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7540Y1 - 경운기의 차축허브(Hub) 고정을 겸한 차륜 간격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경운기의 차축허브(Hub) 고정을 겸한 차륜 간격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7540Y1
KR890007540Y1 KR2019870005518U KR870005518U KR890007540Y1 KR 890007540 Y1 KR890007540 Y1 KR 890007540Y1 KR 2019870005518 U KR2019870005518 U KR 2019870005518U KR 870005518 U KR870005518 U KR 870005518U KR 890007540 Y1 KR890007540 Y1 KR 8900075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b
axle
wheel
fixed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55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9506U (ko
Inventor
문정옥
곽병양
이진백
Original Assignee
동양물산기업주식회사
안병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물산기업주식회사, 안병휘 filed Critical 동양물산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700055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7540Y1/ko
Publication of KR8800195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95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75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75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7/00Wheel-axle combinations, e.g. wheel sets
    • B60B37/04Wheel-axle combinations, e.g. wheel sets the wheels being rigidly attached to solid ax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경운기의 차축허브(Hub) 고정을 겸한 차륜 간격 조정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경운기 차륜부의 분리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허브와 차축의 결합도.
제4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허브의 종단 일측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실시 상태도.
제6도는 종래 기술을 설명하는 기존 차륜부의 분리도.
제7(a)도, 제7(b)도는 동 조립 단면도.
제8도는 차륜간격을 설명하는 경운기의 개략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타이어 2 : 훨
3 : 허브 3' : 외방돌출부
3a, 3b : 돌출편 3c, 3c', 3d, d' : 직립부재
4 : 차축 7, 7' : 고정볼트
8, 8' : 미나사공 9, 9' : 나사공
10 : 중앙공 10s, 4s : 스플라인
본 고안은 경운기에 있어서, 작업자의 임의대로 차륜간격을 조정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그 조정작업이 간편 용이하게 이루어질수 있도록 고안된 경운기의 차축허브고정을 겸한 차륜간격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차륜간격이라 함은, 경운기의 본체 양측 차축에 고정된 차륜간의 거리를 말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농촌에서 사용되는 경운기에 있어서는 수시로 변화되는 도로의 조건이나 작업조건에 적합하게 차륜간의 거리(L)(L')를 조정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제8도 참조)
이에 따라, 차륜의 간격을 조정할수 없도록 된것에서, 즉 타이어휠(Tire Wheel)에 고정된 허브(hub)가 키이 박음 형식으로 차축에 고정된것에서, 제6도와 같이 간격통을 이용한 차륜간격조정장치가 안출되어 현재실시되어 오고 있는바, 이하 본 고안을 좀더 명확히 하기 위하여 간격통을 이용한 종래의 차륜간격조정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즉, 종래에 차륜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하여 타이어(T)가 안착된 훨(W)에 다수의 볼트, 너트로서 고정되는 허브(H)외에, 폭이 크고작은 간격통(S)(S')과 간격와셔(SW)를 구비하여, 제7(a)도, 제7(b)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차축(K)에 조립되는 허브(H)의 양측, 또는 일측으로 간격통(S)(S')을 끼운다음, 간격와셔(SW)를 끼우고 고정볼트(b)로 체결하는 방식에 의하여 차륜의 간격조정을 조절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차륜간격조정장치에서는 이미 설정된 폭을 갖은 간격통(S)(S')에 의해 차륜간격이 결정되므로, 그 간격조정에 한계가 있었으며, 아울러 차륜조정작업에 있어서도 항시 고정볼트(b)를 풀고 모든 관련부품을 차축(K)에서 빼낸다음 다시 조립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로움과 조정작업 불편이 따랐다.
또한, 도로 및 작업의 조간변화에 의해 경운기 운행중 본체가 일측방향으로 쏠리므로서 하중이 일측차륜쪽으로 집중되는 현상이 수시로 발생됨에 따라, 그 영향으로 인하여 차축(K)최첨단에 위치하는 간격와셔(SW)가 고정볼트(b)측으로 휘어지는 한편, 간격통(S)(S')이 쉽게 마모되거나 찌그러지는 결점이 발생하였다.
이 결점은 허브(H)와 간격통(S)(S') 및 간격와셔(SW)간의 사이에 빈공간의 틈새가 발생되게 하므로서, 허브(H)가 좌, 우측으로 유동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는바, 이는 차륜이 좌, 우로 유동되는 것과 같으므로 경운기 운행중 본체가 좌, 우로 요동되는 폐단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폐단은 경운기의 운행에 많은 애로를 가져왔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경운기 본체 요동이 심할 경우에 고정볼트(b)가 차축(K)에서 풀려버리므로서 허브(H)가 차축(K)에서 탈리되는 위험한 사고가 종종 발생하여 경운기 운행 안전도의 저하를 초래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결점 및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인바, 이는 허브자체로 하여금 그 허브가 차축에 고정되도록하되, 허브 중앙공과 차추가에 스플라인을 배설하여 원활한 허브이동을 기하도록 하는 한편 차축에 완전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것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더욱 명확히 이해될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일측륜부의 사시도로서, (1)은 타이어, (2)는 휠, (3)은 허브, (4)는 차축을 도시한 것으로, 이들은 경운기의 차륜부 구성에 있어서 통상적인 필수구 성부품이다. 여기에서 허브(3)는 수개의 볼트(5) 너트(6)로서 훨(2)에 고정된 상태로 차축(4)에 조립됨에 따라 차축(4)회전에 의한 타이어(1)구동이 이루어 진다.
이하의 설명은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을 기술하는 것으로, 허브(3)의 외방돌출부(3')를 절개분할시키되, 부착환편(3")에 약간 못미치게 절개시켜 탄성이 부여된 한쌍의 돌출편(3a)(3b)이 형성되고, 그 돌출편의 양단부에 마련된 직립부재(3c, 3c')(3d, 3d')에는 고정볼트(7)(7')의 미나사부(7a)와 나사부(7b)가 삽입체결되는 미나사공(8)(8')과 나사공(9)(9')을 형성시키되, 이들은 각각 상기의 고정볼트(7)(7')가 상반대로 체결도리수 있도록 형성된다.
가령, 일측돌출편(3a)의 일측직립부재(3c)에 미나사공(8)이 형성되고, 타측직립부재(3c')에 나사공(9)이 형성된다면, 타측돌출편(3b)의 일측직립부재(3d)에는 나사공(9')이 형성되고, 타측직립부재(3d')에는 미나사공(8')이 형성되도록 하여 고정볼트(7)(7')가 각각 반대방향에서 체결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의 체결은 고정볼트(7)(7')의 나사부(7b)가 미나사공(8)(8')을 통과하여 나사공(9)(9')에 체결되므로서 이루어진다.
한편, 허브(3)의 중앙공(10)내주면부에는 다수의 스플라인(10s)이 형성되고, 그 허브(3)가 끼움조립 고정되고 차축(4)의 외주연부에는 상기 중앙공(10)의 스플라인(10s)과 맞물리는 스프라인(4s)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으로 미설명부호 (11)은 구동케이스 덮개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허브(3)는, 중앙공(10)의 스플라인(10s)이 차축(4)의 스플라인(4s)에 정합되도록 끼움삽입되는 바, 그 스플라(10s)(4s)간에는 설정치의 유격이 형성됨에 따라서, 차축(4)에서 허브(3)가 전, 후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자축(4)상에서 허브(3)의 위치를 자유자재로 변위시켜 가며 도로 및 작업조건에 적합한 임의 설정된 차륜간의 간격을 정확하게 맞출수가 있으며, 아울러 고정시 사용되는 고정볼트(7)(7')가 허브(3)의 직립부(3c, 3c')(3d, 3d')에 체결되어 있으므로, 차륜간 간격조정을 마친후에 곧바로 고정작업에 임할수가 있다.
차축(4)에 허브(3)의 고정은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고정볼트(7)(7')에 의해 이루어지는바, 이는 고정볼트(7)(7')를 회전시키게 되면 그 볼트의 미나사부(7a)는 수직부재(3c)(3d')의 미나사공(8)(8')내에서 고정됨과 동시에, 나사부(7b)는 나사공(9)(9')내에서 회전되므로, 볼트 머리부가 걸려있는 수직부재(3c)(3d')와 나사부(7d)가 나사결합되어 있는 수직부재(3c')(3d)는 서로 내측으로 끌어잡아 당겨져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수직부재의 이동은 돌출편(3a)(3b)의 이동을 의미하는바, 돌출편이 내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허브(3)의 중앙공(10)스플라인(10s)과 차축(4)의 스플라인(4s)간에는 유격이 없는 상호 밀착된 상태가 되고, 아울러 고정볼트(7)(7')의 강한 조임력에 의해 허브(3)는 차축(4)에서 유동불가능하게 완전 고정된다.
한편, 차륜간격조정 필요성에 의해 다시 조정작업을 실시하고자 할 경우에는, 고정볼트(7)(7')를 돌출편(3a)(3b)조임력이 완화되게 풀어주게 되는데, 그 조임력완화 상태를 허브(3)의 중앙공 스플라인(10s)과 차축(4)의 스플라인(4s)간에 유격이 형성되는 상태까지 고정볼트(7)(7')를 풀어주게 된다.
상기 스플라인(10s)(4s)간의 유격형성은, 휘어져 차축(4)에 밀착된 상태로 있던 돌출편(3a)(3b)이, 고정볼트(7)(7')가 풀어짐에 따라 탄성력에 의해 원래위치로 복귀되므로서 형성되는 것임바, 이는 허브(3)를 차축(4)상에서 용이하게 이동시켜가면서 임의의 설정위치에 도달될수 있도록 할수 있게 한다. 따라서 차륜간격조정에 따라 위치가 변위된 허브(3)의 고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볼트(7)(7')를 조여주므로서 차축(4)에 허브(3)가 완전고정되게 하면된다.
이와 같이 고정 및 풀림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허브(3)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단에서 후단에 이르기까지 차축(4)강에서 자유자재로 전, 후이동이 가능한 동시에 고정이 이루어질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관련부품을 완전 차축에서 분리시킨후 다시 차륜간격조정을 위한 조립작업을 해야하는 번거러움 및 작업불편등을 배제시킬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차륜간격조정장치는 종래의 장치에 비해 그 차륜간격조정작업이 간단용이한 구조이므로, 작업자의 작업편리를 크게 도모할수 있는 한편, 차축상의 어느 위치에서도 허브를 고정시킬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임의에 따라 도로 및 작업조건에 적합한 차륜간의 간격을 유지킬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아울러, 허브를 고정시키기 위해 차축첨단부에 하나의 고정볼트가 체결되는 종래 구조를 탈피한, 허브 돌출편 고정방식을 체택함에 따라, 종래에 고정볼트가 풀리므로서 타이어가 탈주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게 되는 본 고안은, 경운기의 작업향상은 물론, 운행에 보다 안전을 기할수 있게되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타이어(1)가 안착된 휠(2)에 고정된 허브(3)가 차축(4)에 끼움삽입고정되는 통상의 것에 있어서, 상기 허브(3)의 중앙공(10)내주면과 차축(4)외주면에 각각 스플라인(10s)(4s)을 형성시켜 상호 정합끼움 조립되도록 하는 한편, 허브(3)의 외방돌출부(3')를 절개분할시켜 형성된 한쌍의 돌출편(3a)(3b)의 양단직립부재(3c, 3c')(3d, 3d')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미나사공(8)(8')을 통과하여 나사공(9)(9')에 체결되는 고정볼트(7)(7')의 조임력에 의해 허브(3)가 차축(4)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기의 차축허브고정을 겸한 차륜간격조정장치.
KR2019870005518U 1987-04-17 1987-04-17 경운기의 차축허브(Hub) 고정을 겸한 차륜 간격 조정장치 KR8900075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5518U KR890007540Y1 (ko) 1987-04-17 1987-04-17 경운기의 차축허브(Hub) 고정을 겸한 차륜 간격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5518U KR890007540Y1 (ko) 1987-04-17 1987-04-17 경운기의 차축허브(Hub) 고정을 겸한 차륜 간격 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9506U KR880019506U (ko) 1988-11-28
KR890007540Y1 true KR890007540Y1 (ko) 1989-10-30

Family

ID=19261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5518U KR890007540Y1 (ko) 1987-04-17 1987-04-17 경운기의 차축허브(Hub) 고정을 겸한 차륜 간격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754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9506U (ko) 1988-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21008A (en) Adjustable steering wheel hub
US4517862A (en) Wheel alignment tool
US20240017761A1 (en) Wheeled device for snowmobile ski
US2761340A (en) Wheel lug-bolt wrench
US3847441A (en) Power adjustable tractor wheels
KR890007540Y1 (ko) 경운기의 차축허브(Hub) 고정을 겸한 차륜 간격 조정장치
DE2630201A1 (de) Fahrzeugrad
CA1039335A (en) Means for securing axle to frame
DE2638076C3 (de) Fahrzeugrad
GB2394265A (en) Wheel Safety Device
EP1184276A2 (de) Bremseinrichtung für ein Fahrrad
DE2519695A1 (de) Sicherungsvorrichtung fuer befestigungselemente wie schrauben o.dgl.
DE924407C (de) Nabenbefestigung mit laengs geschlitzter konischer Spannhuelse
DE1904907U (de) Schusssicheres gelaenderad.
KR100440294B1 (ko) 바퀴의 체결장치
US2789014A (en) Wheel spacing arrangement
KR200158024Y1 (ko) 자동차의 토우각 고정용 보울트
JPH072790Y2 (ja) セグメント取付金具
JP3973093B2 (ja) 走行作業機におけるトレッド変更装置
US4178042A (en) Variable-track wheels
JPH069842Y2 (ja) ホイールアタッチメントの装着用補助具
JPS6319203Y2 (ko)
KR0139231B1 (ko) 리어액슬허브축의 유격조절용 지그
KR940006160Y1 (ko) 경운기용 철륜 및 경운기 바퀴의 결합분리장치
KR200241243Y1 (ko) 차축의허브너트용렌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3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