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4759B1 - 디스크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4759B1
KR890004759B1 KR1019840004520A KR840004520A KR890004759B1 KR 890004759 B1 KR890004759 B1 KR 890004759B1 KR 1019840004520 A KR1019840004520 A KR 1019840004520A KR 840004520 A KR840004520 A KR 840004520A KR 890004759 B1 KR890004759 B1 KR 890004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drive
motor
disk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4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1605A (ko
Inventor
히로시 쯔유구찌
쯔도무 모리다
마꼬도 쇼우지
Original Assignee
티악크 가부시끼가이샤
다니 가쯔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악크 가부시끼가이샤, 다니 가쯔마 filed Critical 티악크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1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4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0Indicating arrangements; Warn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012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disks
    • G11B5/016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disks using magnetic foils

Landscapes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Moving Of Heads (AREA)
  • Moving Of Head For Track Selection And Changing (AREA)
  • Rotational Drive Of Disk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디스크 구동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리드/라이트 회로를 원리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
제 3 도는 제 1도의 스윗치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회로도.
제 4 도는 제 1 도의 장치로 사용하는 디스크 카트리지를 보여주는 평면도.
제 5 도는 제 1 도의 각 부의 상태를 보여주는 신호파형도.
제 6 도, 제 7 도는 변형예의 디스크 구동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블록도.
제 8 도는 변형예의 스윗치 제어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
제 9 도는 변형예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평면도.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플로피 디스크라고 불리우는 가요성 자기디스크 또는 이와 유사한 기록매체디스크를 사용하여 데이타의 재생/기록 즉, 리드/라이트(read/write)를 행하는 디스크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플렉시블 자기디스크 카트리지를 사용하여 정보를 기록하고 또는 재생하는 디스크 구동장치는, 예컨대 미합중국 특허 제 4,089,029호등에 의하여 잘 알려져 있다. 이런 종류의 디스크 구동장치는 단독으로는 사용하지 못하고, 호스트(host) 측의 중앙처리장치, 즉 CPU 및 콘트롤러에 접속되어 사용된다. 따라서, 디스크 구동장치는 전원스윗치가 없으며, CPU, 콘트롤러, 디스크 구동장치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의 전원스윗치의 "온","오프"에 의존하여 디스크 구동장치의 전원이 "온.오프"된다. 이 때문에, 시스템의 전원스윗치가 "온"이 되어있으면, 디스크 구동장치가 비동작중(대기중)이라도 전력소비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소비가 적은 디스크 구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록매체디스크를 회전시키기 위한 디스크 구동모타와, 디스크 구동모타에 접속된 제1의 모타구동회로와, 디스크와의 상호관계로 데이타의 변환을 하기 위한 변환기와, 변환기를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변환기 이동용 모타와, 변환기 이동용 모타에 접속된 제 2 의 모타구동회로와, 변환기에 관계하는 데이타 전송로에 있어 데이타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데이타 선택 게이트를 포함하는 리드/라이트 회로와, 데이타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드라이브 셀렉트(drive select)신호를 데이타 선택게이트에 공급하기 위한 회로와, 데이타 선택게이트를 데이타 통과가능한 상태로 하는 드라이브 셀렉트 신호의 제 1 의 상태에 응답하여 "온"상태로 되고, 데이타 선택게이트를 데이타 통과 저지상태로 하는 드라으브 셀렉트신호의 제 2 의 상태에 응답하여 "오프"상태로 되며, "오프"상태의 기간에, 제 1 의 모타구동회로, 제 2 의 모타구동회로, 및 리드/라이트 회로중의 적어도 하나의 전원라인을 차단하는 스윗치를 구비한 디스크 구동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드라이브 셀렉트신호가 제 2 의 상태에 있고 데이타 선택게이트에서 데이타의 통과가 저지되고 있는 기간은 결국, 디스크에 있어서 데이타의 변환(리드/라이트)을 할 필요가 없는 기간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드라이브 셀렉트신호가 제 2 의 상태에 있는 것에 응답하여, 디스크 구동모타를 구동하기 위한 제 1 의 모타구동회로, 변환기 이동용 모타를 구동하기 위한 제 2 의 모타구동회로, 및 리드/라이트 회로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 라인을 차단하여 소비전력의 절감을 꾀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로부터 사용되고 있는 드라이브 셀렉트신호에 의하여 전원라인의 차단을 제어하기 때문에 상기 전원라인의 차단은 특별히 복잡한 회로 및 제어방식을 수반하지 않고 실행할 수 있다.
다음에 제 1 도~제 5 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플로피 디스크 구동장치에 대해서 기술한다.
제 1 도에는 공통의 CPU(1)와 콘트롤러(2)로 이루어지는 외부장치에, 제1 및 제 2 의 디스크 구동장치(3)(4)를 데이지 췌인(Daisy Chain) 결합한 방식이 나타나있다. 콘트롤러(2)는 일반적으로 FDD콘트롤러라 불리우며, CPU인터훼이스(interface), 콘트롤러/포맷터(formater)부, FDD인터훼이스 등을 포함하며, 디스크 구동장치(3)(4) 상호간에서 신호를 주고 받으며, 신호의 공급을 행한다. 콘트롤러(2)와 제 1 의 디스크 구동장치(3)와는 리드 데이타 전송라인(5a), 라이트(write) 데이타 전송라인(5b), 드라이브 셀렉트 신호전송라인(7), 레디(ready) 신호전송라인(5c), 모타 "온"신호전송라인(6), 스테핑모타의 디렉숀 방향 신호전송라인(5d), 스테핑모타의 스텝신호 전송라인(5e)으로 접속되어있다. 더우기,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사용중 신호 즉 인유스(in use) 신호, 라이트 게이트(write gate) 신호등을 공급하기 위한 라인도 부설되어 있다.
제 2 의 디스크 구동장치(4)의 내부구성은, 제 1 의 디스크 구동장치(3)와 완전히 동일하기 때문에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이 제 2 의 디스크 구동장치(4)에도 제 1 의 디스크 구동장치(3)에 대응하는 라인(5a')-(5e'),(6'),(7')가 부설되어 있다.
디스크 구동장치(3) 내에는, 가요성 자기디스크(9)를 회전시키기 위한 디스크 구동모타(10)(이하 디스크모타라함)가 부설되어 있다. 이 디스크모타(10)에 의한 디스크(9)의 회전기구는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디스크모타(10)로 회전하는 디스크(9)는 제 4 도에서 보여주듯이 케이스(82)에 수용되어 있다. 더우기, 디스크(9)와 케이스(82)로 카트리지(83)가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82)는 헤드를 디스크(9)에 접촉시키기 위한 구멍(88), 및 디스크(9)의 중앙을 노출시키기 위한 구멍(86), 디스크(9)의 인덱스공(87)을 검출하기 위한 구멍(85)이 있다.
디스크모타(10)에 접속된 모타제어 및 구동회로(11)는, 디스크모타(10)의 속도검출에 입각하여 디스크모타(10)를 접속 회전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와 제어회로의 출력에 대응하도록 모타(10)를 구동하는 구동회로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제 1 의 모타구동회로에 상당하는 것이다. 이 모타제어 및 구동회로(11)는 인터훼이스(21)를 통하여 라인(6)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모타 "온"신호에 응답하여 동작가능상태로 된다. (12)는 리드/라이트 변환기로서의 자기헤드이며, 디스크(9)에 접촉하여 데이타의 써넣기, 판독을 행한다. 이 헤드(12)는 디스크(9)의 반경방향으로 이동하는 캐리지(8)에 부설되어 있다. (13)은 변환기 이동용 모타로서의 스테핑모타이며, 캐리지를 변위시켜 헤드(12)의 디스크 반경방향의 위치(주사트랙위치)를 변경시키는 것이다. 스테핑모타(13)와 캐리지(8) 사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공지의 기구가 부설되어 있다. 스테핑모타(13)에 의해서 헤드(12)의 위치를 변경하는 기구는 잘 알리워진 공지의 기구이기에 설명은 생략한다.
스테핑모타(13)에 접속된 스테핑코타 구동회로(14)는 4상의 스테핑모타(13)의 제1,제2,제3,제 4 상권선에 전류를 순서대로 보내기 위한 스윗칭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회로이며, 본 발명의 제 2 의 모타구동회로에 상당하는 것이다.
스테핑모타 구동회로(14)에 접속되어 있는 스테핑모타 제어회로(19a)는 스테핑모타(13)가 소망의 동작상태가 되게끔, 제1,제2,제3,제 4 상 구동제어신호를 구동회로(14)에 보내는 것이다. 엎/다운(Up/Down) 카운타(19b)는, 인터훼이스(21)를 통하여 셀렉숀 신호전송라인(5d)과 스테프신호 전송라인(5e)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스텝신호와 셀렉숀신호에 의하여 결정되는 출력신호를 발생하고, 이것을 제어회로(19a)에 공급한다. 스테핑 모타제어회로(19a)는 카운타(19b)의 출력에 입력하여 스테핑모타의 제1~제 4상 제어신호를 형성한다. 더우기 스테핑모타 제어회로(19a)와 엎/다운(Up/Down) 카운타(19b)를 묶어 헤드위치 제어회로(19) 또는 트랙정보관리 회로라고 부를 수 있다.
헤드(12)가 접속된 리드/라이트 회로(15)는, 헤드(12)에서 재생한 데이타를 인터훼이스(21)를 통하여 라인(5a)에 보내, 라인(5b)로부터 보내진 써넣기 데이타를 헤드(12)에 보내는 기능을 갖는다. 더우기, 리드/라이트 회로(15)는 인터훼이스(21)를 통하여 라인(7)에 접속되어, 드라이브 셀렉트 신호에 의하여 리드/라이트의 데이타전송이 제어되게끔 구성되어 있다. 제2 또는 리드/라이트 회로(15)를 원리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며, 헤드(12)에 접속된 리드용증폭기(9)와, 이 증폭기(90)의 출력에 결합된 판독데이타형성을 위한 파형정형회로(91)와, 이 파형정형회로(91)에서 펄스정형되어 출력되는 판독데이타와 라인(7)의 드라이브 셀렉트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AND형태의 OR게이트(92)와, 써넣기 데이타 공급라인(5b)와 헤드(12)와의 사이에 부설된 써넣기 전류공급회로(94)와, 이 써넣기 전류공급회로(94)가 써넣기 데이타에 대응하는 써넣기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AND형태의 NOR게이트(93)로 이루어진다. 더우기, NOR게이트(93)의 제 1 의 입력단자에는 드라이브 셀렉트 신호라인(7)이 접속되어 있고, 제 2 의 입력단자에는 라이트 게이트(write gate)신호라인(95)이 접속되어 있고, 제 3 의 입력단자에는 파일 프로텍트(File Protect) 신호라인(96)이 접속되어있다. 판독 데이타를 선택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게이트로서 작용하는 OR게이트(92)에는 드라이브 셀렉트 신호라인(7)이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드라이브 셀렉트신호가 저레벨(제 1 의 상태)인때에 게이트(92)를 판독데이타가 통과가능하게 되며, 고레벨(제 2 의 상태) 시에 통과가 불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저레벨(제 1 의 상태)의 드라이브 셀렉트신호와 저레벨의 써넣기 게이트신호와 저레벨의 파일 프로텍트 신호가 동시에 발생하고 있을때에 한해서, NOR게이트(93)의 출력이 고레벨되어, 써넣기 전류공급회로(94)에서 헤드(12)에 대한 써넣기 전류의 공급이 허가된다.
제 1 도에 있어서, (16)은 디스크(9)의 각도위치를 보여주는 인덱스공(87)을 검출하기 위한 인덱스센서(16b)는 디스크(9) 즉 디스크 카트리지의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디스크 유무검출센서, (17)은 헤드(12)의 트랙영위치를 캐리지(8)의 위치에 입각하여 검출하기 위한 트랙 영센서이다. 이들 센서(16a)(16b)(17)은 발광다이오드(LED)와, 포토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는 광전식 센서이며, 센서회로(18)에 각기 접속되어 있다. 센서회로(18)는 각 센서(16a),(16b),(17)의 발광다이오드에 대한 전류의 공급, 및 각 센서(16a),(16b),(17)의 포토트랜지스타에서 얻을 수 있는 신호에 입각하여 출력라인(18a),(18b),(18c)에 인덱스신호, 디스크 유무검출신호, 트랙영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더우기, 도시가 생략되어 있지만 써넣기가 가능한 디스크인가, 아닌가를 검출하기 위한 공지의 파일프로텍트센서도 부설되어 있다.
레디상태 검출회로(20)는 센서회로에서 주어지는 인덱스신호와 디스크유무 검출신호에 입각하여 디스크(9)가 리드 또는 라이트가능한 회전상태로 된 것을 검출하여, 레디신호(준비완료신호)를 인터훼이스(21)를 통하여 라인(5c)에 보내는 것이다.
(22)는 본 발명에 따라 동작하는 스윗치이며, 전원라인(23)과 전원라인(24)의 사이에 부설되고 라인(7)에서 주어지는 드라이브 셀렉트신호에 응답하여 "온"상태로 하기 위하여, 제 3 도에 나타나 있듯이 트랜지스터 Q1,Q2와 NOT회로(10)으로 구성되어 있다. 저레벨(제 1 의 상태)의 드라이브 셀렉트신호가 라인(7)에서 주어지면, 트랜지스터 Q2및 Q1이 "온"으로 되며, 라인(24)에 전원전압이 공급된다. 전원라인(23)은 시스템공통의 전원회로에 접속되어, 시스템의 전원스윗치(도시안됨)를 "온"으로 했을시 전압이 인가되는 것이다. 이 전원라인(23)을 스윗치(22)를 통하지 않고 인터훼이스(21), 카운타(19b), 스테핑 모타제어회로(19a)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디스크 드라이브 모타제어 및 구동회로(11), 스테핑 모타구동회로(14), 리드/라이트 회로(15), 센서회로(18), 레디(ready) 상태 검출회로(20)의 전원라인은 스윗치(22)를 통하여 전원라인(23)에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제 1 도의 A-E점의 상태를 나타내어 제 5 도의 신호파형도를 참조하여 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시스템전체의 전원스윗치가 "온"으로 조작되어 제 5(a)도에서 보여주듯이 전원라인(23)이 "온"상태라도, 디스크 구동장치(3)(4)의 전부의 전원회로는 "온"이 되지 않는다. 즉 인터훼이스(21) 스테핑 모타제어회로(19a), 카운타(19b)의 전원은 "온"이 되며, 동작상태가 되지만, 스윗치(22)의 출력라인(24)로부터 전원전압의 공급을 받는 각 회로는 비동작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불필요한 전력소비가 제한된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시스템의 전원스윗치의 "온"에 동기하여, 헤드(17)를 트랙영 위치에 이동시키는 동작 즉 캐리브레이트(calibrate)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신호가 발생하고, 이에 응답하여 캐리브레이트용의 드라이브 셀렉트신호가 일정시간 발생하고, 스윗치(22)가 일정시간 "온"이 된다. 상기 캐리브레이트 동작이 행하여지면, 센서회로로부터 트랙영 검출신호를 얻을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카운타(196)가 리세트된다. 그후, 제 5(b)도가 보여 주듯이 t1시점에서 모타에 "온"신호가 발생한다. 제 1 도의 시스템은 복수대의 디스크 구동장치(3)(4)를 데이지췌인 접속하고 있고 때문에, 모타 "온"신호는 각 디스크구동장치(3)(4)에 공통으로 주어진다. 종래의 시스템에서는 모타 "온"신호에 동기하여 디스크모타(10)의 회전이 즉시 개시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는, 스윗치(22)가 "오프"이기 때문에 즉각 회전하지 않는다. 제 5(c)도에서 보여주듯이 t2시점에서 제 1 의 디스크 구동장치(3)의 드라이브 셀렉트 신호가 저레벨(제 1 의 상태)이 되면, 스윗치(22)가 이에 응답하여 "온"상태로 되어, 제 5 (e)도가 보여주듯이 전원라인(24)도 "온"상태로 된다. 이결과, 모타제한 및 구동회로(11)가 동작되어, 모타(10)가 회전을 개시한다. 그리고 기타회로(14),(15),(20)도 동작된다. 드라이브 셀렉트신호가 저레벨(제 1 의 상태)로 되면, 예컨대 제 2 의 게이트(92)가 리드데이타를 전송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드라이브 셀렉트신호가 저레벨로 유지되는 t2~t3기간에는 제 1 의 디스크 구동장치(3)의 모든 전원이 "온"이기 때문에, 정상적인 리드 또는 라이트 동작이 가능하다.
한편, 제 2 의 디스크 구동장치(4)에는 t4시점까지 저레벨의 드라이브 셀렉트신호가 주어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제 2 의 디스크 구동장치(4) 내에 부설되어 있는 스윗치(22)에 상당하는 것이 "오프"에 유지되어 대폭적인 절전을 꾀할 수 있다. 제 1 의 디스크 구동장치(3)의 드라이브 셀렉트신호가 제 5(c)도에서 보여주듯이 t3~t6간에 고레벨(제 2 의 상태)로 되면, 스윗치(22)가 "오프"로 되고 제 5(e)도에서 보여주듯이 전원라인(24)이 "오프"로 된다. 이 결과, 모타(1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저레벨의 모타 "온"신호가 발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모타(10)는 "오프"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회로(14),(15),(20)도 작동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되어 절전이 이루어진다.
t3~t6가간에 스윗치(22)가 "오프"로 되어도 카운타(b)의 전원은 "온"으로 유지되고 있다. 이 때문에, t3시점에 있어서의 스테핑모타(13)의 로더의 각도위치, 즉 헤드(12)의 트랙위치가 기억되어 있다. 따라서, t6시점에서 저레벨의 드라이브 셀렉트신호가 다시 발생했을때, 다시 캐리브레이트 할필요가 없으며, 리드 또는 라이트를 신속히 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이 디스크 구동장치에는 다음의 이점이 있다.
(A) 시스템전체의 전원이 투입되어도, 디스크 구동장치(3)의 전부의 전원이 "온"이 되느 것이 스윗치(22)에 의하여 제한되고, 기록 또는 재생의 대기시의 소비전력을 종래의 약 1/3로 할수가 있다. 따라서, 밧데리 구동장치에 있어서 특히 큰 효과를 볼 수가 있다.
(B) 드라이브 셀렉트신호에 의해서 스윗치(22)가 자동적으로 제어되기 때문에, 특별한 수동조작에 의한 스윗치를 설치하거나, 또는 특별한 절전을 위한 스윗치(22)의 제어신호를 부설할 필요없이 절전을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C) 스윗치(22)에 의해서 디스크 구동장치(3)(4)의 전부의 전원을 "오프"로 하지 않고, 카운타(19b) 및 인터훼이스회로(21)의 전원은 "온"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기록 또는 재생이 짧은 지체 시간으로서 개시된다. 즉 전원라인(23)의 "온"에 동기하여 1도만 캘리브레이트하고, 그 후에, 헤드(12)의 위치정보(트랙위치정보)를 카운타(19b)에 기억해두면, 이것이 스윗치(22)의 "오프"에 관계없이 유지되기 때문에, 드라이브 셀렉트신호가 저레벨(제 1 의 상태)이 될때마다 캘리브레이트할 필요가 없게 된다. 더우기, 카운타(19b)의 내용은 주사트랙의 위치에 따른 써넣기 전류의 전환 및 데이타 재생시의 리드/라이트 회로(15)에 있어서의 불필요한 주파수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필타(도시하지 않았음)의 전환에도 사용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변형예를 설명하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컨대 다음의 변형예가 가능한 것이다.
(a) 제 6 도에서 보여주듯이, +12V와 +5V의 2개의 전원라인(23a)(23b)이 있는 경우에는 각기에 스윗치(22a)(22b)를 부설하여, 저레벨의 드라이브 셀렉스신호를 "온"으로 해도 좋다. 이 제 6 도에서는 +12V의 라인(23a)에 모타제어 및 구동회로(11), 및 스테핑 모타구동회로(14)가 스윗치(22a)를 통하여 접속되고, +5V의 라인(23b)에 센서회로(18), 리드/라이트회로(15), 레디(ready) 상태 검출회로(20)가 스윗치(22b)를 통하여 접속되고, +5V 라인(23b) 직접적으로 인터훼이스(21), 스테핑 모타제어회로(19a), 카운타(19b)가 접속되어 있다.
(b) 제 7 도에서 보여주듯이, 드라이브 모타제어 및 구동회로(11)를 스윗치(22)를 통하지 않고 전원라인(23)에 직접 접속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모타의 "온"신호가 라인(6)으로부터 주어지면, 드라이브 세렉트신호에 관계없이 드라이브 모타제어 및 구동회로(11)는 제 1 도의 모타(10)를 구동시킨다.
(c) 실시예에서는 센서회로(18)를 스윗치(22)의 후단에 접속했지만, 센서회로를 전원라인(23)에 직접 접속하여, 스윗치(22)의 "온","오프"에 관계없이 전원전압을 공급해도 좋다. 그리고, 카운타(19b), 및 스테핑 모타제어회로(19a)를 스윗치822)의 후단에 접속해도 좋다. 예컨대, 스윗치(22)로 전원을 차단하는 회로는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d) 제 8 도에서 보여주듯이, 전원라인(23)에 전원을 "온"검출회로(101)을 접속하여, 이 검출회로(101)을 접속하여, 이 검출회로(101)에서 얻을 수 있는 "온"검출신호로 타이머(102)를 트리거하여 타이머로부터 일정시간만큼, 예컨대, 저레벨의 제어신호를 스윗치(22)에 공급하여, 스윗치(22)를 일정시간만큼 "온"으로 해도 좋다. 이로인하여 전원 "온"시의 켈리브레이트 동작시에 스테핑 모타구동회로(14)를 작동시킬 수 있다. 더우기, 타이머(102)의 출력은 헤드를 트랙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에도 사용한다.
(e) 제 4 도에 나타낸 디스크 카트리지에 국한되지 않고, 제 9 도에서 보여주는 일반적으로 3.5인치의 플로피 디스크를 사용하는 장치에도 사용가능하다. 이 자기디스크 카트리지(71)는, 직경 86mm(약 3.5인치)의 기록매체디스크(72)를 강성이 있는 합성수지 케이스(73)에 수용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이 카트리지(71)의 케이스(73)에는 자기 헤드 삽입용 개구(77)가 부설되어 비사용시에는 이 개구(77)는 슬라이드식의 샷터(78)에 의해 닫쳐지고 있다. 샷터(78)는 제 9 도에서 우측으로 스프링(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하여 치우쳐져 있으며, 사용시에는 이 치우친 힘에 대항하여 샷터(78)를 좌로 이동시킨다. 케이스(73)에 수용된 디스크(72)는 자기시트(72a)와 이 중앙에 장착된 금속원판으로 이루어진 허브(72b)로 이루어진다. 허브(72b)는 케이스(73)의 이면(75)의 개구(79)로부터 노출되어 회전대의 자석에 흡착된다. 이 허브(72b)에는 스핀들 삽입용공(80)과 구동핀 삽입공(81)이 부설되어 있다.

Claims (6)

  1. 기록매체디스크(9)를 회전시키기 위한 디스크 구동모타(10)와, 디스크 구동모타(10)에 접속된 제 1 의 모타구동회로(11)와, 디스크(9)와 상호작용으로 데이타의 변환을 행하기 위한 변환기(12)와, 변환기(12)를 디스크(9)의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변환기 이동용모타(13)와, 변환기 이동용모타(13)에 접속된 제 2 의 모타구동회로(14)와, 변환기(12)에 관계되는 데이타전송회로에 있어서 데이타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데이타 선택게이트를 포함하는 리드/라이트 회로(15)와, 데이타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드라이브 셀렉트신호를 데이타 선택게이트에 공급하는 회로(7)와, 데이타 선택게이트를 데이타 통과가능한 상태로 만드는 드라이브 셀렉트신호의 제 1 의 상태에 응답하여 "온"상태로 되고, 데이타 선택게이트를 데이타 통과저지의 상태로 만드는 드라이브 셀렉스신호의 제 2 의 상태에 응답하여 "오프"상태로 되고, "오프"상태의 기간에 제 1의 모타구동회로(11), 제 2 의 모타구동회로(14) 및 리드/라이트 회로중(15)의 적어도 하나의 전원라인을 차단하는 스윗치(22)를 구비한 디스크 구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스위치(22)는 드라이브 셀렉트신호의 제 2 의 상태에 응답하여, 제 1 의 모타구동회로(11)와 제 2 의 모타구동회로(14)와 리드/라이트 회로(15)와의 전원의 전부를 차단하는 것인 디스크 구동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스위치(22)는 제 1 의 모타구동회로(11)의 제 2 의 모타구동회로(14)에 제 1 의 전압을 공급하는 제 1 의 전원라인(23a)을 차단하는 제 1 의 스윗치(22a)와, 리드/라이트 회로(15)에 제 2 의 전압을 공급하는 제 2 의 전원라인(23b)을 차단하는 제 2 의 스윗치(22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구동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스윗치(22)는 드라이브 셀렉트 신호가 제 2 의 상태시에 제 1 의 모타구동회로(11)에 대한 전원라인은 차단하지 않고, 제 2 의 모타구동회로(14)에 대한 전원라인은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구동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디스크(9)는 가요성 자기디스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구동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디스크(9)는 그의 중앙에 허브가 있는 자기디스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구동장치.
KR1019840004520A 1983-07-29 1984-07-30 디스크 구동장치 KR8900047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139695 1983-07-29
JP58139695A JPS6029968A (ja) 1983-07-29 1983-07-29 デイスク駆動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1605A KR850001605A (ko) 1985-03-30
KR890004759B1 true KR890004759B1 (ko) 1989-11-25

Family

ID=15251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4520A KR890004759B1 (ko) 1983-07-29 1984-07-30 디스크 구동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133232B1 (ko)
JP (1) JPS6029968A (ko)
KR (1) KR890004759B1 (ko)
DE (1) DE3467059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2472A (ja) * 1985-10-30 1987-05-12 Oki Electric Ind Co Ltd 磁気デイスク装置駆動方式
JPH0643893Y2 (ja) * 1987-04-09 1994-11-14 富士電機株式会社 デイスク記憶装置の内蔵回路発停制御装置
EP0548547B1 (en) * 1991-11-21 1998-04-15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01969A (en) * 1972-07-24 1974-04-02 Itel Corp Erase feature for data recording device
FR2458128A1 (fr) * 1979-05-31 1980-12-26 Telecomm Electron Franc Dispositif d'arret automatique electronique pour tourne-disque, et procede pour son fonctionnement
US4419701A (en) * 1981-09-21 1983-12-06 Quantum Corporation Data transducer position control system for rotating disk data storage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133232B1 (en) 1987-10-28
JPS6029968A (ja) 1985-02-15
KR850001605A (ko) 1985-03-30
DE3467059D1 (en) 1987-12-03
EP0133232A1 (en) 1985-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4758B1 (ko) 디스크 구동장치
KR890004760B1 (ko) 디스크 구동장치
KR100747216B1 (ko) 디스크 드라이브의 다중 전압 전원투입 안정 입력/출력버퍼 회로
KR890004759B1 (ko) 디스크 구동장치
JPS6318261B2 (ko)
KR910008509B1 (ko) 데이타 레코딩 장치
US4479154A (en) Floppy disk drive with local processor control
US5283702A (en) Power saving system for rotating disk data storage apparatus
KR890003562B1 (ko) 디스크장치
US4686590A (en) Apparatus for positioning a magnetic head
JPS59127266A (ja) 情報再生装置
US4769724A (en) Magnetic head drive apparatus which uses a common current source for the read/write head and the erasing head
US5051850A (en) Disc unit having a central control for control plural disc drives
US5293625A (en) Signal selecting circuit which selectively outputs predetermined signal to host computer compatible with plurality of computer hardware types and disk drive having such signal selecting circuit
JPH06101186B2 (ja) デイスク装置
KR930001796B1 (ko) 기억장치의 디스크 기록제어장치
JP2826355B2 (ja) ディスク装置のステッピングモータ駆動制御回路
JPS61107582A (ja) 磁気ヘツド制御装置
JP2888090B2 (ja) ディスク装置
JPH05242592A (ja) ディスク装置
JPH06195852A (ja) ディスク装置
KR20010015174A (ko) 기록/재생장치, 기록매체 어댑터장치 및 기록/재생방법
KR100365345B1 (ko)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인터페이스회로
JPS60103553A (ja) 記録デイスク駆動装置
JPS62229561A (ja) テ−プレコ−ダ装置のリ−ルモ−タ制御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20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