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2633B1 - 시분할 다중 통신의 통신제어 방식 - Google Patents

시분할 다중 통신의 통신제어 방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633B1
KR900002633B1 KR1019860007868A KR860007868A KR900002633B1 KR 900002633 B1 KR900002633 B1 KR 900002633B1 KR 1019860007868 A KR1019860007868 A KR 1019860007868A KR 860007868 A KR860007868 A KR 860007868A KR 900002633 B1 KR900002633 B1 KR 900002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mmunication
slot
signal
time div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7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3631A (ko
Inventor
요시히로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컴퓨터 서어비스 가부시끼 가이샤
오오까와 이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컴퓨터 서어비스 가부시끼 가이샤, 오오까와 이사오 filed Critical 컴퓨터 서어비스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3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3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22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using time-division multiple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시분할 다중 통신의 통신제어 방식
제 1 도는, 본 발명의 통신제어 방식의 1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
제 2 도는, 슬로트 내에 격납되는 데이터 패키트의 형식을 나타내는 설명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로루컬에리어 네트 워크의 일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로우컬 에리어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탭 유니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V1, V2: 수직 동기 신호 H1∼H489: 수평 동기 신호
S1∼S487: 슬로트 10 : 버스
12 : 싱크로 나이져 14 : 더미네이터
16 : 마스터 탭 유니트 18 : CRT 단말
20 : 탭 유니트 22 : 단말
24 : RS-232C케이블 26 : 시스템 버스 인터페이스
28 : 동기 분리회로 30 : 시리얼-파라렐 변환회로
32 : 상태 어드레스 디코오더회로 34 : 수신용 단말수 설정회로
36 : 파라렐-시리얼 변환회로 38 : 자국 어드레스 설정회로
40 : 송신용 단말수 설정회로 42 : RS-232C 인터 페이스
44 : 버스 46 : 제어부
본 발명은, 주로 로우컬 에리어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시분할 다중 통신 장치의 통신 제어 방식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 로우컬 에리어 네트워크(이하 LAN이라 약칭함)에 있어서는, NTSC의 동기 신호를 이용한 시분할 다중 통신을 통신 방식으로서 채용하고 있는 것이 있다.
이와같은 통신은, 시분할 다중 통신 장치에 의하여, NTSC의 동기 신호를 이용하여, 이 신호내의 수직 동기 신호에 의하여 프레임 동기를 행하고, 마찬가지로 이 신호내의 수평 동기 신호에 의하여 스로트 동기를 행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그의 통신 제어 방식도 확립되어져 있다.
예를들면, 분기를 가지기는 하나 루우프를 갖지 아니한 단일 버스 형 LAN의 경우에, 네트 워크상의 단말은 모두 버스에 접속되어 있으나, 어떤 순간에 송신할 수 있는 것은 그중의 1대만이다.
이로 인하여, 각 단말의 통신이 충돌하지 아니하도록 통신 제어 방식이 설정되어, 각 단말은 이 통신제어 방식에 따라 통신제어 장치를 구성하고, 이것을 통하여 버스에 접속되어져 있다.
이 통신제어 방식으로서는 몇가지 인가의 방식이 있으나, 각 단말에 거의 균등한 사용빈도가 있는 경우, 또는 비교적 간단하고 손쉬운 LAN의 경우에, 상술한 바와같은 1 프레임을 복수 슬로트로서 분할하고, 슬로트 단위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시분할 다중방식이, 각 단말의 구성이 용이하여 가장 적합하였다.
이 방식은, 각 슬로트를 그의 배열 순으로 각 단말에 할당하고, 1 프레임에 1회 내지 복수회의 송신의 기회를 각 단말에 부여한다.
그런데, 상기한 방식에서는 각 슬로르를 그의 배열 순으로 각 단말에 할당하고, 1프레임에 1회 내지 복수회의 송신의 기회를 각 단말에 부여하기 때문에, 각 단말 사이에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는 편리하다.
그러나, 해당 LAN의 시스템의 변경에 관한 정보등과 같이, 동일의 정보를 모두의 단말에 전달하는 경우, 즉, 동일의 정보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는, 1대 1의 통신을 각 단말에 대하여 단말의 수 만큼 행할 필요가 있어서, 능률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동일의 정보 통신 기능을 구성하여, 시스템에 관한 정보등의 일괄 통신을 용이하게 행할수 있는 시분할 다중 통신의 통신제어 방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2종류의 동기 신호를 이용하여, 이 신호내의 수직 동기 신호에 의하여 프레임 동기를 행하고, 마찬가지로 이 신호내의 수평 동기 신호에 의하여 슬로트 동기를 행하는 LAN에 있어서의 시분할 다중 통신의 통신제어 방식으로서, 1 프레임을 복수 슬로트로서 분할하고, 각 슬로트를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복수의 단말에 할당함과 동시에, 적어도 1 슬로트를, 각 단말에 대하여 공통의 정보를 일괄하여 송신하기 위한 동일의 정보 통신용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미리 동일의 정보 통신용의 슬로트를 설정하고 있는 것이어서, 해당 LAN의 버스의 어느 곳인가에, 동일의 정보 통신용의 단말을 접속하여, 1 프레임에 적어도 한번을 동일의 정보 통신의 정보를 송신할 수가 있다.
더욱이, 한번에 모두의 단말을 향하여 송신할 수가 있다.
한편, 각 단말은, 각 슬로트에 있어서 자기 지정의 정보가 있는 패키트와 해당 동일의 정보 통신용 패키트만을 감시하면 좋으므로, 감시회로를 복잡하게 할 필요가 없다.
이 결과, 시스템의 변경 정보등의 연락의 번잡함이 대폭적으로 경감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통신제어 방식의 1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제 2 도는, 슬로트내에 격납되는 데이터 패키트의 형식을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제 3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LAN의 일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제 4 도는 상기한 LAN에 접속되는 탭 유니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 1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직 동기 신호(V1)∼(V2)까지의 사이에, 즉 1 프레임을 489개의 수평동기 신호(H1)∼(H489)에 의하여 분할하여, 슬로트(S0)∼슬로트(S487)를 설정하고 있다.
1 프레임은, 16.6ms의 길이로 되어있고, 이 중에서, 수직동기 신호는 0.6ms, 수평동기 신호는 5μs, 슬로트 길이는 32.5μs, 데이터 길이는 20μs로 각각 설정되어 있다.
슬로트(SO), (S60), (S120), (S180), (S240), (S300), (S360) 및 (S4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동일의 정보 통신용으로서, 어드레스 0의 마스터 탭에서 데이터가 써 넣어진다.
그밖의 슬로트는, 60대의 단말을 버스에 접속하는 것으로 하고, 각 단말에 어드레스 1∼60를 설정한다.
또한, 각 슬로트가 끼워넣어지는 패키트는, 제 2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20비트의 길이로 설정하고 있다.
최초의 1비트째는, 스타아트 비트이고, 다음의 3비트가 제어비트이며, 나머지의 16비트가 데이터 비트이다.
이와같이 설정이 되면, 각 단말은, 1프레임 중에서 8회의 데이터 송출기회를 가지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1패키트가 20비트이므로, 한 대의 단말 당의 데이터 전송 속도는, 다음식으로 나타나게 된다.
8회 × 20비트 × 60/S = 9600비트/S
다음에, 상기 통신제어 방식을 적용하는 LAN의 일예를 제 3 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3 도에 있어서, 일단에 상기한 수직 및 수평의 각 동기 신호를 발생하는 싱크로 나이져(12)와, 다름 끝단에 버스의 마지막 단 처리를 행하여서 전송의 안정화를 도모하는 더미네이터(14)와를 접속한 동축 케이블로 이루어지는 버스(10)에, 탭 유니트(20)가 접속되어 있다. 이 탭 유니트(20)에는, RS-232C 케이블(24)에 의하여 단말(22)이 접속되어 있다.
이 마스터 탭 유니트(16)는, 시스템의 설치정보등의 정보를 일괄하여 각 탭 유니트(20)에 송출하는 특수한 탭 유니트이어서, 통상의 탭 유니트(20)와 같은 통신은 행하지 아니한다.
또한, 비스(10)에는, 마스터 탭 유니트(16)가 접속되어 있다.
이 마스터 탭 유니트(16)에는, RS-232C케이블(24)에 의하여 CRT단말(18)이 접속되어 있다. 탭 유니트(20)는, 제 4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시스템 버스 인터페이스(26)와, 동기신호 분리회로(28)와, 시리얼-파라렐 변환회로(30)와, 상대 어드레스 디코오더 회로(32)와, 수신용 단말수 설정회로(34)와, 파라렐-시리얼 변환회로(36)와, 자국 어드레스 설정회로(38)와, 송신용 단말수 설정회로(40)와, RS-232C인터페이스(42)와, 버스(44)와, 제어부(46)와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시스템 버스 인터페이스(26)는, 버스(10)와 접속되어 있고, 한편, RS-232C인터페이스(42)는, RS-232C케이블(24)에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이 실시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단말(22)의 수신용 단말수 설정회로(34) 및 송신용 단말수 설정회로(40)에, 해당 LAN의 단말수를 설정하여 두고, 이 수는 해당 LAN의 단말수에 변경이 없는한 그 상태대로 보호지지 시킨다.
또한, 자국 어드레스 설정회로(38)에 해당단말에 할당되어져 있는 어드레스를 설정하여 두고, 이 어드레스도 변경이 없는한 그 상태대로 보호지지된다.
한편, 버스(10)상에는, 싱크로나이져(12)로부터 수직동기 신호(V)와 이것에 연이어지는 수평동기 신호(H)가 소정 시간간격으로 순차적으로 출력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각 단말(22)의 탭 유니트(20)에서는, 시스템 버스 인터페이스(26)를 통하여 이 동기 신호를 받아넣어, 수직동기 신호(V)에서 수신용 단말수 설정회로(34) 및 송신용 단말수 설정회로(40)의 단말 설정수를 제하고, 또한, 자국 어드레스 설정회로(38)의 설정 어드레스를 제하여서 내부의 각 회로의 초기화를 행한다.
여기에서, 단말축으로부터 송신을 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에, 단말(22)에서 RS-232C케이블(24) 및 RS-232C 인터페이스(42)를 통하여 보내진 송신 데이터는, 내부 버스(44)를 거쳐서 파라렐-시리얼 변환회로(36)에 입력된다.
여기에서, 자국 어드레스 설정회로(38)에서는, 수평동기 신호(H1)에서 이 동기 신호(H)를 계수하여, 계수치가 자기의 어드레스에 도달하면, 자기 슬로트 검출 신호를 파라렐-시리얼 변환회로(36) 및 송신용 단말수 설정회로(40)에 보낸다. 파라렐-시리얼 변환회로(36)에서는, 이 신호를 받아서, 보호지지되고 있는 송신 데이터를, 시스템 버스 인터페이스(26)를 통하여 시리얼로 버스(10)에 보낸다.
그리고, 파라렐-시리얼 변환회로(36)에는, 다음의 송신 데이터가 입력된다.
이 데이터에서 다음의 수직동기 신호(V)가 입력될때까지는, 송신용 단말수 설정회로(40)에 있어서, 상기한 자기 슬로트 검출 신호를 기점으로 하여서, 수평동기 신호(H)를 설정하고 있는 단말수분을 카운트하여, 단말수에 도달하면, 상기와 동일하게 자기슬로트 검출신호를 출력한다.
파라렐-시리얼 변환회로(36)에서는 이 신호를 받아서 보호지지하고 있는 송신 데이터를, 시리얼로 버스(10)에 보낸다. 마스터 탭 유니트(16)에서의 동일의 정보 통신은, 수직동기신호의 바로뒤의 수평동기 신호(H1)를 검출하여 슬로트(SO)에 설치 정보등의 동일의 정보 통신 데이터를 실는다.
또한, 이 마스터 탭 유니트(16)에도 단말수를 계수하는 회로를 구성하여 두고 단말수를 계수하여, 다음의 동일의 정보 통신용 슬로트(S60)를 검출한다.
이하 동일하게하여, 슬로트(S120), (S180), (S240), (S300), (S360), 및 (S420)을 검출한다.
그런데, 이 동일의 정보 통신의 경우에는, 수신 어드레스가 특별히 정하여 있지 아니한 것이어서, 그 슬로트(SO)가 동일의 정보 통신 상태에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구별하는 수단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패키트내의 제어 비트내의 1비트를 이용하여, 동일의 정보 통신인가 아닌가를 나타내는 플레그(Flag)를 설정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다음에, 각 단말(22)의 탭 유니트(20)에서는, 버스(10)위를 흐르는 동기 신호와 패키트와를 시스템 버스 인터페이스(26)를 통하여 거두어 들인다. 수직 및 수평의 각 동기 신호는, 동기 신호 분리회로(28)에서 분리되어, 수신 단말수 설정회로(34)에 보내진다.
패키트내의 데이터는, 시리얼-파라렐 변환회로(30)에 시리얼로 격납된다.
여기에서, 상대 어드레스 디코오더회로(32)에 있어서, 데이터내의 수신 어드레스를 조사한다.
수신 어드레스가 자기 어드레스이면, 수신신호를 출력하여 시리얼-파라렐 변환회로(30)와 수신 단말수 설정회로(34)에 입력한다. 시리얼-파라렐 변환회로(30)는, 이 수신 신호를 받아서, 보호지지되고 있는 데이터를 파라렐로 단말(22)에 보낸다.
한편, 수신 어드레스가 자기 어드레스가 아닌 경우에는, 상대 어드레스 디코오더 회로(32)는, 수신신호를 출력하지 아니하므로, 이로 인하여, 시리얼-파라렐 변환회로(30)의 데이터는, 단말 내부에 거두어 드려짐이 없이, 그 상태대로, 다음의 데이터에 써넣기로 변환된다.
수신 단말수 설정회로(34)는, 상기한 수신신호를 받으면, 수평동기 신호(H)를 계수하여, 그 계수치가 설정 단말수에 도달하면, 상기한 수신신호를 출력한다.
이것에 의하여, 대응하는 슬로트로부터 시리얼-파라렐 변환회로(30)에 격납되어 있던 데이터를 단말에 보낸다.
그런데, 동기분리 회로(28)가 최초의 수평동기 신호(H1)를 검출하였을때에는 제어부(46)는 해당 패키트의 제어비트를 조사하여, 정규의 동일한 정보통신인가 아닌가를 조사한다.
정규의 동일한 정보통신이면, 시리얼-파라렐 변환회로(30)에 거두어 드려진 패키트의 데이터를 단말(22)에 보낸다. 정규의 동일한 정보통신이 아니면, 그 상태대로 다음의 패키트의 데이터에 써넣기로 변환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시분할 다중으로 할 때에, 각 단말에 균등한 송신 기회가 부여됨과 동시에, 동일의 정보통신을 간단하고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대량의 데이터를 복수의 패키트에 순차적으로 보낼 경우에, 자기가 사용할 수 있는 슬로트를 수평동기 신호를 계수하는 것만으로서 간단하게 실행할 수가 있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단말을 60대 접속한 LAN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나, 접속대수는, 패키트의 길이, 1프레임에 있어서의 송신 가능회수등을 적절히 설정하는 것에 의하여,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동일의 정보 통신 기능을 구성하여, 시스템에 관한 정보등의 일괄 통신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시분할 다중 통신의 통신제어 방식을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2종류의 동기 신호를 이용하여, 이 신호내의 수직 동기 신호(V)에 의하여 프레임 동기를 행하고, 마찬가지로 이 신호 내의 수평동기 신호(H)에 의하여 슬로트 동기를 행하는 로우컬 에리어네트 워크에 있어서의 시분할 다중 통신의 통신제어 방식으로서, 1 프레임을 복수 슬로트로 분할하고, 각 슬로트를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복수의 단말(22)에 할당함과 동시에, 적어도 1슬로트를, 각 단말에 대하여 공통의 정보를 일괄하여 송신하기 위한 동일의 정보 통신용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분할 다중 통신의 통신제어방식.
KR1019860007868A 1985-09-19 1986-09-17 시분할 다중 통신의 통신제어 방식 KR9000026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207557 1985-09-19
JP60207557A JPS6267945A (ja) 1985-09-19 1985-09-19 時分割多重通信の通信制御方式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3631A KR870003631A (ko) 1987-04-18
KR900002633B1 true KR900002633B1 (ko) 1990-04-21

Family

ID=16541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7868A KR900002633B1 (ko) 1985-09-19 1986-09-17 시분할 다중 통신의 통신제어 방식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267945A (ko)
KR (1) KR9000026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26423B2 (ja) 2002-06-19 2007-12-26 日本電気株式会社 基地局装置および移動体同報通信システム
CN106155013B (zh) * 2015-05-20 2019-01-01 宁夏巨能机器人系统有限公司 一种用于自动化生产线的dnc通讯装置及其通讯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3365A (en) * 1974-07-24 1976-02-02 Hirata Puresu Kogyo Kk Bunkikanno seizohoho
JPS596544B2 (ja) * 1977-05-18 1984-02-13 三菱電機株式会社 構内伝送システムの制御方式
JPS6016045A (ja) * 1983-07-08 1985-01-26 Comput Services Corp 端末機と処理装置間の相互連絡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S6043940A (ja) * 1983-08-22 1985-03-08 Comput Services Corp 時分割同期通信における送信装置
JPS6043933A (ja) * 1983-08-22 1985-03-08 Comput Services Corp 時分割同期通信における受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3631A (ko) 1987-04-18
JPS6267945A (ja) 198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02491B2 (ja) エレベータコントローラと乗客との間の通信を制御する制御システム
KR100286791B1 (ko) 네트워크 링크 엔드포인트 자격검출
US4367488A (en) Data encoding for television
US6072804A (en) Ring bus data transfer system
US4488293A (en) Asynchronous digital TDM multiplexer-demultiplexer combination
EP0121410B1 (en) Bus-configured local area network with data exchange capability
US5105421A (en) System for controlling multiple line cards on a TDM bus
JPH02156750A (ja) 多重アクセス制御方法および該方法を実施する多重アクセス制御システム
US5305320A (en) Peripheral communications network
US5621725A (en)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preventing dropout of data block
US627257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assenger service system and telephone signals over a network
EP0595911B1 (en) Basic rate interface
GB1331547A (en) Multiplexing and demultiplexing system for telegrphic or data transmission channels
KR900002633B1 (ko) 시분할 다중 통신의 통신제어 방식
EP0829152B1 (en) A ring bus data transfer system
US4964122A (en) TDM data transmission system
US6044085A (en) Method for arbitrating for access to a control channel in a data bus system
US4528660A (en) Multiplexed data stream monitor
US4532627A (en) Time multiplex controlled data system
US6510449B1 (en) Data transmission system
US443718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leaving control signals
CA2088210A1 (en) Procedure for synchronizing circuit elements of a telecommunications system
JPS6367929A (ja) 通信制御装置
KR900002634B1 (ko) 시분할 다중통신 입출력장치
US5339308A (en) Signal size judg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3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