱 압압해서 연결륜(3b)과 압착시키도록 작용하는 압압투울(91)고, 정류자(7)의 연결륜(3b)의 외피접착층의 용융에 의한 정류자(7)와의 결합 및 전기적 접속을 행하게 하는 용단통전투울(92)을 가지고 있다(제 12 도). 또, 정류자(7)를 위쪽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구(93)도 상하동 에어실린더(94)에 연결해서 착설되어 있다. 권선결합수단(10)은, 제 1 도, 제 13 도에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완성라인(2b)을 이동해오서 대향위치에서 일단 정지되는 전기자형성대(1)상의 정류자(7)주위에 세트되어 서로 맞포개어져 있는 각 단위권선(3a)을 프레스하고, 또 권선연속재(3)에, 정류자(7)의 연결륜(3b)을 최종연결한 훅(7a)과, 연결륜(3b)을 중간에서 순차연결한 2개의 훅(7a)과의 사이에서 통전하는 압착통전반(101)을 가지고 있다.
전기가 바꾸어 옮기는 수단(12)은, 로보트아암(121)의 선단부에, 정류자(7)를 쥐는 척(122)을 가진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송출라인(11)에 병행해서, 전기자(5)의 형성단계에서의 통전 등으로 검출된 단선, 단락과 같은 불량이 있는 것을 배출하는 불량품 배출라인(131)이 배설되어 있다.
이하 일련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면, 라인(2)상에는 각부에서의 작업이 순차 원활하게 진행되어 가는데 필요한 수의 전기자형성대(1)가 적당한 간격으로, 주어져 있다. 전기자형성대(1)는, 전기자형성대반환라인(2c)의 제 1 도 좌측종단부에 도달했을 때, 권선장착라인(2a)에서의 전기자형성작업이 종료될 때까지 대기하게 되고, 그 대기중에 정류자공급수단(8)에 의하여 정류자(7)가 공급되어서 정류자지지부(61)에 지지한다.
권선장착라인(2a)의 옆에서는, 선재감는 기구(25)가, 회동체(21)에 대하여 제 1 도, 제 3 도 화살부호 a방향으로 간헐이동하면서, 회동체(21)상의 클램프수단(37)에 대면하였을때 그것에 선재(3c)의 감기시작단부(3d)를 클램프시키며, 또 연결륜형성축(23)에 대면했을 때 그것에 선재(3c)를 1회 감고, 단위권선형성대(22)에 대면했을 때 그 감는 통(22a)에 선재(3c)를 필요회수 감아서,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륜(3b)과 단위권선(3a)을 선재(3c)가 연속한 채로 교호로 형성해 간다. 필요수의 연결륜(3b)과 단위권선(3a)을 형성한 후, 선재 감는 기구(25)는, 선재(3c)의 감기종료단부(3e)를 클램프수단(38)에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프시켜서, 권선연속재(3)의 형성을 끝내고, 그 감기시작단부(3d)와 감기종료단부(3e)에 통전단자(76)(77)를 접속해서 권선연속재(3)에 통전하여, 선재(3c)의 접촉부간에서 접착층의 용착에 의한 일체화를 도모하여 보형처리한다. 이 권선연속재(3)의 형성을 일면에 받은 회동체(21)는 180도 반전되어서 권선연속재(3)의 형성면이 권선중간지지수단(6)에 대면하고, 권선연속재(3)의 미형성면이 상기 선재감는 기구(25)와 대면한다.
회동체(21)의 권선연속재(3)미형성면에는, 선재감는 기구(25)와 대면한 직후로부터 상기와 마찬가지로 권선연속재(3)의 형성작업이 실시된다.
한편, 회동체(21)의 권선연속재(3)형성면은, 권선중간지지수단(6)과는 그 클램퍼(46)부와 대면하고, 그 대면직후에, 클램퍼(46)에 의한 제 4 도에 도시한 선감는 안내(24)의 떼어내기가 행해진다. 이어서 권선중간지지수단(6)은 회동체(41)의 90도 회동에 의해서, 선감는 안내(24)를 떼어내어 지지하고 있는 클램퍼(46)부를 회동체(21)와의 대향 위치로부터 퇴피시켜 놓는 것과 동시에, 권선연속재지지기구(44)를 회동체(21)에 대향시킨다. 이 대향시 권선연속재지지기구(44)는, 그 단위권선지지체(48) 및 연결륜지지축(49)을, 회동체(21)의 권선연속재(3)형성면에 있어서의 단위권선형성대(22) 및 연결륜형성축(23)에 맞닿게하여, 권선끄르는 통(22b) 및 연결륜끄르는 통(49a)의 진출에 의하여 권선연속재(3)의 바꾸어 옮기는 것을 받는다.
권선연속재(3)의 바꾸어 옮긴 것을 권선연속재지지기루(44)에 받은 권선중간지지수단(6)은, 회동체(41)의 90도 복회동에 의해, 떼어낸 선감는 안내(24)를 지지한 클램퍼(46)가 회동체(21)상에 대면하게 되는 동시에, 권선연속재(3)의 지지부가 밑으로 향하게 되어 권선장착라인(2a)에 대면한다.
이 상태에서, 클램퍼(46)는 전진하게 되어 지지하고 있는 선감는 안내(24)를 회동체(21)상의 각 단위권선형성대(22)에 장착시켜서 되돌린다.
이때, 권선장착라인(2a)에서는, 이동대(65)가 제 1 도 좌측의 원점위치에 복귀하고 있어, 전기자형성대반환라인(2c)의 종단부에 대기하여 정류자(7)를 지지하고 있는 전기자형성대(1)의 이송을 받아서, 그것을 받아얹고 있다.
이 권선장착라인(2a)에서 이동대(65)상에 얹혀 있는 전기자형성대(1)는, 권선중간지지수단(6)이 지지하고 있는 권선연속재(3)의 장착을 받을 수 있게 되는 위치까지 에어실린더(58)에 의해 이동된다. 이때, 권선장착라인(2a)의 원점위치에 있는 전기자형성대(1)상의 정류자(7)는, 그 외주의 훅(7a)의 1개가 권선중간지지수단(6)상의 제 1 도 좌측에서부터 제 1 번째에 있는 연결륜지지축(49)과 대향하고 있다. 이 대향하고 있는 연결륜지지축(49)과 훅(7a)과의 사이에서, 포오크(69)에 의한 연결륜(3b)의 바꾸어 옮김이 제 9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행해져서, 훅(7a)에 연결륜(3b)을 맞걸게 한다. 이어서 그 훅(7a)을 제 10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대(65)상의 압압투울(79)에 의해 압압변형시켜서 연결륜(3b)의 이탈방지를 행하여, 연결륜(3b)의 훅(7a)에의 연결을 끝낸다.
이 연결후, 이동대(65)가 약간 이동하게됨과 동시에 전기자형성대(1)가 약간 회전하게 되어, 권선중간지지수단(6)상의 제 1 도 좌측에서부터 제 1 번째에 있는 단위권선지지체(48)에 대하여, 그것에 지지되고 있는 단위권선(3a)을 받아야할 위치의 단위권선위치결정핀(62)을 대향시키는 방향으로 된다. 이 대향하고 있는 단위권선(3a)과 단위 권선위치결정핀(62)과의 사이에서, 포오크(68)에 의한 단위권선(3a)의 바꾸어 옮기기가 제 7 도와 같이 행하여져, 단위권선위치결정핀(62)에 단위권선(3a)을 장착시킨다.
이후 전기자형성대(1)는, 권선중간지지수단(62)상의 연결륜지지축(49), 단위권선지지체(48)에 대하여, 그 제 1도 좌측의 것부터 순서로, 정류자(7)의 소요위치에 있는 훅(7a), 전기자형성대(1)의 소요위치에 있는 단위권선위치결정핀(62)을 대향시키면서, 연결륜(3b), 단위권선(3a)을, 정류자(7)의 각 훅(7a) 및 정류자(7)주위의 각 단위권선위치결정핀(62)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순으로 연결 및 장착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정류자(7)의 훅(7a)은 23개, 단위권선위치결정핀(62)도 23개 착설되어 있다. 단위권선위치결정핀(62)은 2인접하는 4개분에 걸치도록 단위권선(3a)을 받고, 양단의 단위권선위치결정핀(62)에 의해서 위치 결정지지한다. 이들 훅(7a) 및 단위권선위치결정핀(62)에의 연결륜(3b) 및 단위권선(3a)의 연결 및 장착의 위치순은, 제 6 도 및 제 8 도에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8개 건너로 행해지면, 3회째까지의 연결 및 장착은 원주방향의 대략 3등 배위치가되나, 4회째 이후로 부터 뒤의 연결 및 장착위치가, 앞의 연결 및 장착부에 대하여 1개씩 위치어긋난 대략 3등배 위치에서 이루어져 간다. 이 결과 각 단위권선(3a)은, 4회째 이후의 장착분부터 제 6 도, 제 8 도에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앞의 장착분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약간씩 위치어긋나게 되어 맞포개어진다.
이와 같이 해서 권선중간지지수단(6)으로부터 전기자형성대(1)상으로 모두 옮아 졌을때, 전기자형성대(1)사에서는, 제 11 도에 볼 수 있는 바와 정류자(7)의 주위에 각 단위권선(3a)이 소정의 순서로 배설되어 맞포개어지며, 그들간의 연결륜(3b)이 정류자(7)의 각 훅(7a)에 연결된 전기자형태물(200)이 형성된다.
전기자형태물(200)은, 전기자형성대(1)마다 다음이 완성라인(2b)으로 이송되어, 용단수단(9) 및 권선결합수단(10)부에서의 용단 및 권선결합작업을 받아서 전기자(5)로서 완성된다.
상기 전기자형태물(200)이 형성완료되었을때, 권선중간지지수단(6)은 권선형성수단(4)의 회동채(21)쪽의 정위치로 복동되어, 전기자형태물(200)의 형성중에 회동채(21)상에서 형성된 다음의 권선연속재(3)의 바꾸어 옮김을 받아, 그것을 다음의 전기자형태물(200)의 형성에 공여한다.
이후 마찬가지 동작을 반복하여, 전기자(5)가 순차 형성되어 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자의 형성이 필요한 수의 단위권선과 그들의 정류자에의 연결부를 가진 권선연속재를 사용해서, 그 권선연속재의 형성과는 무관계하게 혹은 병행해서 수행되기 때문에, 권선작업의 동안 전기자의 형성작업을 중단한다고 하는 일은 없고 연속적으로 작업을 할 수 있다. 상기 권선연속재를 사용한 전기자의 형성작업 그 자체도, 권선연속재의 각 단위권선과 각 연결부에, 정류자의 주위의 각 단위 권선위치결정부 및 정류자의 각 권선피연결부를 소정의 위치순으로 대향시켜서 바꾸어 옮김을 받게 하여, 권선연속재를 절단 등을 하지 않고 그대로 정류자에 대하여 전기자형성상태로 일거에 세트하고, 상기 연결부와 권선피연결부와의 전기적 접속처리 및 정류자 주위에 배치되어 맞포개어진 각 단위권선의 결합처리를 실시하는 것만으로 행할 수 있으므로, 사고없이 용이하게 또한 신속하게 달성된다. 따라서 작업능률 및 수율이 함께 향상된다.
또, 제 2 의 발명에 있어서는, 1개의 전기자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수의 편평한 단위권선과 그것들의 정류자에의 연결부가, 선재가 연속한 채의 취급이 쉽고 필요한 작업공정이 적은 권선연속재로서, 일거에 형성되므로, 그 형성이 용이하고 또한 단시간이고 그 위에 사고가 적게 달성된다. 또 상기 형성되는 권선연속재를 사용한 전기자의 형성이, 권선연속재의 각 단위권선과 각 연결부에, 정류자의 주위의 각 단위 권선위치결정부 및 정류자의 각 권선피연결부를 소정의 위치순서로 대향시켜서 바꾸어 옮김을 받게 하여, 권선연속재를 절단 등을 하지 않고 그대로 정류자에 대하여 전기장형성상태로 일거에 세트하고, 상기 연결부와 권선피연결부와의 전기적 접속처리 및 정류자 주위에 배치되어 맞포개어진 각 단위권선의 결합처리를 실시하는 것만으로 행하므로, 용이하고도 신속하게 달성된다. 특히 그들 특징있는 단위권선의 형성과 그것을 사용한 전기자의 형성이 병행으로 행해지므로, 전기자의 형성이 연속권선재의 형성을 기다리는 타임러그 없이 연속해서 이루어져, 작업능률이 격단으로 향상한다.
한편, 본 장치발명에 의하면, 권선형성수단으로 형성한 단위권선연속재를 일단 권선중간지지수단에 바꾸어 옮겨서 지지시켜, 이 권선중간지지수단으로부터 권선연속재를 사용한 전기자의 형성에 공급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권선형수단은 형성한 권선연속재를 권선중간지지수단으로 바꾸어 옮기면, 그 전기자형성에의 이용작업의 진행에는 무관계하게 즉, 다음의 권선연속재형성을 행하게 할 수 있어, 시간이 걸리는 권선연속재의 형성을 시간낭비 없이 달성시킬 수 있다. 또, 권선연속재를 사용해서 전기자를 형성하는 경우의 각 단위권선 및 그들간의 연결부를 정류자주위의 각 단위권선위치결정부 및 정류자의 각 권선피연결부에의 장착 및 연결을 순차적으로 행하는데, 1개 권속연속재 형성의 시간내에서, 권속연속재형성과는 무관계하게 단독으로 수행시키면 되며, 사소한 작업을 수반하는 전기자의 형성을 사고 없이 확실하게 수행시킬 수 있다.

Claims (5)

  1. 편평한 단위권선과 정류자의 권선피연결부에 대응하는 연결부가 교호로 연속해서 형성된 권선연속재를 사용하고, 정류자의 각 권선피연결부에의 상기 연결부의 연결과, 정류자의 주위에 배설된 단위권선 위치결정부에의 상기 단위권선의 장착을 교호로 소정의 위치순으로 행하고, 상기 서로 연결된 피연결부와 연결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또 정류자의 주위에 위치결정되어 맞포개어진 각 단위권선을 그들 접촉부간에서 결합하므로서, 편평모우터의 전기자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모우터의 전기자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권선피연결부는 훅부, 상기 훅부와 감합하는 연결륜으로 되어 있는 편평모우터의 전기자 제조방법.
  3. 편평한 단위권선과 정류자의 권선피연결부에 대응하는 연결부를 교호로 연속해서 형성하여 권선연속재를 얻는 공정과, 그 권선연속재를 사용하여, 정류자의 각 권선피연결부에의 상기 연결부의 연결, 및 정류자의 주위에 배설된 단위권선의 위치결정부에의 단위 권선의 장착을 교호로 소정의 위치순으로 행하고, 상기 서로 연결된 피연결부와 연결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또 정류자의 주위에 위치결정되어 맞포개어진 각 단위권선을 그들 접촉부간에서 결합하는 공정을 서로 병행해서 진행시키므로서, 편평모우터의 전기자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모우터의 전기자의 제조방법.
  4. 편평한 단위권선이 소정의 간격으로 연속하는 권속연속재를 형성하는 권선형성수단과, 이 권선형성수단에 병설된 권선 중간지지수단과, 권선형성수단상의 권선연속재를 권선중간지지수단상으로 바꾸어 옮기는 바꾸어 옮기는 수단과, 정류자지지부 및 그 주위에 배설된 단위권선위치결정부를 가지고 상기 권선중간지지수단의 권선연속재지지부에 따른 이동과 정류지지부를 중심으로한 회전이 가능한 전기자형성대와, 전기자형성대의 각 단위권선의 위치결정부 및 전기자 형성대에 지지되는 정류자의 각 권선피연결부를, 권선중간지지수단에 지지되는 권선연속재의 각 단위권선 및 그들간의 연결부에 대해서 소정의 위치순으로 대향하도록 전기자형성대를 이동 및 회전시키는 제어수단과, 순차적으로 대향하는 단위권선을 단위권선위치결정부에 장착하는 장착수단과, 순차적으로 대향하는 연결부를 권선연결부에 장착하는 장착수단과, 순차적으로 대향하는 연결부를 권선연결부에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구비한 편평모우터의 전기자의 제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권선형성수단은, 일면에 적어도 단위권선 편평하게 감는부가 소정수병설되고, 선재감는 방향과 권선인도 방향으로 반전동작 가능하게 착설된 권선형성대와, 선재감는 방향에 있는 권선형성대상의 각 단위권선 편평하게 감는부와 대향하고 이들에 연속한 선재를 순차 감아서 권선연속재를 형성하는 선재 감는 헤드로 이루어진 편평모우터의 전기자의 제조장치.
KR1019860009852A 1985-11-25 1986-11-21 편평모우터의 전기자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9000026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64034 1985-11-25
JP60264034A JPS62126843A (ja) 1985-11-25 1985-11-25 扁平モ−タの電機子の製造方法
JP60-264034 1985-1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5501A KR870005501A (ko) 1987-06-09
KR900002668B1 true KR900002668B1 (ko) 1990-04-21

Family

ID=17397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9852A KR900002668B1 (ko) 1985-11-25 1986-11-21 편평모우터의 전기자의 제조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790063A (ko)
JP (1) JPS62126843A (ko)
KR (1) KR900002668B1 (ko)
DE (1) DE36402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0858A (en) * 1988-01-29 1990-03-27 Tanaka Seiki Co., Ltd. Automatic coil winding and finishing machine
US4901773A (en) * 1988-10-24 1990-02-20 Kuhlman Corporation High voltage coil winding machine
JP2965636B2 (ja) * 1990-08-04 1999-10-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コイル部品の製造方法とコイル線形成装置
US20060103257A1 (en) * 2002-01-25 2006-05-18 Gianfranco Stratico Segmented dynamo-machine component fabrication
DE102004059889B4 (de) * 2004-12-10 2007-09-27 Aumann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Wickeln eines Scheibenläufers für einen Scheibenläufermoto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68449A (en) * 1970-10-13 1972-06-06 Olin Corp Aluminum clad copper commutator for use with aluminum armature wire
JPS4895506A (ko) * 1972-03-22 1973-12-07
JPS50108502A (ko) * 1974-02-01 1975-08-27
JPS5125758A (en) * 1974-08-27 1976-03-02 Tamagawa Seiki Co Ltd Denkyosunikukoiruno makisenseizohoho
DE2920877A1 (de) * 1979-05-23 1980-11-27 Bosch Gmbh Robert Ankerwicklung fuer gleichstrommaschinen und vorrichtung zum anordnen der wicklung auf dem anker
JPS57196858A (en) * 1981-05-28 1982-12-02 Japan Servo Co Ltd Flat armature
JPS58130753A (ja) * 1982-01-27 1983-08-04 Hitachi Ltd 偏平型回転電機の回転子製造装置
JPH0773422B2 (ja) * 1983-06-22 1995-08-02 山本電気株式会社 偏平用モーター電機子の製造装置
JPS60264033A (ja) * 1984-06-13 1985-12-27 Hitachi Ltd 電子顕微鏡の雰囲気試料室用試料ホルダの支持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640210C2 (ko) 1992-12-10
JPS62126843A (ja) 1987-06-09
KR870005501A (ko) 1987-06-09
DE3640210A1 (de) 1987-05-27
US4790063A (en) 1988-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13883A (en) Production line for pallet mounted electric motor stators
US5363546A (en) Apparatus for making armatures for electrodynamic machines
CA1049236A (en) Arranging randomly positioned articles into preselected positions
CN102842416A (zh) 一种变压器的组装方法及组装生产线
CN108352261B (zh) 一种电容器电芯卷绕装置
CN111531238A (zh) 一种变压器焊接组装一体化生产线
KR900002668B1 (ko) 편평모우터의 전기자의 제조방법 및 장치
CN205998746U (zh) 一种全自动绕线机
CN214900590U (zh) 一种绕线机
US3903593A (en) Method for handling magnetic cores and performing winding treatment procedures
CN110121141A (zh) 一种多轴简易全自动音膜生产设备
CN111865003A (zh) 一种理线装置
EP0286207B1 (en) Electrical harness making apparatus
JPH11318060A (ja) 固定子成層鉄心にコイル巻線を取り付け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CN216698082U (zh) 一种磁芯自动贴背胶装置
US3151359A (en) Apparatus for assembling and molding components
CN212543599U (zh) 一种理线装置
CN108704862A (zh) 动力锂电池pack线电芯智能分选机
JP2548127B2 (ja) 扁平モ−タの電機子の製造方法とその装置
CN112872773A (zh) 轴套自动压装装置及其工作方法
JPS6166550A (ja) フラツトモ−タの電機子製造装置
CN110517876A (zh) 磁棒线圈的加工设备
CN117583693B (zh) 一种汽车集成线束的焊接工装
CN217747848U (zh) 全自动磁芯线圈点胶机
CN117116657B (zh) 一种磁环电感挂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4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