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2639Y1 - 반고정 가변저항기 - Google Patents

반고정 가변저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639Y1
KR900002639Y1 KR2019860013384U KR860013384U KR900002639Y1 KR 900002639 Y1 KR900002639 Y1 KR 900002639Y1 KR 2019860013384 U KR2019860013384 U KR 2019860013384U KR 860013384 U KR860013384 U KR 860013384U KR 900002639 Y1 KR900002639 Y1 KR 9000026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adjustment
variable resistor
shaft portion
sem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33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2714U (ko
Inventor
사또시 히라야마
오사무 다나베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가다오까 가쓰다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가다오까 가쓰다로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127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27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6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6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0Adjustable resistors
    • H01C10/30Adjustable resistors the contact sliding along resistive element
    • H01C10/32Adjustable resistors the contact sliding along resistive element the contact moving in an arcuate path
    • H01C10/34Adjustable resistors the contact sliding along resistive element the contact moving in an arcuate path the contact or the associated conducting structure riding on collector formed as a ring or portion thereof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8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rotary movement, e.g. hand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djustable Resistor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반고정 가변저항기
제 1 도는 제 2 도의 조정 노브의 전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 2 도는 그 제2의 조정노브의 사시도.
제 3 도는 반 고정 가변저항기의 단면도.
제 4 도는 그 반고정 가변 저항기의 저면도.
제 5 도는 종래의 반고정 가변저항기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저항기판 3 : 접동자편
4 : 제1의 조정노브 7,8 : 단자
9 : 제2의 조정노브 9a : 축부
9b : 제1의 플랜지브 9c : 제2의 플랜지부
9d : 계지조(爪) 9e : 절결부(계합부)
9h : 절첩부 9g : 스토퍼부
본 고안은 바고정 가변저항기에 관한 것이고, 특히 저항치 조정을 이면측에서 향하기 위한 조정노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절연기판의 표면에 형성된 저항층위를 접동자편이 회전 접동하여 접촉 위치를 변경하므로서 바람직한 저항치를 얻는 반고정 가변저항기는 수없이 많이 알려지고 있다. 이 종류의 반고정 가변저항기에 있어서는 프린트 배선기판에 부착하고, 전기회로와 접속된 후에 바깥쪽으로부터 드라이버와 같은 조정용 지그(jig)에 의하여 저항치의 미세조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접동자편에 고정된 조정노브의 일단에 지그계합을 홈이 형성되어 있다.
제 5 도는 종래의 반고정 가변저항기의 일예를 나타내고 것이고, 절연 케이스(1)의 저부에는 표면에 전기 저항재료를 링 위에 도포한 저항기핀(2)이 수납되어 있고, 그 저항 기판(2)상에는 도전성 탄성재로서 이루어진 접동자 편(3)의 일단(3a)이 탄접되어 있다.
이 접동자 핀(3)은 절연 케이스(1)의 회동이 자재롭게 부착된 제1의 조정노부(4)에 고정되어 있고, 이 조정노부(3)의 회동에 의하여 일단(3a)이 저항기판(2)상을 접동한다. 또 절연 케이스(1)의 상기 제1의 조정노부(4) 부착측과 반대측에는, 제2의 조정노브(5)가 회동아 자재롭게 부착되어 있고 제2의 조정 노브(5)의 측부(5a)의 선단에는 상기 접동자 편(3)이 고착되어 있다. 따라서 제2의 조정 노브(5)를 지그에 의하여 회동하면, 접동자편(3)은 저항기판(2)상을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접동한다. 또한, 상기 제1, 제2의 조정노브(4,5)에는 각각 드라이버와 같은 지그와 계합가능한 홈(4a),(5b)가 형성되어 있고, 도면중 2점쇄선으로 나타낸 위치의 프린트 배선기판(6)에 가변 저항기가 부착된 경우에는, 프린트 배선기판(6)의 표리 앞뒤 어느쪽으로부터라도 홈(4a,5b)의 어느 하나에 지그를 계합시키면, 저항치의 조정은 가능하다. 또, 도면중 7,8은 저항기판(2)의 양쪽단자에 접속된 단자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반고정 가변 저항기에 있어서는 제2의 조정용 노브(5)는, 금형에 재료를 넣어서 두드리므로서 소망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소위 해더 가공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연속 가공을 할 수 없고 가끔 능율이 낮은 것이었다.
그러므로, 본 출원인은 가공능율의 향상을 목적으로서 축부(5a)를 가지는 플랜지 형상 판재와 홈(5b)을 가지는 플랜지 형상 판재를 절첩(접어)하여 일체화시킨 반고정 가변 저항기의 조정 노브를 앞서 출원하였다.
(일본국 실원소 59-116945호).
이 선원에 의하면, 금속판을 사용하여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제2의 조정 노브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자동화가 실현되고 생산업의 향상을 도모하는데 있어서 매우 유효한 수단이지만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즉, 홈(5b)을 가지는 플랜지 형상 판재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드라이버등의 지그를 홈(5b)에 계합하여 제2의 조정용 노브(5)를 회전 조작하였을 때, 양쪽 프랜지 형상 판재의 연결부(절연부분)이 변형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반고정 가변 저항기가 소형화되어가면, 상기 연결부의 폭이나 두께로 그에 따라 작아지기 때문에 이 경향은 현저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면조정용의 조정 노브를 프래스 가공에 의하여 연속성형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조정시의 강도가 충분히 확보된 조정 노브를 구비한 반고정 가변 저항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표면에 저항층이 형성된 기판과 이 저항층 상을 접동가능한 접동자편이 설치된 제1의 조정 노브와 상기 기판에 삽통된 축부 및 그 축부에 연설된 플랜지를 가지는 제2의 조정노브를 구비하고, 상기 접동자편이 저항층상을 회전접동하여 접촉 위치를 변경하므로서 소망하는 저항치가 얻어지는 반고정 가변 저항기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조정노브가 상기 축부의 일단에 연장설치되고, 또한 절곡형성된 계지 조를 가지는 제1의 플랜지부와 이 제1의 플랜지부에 연결부를 거쳐 절첩되고 상기 계지조에 계합하는 계합부 및 조정용 지그에 계합 가능한 슬리트를 가지는 제2의 플랜지부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수단에 의하면 축부를 가지는 제1의 플랜지부와 조정용 슬리트를 가지는 제2의 플랜지 부가, 양자의 절첩부 뿐만 아니라 각각에 설치한 계지조와 계합부와의 계합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슬리트에 조정용 지그를 계합하여 조정 노브를 회전하였을 때, 그 회전 방향의 강도는 대폭적으로 향상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제 1 도∼제 4 도에 따라 설명한다.
먼저 제 3 도 제 4 도를 사용하여 본 고안의 1실시예에 반고정 가변 저항기의 구성을 설명한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부호(9)는 이면조정용의 제2의 조정 노브를 나타내고, 그 제2의 조정 노브(9)는 1매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일단이 접동자편(3)에 코킹 고정된 중공(中空)의 축부(9a)와, 그 축부(9a)의 타단에 설치된 제1의 플랜지 부(9b)와, 그 제1의 플랜지부(9b)에 절첩되어 포개진 제2의 플랜지부(9c)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의 플랜지 부(9b)는 그 주연 3개소에 제1플랜지부(9c)측으로 절곡된 계지조(9d)를 가지고, 또 제2의 플랜지 부(9c)는 그 주연 3개소에 오게되고, 게지조(9d)와 계합하는 절결부(9e)를 가짐과 동시에 그 중앙에 직사각 형상의 슬리트(9f)를 가지고, 또한 그 주연 2개소에는 플랜지 형상의 스토퍼 부(9g)를 가지고 있다. 한편, 단자(7)의 절곡부분 근방에는 하나의 절기편(7a)이 설치되고, 그 절기편(7a)은 상기 스토퍼부(9g)의 회전 괴적내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2의 조정노브(9)의 슬리트(9f)에 드라이버와 같은 지그를 계합하여 이것을 회전하면, 그 회전력을 제1 및 제2의 플랜지 부(9b)(9c)사이의 절결부(9h)와 3개의 계지조(9d)를 거쳐서 제1의 플랜지 부(9b)에, 다시 그 제1의 플랜지 부(9b)에 일체로 형성된 축부(9a)를 거쳐 축부(9a)의 선단에 고착된 접동자편(3)에 전달되고, 그에 따라 접동자편(3)이 저항기판(2)위로 접동한다.
또, 이때의 제2의 조정노부(9)의 회전 각도는 상기 스토퍼부(9g)의 어느한쪽이 단자(7)의 절기편(7a)과 맞닿으므로서 규제된다. 또한, 기타의 구성은 제 5 도에 나타낸 종래와 마찬가지이므로, 동일 부호를 붙히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상기 제2의 조정 노즈(9)의 제조방법을 제 1 도 및 제 2 도의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후프형상의 금속판을 프레스 성형하고, 제 1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드로우잉 가공된 중공의 축부(9a)와 이 축부(9a)에 대하여 직교방향으로 뻗는 평판부를 형성한다. 이 평판부는 주연 3개소에 계지조(9d)를 가지는 제1의 플랜지부(9b)와, 주연에 3개의 절결부(9e)와 2개의 스토퍼 부(9g)을 가짐과 동시에, 중앙에 직사각 형상의 슬리트(9f)를 가지는 제2의 플랜지부(9c)로 이루어지고 이들 두 플랜지부(9b,9c) 사이는 폭협부(輻挾部)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평판부를 제 1 도 중 A-A선으로 나타낸 부분을 경계로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절첩하고, 제1의 플랜지부(9b)상에 제2의 플랜지부(9c)를 포개 맞춘다. 그 다음, 제 2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계지조(9d)를 제2의 플랜지부(9c) 방향으로 절곡하고, 이들 계지조(9d)를 각 절결부(9e)에 계합한다. 이에 따라서, 금속판의 2배의 두께를 가지는 플랜지와 그 프랜지로부터 직교방향으로 뻗는 축부(9a)를 구비한 제2의 조정노브(9)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제2의 조정노브(9)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플랜지가 2매의 플랜지부(9b),(9c)를 절첩한 두꺼운 구조로 되어 있고, 더우기 이들 플랜지부(9b),(9c)는 각각의 계지조(9b)와 절결부(9e)가 계합된 상태로 포개져 있기 때문에 드라이버와 같은 지그를 슬리트(9f)에 삽입하여 제2의 조정노브(9)를 회전하였을 때의 회전력에 대하여 충분히 강하고, 회전 조작시에 절첩부(9h)가 변형한다고 하는 결점은 없다. 또, 축부(9a)를 가지는 제1의 플랜지부(9b)측에 계지조(9d)를 슬리트(9f)를 변형한다고 하는 결점은 없다. 또, 축부(9a)를 가지는 제1의 플랜지부(9b)측에 계지조(9d)의 선단을 제2의 플랜지부(9c)의 면으로부터 돌출시켜도 회전 조작에 지장을 가져오는 일은 없고 그러므로 계지조(9d)와 절결부(9e)와의 계합을 확실하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약 90도 간격으로 형성된 3개의 계지조(3d)와 같이 약 90도 간격으로 형성한 3개의 절결부(9e)를 사용하였을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계지조(9d)와 절결부(9e)의 개수나 형성 위치는 필요에 따라서 적당히 변경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계지조(9d)에 계합하는 계합부의 일예로서 절결부(9e)를 들었으나 이 계합부는 제2의 플랜지부(9c)의 내면에 있어서 계지조(9d)와 계합되는 것이라면 그 형상은 특징되지 않으며, 따라서, 제2의 플랜지부(9c)의 주연에 연설된 돌출부나 제2의 플랜지부(9c)의 주연 근방에 천설된 구멍등을 상기 절결부(9e)대한에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이면 조정용의 조정 노브에 필요한 축부나 플랜지 혹은 회전 조작용의 슬리트등을 1매의 금속판으로부터 플래스 성형으로 연속가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플랜지의 회전방향의 강도를 2매의 플랜지형상 판재로 형성한 계지조와 계합부와의 계합에 의하여 높힐수가 있고, 그 때문에, 양산성에 뛰어나고 또한 조정작업을 확실하게 행할 수가 있는 반고정가변저항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

  1. 표면에 저항층이 형성된 기판과 이 저항층위를 접동가능한 접동자편이 설치된 제1의 조정 노브와, 상기 기판에 삽통된 축부 및 그 축부에 연설된 플랜지를 가지는 제2의 조정 노브를 구비하고, 상기 접동자편이 저항층위를 회전접동하여 접촉위치를 변경하므로서 소망의 저항치가 얻어지는 반고정 가변 저항기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조정 노브가, 상기 축부의 일단에 연설되고, 또한 절곡형성된 계지조를 가지는 제1의 플랜지부와, 이 제1의 플랜지부에 연결부를 거쳐 절첩되고, 상기 계지조에 계합하는 계합부 및 조정용 지그에 계합가능한 슬리트를 가지는 제2의 플랜지부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고정 가변 저항기.
KR2019860013384U 1986-01-29 1986-08-30 반고정 가변저항기 KR90000263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6010333U JPH0445205Y2 (ko) 1986-01-29 1986-01-29
JP86-10333 1986-0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2714U KR870012714U (ko) 1987-08-05
KR900002639Y1 true KR900002639Y1 (ko) 1990-03-31

Family

ID=11747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3384U KR900002639Y1 (ko) 1986-01-29 1986-08-30 반고정 가변저항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445205Y2 (ko)
KR (1) KR9000026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9781B1 (ko) * 1999-06-14 2002-08-24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가변 저항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7706B2 (ja) * 1980-08-29 1984-09-11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非晶質金属製造用のノズル
JPS5937706U (ja) * 1982-08-31 1984-03-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小型可変抵抗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9781B1 (ko) * 1999-06-14 2002-08-24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가변 저항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2714U (ko) 1987-08-05
JPS62124805U (ko) 1987-08-08
JPH0445205Y2 (ko) 1992-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07631A (ko) 커넥터
KR900002639Y1 (ko) 반고정 가변저항기
US4658104A (en) Printed wiring board
US4565990A (en) Rotary operation type miniaturized electronic component
JPH0423286Y2 (ko)
KR0184261B1 (ko) 가변저항기
EP0093327B1 (de) Elektrischer Drehschalter
JP2011171633A (ja) 表面実装用電気部品
JP3534642B2 (ja) 回転型可変抵抗器
KR910008874Y1 (ko) 연동형 가변저항기
JPH0241686Y2 (ko)
JP2939103B2 (ja) 回転形可変抵抗器
JPH02119103A (ja) 半固定型可変抵抗器の製造方法
JPS6133606Y2 (ko)
JPH0754963Y2 (ja) 可変抵抗器
JP3990005B2 (ja) 回転型電子部品
JPH0747841Y2 (ja) 電子素子
KR890003933Y1 (ko) 슬라이드식 가변저항기
JPS6127129Y2 (ko)
JPS6223051Y2 (ko)
US4187417A (en) Printed circuit contact
JP2742136B2 (ja) 回転操作型可変抵抗器
JPH085525Y2 (ja) 可変抵抗器
JPH0231762Y2 (ko)
JPS62190703A (ja) 可変抵抗器用抵抗基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229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