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7236Y1 - 무 브러시(brushless)모우터 - Google Patents

무 브러시(brushless)모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7236Y1
KR890007236Y1 KR2019830004197U KR830004197U KR890007236Y1 KR 890007236 Y1 KR890007236 Y1 KR 890007236Y1 KR 2019830004197 U KR2019830004197 U KR 2019830004197U KR 830004197 U KR830004197 U KR 830004197U KR 890007236 Y1 KR890007236 Y1 KR 8900072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bracket
coils
fixed
fix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41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6467U (ko
Inventor
유끼히꼬 야스하라
Original Assignee
알프스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가다오까 가쓰다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가다오까 가쓰다로오 filed Critical 알프스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64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64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72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72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9/00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 Permanent Magnet Type Synchronous Machine (AREA)
  • Brushless Mo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무 브러시(brushless)모우터
제1도는 본 고안 실시예의 모우터 전체를 나타낸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2도는 코일과 브래킷의 관계를 나타낸 제1도의 B-B선 단면도.
제3도는 고정편과 코일의 관계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제4도는 센서의 설치를 나타낸 제2도의 C-C선 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브래킷 12,18 : 자석
2,3 : 코일 13 : 로우터
5 : 고정편
본 고안은, 무브러시, 모우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브러시(brushless)모우터의 브랫킷상에 설치되는 코일의 설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고정부재인 금속제의 코일을 고정하고, 로우터(회전자)의 자석을, 이 코일에 대향 배치하고,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므로서 브랫킷과 자석간의 자계의 작용으로 로우터를 회전시키는 소위 무브러시 모우터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무브러시 모우터에 있어서, 상기한 코일은 통상 절연 시이트 및 접착제에 의해 금속제의 브래킷에 고착되어 있으나, 코일의 인출위치가 어렵기 때문에, 소정의 토오크를 얻기 어렵고, 또는 회전 불균일의 원인이 되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또 접착제의 경화에 시간이 걸려, 작업성이 좋지 않았다.
본 고안은, 상기한 결점을 감안하여, 코일의 위치고정 정밀도를 높이고, 로우터의 성능을 향상 시킴과 동시에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저렴한 무브러시 모우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르 위한 구성으로서, 브래킷에는 아우트서어트(outsert)성형에 의하여 고정편을 일체로 형성하여 이 고정편으로 코일을 브래킷상에 고정 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을 도면에 의거 설명한다.
제1도는 본고안 실시예의 무브러시 모유터의 전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모우터의 고정자(stator) (A)및 요우크(Yoke)를 겸하는 금속제의 크래킷(1)상에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대략 트랙(atrack)형상으로 감은 두개의 코일(2), (3)이 배치된다.
이 두개의 코일(2), (3)은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일정각도로 편의된 위치에 고정되어 그 중앙부분은 한쪽 코일(2) 이 위쪽에, 다른쪽 코일이 아래쪽이 되도록 겹쳐지는 동시에 겹쳐지는 동시에 중심부는 회전축(4)이 관통되도록 이간(離間)되고, 구동력을 얻기위한 아암(Arm)(2a), (3a)은 모두 회전축(4)의 중심으로부터 방사(放射)방향으로 향하고 있다.
상기한 브래킷(1)은 철 등의 자성재료로 형성된 금속판이고, 복수의 개소에 뚫려 있어 이 구멍에 수지로 아우트서어트(out sert)성형 하므로서 각각의 부품이 미리 일체화 되어 있다.
즉, 상기한 코일(2),(3)의 단부(2b)(3b)가 배치되는 부분의 구멍(1a)에는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은 고정편(5)을 설치하여, 이 고정편(5)의 선단(5a)에 의하여 코일(2),(3)의 단부(2b),(3b)를 위쪽 및 옆쪽으로 부터 탄성적으로 압압 고정한다.
한편 코일(2), (3)의 아암(2a), (3a)의 내측에는 상기한 고정편(5)과 마찬가지로 수지의 아우트서어트 성형에 의하여 위치고정용 보스(6)및 코일 단말(8)의 인출용 통체(7)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한 보스(6)가 아암(2a),(3a)의 모서리부에 맞닿음으로써 코일(2), (3)을 브래킷(1)상에 위치 시키고 있다. 또한, 보스(6)는 턱부(6a)를 구비하고 있어 이 턱부(6a)가 브래킷(1)의 상면에서 약간 윗쪽으로 돌출하여 턱부(6a)상에 코일(2), (3)이 걸쳐있게 되므로 금속제의 브래킷(1)과 코일(2), (3)을 절연 시킨다.
또한, (9)는 브래킷(1)상에 설치된 한쌍의 광학적 센서로서, 제4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절연재(10)로 브래킷(1)상에 고정되고, 단자(9a)는 절연재로 형성한 구멍을 통하여 아래쪽의 프린트 기판(11)에 접속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형성된 고종자(A)의 상방에는 로우터(B)가 설치된다. 로우터(B)는 상기한 코일(2),(3)의 아암(2a), (3a)에 극히 근접되게 대향하는 위치에 복수의 자석(12)을 설치하고, 이 자석(12)을 연결하는 요오크(13), 요오크(13)의 중심에 고정된 회전축(4)으로 형성된다. 회전축(4)은, 샤시(Chassis)(20)에 고정시킨 축받이 하우징(16)을 상기한 브래킷(1)과 지주(支柱) (4)에 의해 고정된 커버(15)에 측방향으로 끼워 고정시킴으로써 축받이 하우징(16)에 회전자재롭게 설치되는 한편 회전축하단은 코일(2),(3)을 관통하여 브래킷(1)에 고정시킨 쓰러스트 축받이(17)에 맞닿아있다.
또 요오크(13)의 상면에 고착된 복수개의 서어보용 자석(18)과, 이 자석(18)과 대향하는 위치의 커버(15)의 하면에 고정시킨 서어보용 코일(19)로 모우터의 회전을 제어하고 있다.
다음은 코일(2),(3)이 브래킷(1)에 설치되는 것을 설명한다.
미리 대략 트랙형상으로 감은 코일(3)의 만곡부분의 내벽 각부(角部)가 브래킷(1)상의 보스(6)와 대응하도록, 코일(3)을 브래킷(1)의 위쪽으로 가지고 간다.
다음에 코일(3)의 양쪽단부(3b)외주를 고정편(5)의 선단(5a)위에 올려놓고 아래쪽으로 압압하면, 선단(5a)의 외면은 내측을 항한 테이터(taper)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스스로 탄성력에 의하여 외측으로 만곡되고, 이로인하여 코일(3)은 고정편(5)의 선단(5a)을 지나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보스(6)에 의하여 코일(3)의 내측 각부(모서리)가 위치 규제되면서 상기한 보스(6)의 턱부(6a)상에 서로 맞닿게 되는 동시에 고정편(5)의 탄성력에 의하여 턱부(6a)에 압접 고정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이 코일(3)의 위로부터 또 다른 코일(2)을 중첩시키면, 고정편(5)에 의하여 코일(2)도 보스(6)의 턱부(6a)상에 압접 고정된다.
그다음, 코일(2), (3)의 단말(8)을 통체(7)로 부터 아래쪽으로 끌어 내고, 브래킷(1)하면에 고정시킨 프린트기판(11)에 납땜으로 접속한다.
모우터의 구동은 종래와 같으며,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면, 자석(12)과 브래킷(1)간의 자계의 작용을 받는 코일(2), (3)의 반작용에 의하여, 자석(12), 요오크(13), 회전축(4)로 구성되는 로우터(B)는 회전 운동을 일으킨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브래킷(1)과 코일(2), (3)과의 절연은 단지 보스(6)의 턱부(6a)에 코일(2), (3)을 올려 놓고, 브래킷(1)으로부터 코일(2), (3)을 이간 시킨 상태로 지지 시키고 있으나, 필요하다면, 브래킷(1)과 코일(2), (3)간에 절연시이트 등 다른 절연체를 개재시켜도 좋다.
또,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코일(2), (3)의 고정을 고정편(5)만으로 하였으나, 보강 및 가고정(假固定)하기위하여 접착제를 일부분에 사용하여도 무관하다.
본 고안은 이상의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브래킷에는 아우트 서어트 성형에 의해 고정편을 일체로 형성하여, 이 고정편으로 상기한 코일을 브래킷상에 고정시킨 것이다.
따라서 코일의 위치 고정이 용이하고 또한 정확하여, 소정의 토오크를 충분히 얻을수 있음과 동시에 회전 불균형이 감소되어 무우터의 성능을 향상 시킬수가 있고, 또 코일의 장착이 극히 간단하여 작업성이 뛰어나고, 저렵하게 제조할수가 있게 된다.

Claims (1)

  1. 브래킷(1)상에 코일(2), (3)을 조정하고, 이 코일의 상방에 자석(12), (18)을 설치한 토우터(B)를 배치시킨 무브러시 모우터에 있어서, 상기한 브래킷에는 아우터 서어트 성형에 의하여 고정편(5)을 일체로 형성하고, 이 고정편으로 상기한 코일을 브래킷상에 고정시킨 무브러시 모우터.
KR2019830004197U 1982-06-05 1983-05-12 무 브러시(brushless)모우터 KR89000723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2979 1982-06-05
JP1982082979U JPS58186786U (ja) 1982-06-05 1982-06-05 ブラシレスモ−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467U KR840006467U (ko) 1984-12-03
KR890007236Y1 true KR890007236Y1 (ko) 1989-10-20

Family

ID=30092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4197U KR890007236Y1 (ko) 1982-06-05 1983-05-12 무 브러시(brushless)모우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8186786U (ko)
KR (1) KR89000723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467U (ko) 1984-12-03
JPS58186786U (ja) 1983-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73072B2 (en) Relay support device for an electric motor, in particular for an electrically commutated DC motor
US4259604A (en) DC rotary machine
JPWO2005099068A1 (ja) ブラシレスモータ
US7723877B2 (en) Motor
JPWO2005107049A1 (ja) ブラシレスモータ
EP0305431A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d.c. motors
JPH0823666A (ja) 内転形ブラシレスモータ
KR890007236Y1 (ko) 무 브러시(brushless)모우터
US11699938B2 (en) Guiding element for an electric motor
JPS5849074A (ja) ブラシレスモ−タ
JPH0612947B2 (ja) 無整流子モ−タ
JPH0715320Y2 (ja) モ−ルドモ−タ
KR890007228Y1 (ko) 모우터의 코일 단말인출 장치
JPS6029327Y2 (ja) 直流直結型モ−タ
JPH1080106A (ja) モータ
JP3431245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
JPH0428216Y2 (ko)
KR0150341B1 (ko) 축방향 공극형 단상 브러시리스 모타
JPH0229798Y2 (ko)
KR100189077B1 (ko) 직류단상 브러쉬리스 축류팬모터
JP2000116096A (ja) Dcブラシレスモータ
JPH11275841A (ja) ブラシレスdcモータ構造
JPH04347552A (ja) モールドモ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S631020B2 (ko)
KR890000905Y1 (ko) 브러시리스 모우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21008

Year of fee payment: 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