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1243Y1 - 차축의허브너트용렌치 - Google Patents
차축의허브너트용렌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41243Y1 KR200241243Y1 KR2019980022878U KR19980022878U KR200241243Y1 KR 200241243 Y1 KR200241243 Y1 KR 200241243Y1 KR 2019980022878 U KR2019980022878 U KR 2019980022878U KR 19980022878 U KR19980022878 U KR 19980022878U KR 200241243 Y1 KR200241243 Y1 KR 20024124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rench
- nut
- hub
- hub nut
- axle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축(Axle)의 허브너트(Hub Nut)용 렌치(Wrench)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허브너트의 삽입구 간격에 따라 작동바의 간격을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차축의 허브너트용 렌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고정프레임(10)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손잡이(13)와 안내바(12)에 각각 끼워진 메인안내관(23)과 안내관(22)에 의해 안내되도록 이동프레임(20)을 이동시키면 허브너트(5)의 삽입구(6)에 삽입되는 작동바(11,21)의 간격이 조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축의 허브 너트용 렌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차축의 허브너트용 렌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축의 양단측에 나사결합되어 허브를 지지하는 허브너트를 취부 및 취외하기 위해 사용되는 차축의 허브너트용 렌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의 동력을 바퀴에 전달하는 차축(1)에는 그 양단측에 각각 허브(4)가 조립되어 있고, 이 허브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차축의 양단에 허브너트(5)가 나사결합된다.
이때, 허브너트(5)는 일반 너트와 달리 그 외주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져 일반의 스패너 등을 사용하여 조이거나 풀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차체의 하부에 설치된 허브너트(5)를 조이거나 풀 때 사용되는 종래의 렌치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작동바(9)를 허브너트의 삽입구(6)에 삽입한 후, 그 손잡이(7)를 잡고서 그 구동축(8)을 돌리게 되면 허브너트를 조이거나 풀게 된다.
그러나, 허브너트(5)는 차량마다 그 크기가 다르고 이에 따라 삽입구(6)의 간격 또한 다양하게 제작되고, 종래의 허브너트용 렌치는 하나의 허브너트에만 사용될 수 있도록 작동바(9)의 간격이 고정 제작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허브너트용 렌치를 허브너트(5)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준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더욱이 다양한 크기의 허브너트용 렌치를 보관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본 고안은 다양한 허브너트의 삽입구 간격에 따라 작동바의 간격을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차축의 허브너트용 렌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허브너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제2도는 종래의 허브너트용 렌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차축의 허브너트용 렌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축 2 : 타이어
3 : 휠 4 : 허브
5 : 허브너트 6 : 삽입구
7 : 손잡이 8 : 구동축
9 : 작동바 10 : 고정프레임
11 : 작동바 12 : 안내바
13 : 손잡이 14 : 스토퍼
20 : 이동프레임 21 : 작동바
22 : 안내관 23 : 메인안내관
30 : 고정작동부 40 : 이동조정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고정프레임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손잡이와 안내바에 각각 끼워진 메인안내관과 안내관에 의해 안내되도록 이동프레임을 이동시키면 허브너트의 삽입구에 삽입되는 작동바의 간격이 조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축의 허브너트용 렌치를 제공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한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차축의 허브너트용 렌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있어 고정프레임(10)과 손잡이(13)는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고, 특히 고정프레임(10)은 차체의 하부에 위치하는 허브너트(5)에 도달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갖게 된다.
이때, 고정프레임(10)에는 그 선단면에 작동바(11)가 고정 설치되어 있고, 그 중단부에 안내바(12)가 직각을 이루도록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프레임(10)과 평행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이동프레임(20)에는 그 후단측에 메인안내관(23)이 고정 설치되어 있고, 그 선단면에 작동바(21)가 고정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메인프레임(23)은 손잡이(13)에 끼워져 손잡이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되고, 이동프레임(20)의 작동바(21)는 고정프레임(10)의 작동바(11)와 한쌍을 이루면서 허브너트(5)의 삽입구(6)에 삽입된다.
또한, 이동프레임(20)의 중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안내관(22)는 고정프레임(10)의 안내바(12)에 끼워지면서 안내바(12)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특히, 스토퍼(14)는 메인안내관(23)을 손잡이(13)에 끼운 후, 손잡이의 외주면에 용접 부착되어 메인안내관이 손잡이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허브너트용 렌치를 이용하여 허브너트(5)를 조이거나 풀고자할 경우, 한손으로 손잡이(13)를 잡고서 다른 한손으로 이동프레임(20)을 이동시켜 허브너트(5)의 삽입구(6) 간격에 맞도록 작동바(11,21)의 간격을 조정하게 된다.
이때, 이동프레임(20)은 안내관(22)이 안내바(12)에 끼워진 상태에서 이동시켜야 한다.
그리고, 간격이 조정된 작동바(11,21)를 허브너트(5)의 삽입구(6)에 각각 삽입한 후, 손잡이(13)를 잡고 돌리게 되면 허브너트(5)가 회전되면서 풀리거나 조이게 된다.
본 고안은 다양한 허브너트의 삽입구 간격에 따라 작동바의 간격을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준비 및 보관상의 번거로움을 완전히 제거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1)
- 고정프레임(10)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손잡이(13)와 안내바(12)에 각각 끼워진 메인안내관(23)과 안내관(22)에 의해 안내되도록 이동프레임(20)을 이동시키면 허브너트(5)의 삽입구(6)에 삽입되는 작동바(11,21)의 간격이 조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축의 허브너트용 렌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22878U KR200241243Y1 (ko) | 1998-11-24 | 1998-11-24 | 차축의허브너트용렌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22878U KR200241243Y1 (ko) | 1998-11-24 | 1998-11-24 | 차축의허브너트용렌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10543U KR20000010543U (ko) | 2000-06-15 |
KR200241243Y1 true KR200241243Y1 (ko) | 2001-12-01 |
Family
ID=69509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80022878U KR200241243Y1 (ko) | 1998-11-24 | 1998-11-24 | 차축의허브너트용렌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41243Y1 (ko) |
-
1998
- 1998-11-24 KR KR2019980022878U patent/KR20024124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10543U (ko) | 2000-06-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868877B1 (en) | Motorized vehicle | |
CA2071782A1 (en) | Tire removal tool | |
US6443528B1 (en) | Apparatus for attaching a cover to a vehicle wheel having a dropped center | |
JPH11198887A (ja) | 車軸固定装置 | |
US5020398A (en) | Hollow ended four-way socket wrench | |
KR200241243Y1 (ko) | 차축의허브너트용렌치 | |
US6467852B1 (en) | Attachment for retaining a covering over the axle hub of a wheel | |
US3779106A (en) | Wheel wrench adapter | |
TW544404B (en) | Bicycle hub for tangential spokes | |
EP1167088A3 (en) | Tool for mounting and removing tyres onto and from respective wheel rims | |
US5524513A (en) | Multipurpose in-line skate wheel and bearing tool | |
US20020190570A1 (en) | Axle extension device | |
KR20020080711A (ko) | 자동차용 허브 베어링 아우터 레이스 탈거용 공구 | |
JPH0516850A (ja) | 2輪車の補助スタンド | |
JP2002137782A (ja) | 自転車の2分割式ハンドル | |
US5123312A (en) | Hub mounted support for a wheel lug wrench | |
KR100440294B1 (ko) | 바퀴의 체결장치 | |
JPS585835B2 (ja) | チェ−ン引き機構 | |
US6817270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assisting mechanics with the removal and replacement of brake drums | |
JPS5824281B2 (ja) | トラック用ホイ−ル着脱装置 | |
KR200330537Y1 (ko) | 휠 박스렌치 | |
JP3039802U (ja) | ホイール取替え用器具 | |
JPH0428803Y2 (ko) | ||
JPS5855043Y2 (ja) | スポ−ク車輪 | |
KR890007540Y1 (ko) | 경운기의 차축허브(Hub) 고정을 겸한 차륜 간격 조정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