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5033Y1 - Cmos집적회로에서의 대전류 출력회로 - Google Patents

Cmos집적회로에서의 대전류 출력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5033Y1
KR890005033Y1 KR2019860018821U KR860018821U KR890005033Y1 KR 890005033 Y1 KR890005033 Y1 KR 890005033Y1 KR 2019860018821 U KR2019860018821 U KR 2019860018821U KR 860018821 U KR860018821 U KR 860018821U KR 890005033 Y1 KR890005033 Y1 KR 8900050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mos transistor
type mos
cmos
output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88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0689U (ko
Inventor
안현승
박준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600188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5033Y1/ko
Publication of KR8800106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06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50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0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01L27/08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only semiconductor components of a single kind
    • H01L27/08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only semiconductor components of a single kind including field-effect components only
    • H01L27/088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only semiconductor components of a single kind including field-effect components only the components being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01L27/09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only semiconductor components of a single kind including field-effect components only the components being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complementary MIS field-effect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2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using silicon technology
    • H01L21/8232Field-effect technology
    • H01L21/8234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 H01L21/8238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e.g. CM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CMOS집적회로에서의 대전류 출력회로
제1도는 종래의 CMOS집적회로의 출력회로.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새로운 출력회로.
제3도는 제2도에서의 NPN트랜지스터의 구조의 수직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1-P2: P형MOS트랜지스터
N1-N2: N형MOS트랜지스터
Q2: NPN트랜지스터
1 : NPN트랜지터의 콜렉터 전극 접점용의 N+확산충
2 : NPN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전극 접점용의 P+확산층
3 : NPN트랜지스터의 에미터 전극 접점용의 N+확산층
4 : NPN트랜지스터의 베이스영역을 결정짓는 P-확산층
5 : NPN트랜지스터의 콜렉터영역에 해당하는 N-실리콘 기판
본 고안은 출력용량이 모자라는 CMOS반전기로 된 출력회로에서, MOS트랜지스터 대신 NPN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사용함으로써 CMOS집적회로에서 집적도를 높이고 대용량의 출력전류를 제공할 수 있는 출력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CMOS집적회로의 출력회로가 도시된 제1도에서 보면, 출력회로 2개의 반전기로 구성되어 있는데, P1과P2는 P형 MOS트랜지스터이고 N1, N2는 N형 MOS트랜지스터이다. 즉, MOS트랜지스터(P1, N1)은 제1반전기를 MOS트랜지스터(P2, N2)는 제2반전기를 구성하고있다
입력(Vin)에 한계전압보다 작은 전압이 걸리면 P형 트랜지스터(P1)은 온되고, N형 트랜지스터(N1)은 오프된다.
그러므로 제1CMOS반전기의 출력은 전원전압(VDD)와 같고, 이 출력은 제2CMOS반전기의 입력에 인가되어서 P형 트랜지스터(P2)는 오프되고, N형 트랜지스트(N2)는 온상태가 된다. 이때의 출력전압(Vout)은 0가 된다.
반대로, 입력(Vin)에 전원전압(VDD)가 인가되면, P형 트랜지스터(P1)은 오프되고 N형 트랜지스터 (N1)은 온 되어서 제1CMOS반전기의 출력은 0가 된다.
이 출력이 제2CMOS반전기의 입력에 인가되면, P형 트랜지스터 (P2)는 온 되고, N형 트랜지스터(N2)는 오프상태가 되어서 출력전압(Vout)는 전원전압(VD)와 같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CMOS출력회로의 출력전류를 계전기로 동작시키거나 많은 회로의 입력으로 써야할 경우에는 출력 전류용량이 모자라게 되며, 이를 보상하려면 출력용 MOS트랜지스터를 크게 만들어야 하므로 집적회로 내의 집적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출력회로에서 MOS트랜지스터 대신 NPN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집적시켜 적은 칩의 크기로 큰 전류를 제공하는 것이 본 고안의 목적이다.
이하에 첨부된 제2도 및 제3도에 의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를 참조하면, NPN형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는 입력(Vin)과 연결되어 있고, 콜렉터는 전원(VDD)에 연결되어 있으며, 에미터는 N형 MOS트랜지스터(N2)의 드레인과 함께 결합하여 출력(Vout)에 연결되어있다.
N형 MOS트랜지터(N2)의 소오스는 접지와 연결되어 있고, 게이트는 CMOS제1반전기의 출력과 연결되어 있다.
N형 MOS트랜지스터(N2)의 게이트에 연결도 있고, 각각의 게이트는 합께 입력(Vin)에 연결되어 있으며, N형 채널 MOS트랜지스터(N1)의 소오스는 접지에 그리고 P형 MOS트랜지스터(P1)의 소오스는 전원(VDD)에 연결되어 있다.
제3도를 참조하면, NPN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 영역은 N-실리콘기판(5)인데, 외부의 연결선(C)과의 무저항 접합을 위해서 N+확산층(1)이 필요하게 된다.
베이스영역은P-확산층(4)인데 마찬가지로 여기서도 외부연결선(B)과의 무저항 접합을 위해서P+확산층(2)이 필요하게 된다.
에미터영역은 N+확산층(3)이 되는데, 이것은 또한 외부연결선(E)과의 무저항 접합으로도 사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회로에 있어서, 입력(Vin)에 한계전압보다 낮은 전압이 인가되면, P형 트랜지스터(P1)은 온이 되고, N형 트랜지스터(N1)는 오프가 되며, NPN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2)도 오프가 된다.
제1반전기의 출력은 전원전압(VDD)와 같게 되고, N형 트래지스터(N2)는 온이된다. 그러므로 출력전압(Vout)은 0가 된다.
이와는 반대로, 입력(Vin)에 전원전압이 인가되면, P형 트랜지스터(P1)는 오프가 되고, N형 트랜지스터(N1)는 온상태가 되며 NPN바이폴라트랜지스터(Q2)도 온이 된다.
제1반전기의 출력은 0가되며, N형 트랜지스터 (N2)는 오프가 된다. 그러므로 출력전압(Vout)은 전원전압(VDD)와 같이된다.
상기한 출력신호를 CMOS집적회로에 사용하면, MOS트래지스터(P2)가 도통되었을때 흐르는 전류의 양보다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2)가 도통되었을때 흐르는 전류의 양이 훨씬 크게 된다.
이로 인해서 외부에 전류증폭용으로 부가되었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가 필요 없게 되고, 출력단자의 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절감되는 트랜지스터도 많아지게 되며, 외부회로가 간단해지므로 생산성이 높아진다.
그러므로 적은크기로 큰 출력전류용량을 제공할 수 있게 되며, 결과적으로 집적회로의 집적도가 높아지게 된다.

Claims (2)

  1. P형 MOS트래지스터(P1) 및 N형 MOS트랜지스터(N1)로 이루어진 제1반전기와, P형MOS트랜지스터(P2) 및 N형MOS트랜지스터(N2)로 이루어진 제2반전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CMOS출력회로에 있어서, 상기한 P형MOS트랜지스터(P2) 대신에 CMOS집적회로에 구성할 수 있는 내부구조를 가진 바이폴라형 NPN트랜지스터(Q2)를 설치하되, NPN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를 입력(Vin)에, 콜렉터를 전원(VDD)에 에미터를 상기한 N형 MOS트랜지스터(N2)드레인에 각각 연결하여 상기의 에미터 단자를 출력단자(Vout)로 인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OS집적회로에서의 대전류 출력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바이폴타형 NPN트랜지스터(Q2)는 콜렉터영역을 형성하는 N-실리콘기판(5)과, 상기 콜렉터영역과 외부의 연결선(C)과의 무저항 접합을 위해 설치된 N+확산층(1)과 베이스 영역을 형성하는 P-확산층(4)과, 상기 베이스영역과 외부의 연결선 (B)과의 무저항 접합을 위해서 설치된 P+확산층(2)과, 에미터영역을 형성하는 동시에 외부연결선(E)과의 무저항 접합으로도 사용되는 N+확산층(3)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OS집적회로에서의 대전류 출력회로.
KR2019860018821U 1986-11-28 1986-11-28 Cmos집적회로에서의 대전류 출력회로 KR8900050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8821U KR890005033Y1 (ko) 1986-11-28 1986-11-28 Cmos집적회로에서의 대전류 출력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8821U KR890005033Y1 (ko) 1986-11-28 1986-11-28 Cmos집적회로에서의 대전류 출력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689U KR880010689U (ko) 1988-07-28
KR890005033Y1 true KR890005033Y1 (ko) 1989-07-29

Family

ID=19257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8821U KR890005033Y1 (ko) 1986-11-28 1986-11-28 Cmos집적회로에서의 대전류 출력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503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689U (ko) 1988-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76816A (en) Bi-cmos integrated circuit device having buried region use in common for bipolar and mos transistors
JP3246807B2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
US4672584A (en) CMOS integrated circuit
US4425516A (en) Buffer circuit and integrated semiconductor circuit structure formed of bipolar and CMOS transistor elements
KR890004211B1 (ko) 콤프리멘타리 로직회로
US4689653A (en) Complementary MOS integrated circuit including lock-up prevention parasitic transistors
JPS5944786B2 (ja) 相補型mis回路装置
KR890005033Y1 (ko) Cmos집적회로에서의 대전류 출력회로
US5075577A (en) Tristate output circuit with input protection
JP2661318B2 (ja) 半導体装置
JPS58130557A (ja) Cmos装置
US4032796A (en) Logic dot-and gate circuits
JP2713461B2 (ja) 集積電流ミラー回路
JP2714996B2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
US5028978A (en) Complementary bipolar complementary CMOS (CBiCMOS) transmission gate
JPS58207672A (ja) 半導体装置
JPS60256224A (ja) 相補形論理回路
JP2005191896A (ja) 出力ドライブ回路を備える半導体集積回路
JP2671304B2 (ja) 論理回路
JPS6193655A (ja) 半導体装置
JPS60254651A (ja) Cmos回路の入力保護回路
JPS5833707Y2 (ja) トランジスタ回路装置
JP3068355B2 (ja) インバータ回路
JPS585611B2 (ja) ロンリカイロ
JPS623753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07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