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3687B1 - 사설 교환기에서 전용 중계선 부여에 의한 국선 통화 연결 방법 - Google Patents

사설 교환기에서 전용 중계선 부여에 의한 국선 통화 연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3687B1
KR950003687B1 KR1019920004989A KR920004989A KR950003687B1 KR 950003687 B1 KR950003687 B1 KR 950003687B1 KR 1019920004989 A KR1019920004989 A KR 1019920004989A KR 920004989 A KR920004989 A KR 920004989A KR 950003687 B1 KR950003687 B1 KR 950003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subscriber
extension
assigned
trunk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4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0927A (ko
Inventor
박원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04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3687B1/ko
Publication of KR930020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0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3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6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사설 교환기에서 전용 중계선 부여에 의한 국선 통화 연결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사설 교환기의 블럭 구성도.
제2도는 종래의 직통선 기능을 이용한 국선 통화 연결 기능의 흐름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용 중계선 부여에 의한 국선 통화 연결 기능의 흐름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수행을 위한 메모리 맵 구성도.
본 발명은 사설 교환기에서 국선 통화 연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선 가입자가 후크 오프시 지정된 전용 중계선(private trunk line)의 국선을 배정하여 내선 가입자가 통화하고자 하는 외부의 국선 가입자 번호를 다이얼하여 통화를 할 수 있게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설 교환기에 있어서의 내선 가입자가 국선 선택 디지트, 예를 들어 "9"를 다이얼하지 않고 지정된 국선을 통하여 외부 가입자와 통화를 하는 방법으로서 직통선(hot line) 기능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특정한 하나의 외부의 국선 가입자만을 호출하는 방법이 있다.
제1도는 일반적인 사설 교환기의 블록 구성도로서, 사설 교환기의 교환 기능을 포함한 전반적인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중앙 처리 장치(10)와, 상기 중앙 처리 장치(10)의 제어 동작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하는 데이타를 일시 저장하는 메모리부(20)와, 상기 중앙 처리 장치(10)와 교환기의 각 구성 요소간에 입출력되는 데이타를 인터페이싱하는 인터페이스 회로(30)와, 상기 중앙 처리 장치(10)의 제어하에 각종 신호 데이타 및 음성 데이타를 스위칭하여 통화로를 형성하는 스위칭 회로(40)와, 상기 중앙 처리 장치(10)의 제어하에 내선 가입자 전화기와 교환기간이 통화 접속을 인터페이싱하는 내선 가입자 회로(50)와, 상기 중앙 처리 장치(10)의 제어하에 링 신호를 내선 가입자 회로(50)와, 상기 중앙 처리 장치(10)의 제어하에 링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내선 가입자 회로(50)에 공급하는 링 발생 회로(60)와, 상기 중앙 처리 장치(10)의 제어하에 휴지(free) 상태의 국선을 시져(seizure)하여 국선 통화 루프(loop)를 형성하며 국선과 교환기간의 통화 접속을 인터페이싱하는 국선 회로(70)와, 상기 내선 가입자 전화기에서 발생되는 상기 스위칭 회로(40)를 통해 수신되는 DTMF(Dual Tone Multi-Frequency) 신호를 디코우딩(decoding)하여 상기 중앙 처리 장치(10)로 출력하는 DTMF 수신 회로(80)와, 상기 중앙 처리 장치(10)의 제어하에 각종 톤(tone)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스위칭 회로(40)로 출력하는 톤 공급 회로(90)와, 상기 중앙 처리 장치(10)의 제어하에 전용선(tie line)을 시져하여 타 사설 교환기간에 전용 회선으로 통화 접속하는 전용선 회로(100)와, 상기 중앙 처리 장치(10)로 부터 입력되는 국선 디지트 데이타에 따라 DTMF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스위칭 회로(40)로 출력하는 DTMF 송신 회로(110)와, 상기 중앙 처리 장치(10)의 제어하에 중계 통화 접속을 수행하기 위한 중계대(120)로 구성된다. 상기 제1도의 구성은 사설 교환기의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상세한 동작 설명은 생략한다.
제2도는 종래의 직통선 기능을 이용한 국선 통화 기능의 흐름도이다.
상기한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종래의 직통선 기능을 이용한 국선 통화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1도의 내선 가입자 회로(50)에 접속되어 있는 어느 하나의 내선 가입자가 송수화기를 들어 후크오프하면, 내선 가입자 회로(50)는 이를 감지하여 인터페이스 회로(30)를 통하여 중앙 처리 장치(10)에 알린다. 이에 따라 상기 중앙 처리 장치(10)는 (201)-(2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DTMF 수신 회로(80)의 톤 리시버(tone receiver)중 휴지 상태의 톤 리시버를 상기 후크 오프한 내선 가입자(이하 "발신 가입자"라 칭함)에게 배정한다. 그리고 (204)-(205) 단계를 수행하여 메모리부(20)에서 상기 발신 가입자에 해당하는 가입자 정보 저장 영역을 검색하여 상기 발신가입자에 대하여 직통선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가를 검사한다. 직통선 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206) 단계에서 상기 배정한 톤 리시버를 해제하고, (207)-(208)단계에서 메모리부(20)의 할당된 메모리 영역에 지정되어 있는 직통선 번호를 독출하여 국선 번호인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직통선 번호의 첫번째 디지트가 국선 선택 디지티인가를 검사함으로써 국선 번호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만일 국선 번호이면 중앙 처리 장치(10)는 (209)-(211)단계에서 국선 회로(70)를 제어하여 해당 국선을 시져하고, DTMF 송신회로(80)와 스위칭 회로(40)를 제어하여 상기 독출한 직통선 번호 즉, 외부의 국선가입자 번호를 송출한 후 스위칭 회로(40)를 제어하여 상기 발신 가입자와 국선간의 통화로를 연결하여 통화를 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해당 국선이 휴지 상태가 아니면 (213)단계에서 톤 공급 회로(90)를 제어하여 상기 발신 가입자에게 화중음(busy tone)을 공급한다. 다음에 (212)단계에서 상기 발신 가입자가 후크 온하면 통화 종료 처리한다.
그리고 상기 (202)단계에서 휴지 상태인 톤 리시버가 없을 경우에는 상기 (213)단계를 수행하며, 상기 (205)단계에서 상기 발신 가입자에 대하여 직통선 기능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일반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며, 상기 (208)단계에서 상기 직통선 번호가 국선 번호가 아니고 내선 번호일 경우에는 내선 통화 서비스를 수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직통선 기능을 이용한 국선 통화 방법은 내선 가입자가 송수화기를 드는 순간 국선만 배정하고 톤 리시버는 끊어 버리므로써 국선과 내선 가입자 전화기가 모두 MFC 방식인 경우외에는 임의의 국선 가입자를 호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직통선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내선 가입자는 미리 설정된 특정한 하나의 외부 국선 가입자만을 호출하여 통화를 할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설 교환기에서의 국선 통화 방법에 있어서, 내선 가입자가 임의의 외부의 국선 가입자와 통화를 원할때 송수화기만 들면 지정된전용 중계선의 국선을 배정하여 내선 가입자가 통화를 원하는 외부의 국선 가입자 번호를 다이얼하여 통화를 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용 중계선 서비스를 할 것인가의 여부를 가입자 정보로서 각 내선 가입자에 대응하여 설정하고, 내선 가입자의 후크 오프에 응답하여 톤 리시버를 배정하며 상기 내선 가입자에 해당하는 상기 가입자 정보에 전용 중계선 부여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설정된 전용 중계선에 해당하는 국선을 상기 내선 가입자에게 배정한 후, 상기 내선 가입자가 다이얼하는 외부의 국선 가입자 번호를 상기 배정한 국선으로 송출한 다음에 통화로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사설 교환기의 블럭 구성도는 전술한 제1도와 같으며, 참조 부호도 동일하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용 중계선 부여에 의한 국선 통화 연결 기능의 흐름도로서, 내선 가입자의 후크 오프에 응답하여 톤 리시버를 배정하고 해당 가입자 정보를 검색하여 직통선 기능이 설정되어 있을시 전용 중계선 부여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중계선 설정 검사 과정에서 전용 중계선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될시 상기 가입자 정보에 설정된 직통선 번호를 독출하여 국선 번호일 경우에 해당 국선을 상기 내선 가입자에게 배정하는 과정과, 상기 중계선 설정 검사 과정에서 전용 중계선 기능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시 상기 가입자 정보에 설정된 직통선 번호를 독출하여 국선 번호일 경우에 직통선 번호의 디지트를 휴지 상태의 국선으로 송출하고 통화로를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국선 배경과정 수행후 상기 내선 가입자 다이얼하는 외부의 국선 가입자 번호를 상기 배정한 국선으로 송출하는 과정과 상기 다이얼 번호 송출 과정 수행후 상기 내선 가입자와 상기 배정한 국선간의 통화로를 연결하고 상기 배정한 톤 리시버를 해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제4도는 본 발명이 수행을 위한 메모리 맵 구성도로서, 제4(a)도는 각 내선 가입자에 각각 대응하는 포트0-포트n에 할당되는 가입자 정보로서 직통선 기능, 전용 중계선 부여 기능등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 설정 테이블 저장 영역을 나타낸 것이다.
제4(b)도는 각 내선 가입자에 각각 대응하는 포트0-포트n에 할당되는 가입자 정보로서 직통선 번호가 기록된 테이블을 가리키는 인덱스(index)를 저정하기 위한 인덱스 테이블 저장 영역을 나타낸 것이다.
제4(c)도는 상기 제4(b)도의 인덱스에 대응하여 직통선 번호를 설정하기 위한 직통선 번호 테이블 저장 영역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첨부한 제1도의 블럭 구성도와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제1도와 같이 구성된 사설 교환기에서 전용 중계선 서비스를 할 것인가의 여부를 가입자 정보로서 각 내선 가입자에 대응 설정하여 메모리부(20)내에 저장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메모리부(20)에 제4(a)도와 같은 기능 설정 테이블 저장 영역을 할당하고, 각 내선 가입자에 각각 대응하는 포트0-포트n에 직통선 기능 및 전용 중계선 부여 기능등을 설정한다. 이때 직통선 기능은 b0 비트를 셋트하여 설정하고 리셋트하여 해제하며, 전용 중계선 부여 기능은 b1 비트를 셋트하여 설정하고 리셋트하여 해제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리고 상기 직통선 기능 설정에 따른 각 가입자에 대한 인덱스를 제4(b)도와 같은 인덱스 테이블 저장 영역에 설정한 후, 각 가입자에 대하여 직통선 기능을 서비스하기 위한 직통선 번호를 인덱스 번호에 대응하여 제4(c)도와 같은 직통선 번호 저장 영역에 저장한다. 이때 전화 번호는 예를 들어 1자리에서 32자리까지 저장하며 "F"(16진수 값)가 저장되어 있으면 전화 번호가 아닌 것으로 간주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내선 가입자 회로(50)에 접속되어 있는 어느 하나의 내선 가입자가 송수화기를 들어 후크 오프하면, 중앙 처리 장치(10)는 제3도의 (301)-(30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여 DTMF 수신 회로(80)의 휴지 상태의 톤 리시버를 상기 발신 가입자에게 배정하고 메모리부(20)에 할당되어 있는 제4(a)도의 기능 설정 테이블 저장 영역에서 상기 발신 가입자에 대응하는 포트의 b0 비트의 상태를 검사하여 직통선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가를 검사한다. 상기 (301)-(305)단계의 수행은 전술한 제2도의 (201)-(205)단계에서와 동일하다.
만일 직통선 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중앙 처리 장치(10)는 (306)단계에서 다시 b1 비트의 상태를 검사함으로써 전용 중계선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가를 검사한다. 이때 전용 중계선 부여 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종래와 달리 상기 배정한 톤 리시버를 해제하지 않고 (315)단계에서 제4(b)도의 인덱스 테이블 저장 영역에서 상기 발신 가입자에 해당되는 위치의 인덱스에 의해 제4(c)도의 직통선 번호 저장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직통선 번호를 독출한다. 상기 독출한 전화 번호를 메모리부(20)의 특정영역에 보관한 다음에 (316)단계에서 상기 전화 번호의 첫번재 디지트를 분석하여 내선 번호로 판단되면 내선 통화 서비스를 수행한다.
국선 번호로 판단되면 중앙 처리 장치(10)는 (317)단계에서 해당 국선의 현재 상태를 검사한다. 해당 국선이 사용중이면 (330)단계에서 톤 공급 회로(90)의 화중음을 스위칭 회로(40)를 통해 상기 발신 가입자에게 공급한후, (331)단계에서 상기 발신 가압자가 후크 온하는 가를 검사하여 후크 온하는 순간 통화 종료 처리를 한다.
해당 국선이 사용중이 아니면 중앙 처리 장치(10)는 (318)단계에서 내선과 국선의 통화로를 스위칭 회로(40)를 통해 연결한다. 이에따라 상기 발신 가입자는 국선측의 발신음을 듣게된다. 이때부터 중앙 처리 장치(10)는 (319)단계로 진행하여 내부의 디지트간 시한 타이머(inter~digit timer)를 구동하면 한편, (320)-(321)단계에서 상기 발신 가입자가 다이얼하는 가를 검사한다. 만일 상기 발신 가입자가 다이얼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계속 후크 오프하고 있으면 (329)단계에서 상기 배정한 국선을 해제시켜 초기화하며 톤리시버도 해제하고 상기 (330)-(331)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발신 가입자가 다이얼을 하게되면 중앙 처리 장치(10)는 (322)단계에서 톤 리시버를 통하여 이를 읽어 들여 메모리부(20)내의 할당된 영역에 저장한 후, DTMF 송신 회로(110)의 휴지 상태의 톤 센더를 찾아 톤 센더를 구동하여 상기 저장했던 디지트를 송출한다. 그러면 스위칭 회로(40)를 통해 국선 회로(70)를 거쳐 국선으로 디지트가 송출된다. 이후 (323)단계에서 다시 디지트간 시한 타이머를 다시 구동시키고 (324)-(325)단계에서 상기 발신 가입자가 다이얼을 하는 가를 검사한다. 상기 발신가입자가 계속 다이얼을 하면 상기 배정한 톤 리시버를 통해 이를 읽어 들여 메모리부(20)에 저장한 다음에 상기 배정한 국선으로 디지트를 송출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후 내선 가입자가 원하는 상대방의 번호를 모두 다이얼하여 접속 대기하게 되면 디지트간 시한 타이머의 구동이 끝남과 동시에 (326)단계에서 상기 배정한 톤 리시버를 해제한다. 그리고 (327)단계에서 스위칭 회로(40)를 연결하여 상기 발신 가입자가 외부의 국선 가입자와 통화를 할 수 있게한다. 이때 국선측 가입자가 응답하기 전이면 상기 발신 가입자는 국선측 교환기로부터 제공되는 발신음을 듣게되며, 응답하면 통화를 할 수 있게된다. 이후 상기 발신 가입자가 통화를 끝내고 송수화기를 내려 후크 온하게 되면 이 신호는 내선 가입자 회로(50)를 통해 시스템으로 전달되며 중앙 처리 장치(10)는 (328)단계에서 이를 감지하여 통화 종료 처리를 함으로써 상기 발신 가입자의 상태와 국선의 상태를 초기화시킨다.
따라서 종래의 직통선 기능에서는 하나의 내선 가입자에게 국선만을 배정한 경우 내선 가입자가 송수화기를 드는 순간 국선만 배정하고 톤 리시버를 끊어버리브로 국선이 MFC 방식이고 내선 전화기가 MFC 방식인 경우외에는 임의의 국선 가입자를 호출할 수 없었으며 오로지 특정한 하나의 가입자 번호만을 호출할 수 있었으나, 본 발명의 경우 데이타 베이스에 따라 국선만을 배정받고 이후 연속해서 다이얼이 가능하므로 원하는 국선 가입자를 마음대로 호출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선 가입자가 임의의 외부의 국선 가입자와 통화를 원할때 송수화기만 들면 지정된 전용 중계선의 국선을 배정함으로써 내선 가입자가 통화를 원하는 외부의 국선 가입자 번호를 다이얼하여 통화를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3)

  1. 전용 중계선 서비스를 할 것인가의 여부를 가입자 정보로서 각 내선 가입자에 대응하여 설정하여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수단을 가지는 사설 교환기에서 국선 통화 연결 방법에 있어서, 내선 가입자의 후크 오프에 응답하여 톤 리시버를 배정하고 상기 가입자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내선 가입자에 대하여 전용 중계선 부여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중계선 설정 검사 과정에서 전용 중계선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될시 설정된 전용 중계선에 해당하는 국선을 상기 내선 가입자에게 배정하는 과정과, 상기 국선 배정 과정 수행후 상기 내선 가입자가 다이얼하는 외부의 국선 가입자 번호를 상기 배정한 국선으로 송출하는 과정과, 상기 다이얼 번호 송출 과정 수행후 상기 내선 가입자와 상기 배정한 국선간의 통화로를 연결하고 상기 배정한 톤 리시버를 해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용 중계선 부여에 의한 국선 통화 연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 번호 송출 과정이 상기 내선 가입자가 다이얼을 하는 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다이얼 검사 과정에서 상기 내선 가입자가 다이얼하는 디지트를 다이얼이 끝날때까지 상기 배정한 곡선을 송출한 후 상기 통화로 연결과정으로 진행하는 과정과, 상기 다이얼 검사 과정에서 상기 내선 가입자가 설정된 디지트간 시한이 경과할때까지 다이얼을 하지 않을 경우 상기 배정한 국선을 해제하고 화중음을 공급하는 과정과, 상기 화중음 공급 과정 수행후 상기 내선 가입자가 후크 온 할경우 통화 종료 처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용 중계선 부여에 의한 국선 통화 연결 방법.
  3. 전용 중계선 서비스를 할 것인가의 여부를 가입자 정보로서 각 내선 가입자에 대응하여 설정하여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수단을 가지는 사설 교환기에서 국선 통화 연결 방법에 있어서, 내선 가입자의 후크 오프에 응답하여 톤 리시버를 배정하고 상기 가입자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내선 가입자에 대하여 직통선 기능이 설정되어 있을시 전용 중계선 부여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중계선 설정 검사 과정에서 전용 중계선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될시 상기 가입자 정보에 설정된 직통선 번호를 독출하여 국선번호일 경우에 해당 국선을 상기 내선 가입자에게 배정하는 과정과, 상기 국선 배정 과정 수행후 상기 내선 가입자가 다이얼을 하는 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다이얼 검사 과정에서 상기 내선 가입자가 다이얼하는 디지트를 다이얼이 끝날때까지 상기 배정한 국선으로 송출하는 과정과, 상기 다이얼 번호 송출 과정 수행후 상기 내선 가입자와 상기 배정한 국선간의 통화로를 연결하고 상기 배정한 톤 리시버를 해제하는 과정과, 상기 다이얼 검사 과정에서 상기 내선 가입자가 설정된 디지트간 시한이 경과할때까지 다이얼을 하지 않을 경우 상기 배정한 국선을 해제하고 화중음을 공급하는 과정과, 상기 화중음 공급 과정 수행후 상기 내선 가입자가 후크 온 할경우 통화 종료 처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용 중계선 부여에 의한 국선 통화 연결 방법.
KR1019920004989A 1992-03-26 1992-03-26 사설 교환기에서 전용 중계선 부여에 의한 국선 통화 연결 방법 KR950003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4989A KR950003687B1 (ko) 1992-03-26 1992-03-26 사설 교환기에서 전용 중계선 부여에 의한 국선 통화 연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4989A KR950003687B1 (ko) 1992-03-26 1992-03-26 사설 교환기에서 전용 중계선 부여에 의한 국선 통화 연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0927A KR930020927A (ko) 1993-10-20
KR950003687B1 true KR950003687B1 (ko) 1995-04-17

Family

ID=19330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4989A KR950003687B1 (ko) 1992-03-26 1992-03-26 사설 교환기에서 전용 중계선 부여에 의한 국선 통화 연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36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6284B1 (ko) * 1996-05-29 2003-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용선을 통한 방송기능을 가지는 교환기와 그제어방법
KR100271962B1 (ko) * 1997-12-29 2000-11-15 윤종용 이동무선 교환시스템의전용선기능설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0927A (ko) 1993-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09406A (en) Call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a switching system
KR950003687B1 (ko) 사설 교환기에서 전용 중계선 부여에 의한 국선 통화 연결 방법
US4979204A (en) Radio telephone system having emergency speech control
JPH09182120A (ja) キーホンシステムにおける加入者多重接続方法
JPS613548A (ja) フアクシミリ通信代表接続方式
KR100469742B1 (ko)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디아디 기능을 이용한 디자 전용 국선설정 방법
KR20000014559A (ko) 사설교환시스템의 통화 내용 녹음방법
KR100469743B1 (ko) 사설교환기에서 디사를 통한 단축다이얼링 방법
KR950014623B1 (ko) Dtmf 디지트 송출회로 및 송출방법
KR19980082968A (ko) 자동 연속 호출 방법
KR950004413B1 (ko) 사설 자동 구내 교환기간의 상호 가입자 호출방법
KR910006064B1 (ko) 자동식 구내교환기의 국선착신 변환회로 및 방법
KR910010005B1 (ko) 익스터널 콜 포워딩 방법
KR0164403B1 (ko) 교환시스템에서 내선번호 번역에 의한 통화방법
KR100212061B1 (ko) 자동응답기능을 구비한 키폰전화기의 자동중계대 구현방법
KR900007281B1 (ko) 사설 자동 구내 교환기의 전용회선 자동 우회방법
KR910003302B1 (ko) 통신단말장치
JPS59143453A (ja) ボタン電話装置
KR910003943B1 (ko) 사설 자동교환기의 개인 호출번호 등록 및 그 호출과 등록 삭제방법
KR100247195B1 (ko) 다수의키폰장치들을전용선으로연계한시스템에서호출측식별정보송/수신방법
KR910006681B1 (ko) 팩시밀리의 인터페이싱장치의 자동다이얼 방법
KR100594069B1 (ko) 교환시스템에서 센트릭스 내선번호 부여에 의한 광역호 처리방법
KR100464362B1 (ko) 키폰시스템에서 호 픽업 방법
KR910006057B1 (ko) 집단전화 교환기의 중계대의 착신호 선택 응답방법
JPH0548742A (ja) ボタン電話装置の転送制御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