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4595B1 - 전화기세트내의 링거와 서비스 지시램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라인회로 - Google Patents

전화기세트내의 링거와 서비스 지시램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라인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4595B1
KR890004595B1 KR1019850010030A KR850010030A KR890004595B1 KR 890004595 B1 KR890004595 B1 KR 890004595B1 KR 1019850010030 A KR1019850010030 A KR 1019850010030A KR 850010030 A KR850010030 A KR 850010030A KR 890004595 B1 KR890004595 B1 KR 890004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ignal
circuit
signal
ringer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10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5516A (ko
Inventor
마사끼 이토오
주니찌 고이께
요시시게 다나까
Original Assignee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모도 다꾸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모도 다꾸마 filed Critical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5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5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4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3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incoming messages, i.e. mailbox systems
    • H04M3/537Arrangements for indicating the presence of a recorded message, whereby the presence information might include a preview or summary of the mess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23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by reversing the polarity of the current at the exch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Supply Of Signal Curr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화기세트내의 링거와 서비스 지시램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라인회로
제1도는 종래의 라인회로의 회로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라인회로의 회로도.
제3a도 및 제3n도는 제2도에 보인 라인회로내의 각 지점들에서의 파형도.
제4도는 메세이지 램프에 입력되는 전압과 입력 16KHz 스위칭 신호의 펄스폭간의 관계의 실험결과 그래프.
본 발명은 전화기세트내의 링거와 서비스 지시 램프구동용 라인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링잉신호 및 램프 구동신호 양자를 공급하기 위한 고주파수 트랜스포머를 사용하는 콤팩트 디자인의 라인회로에 관한 것이다.
서비스 지시기능의 일예로서, 메세이지 대기기능을 설명한다. 메세이지 기능을 갖는 전화기세트를 사용함에 의해 피호출자가 없을시에 전화기세트상에 제공되는 메세이지 대기기능용 메세이지 램프는 어떤 사람이 호출하는 늦게 도착한 사람에게 알리도록 점등한다. 예를들어, 호텔에서, 메세이지가 손님 부재중 프론트 데스크에 맏겨져 있어 돌아온 손님에게 알려 줘야할때 프론트 데스크상에 제공된 스위치가 동작하여 손님방의 전화기세트의 메세이지 램프가 점등하여 프론트 데스크에 메세이지가 맡겨져 있음을 알려준다. 이에의해, 손님은 프론트 데스크에서 스위칭 동작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다른 전화기세트 즉, 메세이지 램프에 불이 들어오도록 특수번호를 디코오딩하는 호텔내의 교환기로부터 특수번호를 돌려줌으로서 점멸될 수 있다.
메세이지 램프에 불이 들어오게 하기 위해서는 예를들어 100V의 직류(D.C)전압을 가압자 라인을 통하여 메세이지 램프에 걸어줘야만 한다. 메세이지 램프로부터 떨어져 2선 가압자라인에는 호출신호가 수신될 때 전화기세트내의 링거를 울려주도록 예를 들어 16Hz의 저주파 링잉신호가 라인회로로부터 가입자 라인에 송출된다. 링잉신호의 평방근 값은 예를들어 75V이다.
종래에는 3개의 전원 즉 가입자 라인에 통신을 위한 예를들어 -48V의 전압을 공급시켜 주기 위한 제1전원, 링거에 링잉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제2전원, 그리고 메세이지 램프에 메세이지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제3전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일예로서 75V의 평방근 값을 갖는 저주파 링잉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저주파수로 인해 사이즈가 크고 무거운 저주파수 트랜스포머가 사용된다.
종래에는 D.C.전압의 메세이지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용교류를 예를들어 100V의 D.C.전압으로 정류시키는 별도의 정류기회로가 사용된다. 이것은 부품들의 수를 증가시킨다. 그러므로 종래의 라인회로는 그것이 링거구동회로와 램프구동회로를 포함할 경우 사이즈가 커지고 중량이 무거워져 설치시에 문제점들을 야기시키는 단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원회로에 D.C.-D.C.변환용 스위칭 조절기를 사용하는 생각을 근거로 라인회로의 사이즈와 설치문제를 제거하도록 중량이 감소된 상술한 라인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화로 스위치와 라인회로에 연결되는 가입자라인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링거와, 서비스 지시램프(6)를 갖는 전화기세트간에 연결되는 라인회로가 제공되는데 그 라인회로는 링거를 구동시키기 위한 링거 구동신호와 서비스지시 램프구동용 램프 구동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전화기세트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는 서비스 전원회로를 포함하며, 서비스 전원회로는 1차권선과 2차권선을 갖는 트랜스포머, D.C.전원을 발생시키기 위해 1차권선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는 D.C.전원, 2차권선에서 신호들을 평활시키기 위해 2차권선과 가입자라인사이에 연결되는 평활회로, D.C.전원의 전류 경로를 간헐적으로 단속시키기 위해 제1권선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는 스위칭회로, 그리고 제1주파수를 갖고 있으며, 제1동작비를 갖는 제1제어신호와 동일주파수를 갖고 있으나 제1동작비와 다른 제2동작비를 갖는 제2제어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스위칭 회로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는 제어신호 발생회로를 포함하며, 제1제어신호는 링거가 울리려고 할때 스위칭 회로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는 제어신호 발생회로를 포함하며, 제1제어신호는 링거가 울리려고 할때 스위칭 회로에 입력되며, D.C.전압은 제1제어신호에 반응하여 트랜스포머와 평활회로를 통하여 링거구동신호로 변환되며, 제2제어신호는 서비스 지시램프가 점등될 때 스위칭회로에 입력되며, D.C.전압은 제2제어신호에 반응하여 트랜스포머와 평활회로를 통하여 램프 구동신호로 변환되며, 그에의해 트랜스포머의 2차권선이 제1제어신호와 제2제어신호에 반응하여 상이한 전압들을 발생시키는 라인회로가 제공된다.
양호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전에, 우선, 종래의 라인회로를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서, 메세이지 기능을 갖는 전화기세트 1은 라인회로 2를 통하여 교환기내의 통화로 스위치에 연결된다. 라인회로 2에서, 통화로 스위치로부터 전송된 통화음성신호는 입력될 트랜스포머 T와 가압자 라인들 SL을 통하여 전화기세트 1의 단자들 L1과 L2에 송출된다. 예를들어 통신용으로 사용되는 -48V의 전원전압은 트랜스토머의 T의 2차권선에 입력된다. -48V의 전원과 2차권선간에는 스위치 S0가 제공된다. 라인회로 2는 링거구동회로 3과 램프구동회로 4에 연결된다. 종래의 링거구동회로 3과 램프구동회로 4는 큰 사이즈를 갖고 있고 중량이 무거우므로 그들은 보통 라인 회로 2의 포장으로부터 별도로 제공된다.
전화기세트 1은 링거 5와 메세이지 램프 6을 포함한다.
링거 5가 울릴때 링거구동회로 3은 릴레이 스위치 rl0와 스위치 S0를 통하여 트랜스포머 T의 2차권선에 연결된다. 메세이지 램프 6의 점등될 때 램프구동회로 4는 릴레이 스위치 rl0와 스위치 S0를 통하여 트랜스포머 T의 2차권선으로 연결된다. 링거구동회로 3은 일예로서 16Hz의 주파수를 갖고 있으며 또한 75V(75Vrsm)의 평균 평방근값을 갖는 링잉신호를 발생시킨다. 램프구동신호는 D.C.100V신호를 발생시킨다.
링거구동회로 3은 16Hz의 A.C.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발진기와 75Vrms를 갖는 16Hz신호의 발생용 추가 트랜스포머를 포함하고 있다. 발진기로부터 16Hz의 A.C.전류로서 추가 트랜스포머의 1차권선에 입력되는 -48V의 내부전원전압을 스위칭시켜줌으로서, 75Vrms를 갖는 16Hz신호는 추가 트랜스포머의 2차권선에서 얻어진다.
램프구동회로 4는 상용 A.C.전압을 메세이지 램프에 걸어줄 100V D.C.로 정류시켜 주기위한 정류회로를 포함한다. 종래의 라인회로 2의 단접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링거구동회로 3내의 추가 트랜스포머는 16Hz의 저주파수로 사용되기 때문에 추가 트랜스포머의 사이즈와 중량은 아주 커져 라인회로 2는 만일 링거구동회로 3과 램프구동회로 4를 포함할 경우 대단히 커지고 무거워져 설치문제점을 야기시킨다.
둘째, 램프구동회로는 상용 A.C.전압을 정류시키기 위한 정류회로를 사용하기 때문에 장치의 사이즈와 중량은 더 증가한다.
세째, 링거구동용 전원회로와 램프구동용 전원회로는 별도로 제공되기 때문에 장치의 사이즈와 중량은 여전히 더 증가된다. 이하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라인회로의 회로도이다. 제2도에서, 라인회로 2a는 통화로 스위치와 전화기세트 1사이에 연결된다. 제2도내의 전화기세트 1은 제1도내의 전화기세트 1과 동일하며, 링거 5와 메세이지 램프 6을 포함한다. 라인회로 2a는 통화전류 공급회로 2b와 서비싱 전원회로 2c를 포함한다.
통화전류 공급회로 2b는 통화로 스위치에 연결되는 1차권선과 릴레이이 스위치들 rl1및 rl2과 가입자라인들 SL을 통하여 전화기의 단자들 L1및 L2에 연결되는 2차권선은 갖는 제1트랜스포머 T1을 포함한다. 2차권선을 통하는 직류 전류는 캐패시터 C1에 의해 단속된다. 캐패시터 C1의 일단은 -48V의 전원에 연결되고, 타단은 접지에 연결된다.
서비싱 전원회로 2C는 1차 및 2차권선을 갖는 제2트랜스포머 T2, 2.7mH의 인덕터 L1을 통하여 트랜스포머 T2의 1차권선에 연결되는 +24V의 D.C.전원. 트랜스포머 T1의 2차권선과 릴레이 스위치들 rl1과 rl2사이에 연결되는 평활회로 21, 트랜스포머 T2의 1차권선에 연결되는 스위칭회로 22, 스위칭회로 22에 연결되는 제어신호 발생회로 23, 그리고 릴레이 구동회로 24를 포함한다.
평활회로 21은 다이오드들 D1및 D2인덕터 L2, 그리고 캐패시터 C2를 포함한다.
스위칭회로 22는 트랜스포머 T2의 1차권선에 연결되는 콜렉터, 증폭기 A와 100ohm의 저항 R1을 통하여 제어신호 발생회로 23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 H 또는 I를 동작가능하게 수신하는 베이스, 그리고 접지에 연결되는 에미터를 가는 NPN 트랜지스터 TR1을 포함한다. 트랜지스터 TR1의 베이스와 에미터는 100ohm의 바이어스 저항 R2를 통하여 연결된다.
제어신호 발생회로 23은 제어회로 25, 카운터 26, NAND게이트를 27 내지 31 그리고 인버어터 게이트들 32 내지 34를 포함한다. 제어회로 25는 그의 출력 O1, O2및 O3에서 메세이지 램프 제어신호, 링거 제어신호 그리고 릴레이 제어신호를 각각 발생시킨다.
카운터 26은 예를들어 2,048MHz의 부주파수를 갖는 내부클록신호를 수신하여 그 클록신호의 주파수를 2,048MHz/24, 2,048MAz/25, 2,048MH/26그리고 2,048MHz/27의 주파수로 분할하여 단자들 Q4, Q5, Q6,및 Q7에 각각 출력시킨다. 릴레이 R이 작동하지 않아 릴레이 스위치들 rl1과 rl2가 도시된 바와같이 오프될때 직류 전류는 -48V의 D.C.전원으로부터 가입자 라인 SL을 통하여 메세이지 대기 기능을 갖는 전화기세트 1로 공급된다.
제어회로 25의 단자 O2로 부터 출력된 링거 제어신호에 반응하여 제1제어신호 H는 제어신호 발생회로 23으로부터 발생된다. 제어회로 25의 단자 O1로부터 출력된 메세이지 램프 제어신호에 반응하여, 제2제어신호 I는 제어신호 발생회로 23으로부터 발생된다.
제1 및 제2제어신호의 발생은 제3a도 내지 제3m도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a도 내지 제3c도는 카운터 26의 단자들 Q4, Q5및 Q6로부터 출력된 2,048MHz/24=128KHz, 2,048MHz/25=64KHz 그리고 2,048MHz/26=32KHz의 분할된 신호들 A, B, 및 C의 파형들을 각각 나타낸다. 제3d도 2,048MHz/27의 주파수를 갖는 분할된 신호의 반전된 신호를 나타낸다. 즉, 제3d도에 보인 신호는 인버어터 32에 의해 반전된 단자 Q7으로 부터 출력된 신호의 반전된 신호이다. 다음에서, 제3d도의 신호는 제1제어신호 D로서 호칭된다. 제1제어신호 D는 16KHz의 주파수와 50%의 동작비를 갖고 있다. 신호들 A, B, C 및 D는 제3e도에 보인 바와같이 신호 E내의 출력에서 NAND 게이트 27을 통하여 게이트된다. 신호 E는 NAND 게이트 28을 통하여 반전되어, 제3f도에 보인 바와같은 신호 F가 얻어진다. 제3f도에 보인 신호 F는 이후 제2제어신호로서 호칭된다. 제2제어신호 F는 제1제어신호 D와 동일한 16KHz의 주파수를 가지나, 6.25%의 동작비를 갖는다. 이것은 NAND 게이트 27을 통하여 신호들 A, B, C 및 D가 게이팅되기 때문인 것으로 이해된다.
링거를 울려주기 위한 동작
링거 5를 울려줄때 25는 예를들어 16Hz의 저주파수를 갖는 링잉제어신호를 출력시킨다. 링거제어신호는 인버어터 33에 의해 반전된다. 반전된 링거제어신호는 제3g도에 보이고 있다. 제3g도에 나타낸 반전된 링거제어신호와 제3d도에 나타낸 제1제어신호 D는 NAND 게이트 13을 통하여 게이트된다. 따라서, NAND게이트 13의 출력에서, 제3h도에 보인 간헐신호 H가 얻어진다. 간헐신호 H는 제1제어신호 D와 링거제어신호 G의 중첩된 신호이다. 중첩된 신호는 16KHz의 고주파수를 갖고 있으며 또한 50%의 동작비를 갖고 있으나 16Hz의 저주파수로서 연속된다. 즉, 저주파신호, 즉 16Hz의 고레벨은 고주파신호 즉 50%의 동작비를 갖는 16KHz로 구성된다.
중첩된 신호 H는 NAND게이트 31을 통하여 그리고 스위칭 회로내의 증폭기 A와 저항 R1을 통하여 스위칭 트랜지스터 TR1의 베이스에 입력된다. 그 다음, 트랜지스터 TR1은 +24V의 전원으로부터 인덕터 L1, 트랜스포머 T2의 1차권선, 그리고 트랜지스터 TR1을 통하여 접지로 교번전류를 도통시킨다. 교번전류는 중첩된 신호 H에 의해 결정된다. 즉, 트랜지스터 TR1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는 16Hz의 저주파의 구형파를 가지며, 이 구형파에서 16Hz의 각 고레벨은 16KHz의 고주파 신호들로 구성된다.
트랜스포머 T2의 1차권선에 공급되는 전류는 16KHz의 고주파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트랜스포머 T2는 소형 고주파 트랜스포머로 제조될 수 있다. 이것이 본 발명의 중요한 장점이다. 트랜스포머 T2는 24V의 D.C.전압을 링거를 울려주는데 충분한 예를들어 200V 피이크 투 피이크의 고전압으로 변환시킨다. 이 변환은 16KHz의 고주파를 이용하는 스위칭 조정기의 작용에 의해 행해진다. 트랜스포머 T2의 2차권선에 유도된 신호인 16KHz의 고주파성분은 평활회로 21에 의해 평활된다. 따라서, 평활회로 21의 출력에서, 200V의 피이크 투 피이크 전압을 갖는 16Hz신호 J가 제3j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얻어진다. 16Hz신호 J는 릴레이 스위치들 rl1과 rl2에 공급되는 연속링잉 신호 CR이다.
링거제어신호의 출력과 동시에 제어회로 25는 출력단자 O3로 부터의 릴레이 구동신호를 출력시킨다. 릴레이 구동신호는 트랜지스터 TR2의 베이스에 입력되므로 릴레이 R이 구동된다. 릴레이 구동신호는 예를들어 1초의 고레벨과 예를들어 2초의 저레벨로 구성되는 단속신호이다. 따라서, 릴레이 스위치들 rl1과 rl2는 1초동안 도통되고 2초동안 차단된다. 따라서 제3k도에 보인 링잉신호 K는 링거 5를 단속적으로 울려주도록 릴레이 스위치들 rl1과 rl2와 트랜스포머 T1을 통하여 전화기세트 1로 공급된다. 링잉 신호 K는 1초동안 16Hz신호와 2초동안 다음 저레벨을 갖는다.
실용적인예에서, 7개의 스위치들(도시안됨)을 통하여 평활회로의 출력으로 연결된 또 다른 7개의 전화기 세트들(도시안됨)이 있다. 또한 상술한 7개의 릴레이 스위치들에 대응하는 또 다른 7개의 릴레이 구동호로들(도시안됨)이 있다. 제어회로 25는 이 릴레이 구동회로들중 어느 것이 작동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해준다. 즉, 총 8개의 전화기세트들이 한 라인 회로에 연결된다. 제3k도에 보인 링잉신호에는 한 사이클에 3개의 위상들 O1, O2, 및 O3가 있다. 제1위상 O1은 상술한 8개의 전화기세트들가운데 4개의 전화기세트들중 하나에서 링거를 울려주기 위해 사용된다. 제2위상 O2는 8개의 전화기세트들내의 나머지 4개의 전화기세트들중 하나의 링거를 울려주기 위해 사용된다. 제3l도는 제2위상 O2에 의해 형성된 링잉신호를 나타낸다. 제3위상 O3는 제3n도에 보인 바와같이 8개의 전화기세트들중 하나내의 메세이지 램프를 점등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램프를 점동시키기기 위한 동작
네온 램프와 같은 메세이지 램프 6이 점등될 때 제어회로 25는 출력단자 O1으로 부터 램프 제어 신호를 출력시킨다. 램프제어신호는 연속적인 고레벨신호이다. 메세이지 신호에 반응하여, 6.25%의 작은 동작비를 갖는 이외에 16KHz의 고주파를 갖는 제3f도내에 보인 제2제어신호 F는 NAND 게이트 30을 통하여 게이트된다. 그 다음 제어신호 F는 NAND게이트 31을 통하여 게이트되어 제2제어신호는 제3i도에 보인 바와같다.
NAND 게이트 31의 출력에서, 신호 I로서 얻어진다. 신호 I는 제2제어신호 F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2제어신호 I가 트랜지스터 TR2의 베이스에 공급되면 트랜스포머 T2는 스위칭 조정기의 기능에 기능에 의해 +24V의 D.C.전압을 램프 6을 밝히는 데에 필요하지만 링거 5를 울려주기에는 불충분한 고압으로 변환시킨다.
메세이지 램프 6은 90V와 130V간의 D.C.전압에 의해 점등된다. 제2제어신호 F의 동작비는 6.25%로서 이는 제1제어신호 D내의 50%의 동작비보다 더 작기 때문에 링거 5를 올려주기 위한 200V 피이크 투 피이크 전압보다 더 낮은 100V의 적당한 전압이 얻어질 수 있다. 그 다음, 100V의 고압이 평활회로 21에 의해 평활되면 A.C.성분이 제3m도에 보인 바와같이 제거된다. 릴레이 스위치들 rl1과 rl2는 링거 5를 울려주기 위한 동작과 동일방식으로 동작한다. 따라서, 메세이지 램프신호 N은 그것을 밝히도록 메세이지 램프 6에 공급된다.
별도의 정류회로가 램프구동용 D.C.전압을 얻기위해 필요없기 때문에 라인회로는 콤팩트하게 될 수 없다. 제2제어주파수 F의 동작비는 항상 6.25%가 될 수 없으나 어떤 범위내에서 변동될 수도 있다. 이것은 제4도를 참조하는 다음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며, 이 도면은 메세이지 램프에 입력된 전압과 제2제어신호의 펄스폭간의 관계의 실험결과를 나타낸다. 제4도에서, 수직축은 전화기세트 1의 단자들 L1과 L2에 입력되는 전압을 나타내며, 또한 수평축은 제2제어신호 F의 펄스폭 WID를 나타낸다. 제2제어신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16KHz의 주파수를 갖는다. 그러므로, 제2제어신호 F의 1싸이클은 62.5㎲이다. 펄스폭 WID가 4μS일때 동작비는 6.4%이다. 실험결과는 펄스폭 WID가 4μS일때 단자들 L1및 L2에 입력된 전압이 120V임을 나타낸다. 메세이지 대기 램프 6은 90V와 130V간의 전압에 의해 점등될 수 있다. 그러므로, 펄스폭 WID는 4μS+α와 4μS-β간의 범위내에서 선택될 수도 있다. 여기서 α와 β는 램프 6에 입력되는 최대 전압과 최소 전압이 130V와 90V로서 각각 결정되는 식으로 실험에 의해 결정된다.
펄스폭 WID가 증가될때, 전압은 또한 동작비 50%의 제1제어신호 D에 의한 것과같이 200V에 근접시키도록 증가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 국한 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이탈함이 없이 많은 수정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들어, 제1제어신호와 제2제어신호의 주파수는 스위칭 조정기로서 트랜스포머 T2를 동작시킬 정도로 충분히 높기만 하다면 어떤 주파수라도 좋다. 또한, 링거제어신호의 주파수는 또한 링거 5를 울려줄 수 있기만 하다면 어떤 주파수라도 좋다.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하면, 링잉신호를 얻기 위한 스위칭 조정기로서 고주파 트랜스포머를 사용함으로써 고주파 트랜스포머가 종래에 저주파 트랜스포머에 비해 사이즈가 작고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링거와 서비스지시 램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기능을 가고 라인회로의 사이즈의 무게는 소형이 될 수 있다.
그밖에, 동일한 고주파 트랜스포머는 또한 램프 구동신호를 얻기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종래에 사용된 별도의 정류기는 제거될 수 있다. 이 또한 라인회로의 싸이즈와 무게를 더 소형화하는데 기여한다.
최근에는 통화 서어비스이외의 각종 서이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는 키이 전화기세트들과 같은 4선 다기능 전화기세트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한 다기능 전화기세트는 링거와 같은 발진기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그러한 다기능 전화기세트에서는 16Hz링잉신호를 송출시킬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서와 같은 그러한 4-선 전화기세트들과 2-선 전화기세트들을 혼성 교환기 시스템에 부합시킬 때 2-선 시스템에 대한 라인회로를 패케이지를 콤팩트화하여 4-선 시스템에 대한 라인회로 패케이지로 쉽게 대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소형 사이즈와 작은 중량의 라인회로는 혼성시스템에서 특히 유리하다.

Claims (5)

  1. 통화로 스위치와 전화기세트간에 연결되는 라인회로에 있어서, 상기 라인회로에 연결되는 가입자 라인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링거(5)와 서어비스 지시 램프(6)을 갖는 상기 전화기세트는 : 상기 링거를 구동시키기 위한 링거구동신호(K)와 상기 서어비스 지시 램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램프구동신호(N)을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전화기세트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는 서어비스 전원회로(2C)을 포함하되, 상기 서어비스 전원회로는 : 1차 및 2차권선을 갖는 트랜스포머(T2)직류 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1차권선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는 직류전원(+24V), 상기 2차권선의 신호를 평활시키기 위해, 상기 2차 권선과 상기 가입자 라인간에 연결되는 평활회로(21), 상기 직류전원의 전류경로를 간헐적으로 단속시키기 위해 상기 제1권선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는 스위칭회로(22), 그리고 제1주파수(16KHz)와 제1동작비(50%)를 갖는 제1제어신호(D)와 동일 주파수를 갖고 있으나 상기 제1동작비와 상이한 제2동작비(6.25%)를 갖는 있는 제2제어신호(F)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스위칭회로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는 제어신호발생회로(23)을 포함하되, 상기 제1제어신호(D)는 상기 링거가 울릴때 상기 스위칭회로(22)에 입력되며, 상기 직류전압(+24V)는 상기 제1제어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트랜스포머와 상기 평활회로를 통하여 상기 링거구동신호(K)로 변합되며, 상기 제2제어신호(F)는 상기 서어비스 지시램프가 점등될 때 상기 스위칭회로에 입력되며, 상기 직류전압은 상기 제2제어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트랜스포머와 상기 평활회로를 통해 상기 램프 구동신호(N)으로 변압되며, 그에의해 상기 트랜스포머의 상기 제2권선은 상기 제1제어신호와 상기 제2제어신호 각각에 반응하여 상이한 전압들을 발생시키는 것이 특징인 전화기세트내의 링거와 서비스 지시램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라인회로.
  2. 제1항에서, 상기 제1주파수(16KHz)와 상기 제1동작비를 갖는 상기 제1제어신호(D)는 상기 제1주파수(16KHz)보다 낮은 제2주파수와 함께 간헐적으로 불연속되어 상기 스위칭회로에 입력되며, 그에의해 상기 평활회로는 상기 링거구동신호로서 사용되는 상기 제2주파수(16Hz)를 갖는 교번신호를 출력시키며, 상기 제2동작비(6.25%)를 갖는 이외에 상기 제1주파수(16KHz)를 갖는 상기 제1제어신호(F)는 상기 스위칭회로(22)에 연속적으로 입력되며, 그에의해 상기 평활회로는 상기 램프 구동신호로서 사용되는 직류전압을 출력시키는 것이 특징인 전화기세트내의 링거와 서비스 지시램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라인회로.
  3. 제1항에서, 상기 제어신호 발생회로(23)은 : 링거 제어신호(G)와 램프제어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어회로, 상기 제1제어신호(D)와 상기 링거제어신호(G)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하게 연결되는 입력들과 상기 스위칭회로에 연결도는 출력을 갖는 제1게이트회로(29), 그리고 상기 제2제어신호(F)와 상기 램프제어신호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하게 연결되는 입력들과 상기 스위칭회로에 연결되는 출력을 갖는 제2게이트회로(30)을 포함하되, 상기 링거제어신호(G)는 상기 링거(5)가 울릴때 발생되며, 상기 링거제어신호는 상기 제1주파수(16KHz)보다 낮은 제2주파수(16Hz)를 갖고 있으며, 상기 램프 제어신호는 상기 서어비스 지시램프(6)이 점등될 때 발생되며, 상기 램프 제어신호는 직류 신호이며, 그에의해, 상기 제1게이트회로(29)는 상기 제1제어신호(D)와 상기 링거제어신호(G)의 제1중첩된 신호를 동작가능하게 출력시키며, 상기 제1의 중첩된 신호는 상기 제1주파수(16KHz)를 가지고, 그러나 상기 제2주파수(16KHz)와 함께 단속되며, 그리고 상기 제2게이트회로(30)은 상기 제2제어신호(F)와 상기 램프제어신호의 제2중첩된 신호를 동작가능하게 출력시키며, 상기 제2중첩신호는 연속적인 것으로 상기 제1주파수(16KHz)와 상기 제2동작비(6.25%)를 갖는 것이 특징인 전화기세트내의 링거와 서비스 지시램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라인회로.
  4. 제3항에서, 상기 스위칭회로(22)는 상기 트랜스포머(T2)의 상기 1차권선에 연결되는 콜렉터, 상기 제1 및 제2중첩신호를 수신하도록 연결되는 베이스 그리고 접지에 연결되는 콜렉터를 갖는 트랜지스터(TR1)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전화기세트내의 링거와 서비스 지시램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라인회로.
  5. 제3항에서, 상기 제어신호 발생회로(23)은 복수의 부주파수로 내부클록신호(2.048)MHz를 분할시키기 위한 카운터(26), 상기 제1제어신호(D)를 출력시키기 위해 상기 카운터(26)의 한 출력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게이트회로(32), 그리고 상기 제2제어신호(F)를 출력시키기 위한 상기 카운터의 다른 출력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게이트회로(27)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전화기세트내의 링거와 서비스 지시램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라인회로.
KR1019850010030A 1984-12-29 1985-12-28 전화기세트내의 링거와 서비스 지시램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라인회로 KR8900045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279915 1984-12-29
JP59279915A JPS61179647A (ja) 1984-12-29 1984-12-29 サ−ビス表示用ランプの点灯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5516A KR860005516A (ko) 1986-07-23
KR890004595B1 true KR890004595B1 (ko) 1989-11-16

Family

ID=17617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10030A KR890004595B1 (ko) 1984-12-29 1985-12-28 전화기세트내의 링거와 서비스 지시램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라인회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726060A (ko)
EP (1) EP0187366B1 (ko)
JP (1) JPS61179647A (ko)
KR (1) KR890004595B1 (ko)
CA (1) CA1245381A (ko)
DE (1) DE3585606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1314A (en) * 1986-07-30 1989-04-11 Telic Alcatel, S.A. Message and ringing signaling device for a telephone installation
KR920007443Y1 (ko) * 1990-07-28 1992-10-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모터제어장치
EP0504716A3 (en) * 1991-03-21 1992-11-04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thod for the activation of an optical indicator in a communication apparatus connected to a switching exchange
DE59204791D1 (de) * 1991-03-21 1996-02-08 Siemens Ag Verfahren zur Aktivierung einer optischen Anzeige in einem an eine Kommunikationsanlage angeschlossenen analogen Kommunikationsendgerät
JP2606449B2 (ja) * 1993-07-23 1997-05-07 日本電気株式会社 個別選択呼出受信機
US7013007B1 (en) * 1999-01-11 2006-03-14 Altigen Communications, Inc. Computer telephony power supply method and apparatus
US6556663B2 (en) 2000-10-16 2003-04-29 Scitec, Inc. Guestroom telephone having single action message retrieval
CN113825283B (zh) * 2021-10-08 2023-06-06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远场语音视觉指示灯控制电路、方法、装置及电子产品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4833A (en) * 1973-06-04 1975-09-09 Superior Continental Corp Ringing generator circuit with capacitor storage
US4025729A (en) * 1975-12-05 1977-05-24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Telephone ringing control circuits
US4140882A (en) * 1977-09-12 1979-02-20 Wescom Switching,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special status indication in telephone systems
CH624519A5 (en) * 1977-10-17 1981-07-31 Siemens Ag Albis Circuit arrangement for controlling the subscriber stations of a telecommunications switching system, in particular a telephone switching system
NL7802423A (nl) * 1978-03-06 1979-09-10 Philips Nv Voedingsinrichting voor een lijnstroomloop.
US4298774A (en) * 1979-05-02 1981-11-03 Gte Automatic Electric Labs Inc. Call waiting signal arrangement
DE3237652A1 (de) * 1982-10-11 1984-04-12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Fernsprechanlage
US4506115A (en) * 1983-09-12 1985-03-19 Gte Communications Products Corporation Message aler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726060A (en) 1988-02-16
JPH0351346B2 (ko) 1991-08-06
EP0187366B1 (en) 1992-03-11
EP0187366A2 (en) 1986-07-16
CA1245381A (en) 1988-11-22
KR860005516A (ko) 1986-07-23
DE3585606D1 (de) 1992-04-16
JPS61179647A (ja) 1986-08-12
EP0187366A3 (en) 1988-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03719A (en) Method for powering telephone apparatus and telephone apparatus powered directly from the telephone line without external power
KR890004595B1 (ko) 전화기세트내의 링거와 서비스 지시램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라인회로
US4578542A (en) Line powered flasher circuit for ringing signal
EP0143481B1 (en) Dtmf-telephone set with multiple use of the logic of the digital tone generator
US3420963A (en) Communication system line circuit particularly for key telephone systems
US4436960A (en) Telephone ringing signal generator
US4536619A (en) Ringing signal detection circuit
CA2167996A1 (en) Switchmode Power Converter for Telephone Subscriber Line Interface Circuits
GB2169775A (en) Ringing signal sending-out circuit
US3132211A (en) Dial light for telephone substation set
US4533792A (en) Circuit for switching between ring signal and message waiting signal without bell tap
KR200321851Y1 (ko) 사설교환기의 메시지 대기용 전원 공급장치
GB1475575A (en) Telephone system
US4163873A (en) Telephone solid state ringer
JPH0735487Y2 (ja) 乾電池式呼出信号発生回路
JPH05183628A (ja) リンガージェネレータ
KR100559708B1 (ko) 메시지웨이팅기능을 갖는 가입자보드
JPH06164772A (ja) メッセージランプ駆動回路
JPS634745B2 (ko)
JPS60178760A (ja) 電話機用ベルの駆動用電源回路
RU1827051C (ru) Искробезопасна система телефонной св зи
KR940011235B1 (ko) 통화대기시 재통화 발신음장치
KR910001084Y1 (ko) 복합음이중주파수 원격 제어 어댑터
SU902312A1 (ru) Устройство питани телефонных линий
JPS62114362A (ja) 呼出信号送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210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