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0723B1 - 다수의 단말 제어장치를 갖는 회로망의 스위칭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수의 단말 제어장치를 갖는 회로망의 스위칭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0723B1
KR900000723B1 KR1019850003365A KR850003365A KR900000723B1 KR 900000723 B1 KR900000723 B1 KR 900000723B1 KR 1019850003365 A KR1019850003365 A KR 1019850003365A KR 850003365 A KR850003365 A KR 850003365A KR 900000723 B1 KR900000723 B1 KR 900000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terminal
signal
terminal control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3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8016A (ko
Inventor
데쯔오 니시노
히로꼬 오까무라
야스노리 야마따니
Original Assignee
후지쓰가부시끼가이샤
야마모도 다꾸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419592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0000072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쓰가부시끼가이샤, 야마모도 다꾸마 filed Critical 후지쓰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8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8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0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4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 H04Q11/0428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i.e. systems for transmission of different types of digitised signals, e.g. speech, data, telecentral, television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4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4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 H04Q11/0407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using a stored programm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 Exchange Systems With Centralized Control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수의 단말 제어장치를 갖는 회로망의 스위칭 시스템 및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스위칭 시스템을 설명하는 개략적인 개통도.
제2도는 착신 접속의 시퀀스 설명도.
제3도는 종래의 단말제어장치의 착신시의 후로우 챠트.
제4도는 교환기의 착신시의 후로우 챠트.
제5도는 종래의 둘이상의 호출신호가 동시 착신될 경우의 설명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단말 제어 장치의 요부개통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단말 제어 장치의 착신시의 후로우 챠트.
제8 및 9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둘이상의 호출신호가 동시 착신될 경우의 설명도.
제10도는 데이터의 흐름과 관련되는 본 발명에 의한 프로세스 제어의 설명도.
본 발명은 둘 이상의 호출신호가 동시착신될 경우를 제어하기 위한 인터워킹 시스템(inter-working system)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단말 제어장치들이 하나의 회로망 종단장치와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각 단말 제어장치에 임의 수의 개별단말들이 연결되어 있는 스위칭 시스템에서 다수 호출신호의 동시 착신에 응답하여 개별적인 접속제어를 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통합 서어비스망(inter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 ISDN)에서 사용할 생각으로 개발된 공지의 시스템에서 회로망 종단장치는 디지털 가입자선을 통하여 디지털 교환기에 접속되는 한편, 다수의 단말제어 장치들과 접속된다. 그 다음 단말제어장치들은 전화기, 팩시밀리 장치, 데이터 단말, 텔렉스 단말등에 연결될 수 있다.
채널들의 조합으로서 여러가지 제안된 것이 있다. 예를 들어 통신용 채널로서 64kb/s의 여러개의 B채널들을 사용하고 제어신호 및 저속 패키드(packed)용 채널로서 16kb/s의 하나의 D채널을 사용하여 다수의 B채널들과 하나의 D채널을 조합시키는 시스템이 있다.
둘이상의 B채널들이 교환기와 단말 제어장치들간의 통신을 위해 설정되기 때문에 제1호출신호와 제2호출신호 둘다가 동시에 착신될 수도 있다. 그러나 제1호출신호가 착신되면 단말제어장치들은 감시상태로 들어간다. 제2호출신호가 착신되면 단말 제어장치들은 해제신호를 송출한다. 왜냐하면 제2호출신호에 대해 "비지(busy)"상태이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둘이상의 호출신호들이 동시에 착신될 때, 교환기는 제1호출신호 수신시 링잉(ringing)신호를 수신한다. 그러므로, 심지어 몇개의 B채널들이 0상태(이하 "대기상태"로 칭함)에 있어라도 다른 호출신호들에 대해 "비지"상태로서 처리한다. 따라서, 둘이상의 호출신호 들이 착신되면 제1호출신호에 대해서만 접속시켜 주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시스템의 이용면에서나 서어비스 능력면에서 단점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호출신호들이 동시에 착신되더라도 개별적인 접속제어가 가능하도록 회로망 종단장치에 연결된 다수의 단말제어장치들을 갖는 회로망의 스위칭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회로망 종단장치에 연결된 다수의 단말 제어장치들을 갖는 회로망의 스위칭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서어비스 능력과 이용율을 개선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하면, 회로망 종단 장치에 연결되는 다수의 단말 제어장치들을 갖는 회로망의 스위칭 시스템이 제공되는데 이 시스템에서는 동종의 단말제어장치들은 단일 가입자번호를 할당받아서 다수의 통신채널을 갖고있는한 가입자선을 통하여 교환기와 연결되어 있으며, 그 시스템은 호출신호들의 호출상태를 기억하도록 가입자선의 각 단말제어 장치마다 기억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제1호출신호가 착신되면 단말제어장치들의 기억수단은 제1호출에 대하여 각각의 호출상태들을 링잉상태로 세트시킨다.
제1호출에 대한 응답신호가 송출되기 전에 제2호출이 착신되면 기억수단은 또한 제2호출신호에 대하여 호출상태들을 링잉상태로 세트시켜 준다. 링잉상태에 있는 단말제어 장치들중 어느 하나가 응답신호를 송출하면 응답신호를 송출하는 단말제어장치의 제1호출신호에 대한 호출상태는 교신상태로 세트되고 또한 링잉상태에 있는 다른 단말제어 장치의 제1호출신호에 대한 호출상태들은 해제된다. 제2호출신호들에 대한 호출상태들은 그대로 유지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의하면, 디지털 가입자선을 통하여 교환기 단말에 연결된 단말 제어장치들을 갖는 스위칭 시스템에서 다수의 호출신호가 동시 착신됨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각각의 단말제어장치는 단말이 대기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해주기 위한 제1판정장치와, 제1판정장치의 판정이 단말이 대기상태에 있지 않음을 나타낼 때 단말 상태가 처리중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해주기 위한 제2판정장치와, 그리고 다수의 호출종단들에 대응하는 프로세스들을 실행하기위한 실행장치들을 포함한다. 제1판정장치의 판정이 단말이 대기상태에 있지 않은 것이고, 제2판정장치의 판정이 호출단말상태가 처리중에 있는 것일 때 링잉신호가 교환기로 반송되어 단말의 응답에 의한 응답신호가 호출처리를 실행함으로써 교환기로 송출되도록 종단제어가 수행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양호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전에 우선 참고를 위해 종래기술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스위칭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통도이다. 도면에서 표시번호 1은 교환기이고, 2는 회로망 종단장치, 31 내지 3n은 단말제어장치, 41, 42와 43은 전화기, 5는 팩시밀리장치, 6은 데이터 단말, 그리고 7은 텔렉스 단말이다.
제2도는 단말제어장치 31, 31와 교환기 1에 대한 착신접속의 시퀀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교환기 1이 셋엎신호(set up signal)A11을 수신하면, 교환기는 셋엎신호 A11을 회로망 종단장치 2를 통하여 단말제어장치31, 32로 전송시킨다. 이 셋엎신호 A11에는 예를 들어 전화기 41, 42 또는 팩시밀리 장치 5등의 발신 단말종별을 나타내는 서어비스 종별정보, 예를 들어 통신채널로서 예약된 채널의 번호를 나타내는 정보와 기타정보가 부가되어 있다. 서어비스 종별정보에 대응하는 단말들을 수용하고 있는 단말 제어 장치 31, 32는 단말 들에 호출음을 송출함과 동시에 단말들이 링잉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링잉신호 A12, A13를 교환기 1로 반송한다.
만일, 단말제어장치 32의 단말이 응답했다고 하면 단말제어장치 32는 응답신호 A14를 교환기 1로 보낸다. 교환기 1이 응답신호 A14를 수신하면 응답확인신호 A15를 단말 제어장치 32로 보낸다. 이것에 의해 단말제어장치 32에 수용된 단말과 발신단말간에 통신이 행해질수 있다. 교한기 1은 그 응답 확인 신호 A15를 단말제어장치 32로 보낸 후, 다른 단말제어장치 31로 해제신호 A16을 보낸다. 단말 제어장치 31이 해제신호 A16을 수신한 후 뒤를 따르는 셋엎 신호 A11의 착신이나 또는 수용된 단말에 의한 발신동작을 대기한다.
제3도는 종래의 단말 제어장치의 호출신호 착신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후로우 챠트이다. 도면에서, 단계들 S101, S116, S117, S108, S111은 호출처리시의 안정상태를 나타내고, 단계들 A102, S114는 호출처리시에 요청이 있음을 나타내며 또한 단계들 S103, S104는 처리분기를 나타낸다. 단말 제어장치가 대기상태 즉, 비처리상태에 있고, 또한 교환기로부터 셋엎신호를 수신(단계 S102)하면, 그것은 서어비스 종별 정보를 검사한다 (단계 S103).
상술한 검사는 컴패티빌리티검사(competibility check)로 호칭되는 것으로 검사결과가 "NG"일 경우, 즉 단말제어장치가 발신단말과 다른 종별의 단말을 수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단말제어장치는 최초의 대기상태(단계 S116)로 복귀한다. 검사의 결과가 "OK"일 경우 단말제어장치가 비지(busy)여부 (단계 S104)에 대해 검사가 행해진다. 만일 비지이면 단말제어장치는 해제신호를 교환기(단계 S105)로 보낸 다음 최초의 대기상태(단계 S117)로 복귀된다. 만일, 비지가 아니라면 그 장치의 단말이 수동응답 단말 예, 전화기인지 여부(단계 S106)에 대해 검사가 행해진다. 만일, 수동 응답단말일 경우, 단말 제어장치는 링잉 신호를 교환기 1(단계 S107)로 보내어 호출음을 송출하기 위한 호출 착신 상태(단계 S108)로 들어간다. 단말이 오프후크(off-hook)동작등에 의해 접속등담의 조작을 행하면(단계 S110), 단말제어장치는 응답신호를 교환기 1로 보낸다 (단계 S110).
만일, 단말이 텔렉스 장치와 같은 자동응답 단말일 경우, 단말제어장치는 응답신호를 교환기 1로 자동으로 보낸다 (단계 S115).
단말 제어장치는 응답신호를 교환기 1로 보내면서(단계 S110, S115), 접속요청상태로 들어간다 (단계 S111). 그것이 응답확인신호를 교환기 1로부터 수신하면(단계 S112), 그것은 채널을 설정해서 교신상태로 들어간다 (단계 S113). 또한, 단말측으로부터 발신요청이 있으면 (단계 S114), 단말 제어장치는 발신접촉처리를 수행한다. 이것은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지 않으므로 더 이상 설명은 생략한다.
제4도는 교환기측의 동작을 나타내는 후로우 챠트이다. 교환기가 대기상태에서 호출신호를 수신하면(단계 S201), 회로망 셋엎요청(단계 S202)을 처리하여 셋엎신호를 회로망 종단장치를 통해 단말제어장치로 보내준다 (단계 S203).
그다음 교환기는 호출존재 상태로 들어간다. (단계 S204). 단말이 수동 접속단말일 경우 교환기는 링잉신호를 수신하고(단계 S209) 호출 착신단계(단계 S210)로 진행한다. 교환기가 단말 제어장치로부터 응답신호를 수신하면(단계 S211), 그것은 접속 요청상태(단계 S206)로 들어간다. 단말이 자동 접속 단말일 경우, 교환기는 링잉신호를 수신하지 않고, 응답신호를 직접 수신하여(단계 S205) 접속 요청상태로 들어간다(단계 S206). 그다음, 그것은 회로망 응답 확인 요청의 처리를 행하여(단계 S207) 회로망 경로가 형성되어서 교신상태로 들어간다(단계 S206).
상술한 바와 같이, 둘이상의 B채널들이 교환기 1과 단말 제어장치들간의 교신을 위해 설정되기 때문에 제1 및 제2호출신호 양자가 동시 착신될 수도 있다. 제1호출신호가 착신됨으로써 단말 제어장치는 감지상태로 들어가고 제2호출신호가 착신했을 때 단말제어 장치는 제2호출에 대해 "비지"상태가 되기 때문에 해제신호들을 보낸다. 제5도에 보인 바와 같이, 교환기는 제1호출로부터 야기되는 셋엎신호 A21을 단말 제어장치 31, 32로 보낸다. 단말 제어장치 31, 32는 링링신호 A22, A23을 반송한다. 만일, 단말 제어장치 31, 32중 하나가 응답신호를 송출하기 전에 제2호출로부터 야기된 셋엎신호 A24를 교환기 1이 보낼 경우, 단말 제어장치 31,32는 그들이 비지중임을 나타내는 해제신호 A25, A26을 보내준다. 결과적으로, 교환기 1은 제2호출 절단신호를 송출하여 제2호출착신에 대응하는 발신 단말로 비지신호를 보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둘이상의 호출신호들이 동시에 착신되면 교환기는 제1의 호출에 대해 링잉신호를 송출하고 대기중의 채널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호출에 대해 마치 비지중인 것처럼 처리한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단말 제어장치의 요부의 개통도이다. 도면에서, 601은 음성통신용 송수화기, 602는 송수화기가 없는 음성통신용 스피커/마이크로폰, 61은 음송신호 처리용 아나로그회로, 62는 음성신호의 아나로그-디지탈 변환용 코데크(coder-decoder : CODEC), 63은 2B-채널과 전화기(송수화기, 스피커/마이크로폰)와 데이터 단말간의 정보경로절환용 스위치회로부, 64는 데치타와 신호의 각 종별에 대해 수신된 프레임의 분해용 프레임분해부, 65는 수신신호의 등화 및 쌍극으로부터 단극으로의 신호변환용 수신부, 66은 프레임패턴의 검출용 프레임검출부, 67은 프레임 동기보호용 프레임 보호회로부, 68은 데이터 단말, 69는 데이터 단말제어용 단말 인터페이스, 70은 여러 데이터의 신호들을 한 프레임으로 조립하기 위한 프레임 조립부, 71은 단극으로부터 쌍극으로의 신호변환용 구동부, 72는 키이패드, 73은 각부의 상태 또는 데이터 송수신용 표시장치 74, 75, 77은 키이패드, 표시장치등의 인터페이스제어용 입/출력 제어장치, 76은 D-채널 전송제어부, 78은 회로망 인터페이스, 단말, 정보전송로, 인간과 기계간의 인터페이스등의 제어용 중앙 처리장치, 79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 기억용 주기억장치, 그리고 a는 제어선이다.
제6도에 보인 구성은 두개의 B채널들과 하나의 D채널이 제공된 경우의 구성이다. 교환기 1(제1도 참조)로부터 셋엎신호가 수신부 65에 의해 수신될 때 두개의 B채널들과 하나의 D채널의 분해는 프레임 분해부 64에 의해 수행된다. D채널은 송신제어부 76을 통하여 중앙처리장치 78과 상호 작용한다. 교환기로부터의 셋엎신호는 D채널에 의해 송신된다.
서어비스종별 정보와 셋엎신호에 부가된 기타정보의 검사는 중앙처리장치 78의 제어하에 수행된다.
중앙처리장치 78은 서어비스 종별정보에 의해 스위치회로부 63을 제어한다. 전화기의 종단 동작이 지시되면 코데크 62에 지정된 B채널을 접속한다. 링잉신호등은 중앙처리장치 78의 제어하에 주기억장치 79등에 기억된 패턴을 판독하여 형성된다. 교환기로 반송되는 형성된 링잉 및 기타 신호들은 전송제어부 36을 통해 송출되어 프레임 조립부 70에서 다중화된 다음, 구동부 71로부터 디지털 가입자 라인으로 송출된다.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단말 제어장치의 메인제어의 후로우 챠트이다. 단말 제어장치는 대기상태(단계 S301)에 있을 때 교환기로부터 셋엎신호(단계 S302)를 수신하면 컴패티빌리터검사(단계 S303)를 수행한다. 검사결과가 "NG"이면 단말제어장치는 대기상태(단계 S301A)로 복귀한다. 검사가 "OK"이면 단말 제어장치가 대기상태에 있는지 여부의 검사가 행해진다. 대기시에 수용된 단말들이 수동 응답형(단계 S304B)인지 여부의 검사가 행해진다. 만일 수동응답형일 경우, 단말 제어장치는 링잉신호를 교환기(단계 S307)로 보낸다. 만일 수동응답형이 아닐 경우 그것은 응답신호를 교환기로 보내고(단계 S304C), 접속요청 상태로 이행되고(단계 S325), 그리고 응답 확인신호가 수신되는 즉시(단계 S326), 교신상태로 이행된다(단계 S323).
대기상태에 있지 않으면 수용된 단말들이 수동응답형인지 여부의 검사가 행해진다(단계 S304A). 수동이 아니면 단말제어장치는 해제신호(단계 S306)을 송출한다. 수동이면 호출이 진행중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해준다(단계 S305). 진행중이 아니면 단말제어장치는 "비지"상태로서 해제신호(단계 S306)을 보낸다음, 대기상태로 복귀된다. 앞선 수신 요청신호에 의한 착신접속설정중에 있으면 즉, 제1호출신호가 착신중이면 단말 제어장치는 제2호출신호(단계 S307)의 착신으로서 링잉신호를 보낸다.
대기상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수단과 호출접속 설정중인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수단은 논리회로들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제6도에서는 주기억 장치 79에 기억된 프로그램들에 의해 실현하고 있다.
링잉신호의 송출에 의해서 단말 제어장치는 접속응답신호(단계 S308)의 착신을 기다린다. 오프후크 동작등의 접속응답(단계 S309)이 행해지면 단말 제어장치는 억세스권확보 여부의 판단 즉, 프로세스가 실행될 수 있는지 여부(단계 S310)를 판정해준다. 단말 제어장치 멀티프로세서(멀티테스크) 방식으로 동작하므로 둘이상의 호출신호들이 동시에 착신되면 다수의 프로세스(테스크)가 형성된다. 하나의 프로세스가 억세스권을 확보하면 종전 억세스권을 해제하지 않는 한 다른 프로세스는 실행될 수 없다. 다시 말하면, 한 프로세스가 실행되고 있을 때 다른 프로세스들은 대기해야만 한다. 이와 같이 둘이상의 호출신호들의 동시 착신에 대응하는 프로세스는 주기억장치 79에 기억된 프로그램들에 의해 실현된다.
억세스권이 확보되면 단말 제어장치는 응답 신호를 송출하고(단계 S311) 접속요청상태로 들어간다(단계 S312) : 교환기로부터 응답확인 신호가 수신되면(단계 S313), 단말 제어장치는 억세스권을 해제하고(단계 S314)교신상태로 들어간다(단계 S323).
단말 제어장치가 접속요청 상태에 있고, 또한 교환기로부터 해제 요청신호를 수신하면(단계 S315) 예를 들어 다른 단말 제어장치는 응답 신호가 최초의 단말 응답으로서 교환기로 반송될 경우에 단말 제어장치는 응답신호 송출 요청 신호를 점선으로 보인 바와 같이 다른 프로세스로 전송하고(단계 S316), 억세스권해제, 즉 프로세스(단계 S317)을 해제한 다음 대기상태(단계 S301C)로 복귀된다.
단말 제어장치가 억세스권을 확보할 수 없으면 즉,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없으며, ,프로세스가 실행될 수 있을때까지 대기한다(단계 S318). 단말 제어장치가 응답신호송출 요청신호를 수신하면(단계 S319), 응답신호를 송출하여(단계 S320) 접속 요청상태(단계 S321)로 들어간다. 단말제어장치가 교환기로부터 응답 확인신호를 수신하면(단계 S322), 단말 제어장치는 교신상태로 들어간다(단계 S323).
제8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시퀀스 설명도로서 도면은 서어비스종별등의 검사가 "OK"일 경우를 나타낸다. 프로세스 PSI-1과 프로세스 PSI-2는 단말제어장치 31의 프로세스, PS2-1 및 PS2-2는 단말 제어장치 32의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제1호출신호가 착신되면 교환기는 셋업신호 1을 단말 제어장치 31, 32로 보낸다. 그다음 단말제어장치 31, 32은 제1프로세스 PS1-1과 PS2-1에 의해 링잉신호들 1-1, 2-1을 보내고, 단말들에 호출음을 보내고, 응답요청을 대기한다. 제6도에 보인바와 같이, 중앙처리장치 78에 의해 호출음은 제어선 a와 다른 선들을 통하여 아나로그회로 61로 송출지시함으로써 송출될 수 있다. 교환기 1이 제7도의 후로우 챠트내의 호출 접속설정중에 상당하는 제1호출에 대해 응답하기 전에 제2의 호출신호의 착신에 의해 단말 제어장치 31, 32로 셋엎신호 2를 전송하면 단말 제어장치들은 제2프로세스 PS1-2, PS2-2에 의해 링잉신호 1-2, 2-2를 송출하고 셋엎신호를 대기한다.
단말제어장치 32가 오프후크 동작등에 의해 접속응답신호를 송출하면 호출음의 전송이 종료되고 프로세스가 실행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해준다. 단말제어장치 32는 제1프로세스 PS2-1에 의해 억세스권을 확보하면 즉, 프로세스가 실행될 수 있으면 응답신호 2-1을 송출하고 제2프로세스 PS2-1에 의해 접속요청상태로 들어가서 제2프로세스 PS2-1에 의해 실행될 수 있을때까지 대기한다. 교환기 1은 응답신호 2-1을 수신하고, 제1호출에 대한 응답신호 1로서 처리하여 응답확인신호 2-1을 송출한다. 단말 제어장치32가 응답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억세스권을 해제하고 제1프로세스 PS2-1에 의해 교신상태로 들어간다. 교환기 1은 제1호출에 대한 해제신호 1-1을 단말 제어장치 31로 송출한다. 단말 제어장치 해제신호를 수신하면 제1프로세스 PS1-1에 의해 대기상태로 복귀한다.
이 시점에서 호출음이 단말 제어장치 31에 의해 수용된 단말들로 송출된다. 이에 반응하여 오프후크동작이 수행되면 단말제어장치 31은 제2프로세스 PS1-2에 의해 응답신호 1-2를 송출하고 호출음을 중지시킨 다음 접속요청상태로 들어간다. 응답신호 1-2를 수신하는 교환기 1은 제2호출에 대한 응답신호 2로서 그것을 처리하여, 접속확인신호 1-2를 단말제어장치 31로 보낸 다음 해제신호 2-2를 단말제어장치 32로 보낸다. 그러므로 단말제어장치 31은 제2프로세스 PS1-2에 의해 교신상태로 들어가는 한편, 단말제어장치 32는 제2프로세스 PS2-2에 의해 대기상태들로 복귀한다.
제9도는 제1호출과 동시에 응답하는 경우에 대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시퀀스를 설명한다. 만일 오프후크 동작 또는 기타 응답이 거의 동시에 행해질 경우, 단말제어장치31, 32가 제1호출 및 제2호출의 결과로서 제1 및 제2프로세스에 의해 "호출착신"상태에 있는 단말제어장치 31, 32는 제1프로세스 PS1-1, PS2-1에 의해 접속 요청 상태로 들어가서 프로세스들은 제2프로세스들 PS1-2, PS2-2에 의해 실행될 수 있을 때 까지 대기한다.
교환기 1은 먼저 수신할 수 있었던 응답신호, 예를 들어 제1호출에 대한 응답신호 1로서 응답신호 2-1을 처리하여, 응답확인신호 2-1을 단말제어장치 32로 보내며, 해제신호 1-1을 단말제어장치 31로 보낸다. 이는 제1프로세스의 접속요청상태에서 해제신호의 수신상태에 대응하기 때문에 단말제어장치 31은 그 프로세스가 실행될 수 있을 때 까지 대기상태에서 제2프로세스에 대한 응답송출요청을 송출하여 제2프로세스 PS1-2에 의해 응답신호 1-2를 전송한다.
교환기 1은 제2호출에 대한 응답신호 2로서 응답신호 1-2를 처리하여 응답확인신호 1-2를 단말제어장치 31에, 그리고 해제신호 2-2를 단말제어장치 32에 전송한다. 단말 제어장치 31이 응답확인신호 1-2를 수신하면 제2프로세스 PS1-2에 의해 교신상태로 들어간다. 단말 제어장치 32가 해제신호 2-2를 수신하면 제2프로세스 PS2-2에 의해 대기상태로 들어간다.
그러므로, 단말제어장치 32는 제1호출과 상호작용하고 또한 단말제어장치 31은 제2호출과 상호작용하므로 다수의 호출신호가 동시에 착신될지라도 통신가능한 채널이 있는한 응답하는 단말들에 대해 접속제어를 행할 수 있다.
제10도는 본 발명에 의한 다수 호출신호의 동시 착신제어와 프로세스 제어를 각종 데이터와 관련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10도에서 운영시스템(operating system)은 공통데이타 D208로서 실행중의 프로세스 번호를 포함하는 실행중 프로세스 정보 D209와 대기중의 프로세스 번호를 포함하는 대기중 프로세스정보 D210i을 갖고 있다. 그 시스템은 공통데이타 D208에 기초하여 프로세스 a의 실행, 프로세스 i내지 n의 관리, 프로세스들을 생성해주거나 소멸시키도록 제어한다.
개별데이타로서 단말 제어장치들에 접속된 단말들에 대한 컴패티빌리티 검사에 필요한 단말속도등의 정보D200과 호출의 상태관리를 위한 서어비스 종별로 규정된 단말들에 대한 예를 들어 전화기 단말 TEL1의 상태 정보 D206과 데이터 단말 DT1의 상태정보 D207로 구성된 상태정보 D205가 설치된다.
개별데이타로서의 정보 D200은 단말제어장치에 전화기 단말 및 데이터 단말이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대한 것으로 전화제어 정보와 데이터단말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제10도에 나타나있다. 상태정보 D205는 전화기 단말과 데이터 단말에 대한 상태번호들을 기억하고 있어 단말들의 상태가 어떠한 상태인가를 식별할 수 있다.
제7도에 나타난 셋엎신호의 착신(단계 S302) 후에 수행된 컴패티킬리티 검사(단계 S303)와 제7도에 나타낸 수동응답에 대한 검사(단계 S304A) 는 서어비스종별정보 D200이 일치되는지 여부에 대한 호출상태 제어부에 의한 판정에 해당한다. 비어있는지 여부의 검사(단계 S304)와 착신 접속설정중 여부의 검사(단계 S305)는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판정된다.

Claims (5)

  1. 동일한 종류의 단말제어장치들이 단일 가입자번호를 할당받고 있으며, 다수의 통신채널들을 갖고있는 하나의 가입자선을 통하여 하나의 교환기(1)와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착신호출들의 호출상태들을 기억시키기 위한 가입자선의 각각의 단말제어장치에 대한 기억수단을 포함하는 회로망 종단장치(2)에 연결되는 단말 제어장치(31∼3n)들을 갖고 있는 회로망의 스위칭 시스템에 있어서, 제1호출신호가 착신되면 단말 제어장치(31∼3n)들의 기억수단은 제1호출신호에 대한 각 호출상태들을 링잉상태로 세트하고 제1호출신호에 대한 응답신호가 송출되기 전에 제2호출신호가 수신되면 기억수단은 제2호출신호에 대한 호출상태들을 링잉상태로 세트하며, 그리고 감시상태에 있는 단말제어장치들중 어느 하나가 응답신호를 송출하면 응답신호를 송출하는 단말제어장치의 제1호출에 대한 호출상태는 교신상태로 세트되고, 또한 링잉상태에서 다른 단말 제어장치들의 제1호출신호에 대한 호출상태들은 해제되며, 제2호출신호에 대한 호출상태들은 그대로 유지되는 것이 특징인 다수의 단말 제어장치를 갖는 회로망의 스위칭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가입자선은 사분할 다중화선인 것이 특징인 다수의 단말제어장치를 갖는 회로망의 스위칭 시스템.
  3. 제1항에서, 상기 기억수단(79)은 단말제어장치들 각각내에 배치되는 것이 특징인 다수의 단말제어장치를 갖는 회로망의 스위칭 시스템.
  4. 제1항에서,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데이터는 각각의 호출신호들에 대해 상기 단말제어장치들에 의해 발생되는 프로세스정부 (D208)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다수의 단말제어장치를 갖는 회로망의 스위칭 시스템.
  5. 디지털 가입자선을 통하여 교환기 단말에 연결된 단말제어장치를 갖는 스위칭시스템에서 다수의 호출신호 동시착신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단말 제어장치(31∼3n)들은 단말이 대기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해주기 위한 제1판정수단(S304)과, 상기 제1판정수단의 판정이 단말의 대기상태에 있지 않는 것일 때 착신호출이 처리과정중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제2판정수단(S305)과, 그리고 다수의 호출단말들에 대응하는 처리들을 실행하기 위한 실행수단을 포함하며, 단말제어는 상기 제1판정수단의 판정이 단말이 대기상태에 있지 않는 것일 때 그리고 상기 제2판정수단의 판정이 호출 단말상태가 처리중에 있을 때 링잉신호가 상기 교환기로 반송되고 또한 단말응답에 의한 응답신호는 호출에 대한 상기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교환기로 송출되도록 수행되는 것이 특징인 다수의 단말 제어장치를 갖는 회로망의 스위칭 방법.
KR1019850003365A 1984-05-17 1985-05-16 다수의 단말 제어장치를 갖는 회로망의 스위칭 시스템 및 방법 KR9000007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097571 1984-05-17
JP59097571A JPS611153A (ja) 1984-05-17 1984-05-17 複数コ−ル同時着信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8016A KR850008016A (ko) 1985-12-11
KR900000723B1 true KR900000723B1 (ko) 1990-02-07

Family

ID=14195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3365A KR900000723B1 (ko) 1984-05-17 1985-05-16 다수의 단말 제어장치를 갖는 회로망의 스위칭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672662A (ko)
EP (1) EP0164611B1 (ko)
JP (1) JPS611153A (ko)
KR (1) KR900000723B1 (ko)
CA (1) CA1244537A (ko)
DE (1) DE3564898D1 (ko)
SG (1) SG42791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5538B2 (ja) * 1986-05-07 1994-10-26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端末着信応答方式
EP0500194B1 (en) * 1987-02-10 1998-05-27 Canon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apparatus
JPH01168155A (ja) * 1987-12-24 1989-07-03 Canon Inc 通信端末装置
US5297146A (en) * 1988-07-01 1994-03-22 Kabushiki Kaisha Toshiba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its control method
US4998249A (en) * 1988-10-28 1991-03-05 Executone Information Systems, Inc. Method and system for multiplexing telephone line circuits to highway lines
US5101427A (en) * 1988-11-16 1992-03-31 Canon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apparatus connected to ISDN
US4961186A (en) * 1988-11-30 1990-10-02 At&T Bell Laboratories Communication channel reallocation
US4958343A (en) * 1988-11-30 1990-09-18 At&T Bell Laboratories Communication channel reservation
JP2585426B2 (ja) * 1989-05-12 1997-02-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マルチ回線通信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US5276687A (en) * 1989-04-14 1994-01-04 Fujitsu Limited Network system having different attributes of terminal equipment devices
WO1992003023A1 (en) * 1990-08-06 1992-02-20 Fujitsu Limited Communication equipment having repeat switching function
US5214650A (en) * 1990-11-19 1993-05-25 Ag Communication Systems Corporation Simultaneous voice and data system using the existing two-wire inter-face
JP2832096B2 (ja) * 1991-06-10 1998-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制御装置
JP3411300B2 (ja) * 1992-02-18 2003-05-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処理装置
US5307347A (en) * 1992-04-10 1994-04-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a telecommunications channel among multiple users
KR930022818A (ko) * 1992-04-15 1993-11-24 모리시타 요이찌 팩시밀리장치
US5953350A (en) 1995-03-13 1999-09-14 Selsius Systems, Inc. Multimedia client for multimedia/hybrid network
US5734828A (en) * 1995-08-30 1998-03-31 Intel Corporation System for accessing/delivering on-line/information services via individualized environments using streamlined application sharing host and client services
JP2798019B2 (ja) * 1995-09-25 1998-09-17 日本電気株式会社 蓄積型データ通信端末
US5937057A (en) * 1997-03-05 1999-08-10 Selsius Systems, Inc. Video/audio communications call center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4756A (en) * 1980-09-12 1983-07-19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Generation of busy signals in a digital concentrator
JPS58151197A (ja) * 1982-03-04 1983-09-0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高機能端末における通信チヤネルアクセス方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29346B2 (ko) 1991-04-23
EP0164611B1 (en) 1988-09-07
SG42791G (en) 1993-02-19
EP0164611A2 (en) 1985-12-18
US4672662A (en) 1987-06-09
EP0164611A3 (en) 1986-01-02
JPS611153A (ja) 1986-01-07
DE3564898D1 (en) 1988-10-13
CA1244537A (en) 1988-11-08
KR850008016A (ko) 1985-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0723B1 (ko) 다수의 단말 제어장치를 갖는 회로망의 스위칭 시스템 및 방법
CA2148723C (en) Diverter interface between two telecommunication lines and a station set
US3492436A (en) Ringing arrangement with variable intervals
US6466661B2 (en) Method of establishing a connection, as well as exchange, service computer and communications network
GB1374635A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JPS613548A (ja) フアクシミリ通信代表接続方式
KR100582569B1 (ko) 내선 가입자의 호를 전환하여 보류시키는 방법
JPH0683297B2 (ja) デイジタル電話機
KR950003687B1 (ko) 사설 교환기에서 전용 중계선 부여에 의한 국선 통화 연결 방법
JP2922350B2 (ja) 電話装置およびその接続制御方法
RU200692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пряжения эвм с телефонными линиями связи
JP2759355B2 (ja) 同時通信発信接続制御方式
KR950003723B1 (ko) 사설 교환기에서 메시지에 의한 자동 교환 방법
JPS5842353A (ja) 端末指定着信応答装置
JP2729704B2 (ja) 内線代表制御装置
KR0168004B1 (ko) 통신시스템의 복수중계대 구현방법
KR100250668B1 (ko) 안내대를 이용한 스피드콜 서비스 방법
JP2982686B2 (ja) 構内交換機
KR20030057047A (ko) 사설교환기의 착신호 자동 분배방법
KR19990056005A (ko) 사설교환시스템에서 패어 지정된 내선 단말의 호 처리 방법
JPH08289006A (ja) 加入者収容システム
JPH02206958A (ja) 回線制御装置
JPS6243639B2 (ko)
JPS62230251A (ja) 共通線信号処理方式
JPH0265341A (ja) ディジタル電子交換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2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