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1653Y1 - 제본할 책의 자동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제본할 책의 자동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1653Y1
KR900001653Y1 KR2019870003105U KR870003105U KR900001653Y1 KR 900001653 Y1 KR900001653 Y1 KR 900001653Y1 KR 2019870003105 U KR2019870003105 U KR 2019870003105U KR 870003105 U KR870003105 U KR 870003105U KR 900001653 Y1 KR900001653 Y1 KR 9000016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
rod
cam
plate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31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7689U (ko
Inventor
박행주
Original Assignee
박행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행주 filed Critical 박행주
Priority to KR20198700031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1653Y1/ko
Publication of KR8800176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76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16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6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본할 책의 자동공급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가-가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의 나-나선 단면도.
제5도는 제3도의 다-다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동간 1' : 협지편
2,2',2" : 로울 3 : 안내고정판
4 : 회전축 5,5',5" : 캡
6 : 베어링핀 7 : 대판
8,8' : 안내봉 9,9' : 축수
10 : 이동판 12 : 베어링핀
13 : 요동간 13' : 선단부
16 : 좌우회동축 18 : 압타봉
19 : 작동간 20,20' : 작동로드
21 : 탄지스프링
본 고안은 책 등을 제본하기 위하여 정합기에서 정돈되어 나오는 제본할 책을 제본기의 턴테이블 협지부에 자동삽입시켜서 제본의 작업능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한 제본할 책의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정합기에서 정돈한 제본할 책을 사람이 일일이 제본기에 운반하여 제본 턴테이블의 협지부에 삽입하는 수단으로 작업을 꾀하였으므로 인력소모가 크고 또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등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전자동 표시 부착장치에서 서로 직교하는 2방향으로의 이송 기구인 타원 형상의 판캠과 그 판캠의 외주면에 접동하는 접동로울을 가진 제1레바와 제2레바의 일단을 기점으로 하는 타단측 자유단부가 수평과 수직의 안내수단를 따라 2방향의 직교점에 이송구를 이송시키도록 하는 것은 일본국 공개특허공보(소61-154999)에 기재되어 공개된 바 있다.
이는 풀칠기 밑면에 책장을 이송시켜주고, 또 표지를 수평이송시키는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을 뿐으로, 접합기에서 정돈되어 나오는 제본할 책을 제본기 턴테이블의 협지부에 접어 자동공급 할 수 있는 구성수단은 못되었다.
본 고안은 종래 그와 같은 결합을 제거하기 위하여 정합기 후단부의 제본기 상부에 이송장치에 의거하여 정합기에서 이송되는 제본할 책의 밑면을 받쳐주었다가 빼내어 주는 책받침판과 또 제본할 책의 측면을 안내 고정판에 대하여 협지시켰다가 떨어뜨려 주는 협지편을 캠 작용에 의거하여 작동할 수 있게 설치함과 동시에 제본할 책의 하부로 잘 떨어지게 하기 위하여 압타간을 협지편 상부에서 상, 하 작동할 수 있도록 동일축의 캠에 연결설치하여서 정합기에서 정돈되어 나오는 제본할 책을 제본기에 자동공급시킬 수 있게 함으로서 제본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인력 소모없이 정품 제본을 행할 수 있도록 착안한 것인데 이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정합기(30)와 제본기(40) 사이에 회동로울러(31)(31')와 보조로울러(32)를 여러개 길이로 나란히 착설하여 협지벨트(33),(33')를 걸어서 되는 제본할 책 이송장치(50)를 설치하여 정합기(30)에 의하여 정돈된 제본할 책을 협지벨트(33)와 협지벨트(33') 사이에서 물어 이송공급 받게 된 것에 있어서, 원반형 제본기(40)의 주변에 형성되어 있는 제본할 책 협지부(42) 상부에 안내고정판(3)을 제본할 책 이송장치(50)와 일직선 상에 있게 설치하여 회전축(4)의 캠(5)에 연동간(1)의 중간 로울(2)이 접동되게 연동간(1) 일단부를 베어링핀(6)으로 유착하여 이 베어링핀(6)을 기점으로 연동간(1) 선단의 협지편(1')이 안내고정판(3)의 제본할 책(41)을 협지시켰다가 떨어뜨려 줄 수 있게 설치하고 또, 기판(11)위에 입설한 대판(7)에는 안내봉(8)(8')을 제본기(40) 쪽으로 나란히 수평으로 되게 고정하여, 책 받침판(15)을 저면에 고정한 이동판(10)의 축수(9)(9')에 안내봉(8)(8')을 끼워서 이 안내봉(8)(8')을 따라 이동판(10) 및 책 받침판(15)이 좌, 우 이동가능하게 설치하고 또 그 이동판(10)에는 로울(2')이 회전축(4)의 캠(5')에 접동되게 베어링핀1(2)으로 기판(11)에 유착한 요동간(13)의 선단부(13')를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설치하여 캠(5') 작동으로 요동간(13)의 선단부(13')가 좌우 왕복운동을 하여 이동판(10)에 붙은 책받침판(15)이 제본할 책(41)의 밑면을 받쳐주었다가 빼어 주는 작용을 반복할 수 있게 구성하였으며, 또 요동간(13)과 협지편(1') 사이에는 탄지스프링(21)으로 탄력설치하고, 또한 대판(7) 상부의 좌우회동축(16)에는 끝에 압타봉(18)을 길게 연결착설한 작동간(19)를 착설하여 좌우회동축(16)의 좌우회동 작용으로 제본할 책(41)의 상부를 압타봉(18)이 하향으로 압타시켜서 용이하게 하부로 떨어뜨려 주도록 하였으며, 또 좌우회동축(16)의 좌, 우 회전운동을 위하여 그 일측을 베어링핀(12)을 기점으로 작동로드(20) 중간부의 로울(2")이 회전축(4)의 캠(5")과 접동 작용할 수 있게 설치된 작동로드(20')의 단부와 연결설치하여 또한 캠(5")의 작용으로 좌, 우회동축(16)을 좌, 우 회전운동하도록 구성하였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22는 정합기(3)에 연결설치된 체인기어의 체인(23)에 일정간격으로 고정되는 지지봉이다. 이 지지봉(22)은 협지벨트(33)(33')에 물려 이송되는 제본할 책의 뒷부분을 받쳐주는 역활을 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정합기(30)에서 정돈되어 나오는 수매의 제본할 책은 체인(23)에 붙어있는 지지봉(22)에 의하여 제본할 책 뒷부분이 받쳐지면서 이송장치(50)인 협지벨트(33)(33')에 물려 안내고정판(3)에 이송되어지는데 본 고안은 이때 회전축(4)에 착설된 캠(5')과 로울(2')의 좁은면 접동회전 작동에 의하여 요동간(13)이 베어링핀(12)을 기점으로 선단부(13')가 이동판(10)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이동판(10)은 그 축수(9)(9')가 안내봉(8)(8')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되게 되므로 이동판(10) 저면에 붙어있는 책받침판(14)이 안내고정판(3) 밑면으로 나와 이송된 제본할 책(41) 밑면을 받쳐주게 되며, 또 회전축(4)의 캠(5)과 로울(2)의 넓은면 접동회전작용으로 연동간(1)의 선단부협지편(1')이 베어링핀(6)을 기점으로 안내고정판(3)쪽으로 이동하면 제본할 책(41)의 측면을 협지시켜 잡아 주게된다.
그리고, 회전축(4)의 계속적인 회전에 따라 캠(5')과 로울(2')의 넓은면 접동회전시에는 요동간(13)이 베어링핀(12)을 기점으로 선단부(13')가 상기와 반대로 좌측으로 이동을 하므로 이때는 이동판(10)에 붙어있는 책받침판(15)도 같이 좌측 이동을 하여 제본할 책(41) 밑면에서 빠져나가게 되고, 협지편(1')과 안내고정판(3)에 의해서만 제본할 책(41)이 협지케될 때 계속해서 회전축(4) 캠(5)과 로울(2)의 좁은면 접동회전으로 연동간(1) 선단부의 협지편(1')이 베어링핀(6)을 기점으로 좌측이동하게되면 협지하고 있던 협지편(1')이 안내고정판(3)의 제본할 책에서 이탈되므로 제본할 책(41)은 바로 아래로 빠져서 제본기(40)의 턴테이블에 설치되어 있는 제본할 책 협지부(42)에 올려 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안내고정판(3)과 협지하고 있던 연동간(1)의 협지편(1')이 이탈될때에는 제본할 책이 신속정확히 빠져 내려가게 하기 위하여 베어링핀(12)을 기점으로 작동로드(20)(20')는 회전축(4)의 캠(5')에 로울(2")이 접동 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캠(5")와 좁으면 및 넓은면을 접동회전할 때 마다 작동로드(20)(20')의 왕복 연동작용으로 좌우회동축(16)의 회동케 되므로 이때 작동간(19) 선단의 압타봉(18)이 제본할 책(41) 상부면을 압타시켜 주므로 신속하고 정확히 하락하게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정합기(30)에서 정돈되어 나오는 제본할 책이 이송장치(50)의 이송공급과 지지봉(22)에 의하여 안내고정판(3)에 이송되어지면 이동판(10)에 책받침판(15)이 나와 책밑을 받쳐주고 또 연동간(1)의 협지편(1')이 협지시켰다가 책받침판(15)과 협지편(1')이 빠져나가 이탈되는 작용으로 제본기(40)의 턴테이블에 있는 제본할 책 협지부(42)에 삽입시켜주는 일괄작업으로 자동공급 시켜주므로 제본 작업능률을 향상시킬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인력소모 없이 정품 제본을 행할수 있는 유효한 고안이다.

Claims (1)

  1. 연동간(1)의 선단 협지편(1')이 안내고정판(3)에 근접되게 베어링핀(6)으로 기판(11)에 유착하여 회전축(4)의 캠(5)에 로울(2)이 접동되게하고, 대판(7)에는 안내봉(8)(8')을 나란히 고정하여 책받침판(15)을 가진 이동판(10)의 축수(9)(9')를 안내봉(8)(8')에 끼워 설치하며, 그 이동판(10)에는 로울(2')이 회전축(4)의 캠(5)에 로울(2)이 접동되게, 대판(7)의 베어링핀(12)으로 유착한 요동간(13)의 선단부(13')를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설치하며, 요동간(13)과 협지편(1') 사이에는 탄지스프링(21)을 착설하고 대판(7)의 상부 좌우회동축(16)에는 압타봉(18)을 선단에 착설한 작동간(19)을 착설하여 로울(2")이 회전축(4)의 캠(5")에 접동되게 베어링핀(12)으로 유착한 작동로드(20),(20')와 연결설치하여서 된 제본할 책의 자동공급장치.
KR2019870003105U 1987-03-11 1987-03-11 제본할 책의 자동공급장치 KR9000016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3105U KR900001653Y1 (ko) 1987-03-11 1987-03-11 제본할 책의 자동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3105U KR900001653Y1 (ko) 1987-03-11 1987-03-11 제본할 책의 자동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7689U KR880017689U (ko) 1988-10-26
KR900001653Y1 true KR900001653Y1 (ko) 1990-03-03

Family

ID=19260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3105U KR900001653Y1 (ko) 1987-03-11 1987-03-11 제본할 책의 자동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165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7689U (ko) 198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49417B2 (ja) 印刷物の収集、まとめおよび差込み合せを行なう装置
CN1964907A (zh) 书贴传送装置
US426930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helical springs closed by knots at their winding ends
KR900001653Y1 (ko) 제본할 책의 자동공급장치
CN108349288B (zh) 制书装置
US6536184B1 (en) Envelope-filling apparatus for mail-processing machines
US6789793B2 (en) Rotary signature transport device
US2960049A (en) Button positioner attachment for sewing machines
KR100893356B1 (ko) 탁상용 캘린더 자동 인쇄장치
JP2000300876A (ja) ミシンの間欠布送り装置
KR200448043Y1 (ko) 가늘고 긴 소재 공급장치
JP4117879B2 (ja) ラベル供給装置
JP4318352B2 (ja) 製本装置
KR100311363B1 (ko) 현금자동지급기의명세표이송장치
JP2559666B2 (ja) 長尺布加工機における主送り装置
JP4371500B2 (ja) 製本装置
KR960000482Y1 (ko) 정합된 책의 자동정리공급장치
JP3602417B2 (ja) 中綴じ製本用糊付け装置
KR970001676B1 (ko) 자동명함 인쇄기
KR0141386B1 (ko) 단추 자동이송장치의 중심 이동장치
JPH04173278A (ja) プリンタ装置
JP4346415B2 (ja) 製本機用本身供給装置
JP4302252B2 (ja) 表紙貼付け成形装置
KR950011618B1 (ko) 터미널 압접을 위한 전선 자동 이송장치
JPH10315191A (ja) 縦形スライサーの材料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2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