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5999Y1 - 멜로디 컵 - Google Patents

멜로디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5999Y1
KR890005999Y1 KR2019860002590U KR860002590U KR890005999Y1 KR 890005999 Y1 KR890005999 Y1 KR 890005999Y1 KR 2019860002590 U KR2019860002590 U KR 2019860002590U KR 860002590 U KR860002590 U KR 860002590U KR 890005999 Y1 KR890005999 Y1 KR 8900059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lody
cup
groove
copper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25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4372U (ko
Inventor
이현직
Original Assignee
이현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직 filed Critical 이현직
Priority to KR20198600025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5999Y1/ko
Publication of KR8700143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43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59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9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27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27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 A47G2019/2244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with sound emit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4Sound
    • A47G2200/143Sound producing mean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멜로디 컵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 1를 나타낸 일부 절개정면도.
제2도는 본 고안 의 실시예 2를 나타낸 일부 절개정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회로장치 블럭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 1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컵외주면 2 : 멜로디
3 : 프린트기판 4 : 전자코일트랜스듀서
5 : 전지 6 : 광저항소자(css)
7 : 케이스 7 : 빛차단돌출환테
7 : 소리구멍 7 : 삽입지지구
8 : 탄성환테 9 : 구리박판
10 : 구리나선 11 : 요홈
11 : 중앙홈 12 : 연결대
13 : 리드선 14 : 종요홈
15 : 스위치부 16 : 멜로디회로부
본 고안은 빛이나 접촉에 의해 작동되는 멜로디 장치를 컵의 저면부에 장설하여서 된 멜로디 컵에 관한 것이다.
종전의 시각적인 감흥을 주는 영상컵이나 다색으로 발광하는 컵이 있었으나, 이는 최초의 호기심이 사라지면 쉽게 싫증을 느끼게 되어 감흥을 돋구어 주는 효과가 적은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같은 종래의 고안과는 달리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멜로디가 흘러나오게 함으로써 청각적인 감흥을 돋구어 줄 수 있는 컵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컵의 저면부의 멜로디장치를 장설하고, 상기 멜로디장치를 작동시켜주는 스위치를 컵의 적당한 부위에 설치하여서 구성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멜로디 I.C.(2) 출력트랜지스터(Q1) 전자코일트랜스듀서(4) 저항(R1)(R2)(R3) 및 콘덴서(C1)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멜로디 회로부(16)와 광저항소자(cds)(6) 스위칭트랜지스터(Q2) 및 저항(R4) 및 저항(R4)으로 된 통상의 감광스위치(15)로 구성되는 광감지 멜로디 회로를 컵의 저면부에 장설시키되 걸림턱(7a) 빛차단돌출환테(7b) 소리구멍(7c) 및 삽입공(7d)을 구비한 케이스(7)내에 있는 상기 삽입공(7d)에 광저항소자(cds)(6)를 케이스내부가 외부로부터 밀폐되게 삽입고정하고, 상기 소리구멍(7c)상에 전자코일 트랜스듀서(4)를 역시 밀페되게 장착시키며, 나머지 회로소자와 멜로디 I.C.(2) 및 전지(5)가 배치 접속된 프린트기판(3)을 걸림턱(7a)상에 장착시킨후, 이 케이스(7)를 컵의 저면부에 끼워넣어 구성한다.
따라서 컵이 테이블위에 놓여 있을때는 빛차단 돌출환테(7b)에 의하여 외부 빛이 차단되기 때문에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Q2)가 차단되어 있어서 상기 멜로디 회로부(16)가 동작되지 않으며, 컵을 들게되면 상기 광저항소자(cds))(6)에 빛이 감지되어 상기 광저항소자(cds)(6)의 저항이 감소되어 상기 스위칭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전압이 높아져 상기 스위칭트랜지스터(Q2)가 도통되어 상기 멜로디 회로부(16)가 동작된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감광스위치부(15) 대신에 컵의 외주면(1)의 상부에 형성된 중앙홈(11a)을 가진 요홈(11)에 구리나선(10)과 내주면(8a)에 구리박판(9)이 부착된 탄성환테(8)로 이루어진 접촉스위치를 환설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요홈(11)으로부터 저부의 구멍(1a)까지 형성된 종요홈(14)에 삽입되며 돌출부(12a)가 일체로 형성된 연결대(12)내에 내장되어 있는 리드선(13)에 의하여 멜로디 회로부(16)에 연결되게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실시예 2에서는 다른 컵의 외주면(1)과 건배시 컵의 상부가 부딪칠때 기 탄성환테(8)가 눌리어 그 내주면(8a)에 부착된 구리박판(9)과 구리나선(10)이 접촉되므로 스위치가 연결되어 멜로디 회로부(16)가 작동된다.
미설명 부호 2a는 I.C. 코넥터 7e는 연결대(12)가 끼워지는 케이스의 삽입공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멜로디 컵은 스위치부(15)가 작동되게 되면 컵의 저면부에 장설된 멜로디 회로부(16)가 작동되어 사용된 멜로디 I.C.(2)의 종류에 따라 여러가지 멜로디가 흘러나오므로 분위기가 조성되고 자연스럽게 따라서 부를수도 있어 감흥을 돋구어 주는 효과가 매우 크며 특히 아동들에게 정서적인 음악적 환경을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접속스위치부와 연결대(12)의 색상과 모양의 디자인을 다양화 함으로써 청각적인 감흥과 아울러 시각적 감흥도 함께 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멜로디 회로부가 저면부에 내장된 멜로디컵에 있어서 컵의 외주면(1) 상부 둘레에 중앙홈(11a)을 구비하는 요홈(11)을 형성하여 이 중앙홈(11a)에 구리나선(10)을 설치하며, 요홈(11)의 외주둘레에는 그 내주면(8a)에 구리박판(9)이 설치된 탄성환테(8)를 설치하고, 상기 구리나선(10)과 구리박판(9)을 각각 리드선(13)을 통해 상기 멜로디회로부에 전기적 접속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로디 컵.
KR2019860002590U 1986-03-05 1986-03-05 멜로디 컵 KR8900059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2590U KR890005999Y1 (ko) 1986-03-05 1986-03-05 멜로디 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2590U KR890005999Y1 (ko) 1986-03-05 1986-03-05 멜로디 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4372U KR870014372U (ko) 1987-10-02
KR890005999Y1 true KR890005999Y1 (ko) 1989-09-09

Family

ID=19249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2590U KR890005999Y1 (ko) 1986-03-05 1986-03-05 멜로디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599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4372U (ko) 1987-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4141A (en) Piezoelectric switch
PT795885E (pt) Interruptor com um comutador termo-dependente
KR880001003A (ko) 아크없는 전자 접속기
US4618917A (en) Integral phone light accessory
EP0863403A1 (en) Sensor for encoder
KR890005999Y1 (ko) 멜로디 컵
US4435796A (en) Electrical connection construction for electronic timepiece
JPS63172023U (ko)
JPH08249997A (ja) 近接センサ
US4403315A (en) Electronic timepiece assembly
JPS5848758Y2 (ja) 小型電子機器におけるタッチスイッチ装置
JPS61137987U (ko)
JPS5919373Y2 (ja) スライドボリユ−ム
JPS5818672A (ja) 表示装置
JPH0319207Y2 (ko)
JP3214064B2 (ja) 照光押ボタンスイッチ
JPH054178Y2 (ko)
JP2584090Y2 (ja) 高圧用可変抵抗器
JPH0635304Y2 (ja) 照光式スイッチ
JPH03120879A (ja) ランプ装置
JP2640556B2 (ja) ラバーコンタクトスイッチ
US4428683A (en) Electrical connection construction for electronic timepiece
JPH0427647B2 (ko)
JP2576946Y2 (ja) ランプ装置
JPS5819826Y2 (ja) テイコウキツキヒヨウジト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