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6995Y1 - 자동차용 실내 백밀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실내 백밀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6995Y1
KR890006995Y1 KR2019860010186U KR860010186U KR890006995Y1 KR 890006995 Y1 KR890006995 Y1 KR 890006995Y1 KR 2019860010186 U KR2019860010186 U KR 2019860010186U KR 860010186 U KR860010186 U KR 860010186U KR 890006995 Y1 KR890006995 Y1 KR 8900069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night
frame
polarizing lens
rear vi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01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2291U (ko
Inventor
강영중
Original Assignee
강영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영중 filed Critical 강영중
Priority to KR20198600101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6995Y1/ko
Publication of KR8800022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2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69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69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insid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3Anti-glare mirrors, e.g. "day-night" mirrors
    • B60R1/084Anti-glare mirrors, e.g. "day-night" mirrors using a removable filtering or hiding scre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실내 백밀러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후레임 연결돌부 확대 사시도.
제3(a)도, 제3(b)도는 사용상태 측면도로서, (a)도는 편광렌즈를 부설한 측면도 (b)도는 편광렌즈를 개방시킨 상태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거울면 2 : 백밀러
2' : 힌지편 3,8 : 축공
4 : 고정홈 5 : 편광렌즈
6 : 백밀러후레임 6' : 연결돌부
7 : 고정돌조 9 : 핀
본 고안은 자동차용 실내 백밀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상의 거울면을 형성한 밀러와 편광렌즈를 이용한 야간운행용의 밀러를 힌지축을 중심으로 절첩 가능하게 연설하여 주,야간의 운행 조건에 따라 밀러를 선택하여 사용할수 있는 자동차용 실내 백밀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백밀러에 있어서는 밀러 삽치용 후레임 상에 일반 거울면을 삽치하여 구성시킨 것으로, 주간에 운전자가 뒤따르는 차량을 확인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었을뿐 야간 운행에 있어서는 후방을 뒤따르는 차량의 헤트라이트 조명광선에 의해 운전자가 시력장애를 일으겨 잠시동안은 앞이 보이지 않는 상태에서 맹목운전을 하게되며, 이로 인한 교통사고의 유발 등 위험이 매우 크게 지적되어 왔던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 야간 운행시의 사고 위험등 제반 결함을 보완하여 안출한 본 고안은 통상의 거울면이 삽치되는 백밀러 상부에 축공을 천공한 힌지편을 구성하여 편광렌즈를 삽치한 야간 운행용 백밀러 후레임 상부에 형성된 연결돌부상의 축공과 핀으로 유설시켜 구성시킨 것으로, 통상의 주간 운행에 있어서는 편광렌즈가 삽설된 야간운행용 밀러를 상부로 개폐하여 거울면을 삽설한 통상의 백밀러로 사용하게되며, 라이트를 사용케되는 야간 운행시에는 편광렌즈를 삽설한 백밀러를 통상의 백밀러 전방에 위히시켜 후방을 뒤따르는 차량의 헤트 라이트 조명광선을 차단시켜 주게 함으로서 라이트 조명광선의 강한 불빛이 편광렌즈에 의해 차광의 효과를 나타내게 되어 후방차량의 형태등을 용이하게 확인할수 있는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거울면 (1)을 삽설한 공지의 백밀러 (2)상부에 축공 (3)을 천공하고, 일측에 고정홈 (4)(4')을 요설한 힌지편 (2')을 형성하여 편광렌즈 (5)가 삽설된 야간 운행용 백밀러 후레임 (6)상단에 고정돌조 (7)를 횡설한 연결돌부 (6')상의 축공 (8)과 핀 (9)으로 유설하여 구성한 것으로, 미 설명부호 10은 백밀러 지지구, 11은 차량, 12는 손잡이 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통상의 백밀러 (2)의 상부 힌지편 (2')가 편광렌즈 (5)가 삽설된 야간 운행용 백미러후레임 (6)상단 연결돌부 (6')의 각 축공 (3)(8)을 핀 (9)으로 유설시켜 형성한 것으로, 백밀러 (2)의 상부 힌지편 (2')상의 고정홈 (4)(4')내에 야간 운행용 백밀러 후레임 (6)상단 연결돌부 (6')에 횡설한 고정돌조 (7)를 결착시켜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한 것이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간 운행시 편광렌즈 (5)를 삽설시킨 백밀러 후레임 (6)의 연결돌부 (6')상에 횡설된 고정돌조 (7)를 통상의 백밀러 (2)상부 힌지편 (2')의 일측에 요설된 고정홈 (4')과 결착시켜 주게 되면 편광렌즈 (5)가 내삽된 백밀러 후레임 (6)이 상향 조정된 상태로 개방되어 운전자는 백밀러 (2)의 거울면 (1)을 통해 후방차량을 확인하게 되는 것이며, 일몰후의 라이트를 켜고 운행에 임하게 되는 야간 운행에 있어서는 상향 조정되어 있던 백밀러 후레임 (6)의 연결돌부 (6')상 고정돌조 (7)를 거울면 (1)이 삽설된 백밀러 (2) 힌지편 (2')의 고정홈 (4')의 위치에서 고정홈 (4)의 위치로 백밀러 후레임 (6)상의 손잡이 (12)를 이용하여 하향 조정시켜 줌으로서 편광렌즈 (5)가 내삽된 야간 조명용 백밀러 후레임 (6)이 거울면 (1)을 삽설한 백밀러 (2)의 전방에 부설되어 편광렌즈 (5)에 의해 라이트 조명광선의 강한 불빛을 차단시켜 후방차량의 헤트라이트 조명 광선을 운전자가 직접 접하지 아니하고 후방차량의 형태만을 용이하게 확인할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운전자가 후방을 뒤따르는 차량을 확인하게 되는 것으로, 주간운행에 있어서는 별다른 문제점을 야기시키지 않게되나 라이트를 켜고 운행에 임하게 되는 야간운행시 후방 차량의 헤트라이트의 조명광선을 운전자가 직접 접하게 됨으로서 야기되는 순간적인 시력장애로 인해 교통사고의 유발등의 위험요소를 배제시켜 통상의 거울면을 삽설한 백밀러의 전방에 편광 렌즈를 삽설시킨 야간운행용 백밀러를 힌지축으로 유설시켜 줌으로서 필요에 따라 거울면을 형성한 밀러와 편광렌즈를 이용하여 라이트 조명광선의 강한 불빛을 차단시켜 주게 되는 야간 운행용 밀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가 야간 운행시 후방차량의 라이트 광선으로 인하여 시력장애를 일으키는 사례 없이 안전하게 운행에 임할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하고도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거울면 (1)을 삽설한 백밀러 (2)와, 편광렌즈 (5)가 삽설된 야간 운행용 백밀러 후레임 (6)을 힌지로 연결하여서된 공지의 백밀러에 있어서, 상기 백밀러 (2)상부에 축공 (3)을 천공하고, 그 일측에 고정홈 (4)(4')이 천공된 힌지편 (2')을 형성하여, 야간운행용 백밀러 후레임 (6)상단에 고정돌조 (7)를 횡설한 연결돌부 (6')상의 축공 (8)과 핀(9)으로 유설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실내 백밀러.
KR2019860010186U 1986-07-15 1986-07-15 자동차용 실내 백밀러 KR8900069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0186U KR890006995Y1 (ko) 1986-07-15 1986-07-15 자동차용 실내 백밀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0186U KR890006995Y1 (ko) 1986-07-15 1986-07-15 자동차용 실내 백밀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2291U KR880002291U (ko) 1988-04-08
KR890006995Y1 true KR890006995Y1 (ko) 1989-10-14

Family

ID=19253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0186U KR890006995Y1 (ko) 1986-07-15 1986-07-15 자동차용 실내 백밀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699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2291U (ko) 1988-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6995Y1 (ko) 자동차용 실내 백밀러
KR20010001742U (ko) 차량용 햇빛가리개의 배니티미러구조
US5613724A (en) Glare reducing visor for vehicles
CN208896828U (zh) 一种带防眩光滤镜的汽车遮阳板
RU2097225C1 (ru) Зеркало заднего вида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200149110Y1 (ko) 안전 표지판이 구비된 자동차의 백 도어
KR200241879Y1 (ko) 차량용 햇빛 눈부심방지장치
KR0124994Y1 (ko) 자동차의 보조 선바이저
KR0184549B1 (ko) 자동차에 설치되는 눈부심 방지용 썬 바이저(sun visor)
KR920004901Y1 (ko) 자동차용 백밀러
KR0136255Y1 (ko) 자동차의 보조 사이드미러
KR0125517Y1 (ko) 자동차의 선셰이드용 조명등
KR0121866Y1 (ko) 자동차용 사이드미러구조
JPS6346269Y2 (ko)
KR0126924Y1 (ko) 차량의 도어 열림 경고장치
KR200190127Y1 (ko) 미러 일체형 룸램프
KR0127086Y1 (ko) 차량용 차양판
KR0132806Y1 (ko) 접이식 선바이저
KR200154155Y1 (ko) 안전표지판이 구비된 자동차의 백 도어
JPH086612Y2 (ja) 車両用ハイマウントストツプランプ装置
CA2060093C (en) Rear vehicle courtesy bright light dimming signal system
KR200191184Y1 (ko) 차량의 오버헤드형 멀티램프
KR200141720Y1 (ko) 차량용 도어램프
KR200191660Y1 (ko) 출몰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보조백밀러
KR100212186B1 (ko)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