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1003Y1 - 사출금형의 게이트폭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사출금형의 게이트폭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1003Y1
KR900001003Y1 KR2019860021876U KR860021876U KR900001003Y1 KR 900001003 Y1 KR900001003 Y1 KR 900001003Y1 KR 2019860021876 U KR2019860021876 U KR 2019860021876U KR 860021876 U KR860021876 U KR 860021876U KR 900001003 Y1 KR900001003 Y1 KR 9000010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gate
gate width
slider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218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1836U (ko
Inventor
서정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성사
구자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성사, 구자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성사
Priority to KR20198600218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1003Y1/ko
Publication of KR8800118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18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10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0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29C45/2701Details not specific to hot or cold runner channels
    • B29C45/2703Means for controlling the runner flow, e.g. runner switches, adjustable runners or gates
    • B29C45/2704Controlling the filling rates or the filling times of two or more mould cavities by controlling the cross section or the length of the runners or the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29C45/2701Details not specific to hot or cold runner channels
    • B29C45/2708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사출금형의 게이트폭 조절장치
제1도 (a)는 종래 사출금형의 게이트 부위 단면도. (b)는 가동축 형판의 평면상태도z, 제2도는 본 안 게이트 폭 조절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게이트 조절장치중 조정구의 평단면도, 제4도 (a)는 본 고안의 동작상태 평면도, (b)는 제4도 (a)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런너홈 2 : 게이트홈
3 : 성형홈 5 : 슬라이더
5a : 조절대 6 : 조정구
6a : 조정홈 7 : 셋팅홈
8 : 볼플단자 11 : 가동측형판
11a : 조절공 11b : 구동홈
본 고안은 사출성형 금형에 있어서, 성형의 불량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편심되게 설치한 조정구와 슬라이더 및 볼풀단자로써 수지가 가장 얇게 응고하는 게이트의 폭을 선택적으로 조절할수 있는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게이트폭은 조절할 수 없는 상태로 형성시키므로 상출성형품을 수정할때 게이트폭도 같이 수정해야하는 것으로, 이러한 종래의 구성예를 도시한 제1도로써 설명하면 사출기의 고정측 다이플레이트에 금형을 고정하기위안 고정측 설치판(13)과 성형품의 상측 형상을 구성하기위한 고정측형판(10), 런너홈(1) 및 게이트뿐만 아니라, 성형품의 하측 형상을 구성하기 위한 가동측 형판(11), 제품을 취출할때 사용되는 이젝트 플레이트 및 취출 스폐이스를 형성하는 스폐이스 블록(14)이 구성되어져 있으며, 그리고 사출기의 가동측 다이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금형을 개폐시켜 주기 위한 가동측 설치판(15)등으로 사출 금형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용웅수지를 받아들이기 위한 금형의 구성은 고정측 설치판(13)에서 사출기의 노즐위치를 정확히 받아들이는 로케이트링(12)이 설치되고, 이와 연결되여 용융수지를 받아들여 성형품으로 안내해주는 첫 통로인 스프루부시(12a)를 고정측형판 (10)에 설치하였고, 가동측형판(11)에는 용융수지를 인도하는 두번째 통로인 런너홈(1)을 형성하였으며, 성형홈(3)으로 용융수지를공급하기 위한 세번째 통로인 게이트홈(2)을 런너홈(1)과 성형홈(3)사이에 형성하였다.
상기종래의 구성에서 사출기의 노즐을 통해 로케이트링(12)에 주입된 용융수지는 스푸루부시(12a)를 통해 런너(1)에서 각방향의 성형홈(3)으로 확산인도 된다.
사출기의 고압력으로 주입된 용융수지는 게이트(2)를 통과 하면서, 좁은 단면적으로 인해 고속분사되어 성형홈(3)을 채우게 된다.
이대 게이트(2)의 폭이 고속분사하기에 너무 작거나 크면 충진불량이나 성형불량을 일으키기 쉽다.
따라서 사출성형 작업에 있어서, 게이트의 폭과 런너의 배치 조정이 설계자의 의도에 알맞는 제품을 성형하기 위한 조건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성형홈에 가장 적절한 게이트의 폭과 런너의 배치 조정을 하여 제작한 다음 1차 시험 사출을 해보고. 1차 수정하며 2차 시험 사출을 해보고 다시 2차 수정을 하는등 만족할수 있는 제품이 나올때 까지 시험사출과 수정을 반복했던 것이다.
그리고 상기의 수정 작업을 할때 기존의 크기보다 크게할때에는 기계가공을 하고, 적게할때에는 용접한후 기계가공을 해야하기 때문에 작업의 번거러움과 정밀도를 유지해야 하는 가공상의 어려움 및 가공비의 상승, 그리고 납기일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였던 것이다.
또한 시험 사출에서 만족하여 양산하는 경우에도 수지의 특성이 주변의 온도 사출압등 작업 조건에 의해 성형 불량의 문제점이 발생하는 경우가 허다하여 금형을 해체하고 수정하여 재 기가공한다는 것은 경제적인 손실과 시간적 손실이 있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즉 게이트폭을 조절할 수 없는 구조에 의해 발생하는 여리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고안은 가동측 형판의 측면에 뚫은 조절공으로 볼풀란자를 나사식으로 삽입하고, 가이드홈과 연결되어 형성한 구동홈에는 압축스프링과 조절대가 연설된 슬라이더를 삽입하며. 수개의 셋팅홈을 조절공 높이에 요설한 조절구를 슐라이더와 볼풀단자 사이에 지지볼트로 폄심 설치하여, 금형 분리시 조정구 상측의 조정홈으로 게이트폭을 조절하게 구성하여. 재 기계가공과 용접등의 복잡하고 번거러운 수정없이도 조립된 금형에서 간편하게 게이트 폭을 조절할 수 있으며. 성형 조건 변화시에 즉시 대체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로서, 게이트폭(W)을 좁히고 넓히기 위한 슬라이더(5)와 슬라이더에 조절거리를 제공하기 위한 조정구(6) 그리고 조정구의 위치를 안정시키는 볼풀단자(8) 및 슬라이더에 탄성력을 주기위한 압축스프링(4) 그리고 조정구의 지지용 지지볼트(9)로 조절장치를 구성한다.
상기의 슬라이더(5)는 상부에 조절대(5a)를 형성시키며, 조정구(6)는 제3도와 같이 편심위치에 볼트공(6b)을 천공시키며 그 주위에 조정홈(6a)을 요설한다.
또한 조정구(6)의 둘레에는 일정한 비례로 증가폭을 갖는 셋팅홈(7)들을 요설한다.
볼플란다(8)는 스크류 나사 형태로 가공하여 선단에 볼구(8a)를 삽설한다.
제4도는 본 고안의 동작 상태도로 전술한 구성들을 설치하기 위해 가동측 형판(11)의 측면에 조절공(11a)을 뚫어 나사산을 절삭 형성하고, 가동축 형판(11)의 상면에 구동홈(11b)을 형성시켜, 일측면을 조절공(1la)과 연통시키고. 타측면 상측에는 안내면(11c)를 게이트홈(2)과 연결되게 형성한다.
상기의 구동홈(1lb)에 조정구(6)를 삽입하여 볼트공(6b)으로 삽입하는 지지볼트(9)로써 고정시키면, 조정구(6)는 지지볼트를 중심으로 편심회동할수 있게 조립되고. 그리고 압축스프링(4)과 슬라이더(5)를 조정구(6)앞에 삽입하면, 조절대(5a)는 안내면(11c)에 조립되어 조절대(5a)의 선단에서 게이트폭(W)이 형성된다.
또한 조절공(11a)으로는 볼풀란자(8)는 나사식으로 결합하여 선단의 불구(8a)가 조정구(6)의 셋팅홈(7)과 조립되어 조절장치를 형성한다.
이러한 조절장치를 형성한 사출금형의 사용은 기존의 방법과 같이 제1도에 도시된 고정축 설치판(13)의 로케이트링(12)을 통해 용융수지를 주입하면, 스프루부시(12a)를 거쳐 런너(1)에서 확산되어 각 방향에 있는 성형홈(3)으로 공급되는 1차 시험사출을 한다.
이때 게이트 폭(W)은수지의 속도 및 압력의 조절작용을 한다.
1차 시험사출후 성형된 제품이 규격에 맞지 않으면 게이토폭(W)을 조절해야만되는 경우가 많다. 이때에는 간단한 공구를 편심설치된 조정구(6)의 공구홈(6a)에 끼워 시계방향으로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볼풀란자(8)의 볼구(8a)가 볼풀란자 속으로 밀려들어가 조정구(6)의 편심량을 조절할 수 있고, 편심량이 조절됨에 따라서 접촉하고 있는 슬르이더(5)가 전진 또는 후진이동하는 작용을 이루고, 이 작용으로 선단의 조절대(5a)가 안내면(11C)에서 게이트폭(W)을 넓혀지나 좁혀주는 작용올 할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조절작용은 금형을 분리시킨 상태에서 가능하여 게이트폭(W)의 조절을 간편하게 조정작업을 할수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시험 사출시 또는 성형 조건이 변화되었을 때마다 요구하는 제품형상이 생산될수 있도록 런너의 배치나 게이트 폭을 조절시켰는데 이러한 조절을 종래에는 금형을 분리하여 제 가공하던것을 조정구의 편심량에 의한 슬라이더의 이동으로 해결하여서, 금형 분리시간을 절약할 수 있어 성형준비작업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게이트 폭이 가동형판 내에서 조절되는 구성에 의해 제 가공에 따른 경비 절감효과가 있는 것이다.
특히 성형 조건이 변화할때 조정구를 회전시키는 단순한 동작에 의해 규격에 맞는 성형 조건을 손쉽게 충족시키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사출금형에 형성시킨 런너홈(1)과 성형홈(3)사이를 게이트홈(2)으로 연결하는 것에 있어서, 가동축 형판(11)의 측면에 뚫은 조절공(1la)으로 볼풀란자(8)를 나사식으로 삽입하고, 게이트홈(2)과 연결되게 형성한 구동홈(1lb)에는 압축스프링(4)과 조절대(5a)가 연설된 슬라이더(5)를 삽입하며. 수개의 셋팅홈(7)을 요설한 조정구(6)를 슬라이더(5)와 볼풀단자(8)사이에 지지볼트(9)로 편심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금형 게이트폭 조절장치.
KR2019860021876U 1986-12-30 1986-12-30 사출금형의 게이트폭 조절장치 KR9000010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21876U KR900001003Y1 (ko) 1986-12-30 1986-12-30 사출금형의 게이트폭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21876U KR900001003Y1 (ko) 1986-12-30 1986-12-30 사출금형의 게이트폭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1836U KR880011836U (ko) 1988-08-26
KR900001003Y1 true KR900001003Y1 (ko) 1990-02-10

Family

ID=19258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21876U KR900001003Y1 (ko) 1986-12-30 1986-12-30 사출금형의 게이트폭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100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1836U (ko) 1988-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99581A (en) Multi-cylinder type injection molding apparatus
US6749420B2 (en) Flexible ejector for injection molds
CN1039378A (zh) 制造拉链的方法和模具
JPS5944979B2 (ja) 射出成形用金型
KR900001003Y1 (ko) 사출금형의 게이트폭 조절장치
CN217123807U (zh) 准确控制注塑容量的高精度注塑模具
CN208428585U (zh) 一种高精密内斜齿脱模模具
DE4218822C2 (de) Vorrichtung zum Auswerfen von Spritzgußteilen aus Spritzgußformen
CN203357811U (zh) 液晶模组边框注塑件的注塑模具
CN213002560U (zh) 一种用于压铸成型的精密型腔模
CN213035232U (zh) 一种注塑模具加工锁定机构
CN210026061U (zh) 一种用于塑胶模具模架的定位装置
JP4088676B2 (ja) 射出成型用金型
JPH08174605A (ja) 成形装置
CN212795679U (zh) 一种注塑机射台调节装置
CN216760621U (zh) 一种模具的顶推结构
CN212795772U (zh) 肘杆式注塑机合模机构
CN220129468U (zh) 一种po类模具的调节壁厚偏差结构
CN220261799U (zh) 一种注塑模具的导向杆用组装结构
CN220763335U (zh) 一种注塑机用注胶装置
CN218701009U (zh) 一种汽车饰板成型模具的大角度斜顶结构
KR20100003508U (ko) 금형조립체
CN219564000U (zh) 注塑模具的开合模组件
SU1353628A1 (ru) Многосопловой мундштук дл литьевых машин
CN104842535A (zh) 一种成型正交贯通微小孔的注塑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12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