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2249B1 - 사출 성형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의 유동성 개선 방법 - Google Patents

사출 성형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의 유동성 개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249B1
KR900002249B1 KR1019850003247A KR850003247A KR900002249B1 KR 900002249 B1 KR900002249 B1 KR 900002249B1 KR 1019850003247 A KR1019850003247 A KR 1019850003247A KR 850003247 A KR850003247 A KR 850003247A KR 900002249 B1 KR900002249 B1 KR 900002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ster
composition
biphenol
acid
ar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3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8177A (ko
Inventor
구스트 코티스 스티브
레이톤 리차드
데이비드 필드 나탄
Original Assignee
아모코 코포레이션
랄프 씨. 메드허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모코 코포레이션, 랄프 씨. 메드허스트 filed Critical 아모코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850008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8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2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60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the reaction of a mixture of hydroxy carboxylic acids,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605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the reaction of a mixture of hydroxy carboxylic acids,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the hydroxy and carboxylic groups being bound to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사출 성형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의 유동성 개선 방법
본 발명은 사출 성형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의 유동성 개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全)방향족 폴리에스테르를 기재로 하는 성형 조성물의 성형성은 전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에 다음과 같은 반복 단위들이 조합된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소량 첨가함으로써 개선된다.
Figure kpo00001
상기 식에서 p=0-0.9, q=0.1-1.00, r=1-7,s=0.3-1.00, t=0-0.7이다.
적합한 조성물은 반복 단위들이 p=0, q=1.0, r=1-5 및 s=1.0 인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된 것이다.
전 방향족 에스테르류가 성형 조형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이 주로 관련된 종류의 전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의 합성법은 발명의 명칭 "p-옥시벤조일 코폴리 에스테르"의 미합중국 특허 제 3,637,595 호에 개시되어 있다,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류, 더욱 구체적으로 옥시벤조일 폴리에스테르의 성형성을 기재한 다른 특허로서는 미합중국 특허 제 3,662,052 호, 제 3,849,362 호 및 제 4,219,629호를 들 수 있다.
위와 같은 목적에 이용될 수 있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류의 또 다른 군으로서는 반복 단위로서 2,6-디카로복시나프탈렌 성분 및 (또는) p-옥시벤조일 성분, 대칭성 디옥시 아릴 성분을 갖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류 및 이들의 유도체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폴리에스테르류는 다음과 같은 미합중국 특허에 기재되어 있다. 즉, 미합중국 특허 제 4,067,852 호, 제 4,083,829 호, 제 4,130,545 호, 제 4,161,470 호,제 4,184,996 호, 제 4,219,461 호, 제4,224,433 호, 제 4,238,598 호, 제4,238,599 호, 제4,256,624호, 제 4,265,802 호, 제 4,279,803 호, 제 4,318,841 호 및 제 4,318,842 호.
본 발명에 유용한 옥시벤조일 폴리에스테르류에는 여러가지 형태의 충전제가 목적으로 하는 특성을 촉진시키는 양으로, 또는 목적하는 특성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는 최소량으로 병용될 수 있다. 적합한 충전제의 예로서는 유리 섬유, 분쇄된 유리, 폴리테트라플루오로 에틸렌, 안료, 활석, 기타 공지의 충전제 및 이들의 배합물들을 들 수 있다.
옥시벤조일 폴리에스테르류를 기재로 한 성형 조성물을 응용한 특정 예로서, 가열을 오븐 및 마이크로웨이브 오븐 모두에 사용될 수 있는 신규한 오븐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것은 "플라스틱 오븐기"란 명칭으로 본 출원인 명의로 출원중인 미합중국 특허 출원 제 450,949 호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충전제로서 특정 품질의 활석을 이용하여 이와같은 오븐기의 생산 공정을 더욱 개선시킨 예로는 "활석을 함유하는 개선된 플라스틱 오븐기"란 발명의 명칭으로 본 출원인 명의로 출원중인 미합중국 특허 출원 제 401,765 호가 있다.
더욱 효과적인 성형 조성물을 개발하고, 성형법을 개선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계속되어 왔다.
본 발명자들은 전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에 특정 조성의 옥시벤조일 폴리에스테르를 소량 혼합시킴으로써 상기 전 방항족 폴리에스테르, 특히 옥시벤조일 폴리에스테르에 보다 좋은 성형 특성과 가공성을 부여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한편 본 발명은 본 출원인 명의로 출원 중인 상기 미합중국 특허 출원명세서들 중에 기재된 수지 모두에 일반적으로 응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특히 이염기성 산성분, 히드록시 방향족 산성분 및 방향족 디올 성분으로서 약 1:2:1의 몰비로 존재하는 테레프탈산, p-히드록시벤조산 및 비페놀로부터 각각 유도된 수지에 이용되는 것이 적합하다. 성형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몰비 이와의 비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수지 이외의 수지들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성형 조성물에는 몰비가 1:3:1, 1:5:1,1:7:1, 1:3.5:1 및 1:1:1 인 수지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수지들은 모두, 테레프탈산 반응 물질의 일부 또는 전부를 이소프탈산으로 대체시켜 제조한 수지를 소량 혼합함으로써 그의 유동성을 개선시킬 수 있었다. 얻어진 수지들은 유동성 개질제로서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다음과 같은 단위들의 조합체이다.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3
상기 식에서, p=0-0.9, q=0.1-1.00, r=1-7, s=0.3-1.00, t=0-0.7이다. 적합한 조성물은 상기 식에서 p=0, q=1.0, r=1-5 및 s=1.0 인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또한 이염기성산 반응 물질이 이소프탈산인 경우에 비페놀 반응 물질의 전부 또는 일부를 히드로퀴논으로 대체시킴으로써 유동성 개질제를 얻을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p-히드록시벤조산의 비율도 변화시킬 수 있다.
유동성 개질제는 약 250℃ 이상의 융점을 가지며, 최종 수지 혼합물의 열 안정성에 역효과를 미치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최종 성형 제품에 있어서 색 또는 착색 안정성을 변화시키지도 아니한다.
이 유동성 개질제는 성형 수지 기재 화합물에 소량으로, 예를 들면 약 1% 내지 약 20%, 적합하기로는 약 2 %내지 약 10% 의 양으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공지된 방법에 따라 압출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들면, 공급구에서 중합체, 특정활성 및 이산화티탄을 첨가하면서 진공능을 갖는 벤트(vent)가 설치된 이축 스크류 압출기(twin screw extruder)를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된 조성물은 사출 성형 분야에서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는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사출 성형된다.
본 발명은 다음에 기재하는 사실예들에 의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이 실시예들에 기재된 "부"와 "백분율"은 달리 기재하지 않는 한 중량에 기초한 것이다. 이들 비제한적인 실시예들은 당업자들에게 본 발명의 실시 방법을 이해 시키기 위한 특정 실시 방법들을 예시한 것이고, 본 발명은 행함에 있어서 가장 적합한 방식을 기재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용어 MF(용융 유동성)는 물질의 압출율(g/10분)로서 ASTMD1238에 정의되어 있다. 시험 조건하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화합물들은 온도 410℃, 하중 약 17.236㎏(381b) 하에서, 길이 약 0/80㎝(0.315인치) 및 직경 약 0.21㎝(0.0825인치)를 갖는 오리피스(orifice)를 통과시킨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용어 중에서 압축 유동성(CF)은 카르버 프레스(Carver press)상에서 약 2267.96㎏(5000 파운드)으로 압축시켰을 경우에 칭량된 샘플의 유동성의 관한 측정치를 의미한다. 이 압축 유동성은 2개의 평행판 사이에서 압축시킨 일정한 중량, 통상 0.5-1.0 그람의 분말상 물질의 샘플로부터 얻은 디스크의 면적으로부터 측정한다. 이 특성을 결정하기 위해서, 2장의 알루미늄박 사이에 샘플을 압착시키고, 이어서 약 15.24㎝ × 약 15.24㎝ × 약 0.64㎝(6'' ×6''× 1/4)의 크롬 도금 강철판으로 압착시켰다. 샘플을 압착시키기 위해서 약 426.67℃(800
Figure kpo00004
F)로 조정한 Carver 2112-X 모델 No.150-C 수압식 압착기를 사용했다. 특정 압착 온도는 각 샘플 시험에서 나타낸 값이다. 샘플 재료와 온도를 압착 온도와 평행되게 하기 위하여 샘플 재료들을 유지 압력하에 판 사이에서 5분 동안 방치시켰다. 이어서, 여기에 약 2267.96㎏(5000파운드)의 하중을 2분 동안 가했다. 이어서 CF를 다음과 같은 근거에 의해서 계산했다. 압착된 성형 화합물의 면적은 2개의 알루미늄 박 시이트 사이에서 압착시킨 샘플로부터 알루미늄 샌드위치를 절단해서 측정한다. 알루미늄박은 알루미늄박 인자라고 하는 공지의 면적/중량 관계를 갖는다. 면적은 가해진 하중의 압력을 정상화시키고, 1보다 큰 숫자를 얻기 위하여 그 숫자에 100을 곱한다. 이어서, 압축 유동성(CF)는 다음과 같은 식에 의해 계산된다.
Figure kpo00005
[실시예 1]
이 실시예는 본 발명에 있어서 기재 성형 수지로서 유용한 코폴리에스테르의 합성을 설멍한 것이다.
비페놀 268부, 파라히드록시벤조산 396부, 아세트산 무수물 692.40부 및 테레프탈산 238부를 혼합하고, 5시간에 걸쳐서 315℃ 온도로 가열하였다. 가열하는 동안 반응 혼합물을 충분히 교반시켰다. 이 반응 혼합물의 온도가 315℃에 도달되었을때, 중합체 성분들을 반응 용기에서 꺼내, 미합중국 스탠다드 시이브 시리이즈(U.S.Standard Sieve Series)로 20-200 메쉬 범위의 입도로 분쇄시켰다. 수지 입자들을 오븐 중에서 16시간 걸쳐서, 점증적으로 345℃로 가열하여, 수지 입자들을 과립상 분말로서 회수했다.
[실시예 2]
성형 주성물은 기재수지로서 실시예 1의 중합체 257.5부, 이산화티탄 금홍석 30부 및 천연 활석의 판상구조를 갖는 고순도 활석 212.5부의 혼합물을 감압(압력 100-150㎜Hg)상태의 이축 스크류 압출기로 압출시켜서 제조하였으며, 2중량%의 작열감량이 있었고, 철 성분은 0.5% Fe2O3로서 분석되었으며, 입도 분포는 입자들 중 95% 이상이 40 미크론 미만인 것으로 나타냈다.
[실시예 3]
비페놀 956부, p-히드록시벤조산 1411부, 아세트산 무수물 2449부, 테레프탈산 743부 및 이소프탈산 106부를 혼합시키고, 온도 상승율을 매 시간당 30℃로 승온시켜서 5시간에 걸쳐서 295℃까지 가열하였다. 가열하는 동안 이 반응 혼합물을 충분히 교반시켰다. 이 반응 혼합물의 온도가 295℃에 도달 되었을때, 중합체 성분들을 반응용기에서 꺼내 냉각시키고, 미합중국 스탠다드 시이브 시리즈의 20-200 메쉬 범위의 입도로 분쇄하였다. 이어서 수지 압자들을 오븐 속에서 11시간에 걸쳐서 366℃까지 가열하고, 이 온도로 1시간 동안 유지시킨 후, 과립상 분말(404℃에서 CF=58)로서 회수했다.
[실시예 4]
비페놀 699부, p-히드록시벤조산 1913부, 아세트산 무수물 2573부 및 이소프탈산 620부를 혼합하고, 온도상승율을 매시간 당 30℃로 상승시켜서 5시간에 걸쳐서 304℃까지 가열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가열 중에 완전히 교반시켰다. 이 반응 혼합물의 온도가 300℃에 도달되었을때, 용융물을 2개의 아암(arm)이 설치된 기계식 혼합기에 붓고, 이 용융물을 324℃에서 4시간 동안 혼합하였다. 이 용융물은 냉각된 후 270℃에서 CF = 217을 갖고, 고유 점도(Ⅳ)가 0.85(펜타플루오로 페놀중에서 0.1%)인 고체로 전환되었다.
[실시예 5]
비페놀 699부, p-히드록시벤조산 1913부, 아세트산 무수물 2573부, 이소프탈산 620부 및 Mg(OAc)2 ·4H2O 2.1부를 혼합하고, 온도의 상승율을 매시간 당 35℃로 상승시켜서 3시간에 걸쳐서 255℃까지 가열하였다. 가열하는 동안 이 반응 혼합물을 충분히 교반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255-265℃에서 1시간 더 유지시켰다. 이어서 용유물을 2개의 아암이 설치된 기계식 혼합기에 붓고, 260℃ 에서 4시간 동안 혼합하였다. 이 용융물은 냉각된 후, 270℃에서 CF가 64이고, Ⅳ=1.0인 고체로 전환되었다.
다음 실시예들은 옥시벤조일 폴리에스테르 기재 성형 컴파운드에 우수한 유동 특성을 부여하기 위한 유동성 개질제 수지의 이용을 설명한 것이다.
[실시예 6]
실시예 3의 공중합체(CF=58)를 실시예 2의 성형조성물 펠렛과 실시예 2의 조성물 95부에 대해 실시예 3의 수지 5부의 비율로 분말 형태로 혼합하였다. 이 생성혼합물을 실시예 2의 개질시키지 않은 조성물로 구성된 대조물과 대비해서 성형하였다. 성형 조건들과 대응하는 저장 온도는 다음 표에 기재된 것과 같다.
Figure kpo00006
위 표에서 첨가제를 함유하는 개질된 조성물의 저장 온도가 5℃ 낮았으므로, 개질된 조성물의 유동 특성이 보다 양호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7]
실시예 5에서 이소프탈산, p-히드록시벤조산 및 비페놀(몰비 1:3.71:1.00)로 제조한 수지 50%와 휘타커(Whitaker), 클라크(Clark) 및 다니엘(Daniel)의 Polytal 4545 활석 50%로 되는 혼합물을 단축 스크류 압출기에서 혼합하고, 이어서 이 혼합물을 펠렛형으로 회수했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한 수지 4%와 실시예 2의 조성물의 펠렛 96%로된 혼합물을 실시예 2의 개질시키지 않은 조성물로 구성되는 대조물과 대비해서 성형하였다. 성형 조건들 및 대응하는 저장 온도는 다음 표에 기재한 것과 같다.
Figure kpo00007
보다 작은 토오크(torque)로 성형한 혼합 개질된 조성물과 성형표들은 더욱 양호한 광택을 나타냈으며, 성형하는 동안 대조물보다 작은 점착성을 나타냈다. 저장 온도는 16℃가 낮아졌다.
[실시예 8]
A. 유동성 개질제 수지를 이소프탈산, p-히드록시 벤조산 및 비페놀(몰비 1:3.71:1.005)를 사용해서 실시예 3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이 수지 10%를 Polytal 4545 42%, 이산화티탄 금홍석 8% 및 실시예 2의 수지 40%와 혼합하였다(조성물 A)
B. 실시예 1의 수지 50%를 Polytal 4545 42%와 이산화티탄 금홍석 8%와 혼합하여 성형 조형물(B)을 제조했다.
상기 조성물 A와 B의 혼합물을 다음 표에 나타난 비율로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약 2.54㎝(1인치) 킬론(Killon)압출기를 사용해서 펠렛형으로 압출시켰다. 이 표에 나타난 압출 성형의 용이성과 용융 유동성(MF)으로부터 유동성 개질제의 효능이 증명되었다.
Figure kpo00008
압출된 펠렛의 압출 유동성(CF)와 용융 유동성(MF) 모두가 유동성이 높은 물질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실시예 9 및 10]
다음 실시예들은 다량의 충전제를 함유하는 성형 수지들로 성형한 물품들의 특성에 역효과를 미치지 아니하고, 옥시벤조일 기재 성형 수지와 병용할 수 있는 충전제의 양을 증가시키기 위한 유동성 개질제 수지의 사용에 관해 설명한 것이다.
[실시예 9]
79%의 충전제를 함유하는 오븐 속에서 건조시킨 Potters E-3000 유리 비드(glass beads) 1300부, 이산화티탄 금홍석 100부, 실시예 1에 기재된 옥시벤조일 폴리에스테르 기재 수지 560부 및 실시예 5에 기재된 유동성 개질제 40부로된 혼합물을 각각 약 326.7℃(620°F), 약 382.2℃(720°F) 및 약 393.3℃(740°F)로 유지된 대역(공급) 1,2 및 3을 갖는 약 2.54㎝(1인치)킬론 압출기를 사용해서 압출시켰다. 30rpm 에서 전류계는 단지 3-4apm를 기록하였다(엠프티 압출에서는 약 1/2apm를 기록했다). 이러한 조건 하에서, 담회색.베이지색 용융 리본(다이없음)이 압출하였다. 이 리본을 칩(chip)형태로 만들고, 얻어진 칩들을 30톤 Newbury기를 사용해서 사출 성형하였다. 두께 73밀(mil), 약 7.62㎝ × 약 7.62㎝(3인치 × 3인치)의 트레이를 얻었다. 이 트레이의 Dynatup 충격 강도는 0.74ft - lb이었으며, 260℃ 에서 내부풀음성을 나타냈고, 42% 미만의 비드를 함유하는 성형 화합물로 만든 트레이에 있어서 개선된 내인소성(scratch resistance)과 개선된 경도를 나타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유동성 개질제를 사용하지 않고, 50% 이상의 충전제를 함유시킨 배합물에 있어서 동일한 옥시벤조일 폴리에스테르 수지, TiO2및 E유리를 사용하는 유사한 조성물을 혼합(압출)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실시예 10]
진공 장치를 설치한 83㎜ "ZSK" 이축 스크류 압출기를 이용하여서, 다음과 같은 혼합물들을 300lb/시간 및 125rpm으로 압출시켰다.
혼합물Ⅰ(50%수준)-실시예 1에 기재된 수지 50부, Polytal 4545 활석 45.5부 및 TiO2금홍석 4.5부.
혼합물Ⅱ(60%수준)-실시예 1에 기재된 수지 38부, 실시예 5에 기재된 유동성 개질제 2부, Polytal 4545 활석 55부 및 TiO2금홍석 5부.
혼합물Ⅱ는 충전제를 10% 함유하고 있지만, 유동성 개질제를 전혀 함유하지 않은 혼합물Ⅰ보다 휠씬 낮은 토오크로 압출되었다.
압출된 펠렛은 다음과 같은 유동 특성을 갖는다.
Figure kpo00009
이 혼합물들을 Windsor 180톤 성형기로 ASTM 시험 편으로 성형하여 약 25.4㎝(10인치) × 약 12.7㎝(5인치)의 트레이를 얻었다. 혼합물Ⅱ는 더욱 많은 양을 충전시켰지만, 유동성 개질제를 전혀 함유하지 아니한 혼합물Ⅰ보다 10℃ 낮은 저장 온도와 더 낮은 로오크에서 성형되었다. 생성된 물리적 특성들은 완전히 허용되었다.
상기 실시예와 특허청구 범위에 기재된 비는 몰비이다.

Claims (18)

  1. 방향족 옥시벤조일 폴리에스테르 조성물로 구성된 성형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옥시벤조일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에 다음과 같은 단위들의 조합체로 구성되는 상기 방향족 옥시벤조일 폴리에스테르와는 상이한 중합성 유동 개질제를 소량 첨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족 옥시벤조일 폴리에스테르류 성형품의 개선된 제조방법.
    Figure kpo00010
    상기식에서 p=0-0.9, q=0.1-1.00, r=1-7, s=0.3-1.00 및 t=0-0.7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구조식 중 단위들의 비율이 p=0, q=1.0, r=1-5, s=1.0인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유동성 개질제를 1%-20%의 양으로 함유시키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유동성 개질제를 2%-10%의 양으로 함유시키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방향족 옥시벤조일 폴리에스테르가 테레프탈산, p-히드록시벤조산 및 비페놀의 반응에 의하여 제조된 폴리에스테르인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방향족 옥시벤조일 폴리에스테르 유동 개질제가 이소프탈산, p-히드록시벤조산 및 비페놀의 반응에 의하여 제조된 폴리에스테르인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방향족 옥시벤조일 폴리에스테르 유동 개질제가 이소프탈산과 테레프탈산의 혼합물, p-히드록시벤조산 및 비페놀의 반응에 의하여 제조된 폴리에스테르인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테레프탈산, p-히드록시벤조산 및 비페놀의 몰비가 각각 1:0.1:1-1:15:1인 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테레프탈산, p-히드록시벤조산 및 비페놀의 몰비가 1:2:1 인 방법.
  10. 다음과 같은 단위들의 조합체로 구성되는 소량의 중합체 유동성 개질제 및 이와는 상이한 방향족 옥시벤조일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되는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는 조성물.
    Figure kpo00011
    상기 식에서, p=0-0.9, q=0.1-1.00, r=1-7, s=0.3-1.00 및 t=0-0.7이다.
  11. 제 10 항에 있어서, 단위들의 비율이 p=0, q=1.0, r=1-5이고, s=1.0인 조성물.
  12. 제 10 항에 있어서, 유동성 개질제가 1%-20%의 양으로 함유된 조성물.
  13. 제 10 항에 있어서, 유동성 개질제가 2%-10%의 양으로 함유된 조성물.
  14. 제 10 항에 있어서, 방향족 옥시벤조일 폴리에스테르가 테레프탈산, p-히드록시벤조산 및 비페놀의 반응에 의하여 제조된 폴리에스테르인 조성물.
  15. 제 10 항에 있어서, 방향족 옥시벤조일 폴리에스테르 유동성 개질제가 이소프탈산, p-히드록시벤조산 및 비페놀의 반응에 의하여 제조된 폴리에스테르인 조성물.
  16. 제 10 항에 있어서, 방향족 옥시벤조일 폴리에스테르 유동 개질제인 이소프탈산과 테레프탈산의 혼합물, p-히드록시벤조산 및 비페놀의 반응에 의하여 제조된 폴리에스테르인 조성물.
  17. 제 14 항에 있어서, 테레프탈산, p-히드록시벤조산 및 비페놀의 몰비가 각각 1:0.1:1-1:15:1인 조성물.
  18. 제 14 항에 있어서, 테레프탈산, p-히드록시벤조산 및 비페놀의 몰비가 1:2:1 인 조성물.
KR1019850003247A 1984-05-18 1985-05-13 사출 성형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의 유동성 개선 방법 KR9000022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611,806 US4563508A (en) 1984-05-18 1984-05-18 Injection moldable aromatic polyesters compositions and method of preparation
US611806 1984-05-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8177A KR850008177A (ko) 1985-12-13
KR900002249B1 true KR900002249B1 (ko) 1990-04-07

Family

ID=24450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3247A KR900002249B1 (ko) 1984-05-18 1985-05-13 사출 성형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의 유동성 개선 방법

Country Status (25)

Country Link
US (1) US4563508A (ko)
JP (1) JPH0627243B2 (ko)
KR (1) KR900002249B1 (ko)
AT (1) AT394052B (ko)
AU (1) AU572642B2 (ko)
BE (1) BE902245A (ko)
BR (1) BR8502283A (ko)
CA (1) CA1268881A (ko)
CH (1) CH665212A5 (ko)
DE (1) DE3517587A1 (ko)
DK (1) DK211985A (ko)
ES (1) ES8706184A1 (ko)
FI (1) FI851432L (ko)
FR (1) FR2564474B1 (ko)
GB (1) GB2158832B (ko)
IL (1) IL74984A0 (ko)
IT (1) IT1191610B (ko)
LU (1) LU85875A1 (ko)
MX (1) MX164763B (ko)
NL (1) NL8501177A (ko)
NO (1) NO851925L (ko)
NZ (1) NZ211866A (ko)
PH (1) PH22202A (ko)
SE (1) SE8502432L (ko)
ZA (1) ZA85277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8278A (en) * 1986-07-28 1994-01-11 Toray Industries, Inc. Aromatic polyesters having good heat resistance
JPH0798859B2 (ja) * 1986-08-06 1995-10-25 東レ株式会社 全芳香族ポリエステル射出成形品
WO1988000955A1 (en) * 1986-07-28 1988-02-11 Toray Industries, Inc. Aromatic polyesters with good heat resistance
DE3629209A1 (de) * 1986-08-28 1988-03-03 Basf Ag Vollaromatische thermotrope polyester
DE3629210A1 (de) * 1986-08-28 1988-03-03 Basf Ag Vollaromatische thermotrope polyester
DE3629211A1 (de) * 1986-08-28 1988-03-03 Basf Ag Vollaromatische thermotrope polyester
DE3629208A1 (de) * 1986-08-28 1988-03-03 Basf Ag Vollaromatische thermotrope polyester
US4851467A (en) * 1986-12-04 1989-07-25 Amoco Corporation Molding compositions comprising wholly aromatic polymers which contain carbon black
JP2506352B2 (ja) * 1986-12-29 1996-06-12 株式会社クラレ 全芳香族ポリエステル及びそれを用いた射出成形品の製造法
DE3700821A1 (de) * 1987-01-14 1988-07-28 Basf Ag Vollaromatische thermotrope polyester
DE3701740A1 (de) * 1987-01-22 1988-08-04 Bayer Ag Thermotrope polymere enthaltende ungesaettigte polyesterharz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zur herstellung von formkoerpern
AU1780388A (en) * 1987-03-20 1988-10-10 Dart Industries Inc. Molding compositions comprising reinforced filled wholly aromatic polyesters
US5206282A (en) * 1987-03-20 1993-04-27 Amoco Corporation Molding compositions comprising reinforced filled wholly aromatic polyesters
US4851480A (en) * 1987-06-09 1989-07-25 Amoco Corporation Extrusion-grade compositions comprising mixtures of wholly aromatic polyesters
ATE88205T1 (de) * 1987-06-09 1993-04-15 Amoco Corp Formmassen aus mischungen von vollaromatischen polyestern und fuellstoffen.
US5096957A (en) * 1987-06-09 1992-03-17 Amoco Corporation Molding compositions comprising mixtures of wholly aromatic polyesters and fillers
WO1989005323A1 (en) * 1987-12-09 1989-06-15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Wholly aromatic polyester
DE3805856A1 (de) * 1988-02-25 1989-09-07 Bayer Ag Thermoplastische blockcopolymere aus vinyl- oder vinylidenpolymersegmenten und segmenten aus fluessig-kristallinen polymeren
US4891261A (en) * 1988-02-29 1990-01-02 Aluminum Company Of America Thermoplastic stock shap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4952663A (en) * 1988-06-17 1990-08-28 Amoco Corporation Wholly aromatic polyesters with reduced char content
WO1990004002A1 (en) * 1988-10-11 1990-04-19 Amoco Corporation BLENDS OF LIQUID CRYSTALLINE POLYMERS OF HYDROQUINONE POLY(ISO-TEREPHTHALATES) p-HYDROXYBENZOIC ACID POLYMERS AND ANOTHER LCP CONTAINING OXYBISBENZENE AND NAPHTHALENE DERIVATIVES
ATE151099T1 (de) * 1988-10-11 1997-04-15 Amoco Corp Wärmebeständige polymere und mischung von hydroquinonpoly(isoterephthalaten), enthaltend reste von p-hydroxybenzoesäure
JP2823873B2 (ja) * 1988-12-27 1998-11-11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流動性改良液晶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CA2014770A1 (en) * 1989-05-11 1990-11-11 Sumitomo Chemical Co., Ltd. Liquid crystal polyester resin composition improved in fluidity
JP2830279B2 (ja) * 1989-05-11 1998-12-02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流動性の改良された液晶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NL8901535A (nl) * 1989-06-17 1991-01-16 Stamicarbon Polymeersamenstelling.
DE3923294A1 (de) * 1989-07-14 1991-01-24 Bayer Ag Hochwaermeformbestaendige thermotrope polyester mit guter schlagzaehigkeit,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owie ihrer verwendung zur herstellung von formkoerpern, filamenten und folien
US5091464A (en) * 1989-12-15 1992-02-25 Amoco Corporation Polymer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molding characteristics
US5132336A (en) * 1990-01-12 1992-07-21 Amoco Corporation Plastic ovenware compositions
US5393848A (en) * 1990-01-16 1995-02-28 Hoechst Celanese Corp. Process for forming improved liquid crystalline polymer blends
WO1991010707A1 (en) * 1990-01-16 1991-07-25 Hoechst Celanese Corporation Improved process for forming poly[co(4-oxybenzoate/paraphenyleneisophthalate)] and resulting product
US5492946A (en) * 1990-06-04 1996-02-20 Amoco Corporation Liquid crystalline polymer blends and molded articles therefrom
AU2314992A (en) * 1991-08-14 1993-03-16 Hoechst Celanese Corporation Process for forming improved liquid crystalline polymer blends
US5262473A (en) * 1991-11-29 1993-11-16 Enichem America Inc. Polymer molding compositions containing polycarbonates and polyesters and liquid crystalline polymers
JP3387766B2 (ja) * 1997-02-03 2003-03-17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液晶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US6294643B1 (en) 1999-04-20 2001-09-25 Sumitomo Chemical Co., Ltd. Aromatic polyester and molded article using the same
US6333393B1 (en) 1999-08-06 2001-12-25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Aromatic polyester and molded article using the same
US6294640B1 (en) 2000-01-14 2001-09-25 Ticona Llc Stretchable polymers and shaped articles produced by same
TW538094B (en) * 2000-04-20 2003-06-21 Ueno Seiyaku Oyo Kenkyujo Kk Liquid crystal polyester resin composition
US6666990B2 (en) 2001-02-14 2003-12-23 Ticona Llc Stretchable liquid crystal polymer composition
US6514611B1 (en) 2001-08-21 2003-02-04 Ticona Llc Anisotropic melt-forming polymers having a high degree of stretchability
US6942120B2 (en) * 2002-06-07 2005-09-13 S.C. Johnson & Son, Inc. Disposable bakeware with improved drip resistance at elevated temperatures
KR101621451B1 (ko) * 2009-04-06 2016-05-16 심천 워트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 주식회사 유동성이 향상된 전방향족 액정 폴리에스테르 수지 컴파운드 및 그의 제조방법
US9056950B2 (en) * 2010-07-23 2015-06-16 Ticona Gmbh Composite polymeric articles formed from extruded sheets containing a liquid crystal polymer
WO2013032977A1 (en) 2011-08-29 2013-03-07 Ticona Llc Heat-resistant liquid crystalline polymer composition having a low melting temperature
US9045685B2 (en) 2011-08-29 2015-06-02 Ticona Llc Cast molded parts formed from a liquid crystalline polymer
TW201319118A (zh) 2011-08-29 2013-05-16 Ticona Llc 低熔融黏度液晶聚合物之熔融聚合
KR20140057360A (ko) 2011-08-29 2014-05-12 티코나 엘엘씨 고유동성 액정 중합체 조성물
US9074133B2 (en) 2011-08-29 2015-07-07 Ticona Llc Thermotropic liquid crystalline polymer with improved low shear viscosity
JP2014529627A (ja) 2011-08-29 2014-11-13 ティコナ・エルエルシー 芳香族アミド化合物
WO2013032971A1 (en) 2011-08-29 2013-03-07 Ticona Llc Melt-extruded substrate for use in thermoformed articles
WO2013032974A1 (en) 2011-08-29 2013-03-07 Ticona Llc Solid-state polymerization of a liquid crystalline polymer
CN103764794B (zh) 2011-08-29 2016-05-18 提克纳有限责任公司 高流动液晶聚合物组合物
CN113912988A (zh) 2013-06-07 2022-01-11 提克纳有限责任公司 高强度热致液晶聚合物
US20170002137A1 (en) * 2015-07-02 2017-01-05 Ticona Llc Liquid Crystalline Polymer for Use in Melt-Extuded Article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365A (en) * 1889-11-05 Grain-rule
US763057A (en) * 1903-11-03 1904-06-21 Kern Burner Company Gas-radiator.
US1228579A (en) * 1916-06-08 1917-06-05 Simon N Mentel Stove.
DE411548C (de) * 1924-01-03 1925-03-28 Gustav Ahrens Gasheizofen mit Rueckfuehrung der Abgase zum Brenner
DE1778678A1 (de) * 1968-05-22 1971-08-12 Walter Dreizler Atmosphaerischer Allgasbrenner
DE1816948A1 (de) * 1968-12-24 1970-06-25 Vaillant Joh Kg Bunsenbrenner
BE743763A (ko) * 1969-01-14 1970-05-28
US3637595A (en) * 1969-05-28 1972-01-25 Steve G Cottis P-oxybenzoyl copolyesters
NL142774B (nl) * 1969-08-22 1974-07-15 W Apparatenfabriek N V As Brander.
CA1012289A (en) * 1972-09-28 1977-06-14 Herbert F. Kuhfuss Copolyester
JPS5550508B2 (ko) * 1973-04-14 1980-12-18
EP0008855B1 (en) * 1978-07-31 1981-09-16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Plc Aromatic copolyesters capable of forming an anisotropic melt and shaped articles made thereof
US4250281A (en) * 1979-03-21 1981-02-10 Eastman Kodak Company Melt process for preparing copolyesters using triarylphosphine catalysts
EP0030417B2 (en) * 1979-11-30 1994-03-30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Plc Compositions of melt-processable polymers having improved processibility, and method of processing
SE417754B (sv) * 1980-01-29 1981-04-06 Elfi Innovationer Belastningsindikator for vexelstromsmotorer
US4267289A (en) * 1980-07-03 1981-05-12 Celanese Corporation Blend of wholly aromatic polyesters
US4414365A (en) * 1981-03-16 1983-11-08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Process for producing an aromatic polyester composition
US4408022A (en) * 1981-12-15 1983-10-04 Celanese Corporation Blend of polyalkylene terephthalate and wholly aromatic polyester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IE54564B1 (en) * 1982-07-26 1989-11-22 Dart Ind Inc Polyester moulding compositions and ovenware therefrom
DE3303927A1 (de) * 1983-02-05 1984-08-09 Ibau Hamburg Ingenieurgesellschaft Industriebau Mbh, 2000 Hamburg Vorrichtung zum einschleusen von staubfoermigem foerdergut, insbesondere zement und zementrohmeh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1191610B (it) 1988-03-23
JPH0627243B2 (ja) 1994-04-13
FI851432A0 (fi) 1985-04-10
DE3517587A1 (de) 1985-11-21
GB2158832A (en) 1985-11-20
LU85875A1 (fr) 1986-01-14
CA1268881A (en) 1990-05-08
ES8706184A1 (es) 1987-06-01
BR8502283A (pt) 1986-01-14
IL74984A0 (en) 1985-08-30
MX164763B (es) 1992-09-22
ATA124785A (de) 1991-07-15
GB8512125D0 (en) 1985-06-19
NO851925L (no) 1985-11-19
ZA852774B (en) 1985-11-27
GB2158832B (en) 1987-08-05
JPS60245632A (ja) 1985-12-05
SE8502432D0 (sv) 1985-05-15
AU572642B2 (en) 1988-05-12
BE902245A (fr) 1985-08-16
AU4096785A (en) 1985-11-21
CH665212A5 (de) 1988-04-29
US4563508A (en) 1986-01-07
FR2564474A1 (fr) 1985-11-22
FR2564474B1 (fr) 1990-05-04
PH22202A (en) 1988-06-28
KR850008177A (ko) 1985-12-13
SE8502432L (sv) 1985-11-19
DK211985A (da) 1985-11-19
FI851432L (fi) 1985-11-19
IT8520704A0 (it) 1985-05-15
DE3517587C2 (ko) 1993-02-11
NZ211866A (en) 1988-01-08
NL8501177A (nl) 1985-12-16
ES543249A0 (es) 1987-06-01
AT394052B (de) 1992-01-27
DK211985D0 (da) 1985-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2249B1 (ko) 사출 성형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의 유동성 개선 방법
US4626557A (en) Plastic ovenware containing talc
US3969306A (en) Stabilized polyester compositions
US4168259A (en) Glass reinforced PBT resins
CA1228688A (en) Plastic ovenware containing talc
EP0020693B1 (en) Copolyesters of polybutylene terephthalate
IL35167A (en) Printing resin from polyalkylene terphthalate and process for making it
US3479318A (en) Mouldable polyester compositions containing finely divided pyrophyllite
EP0395750B1 (en) HEAT RESISTANT POLYMERS AND BLENDS OF HYDROQUINONE POLY(ISO-TEREPHTHALATES) CONTAINING RESIDUES OF p-HYDROXYBENZOIC ACID
AU605248B2 (en) Impact modified polyester resin
US5096957A (en) Molding compositions comprising mixtures of wholly aromatic polyesters and fillers
US4101502A (en) Interpolymers of poly (butylene terephthalate)
CA1311321C (en) Molding compositions comprising mixtures of wholly aromatic polyestersand fillers
US4521554A (en) Polybutylene terephthalate molding composition with high cold impact strength and amenable to thermoplastic processing
EP0379255A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JP3122552B2 (ja) 樹脂組成物
JPH0623297B2 (ja) 全芳香族ポリエステルの混合物を含んでなる押出し級の組成物
JPS6351466B2 (ko)
KR840000431B1 (ko) 주물사립 결합용 수지조성물
JPS6195059A (ja) 強化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ト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3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