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5315B1 - 가변 주파수 전원의 운전방법 - Google Patents

가변 주파수 전원의 운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5315B1
KR890005315B1 KR1019850000354A KR850000354A KR890005315B1 KR 890005315 B1 KR890005315 B1 KR 890005315B1 KR 1019850000354 A KR1019850000354 A KR 1019850000354A KR 850000354 A KR850000354 A KR 850000354A KR 890005315 B1 KR890005315 B1 KR 890005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frequency
change rate
variable frequency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0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7341A (ko
Inventor
노부하루 다까따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덴끼 가부시끼가이샤
가다야마 니하지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9065419A external-priority patent/JPS60210192A/ja
Priority claimed from JP59065420A external-priority patent/JPS60210193A/ja
Priority claimed from JP59065421A external-priority patent/JPS60210194A/ja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덴끼 가부시끼가이샤, 가다야마 니하지로우 filed Critical 미쯔비시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7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7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5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2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AC powered l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ntrol Of Electric Motors In General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Air Blow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변 주파수 전원의 운전방법
제1도는 종래의 가변주파수 전원을 사용한 모터의 속도 제어계의 계통도.
제2도와 제3도는 제1도에 도시한 종래의 가변 주파수 전원의 운전방법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
제5도와 제6도는 제4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가변 주파수 전원의 운전방법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변화율 검출기의 구성도.
제8도는 제7도의 변화율 검출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9도는 본 발명의 제 2 의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제10도는 제9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 3 의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제12도는 제11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 3 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업원 전원 2 : VF전원장치
2A : 변화율 검출기 2B : VF전원
3 : 전기모터 4 : 회전체(송풍기)
5B : 제어장치 5C : 적분회로
6 : 제어신호 7B : 적분형 출력신호
8 : 연결기 9,10,11 : 스위치
본 발명은 가변주파수전원(이하 VF전원이라 한다)으로 전기모터에 전력을 공급하고, 모터로 송풍기나 펌프의 회전체를 구동하는 가변주파수전원에 의한 운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이러한 종류의 장치로써 제 1 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것을 사용하였다. 제 1 도에서 (1)은 상업용 전원, (2B)는 가변주파수(VF)전원, (3)은 전기 모터, (4)는 회전체, (5A)는 제어장치, (6)은 제어신호, (7A)는 제어장치(5A)의 제어출력신호, (8)은 모터(3)과 회전체(4)를 기계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연결기, (9)는 스위치이다.
제 2 도는 제 1 도의 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할때의 타이밍도이다. 제 2 도에서 t1과 t3은 제어신호(6)이 각각 증가와 감소를 지시하는 타이밍 시작점이고, t2와 t4는 VF전원(2B)의 출력이 각각 증가와 감소를 완료한 타이밍 종료점이다.
다음에는 정상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설명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회전체(4)를 송풍기라하고, 그 출력(바람)이 보일러에 사용되고 있는 발전기 설비일때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제 1 도에서 상업용 전원(1)로부터 스위치(9)를 통하여 VF전원(2B)에 전원전압이 인가되었을 경우, VF전원(2B)의 출력주파수 F와 전기모터(3)의 회전수 n사이에는 다음의 식(1)로 표시되는 관계가 있다.
n=
Figure kpo00001
....................................................................(1)
단, 여기서 F는 인가전원주파수이고, P는 전기모터(3)의 피크값이다.
따라서, 회전체(4)가 송풍기일때, 송풍기(4)의 출력풍량 Q는 대략 회전수 n에 비례하여 변화한다. VF전원으로 부터의 출력으로 발전기가 설비된 보일러의 송풍기를 구동하고 있을 때에는 전력계통으로부터의 요구가 있을 경우도 있고, 또 연료의 공급상태의 변화에 대하여 출력풍량 Q의 변화가 요구되므로 이 변화 신호가 제어신호(6)으로써 인가된다. 이 제어신호(6)은 제어장치(5A)에서 제어를 하는데 적합한 제어출력신호(7A)(예를들면 4~20mA의 전류신호)로 변환되어 VF전원(2B)에 보내져서 출력 주파수 F를 요구하는 값으로 변화시켜, 제(1)식으로 표시한 모터(3)의 회전수 n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요구된 출력풍량 Q가 얻어지게 된다.
종래의 VF전원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3 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t1의 시점에서 제어장치(5A)와 VF전원(2B)사이의 신호선의 단선과 같은 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제어신호(6)은 정상임에도 불구하고 제어출력신호(7A)가 0으로 변화하여 VF전원(2B)의 출력주파수 F를 제 3 도와 같이 변화시키게 된다. 따라서, 출력주파수 F가 변화하게 되면 제(1)식에 의하여 모터(3)의 회전수 n과 송풍기(4)의 출력풍량 Q가 변화한다.
즉, 회전체(4)의 출력이 변화해서는 안될때에 출력이 크게 변화하게 되어 설비 전체의 가동이 정지하게 되는 등의 사고로 파급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외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도면으로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출원에서 개시되는 발명중 대표적인 것의 개요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과 같은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여 VF전원 시스템의 운전을 안전하게 계속할 수 있는 가변주파수전원의 운전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어신호(6)을 제어장치내에서 적분하여 그 출력신호를 VF전원에 전달하고, VF전원에서는 상기 적분된 입력신호의 변화율을 검출하는 변화율 검출기를 상기 VF전원내에 설치하고, 이 변화율 검출기가 이상상태를 검출하였을때에는 VF전원(2B)의 출력 주파수가 변화하지 못하게 저지하거나, 또는 모터(3)으로 가는 전력 공급원을 VF전원(2B)에서 상업원 전원(1)로 전환하게 하든가, 또는 VF전원의 출력주파수 F를 소정의 상승율로 주파수 제어범위의 상한선까지 증대시키고, 그 다음에 모터의 공급전원은 VF전원으로부터 상업용전원으로 전환하게 하여 회전체의 출력 에너지의 변화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므로써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서 실시예와 함께 설명한다.
또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 4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블럭도이다. 제 4 도에서 (5B)는 제어장치이며, 이 제어장치(5B)의 출력을 적분회로(5C)로 적분하며, 적분형의 출력신호(7B)로 만든다. 즉, 전원장치가 정상적인 동작을 할때에는 제어신호(6)이 계단 함수적인 입력신호일지라도 제어장치(5B)로부터의 출력신호는 소정의 기울기로 증감하는 신호가 되도록 한다. 한편, VF전원장치(2)는 VF전원(28)와 변화율 검출기(2A)로 구성되며, 변화율검출기(2A)는 상기 제어장치(5B)로 부터의 출력신호의 기울기(변화율)가 소정의 범위내에 있는지를 검출한다. 즉, 제어장치(5B)의 제어출력신호(7B)의 변화율이 소정의 범위내에 있을때, 변화율 검출기(2A)는 작동하지 않으며, 제어장치(5B)의 출력은 VF전원(2B)에 정상적으로 전달된다. 제어출력신호(7B)의 변화율이 소정의 범위를 초과하였을때, 신호선(7B)의 단선 등에 의한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변화율 검출기(2A)가 작동하고, 이 변화율 검출기의 출력으로 VF전원(2B)의 출력주파수가 변화하지 못하게 하므로써 현상을 유지하게 한다.
제 5 도와 제 6 도는 본 실시예에 따르는 VF전원장치의 동작 설명도이며, t12와 t34는 제어장치(5B)의 출력신호를 적분형으로 하였을때에 제어장치(5B)의 출력변화가 각각 완료한 시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증가할때와 감소할때에 대한 것이다. 제 6 도에서 t5는 신호선(7B)에 단선 등의 이상이 발생한 시점을 표시하고 있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5 도는 본 실시예의 VF전원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을때의 타이밍도로써 제어신호(6)이 t1의 시점에서 일정한 진폭의 크기로 되었다가 t3의 시점에서 감소하여 본래의 값으로 복귀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그런데, 제어장치(5B)는 적분특성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그 출력은 제 5 도의 신호(7B)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변화한다. 이 적분 변화율은 VF전원(2B)에서 정상적인 것으로 판단하여 VF전원(2B)이 출력을 입력신호에 따라서 변화시킨다. 따라서 모터(3)의 출력회전수 n과 송풍기(4)의 출력풍량Q도 VF전원(2B)의 출력 따라서 변화한다. 제 6 도는 신호선(7B)가 단선 등의 이상이 생겼을때의 예이며 제어신호(6)에는 특별한 변화가 없지만, 신호선(7B)가 t5의 시점에서 단선 등의 이상이 생기게 되면, 신호선(7B)의 신호가 급변하고 VF전원장치(2)에 설치되어 있는 변화율 검출기가 작동하여 VF전원(2B)의 출력주파수 F를 변화하지 못하게 한다. 따라서 VF전원(2B)의 출력주파수에는 변화가 없기 때문에 모터(3)의 출력회전수 n과 송풍기(4)의 출력풍량도 변화하지 않고 현상태를 유지한다.
제 7 도는 변화율 검출기의 구성도이고, 제 8 도는 그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 7 도와 제 8 도에서 IIN은 입력신호이고 G1,G2는 선택스위치, PGR은 펄스 발생기, HLD1,HLD2는 홀드회로, DTR은 차전압 검출기, COM은 크기 판정기이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펄스발생기 PGR은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펄스를 발생하고 있고, 선택스위치 G1과 G2는 상기 펄스에 교대로 응답하여 입력신호 IIN의 순간값을 각각 홀드회로 HLD1,HLD2에 보낸다.
입력신호 IIN이 제 8 도와 같이 변화한다고 하면, 홀드회로 HLD1,HLD2는 교대로 펄스 시점에서의 입력신호 IIN의 순간값을 제 8 도와 같이 출력한다. 상기 홀드회로 HLD1과 HLD2의 출력차는 차전압 검출기 DTR에서 검출되고, 이 차전압이 일정한 값 이상으로 되었을 때(t2+α시점)에 입력신호 IIN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여 출력신호를 발생한다. 여기서 α는 펄스 발생기 PGR의 펄스간격에 해당한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제 9 도와 제10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 1 의 실시예에서는 신호선의 이상 등으로 변화율 검출기가 일정한 값이상의 변화율을 검출하였을때에는 상기 변화율 검출기의 출력으로 VF전원의 출력 주파수가 변화하지 않게 하여 현재의 주파수를 유지하게 하였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변화율 검출기의 출력으로 VF전원으로부터 모터로 가는 전원공급을 차단하고, 그대신 상업용 전원(50HZ또는 60HZ)을 공급하여 VF전원장치 전체를 안전하게 계속 운전시키는 방법이다.
제 9 도에서 (2)는 VF전원(2B)와 변화율 검출기(2A)로 구성된 VF전원장치, (5B)는 제어장치, (7B)는 상기 제어장치(5B)의 출력신호, (9),(10),(11)은 스위치이다.
그리고, 제10도는 제 9 도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도이다. 제10도에서 t3은 스위치(9)와 (10)의 열리는 동작이 완료되는 시점이고, t4는 스위치(11)의 닫히는 동작이 완료되는 시점이며, t5는 모터(3)이 상업용 전원(1)의 주파수에 해당하는 회전수에 도달하는 시점, t6은 회전체(본 실시예에서는 송풍기)의 출력풍량 Q가 정상값으로 안정되는 시점을 표시한다. 그리고, 변화율 검출기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같다.
다음에는 제 9 도의 동작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스위치(9)와 (10)은 ON상태이고, 스위치(11)은 OFF상태에 있는 것으로 한다. 제어신호(6)에서부터 제어출력신호(7B)까지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다음에 VF전원장치(2)를 구성하고 있는 변화율 검출기(2A)에서 상기 제어출력신호(7B)의 변화율을 식별하여 정상이면, 그 제어출력신호(7B)에 해당하는 주파수가 되게 VF전원(2B)의 출력 주파수 F를 추종시키고,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검출하였을때에는 스위치(9),(10)을 OFF시키고 스위치(11)을 ON시킨다. 변화율 검출기의 동작을 제 1 실시예에서와 같다.
따라서,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t1시점에서 제어 장치(5B)와 VF전원장치(2)사이에서 신호선의 단선등이 발생하더라도 변화율 검출기(2A)가 즉시 이상이 발생한 것을 검출하여 스위치(9)와 (10)을 OFF(t3시점)시키고, 스위치(11)을 ON(t4시점)시킨다. 모터(3)의 회전수 n은 스위치(9),(10)의 OFF에 의하여 잠시 무전압 상태로 되므로 회전수가 다소 감소하지만 이어서 스위치(11)이 ON되기 때문에 회전수는 다시 상승하여 t5의 시점에서 상업용 전원(1)의 주파수에 해당하는 회전수에 도달한다. 그리고 회전체(4)가 송풍기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면, 출력풍량 Q의 제어에는 회전수 n에 의한 제어외에 별도로 기계식이 흡입축 베인(vane) 또는 댐포에 의한 제어(도시하지 않음)가 있다. 회전수 n에 의하여 출력풍량 Q를 제어할 때에는 출력손실을 적게하기 위하여 흡입측 제인을 거의 완전히 열어놓은 상태로 운전된다.그러나 상기와 같이 회전수 n이 상업용 전원(1)의 주파수에 대항하는 값까지 상승하게 될 때에 흡입측 베인을 회전수 n에 의한 풍량 제어를 할 때와 같은 상태로 그대로 두게되면 출력풍량 Q의 변호가 크게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변화율 검출기(2A)의 동작, 스위치(9) 및 (10)의 OFF동작, 스위치(11)의 ON동작등을 조건으로 해서 상기 흡입구측 베인을 출력풍량 Q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닫히게 하도록 조작한다.
따라서, 제 10도의 출력풍량 Q는 스위치(9)와 (10)의 OFF에 의하여 잠시 감소하게 되나, 스위치(11)의 ON에 의하여 상승하게 된다. 흡입구측 베인의 응답은 회전수 n의 증가에 의한 출력풍량 Q의 증가보다 통상적인 경우 늦게 응답되므로, 출력풍량 Q는 회전수 n의 상승중에 흡입구측 베인이 감소작용에 의하여 약간 천천히 상승하고, 회전수 n이 상업용 전원(1)에 해당하는 회전수에 도달한 다음(t5시점 다음)에는 출력풍량 Q가 흡입구축 베인의 작용에 의하여 감소하다가 시점 t6에서 본래의 값으로 되돌아가게 된다.
이와 같이 출력풍량이 변화하지만 변화폭은 전체장치의 허용범위내에 있게 되므로, 제어출력신호(7B)에 이상이 발생하여도 안전하게 운전을 계속할 수가 있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제 3 의 실시예에 대하여 제11도와 제12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 3 의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로써, 도면에서 (2)는 VF전원(2B)와 주파수 상승 신호기(2C), 변화율 검출기(2A)에 의하여 구성되는 전원장치, (5B)는 제어장치, (7B)는 상기 제어장치(5B)의 제어출력신호, (9),(10),(11)은 스위치이다.
그리고, 제12도는 제11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면에서 t3은 VF전원(2B)의 출력주파수 F가 주파수 제어범위의 상한 부근까지 도달한 시점이고, t4는 스위치(9),(10)의 OFF 동작이 완료된 시점이며, t5는 스위치(11)이 ON동작이 완료된 시점, t6은 모터(3)이 상업용 전원(1)의 주파수에 해당하는 회전수에 도달한 시점, t7은 회전체(본 실시예에서는 송풍기)의 출력풍량이 정상적인 값으로 안정되는 시점을 나타낸다.
변화율 검출기의 구성과 동작은 제 1 의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이다.
다음에는 제11도의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스위치(9)와 (10)이 ON되어 있고 스위치(11)이 OFF되어 있는 것이로 한다. 상업용 전원(1)로 부터 VF전원(2B)에 전원전압이 인가되어 그 출력으로 모터(3)이 구동되고 송풍기(4)가 회전된다. 송풍기(4)의 출력 풍량 Q에 대한 변화지시는 제어신호(6)으로써 제어장치(5B)에 보내지고, 그 제어장치(5B)의 적분회로(5C)에서 적분되어 제어출력신호(7B)를 VF전원장치(2)에 보낸다. 다음에 VF전원장치(2)를 구성하고 있는 변화율 검출기(2A)에서 상기 제어출력신호(7B)의 변화율을 감시하여 정상이면, 그 제어출력신호(7B)에 해당하는 주파수가 되게 VF전원(2B)의 출력주파수를 변화시키고, 이상이 있을때에는 VF전원(2B)의 출력주파수 F를 주파수 상승 신호기(2C)로 주파수 제어범위의 상한 부근까지 높아지게 하며, 스위치(9),(10)은 OFF시키고 스위치(11)은 ON시킨다.
따라서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t1의 시점에서 제어장치(5B)와 VF전원장치(2)사이에서 신호선의 단선등의 사고가 발생하여도 변화율 검출기(2A)가 즉시 이상 상태를 검출하여 VF전원(2B)의 출력 주파수 F를 천천히 상한값까지 증가시키고나서 스위치(9),(10) OFF(t4시점)시키고, 이어서 스위치(11)을 ON시킨다(t5시점). 모터(3)의 회전수 n은 출력주파수 F의 상한값 t3까지 서서히 증가하고, 스위치(9),(10)의 OFF동작에 의하여 잠시 모터(3)이 무전압상태로 되어 회전수 n은 다소 감소하게 되지만, 이어서 스위치(11)의 ON동작에 의하여 회전수 n은 다시 급상승하여 t6의 시점에서 상업용전원(1)의 주파수에 해당하는 회전구에 도달한다. 또 회전체(4)가 송풍기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 2 의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흡입구측의 베인의 작용에 의하여 모터의 회전수 n이 상업용 전원(1)의 주파수에 해당하는 회전수에 도달한 후 (시점 t6이후)에 출력풍량 Q는 감소하다가 t7의 시점에서 본래의 값으로 안정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출력풍량 Q는 변화하지만 변화폭은 장치 전체의 허용범위내에 있으므로 제어출력신호(7B)에 이상이 발생하여도 안전하게 운전을 계속할 수가 있다. 즉, 변화율 검출기(2A)의 작용에 의하여 VF전원(2B)의 출력주파수 F를 주파수 상승신호기(2C)로 상한값까지 상승시킨 후에 전원을 VF전원(2B)로 부터 상업용 전원(1)로 전환하게 하였기 때문에 전환할때의 주파수 변화폭을 제 2 실시예에서와 같이 VF전원 운전에서 직접 상업용 전원으로 전환시킬때보다 적게 할 수 있게 되어 출력풍량 Q의 변동폭도 작아지게 되므로 전체장치를 보다 안전하게 계속운전할 수 있게 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로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로 변경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실시예에서는 발전설비에 사용되고 있는 송풍기를 예로들어서 설명하였지만 기타의용도, 예를들면 펌프라든가 기타의 회전체에 적용시킬 수도 있다.
또, 단선사고인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단락과 같은 이상의 발생시에도 효과적이며 또한 신호의 전송선의 이상뿐만 아니라 제어장치(5B)의 이상 상태라든가 또는 그로인하여 제어출력신호(7B)가 이상상태로 되었을때에도 유효하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변화율 검출기(2A)가 작동하였을때에 즉시 VF전원(2B)의 출력주파수 F를 상승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소정의 시간동안 VF전원(2B)의 출력주파수 F를 현재 상태로 유지한 다음에 상승하도록 하여도 좋고, 또는 주파수 제어범위의 상한까지 변화시키지 않고 소정의 주파수, 예를들면 평균 주파수가 되도록 변화시킨 다음에 또는 상업용 전원의 주파수와 같은 주파수가 되도록 변화시킨 다음에 상업용 전원으로 전환시켜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고 등에 의하여 신호선이나 각 부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출력풍량 또는 그에 해당하는 출력의 변화를 허용값이내로 되도록하여 장치 전체를 계속 안전하에 운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가변주파수전원(2B)에 접속된 전기모터(3)과 상기 모터(3)에 결합된 회전체(4)의 회전수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가변주파수전원(2B)에 보내지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장치(5B)를 갖는 가변주파수 전원의 운전방법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4)의 출력의 증감을 지시하는 주파수제어신호(7B)를 상기 제어장치(5B)내에 설치한 적분회로(5C)로 적분하고, 상기 적분된 신호를 변화율 검출기(2A)를 내장한 가변 주파수전원(2B)에 전달하고, 상기 주파수제어신호(7B)가 소정의 변화율 범위를 벗어났을때에 이것을 상기 변화율 검출기(2A)로 검출하고, 상기 변화율검출기(2A)가 작동하여 상기 모터(3)에 공급되는 전원의 주파수가 소정의 주파수로 되도록 해서 모터(3)의 동작을 계속시켜 장치 전체의 운전을 계속시키는 가변주파수 전원의 운전방법.
  2. 특허청구의 범위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제어신호(7B)가 소정의 변화율 범위를 벗어났을때, 이것을 상기 변화율 검출기(2A)로 검출하고 상기 변화율 검출기(2A)가 작동하여 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의 주파수가 소정의 주파수로 되도록 하는 방법으로써 상기 가변주파수전원(2B)가 주파수의 변화를 저지시켜 변화하지 않도록 하는 가변주파수 전원의 운전방법.
  3. 특허청구의 범위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제어신호(7B)가 소정의 변화율 범위를 벗어났을때, 이것을 상기 변화율 검출기(2A)로 검출하고 상기 변화율 검출기가 작동하여 상기 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의 주파수가 소정의 주파수로 되도록 하는 방법으로써 상기 모터(3)의 공급전원을 상기 가변주파수 전원(2B)에서 상기 상업용 전원(1)로 전환하도록한 가변주파수 전원의 운전방법.
  4. 특허청구의 범위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주파수 전원내에 주파수 상승신호기(2C)를 추가해서 마련하고, 상기 변화율 검출기(2A)가 작동하였을때에 모터의 공급전원을 가변주파수전원에서 상업용 전원으로 전환하는 방법으로써 상기 가변주파수전원내에 마련된 상기 주파수 상승신호기(2C)에 의하여 가변주파수전원의 출력주파수를 조정의 상승율로 주파수 제어범위의 상한부근까지 증가시키고, 계속해서 상기 모터(3)에 공급하는 공급전원을 상기 가변주파수전원(2B)로 부터 상기 상업용전원(1)로 전환하도록한 가변주파수 전원의 운전방법.
KR1019850000354A 1984-04-02 1985-01-22 가변 주파수 전원의 운전방법 KR8900053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065419A JPS60210192A (ja) 1984-04-02 1984-04-02 可変周波数電源の運転装置
JP59065420A JPS60210193A (ja) 1984-04-02 1984-04-02 可変周波数電源の運転装置
JP65419 1984-04-02
JP65420 1984-04-02
JP59065421A JPS60210194A (ja) 1984-04-02 1984-04-02 可変周波数電源の運転装置
JP59-65419 1984-04-02
JP65421 1984-04-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7341A KR850007341A (ko) 1985-12-02
KR890005315B1 true KR890005315B1 (ko) 1989-12-20

Family

ID=27298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0354A KR890005315B1 (ko) 1984-04-02 1985-01-22 가변 주파수 전원의 운전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691156A (ko)
EP (1) EP0160787B1 (ko)
KR (1) KR890005315B1 (ko)
CA (1) CA1235734A (ko)
DE (1) DE3562963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53620A1 (de) 2009-11-17 2011-05-19 Ziehl-Abegg Ag Kommunikationsüberwachung für einen Außenläufermotor
US9621036B2 (en) 2014-01-09 2017-04-11 Allegro Microsystems, Llc Circuits and techniques for improving regulation in a regulator having more than one mode of operatio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302456B (de) * 1968-05-17 1972-10-10 Elin Union Ag Einrichtung zum Schutz gegen Stillstands-Überlastung drehzahlgeregelter Gleichstrommomotoren oder anderer Kollektormaschinen
US3576485A (en) * 1969-05-05 1971-04-27 Gen Electric Fault detection circuit for the feedback of a control system
US3671831A (en) * 1971-03-05 1972-06-20 Gen Electric Induction motor speed control
US3777122A (en) * 1971-07-30 1973-12-04 Shell Oil Co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automatic control of a variable
US3778696A (en) * 1972-06-23 1973-12-11 Allen Bradley Co Feedback fault indicate circuit
US3790778A (en) * 1972-12-13 1974-02-05 Gen Electric Dynamic biasing arrangement for speed regulation
CA1005896A (en) * 1974-10-02 1977-02-22 Alfred M. Hase Electrical load transfer control system
JPS586077A (ja) * 1981-07-01 1983-01-13 Mitsubishi Electric Corp インバ−タ制御回路
KR890002532B1 (ko) * 1983-11-16 1989-07-13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풍량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691156A (en) 1987-09-01
CA1235734A (en) 1988-04-26
KR850007341A (ko) 1985-12-02
DE3562963D1 (en) 1988-06-30
EP0160787A1 (en) 1985-11-13
EP0160787B1 (en) 1988-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523955A5 (ko)
KR890002532B1 (ko) 풍량 제어장치
KR890005315B1 (ko) 가변 주파수 전원의 운전방법
US4742284A (en) Advanced motor controller
US4651072A (en) Variable frequency power source operating system
KR900003799B1 (ko) 제어 시스템
KR100211103B1 (ko) 가스배출장치의 역풍보호회로
JPH0320994B2 (ko)
KR890003935B1 (ko) 가변주파수 전원운전방식
JPH0320995B2 (ko)
JPS63170567A (ja) ガバナレス可変速水車発電装置の水車回転速度制限方法
JPH07143781A (ja) インバータ装置
RU2064587C1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режимом работы вентиляторной установки
JP3915085B2 (ja) 可変速揚水発電制御装置
JPH0353876B2 (ko)
SU102027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регулировани мощности дизель-генераторной установк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117287403A (zh) 扇叶的启动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SU1376206A1 (ru) Многодвигательный электропривод
KR960014581B1 (ko) 진공청소기의 출력 조절장치
JPS6079128A (ja) エンジン駆動発電機制御方法
JPH0430397Y2 (ko)
SU87708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пуска паровой турбины привода питательного насоса
JPS6232357B2 (ko)
JP3408859B2 (ja) 複数のacモータ式電動アクチュエータの調歩連動制御装置
JPS60104797A (ja) 風量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12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