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11235B1 - 통화대기시 재통화 발신음장치 - Google Patents

통화대기시 재통화 발신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11235B1
KR940011235B1 KR1019910025035A KR910025035A KR940011235B1 KR 940011235 B1 KR940011235 B1 KR 940011235B1 KR 1019910025035 A KR1019910025035 A KR 1019910025035A KR 910025035 A KR910025035 A KR 910025035A KR 940011235 B1 KR940011235 B1 KR 940011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handset
call
switch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5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5505A (ko
Inventor
우종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1019910025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11235B1/ko
Publication of KR930015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5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11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12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통화대기시 재통화 발신음장치
제 1 도는 종래 전화기의 시스템 구성도.
제 2 도는 본 발명 전화기의 재통화 발신음장치의 구성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최고값 검출부 및 레벨검출부의 상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후크스위치 2 : 링발생부
3 : 정류부 4 : 스피커
5 : 송수화부 6 : DTMF발생부
9 : 재통화발신음발생부 9a : 최고값검출부
9b : 레벨검출부 10 : 대기지시부
11 : 통화대기선택 스위치 10a, 12 : 연동스위치
본 발명은 전화기의 재통화 발신음 출력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화통화시 수화자의 부재로 인하여 송화자가 통화시까지 수화기를 들고 기다려야 하는 불편 및 통화대기시간의 낭비를 방지하도록 하는 통화대기시재통화 발신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화기의 시스템 구성은 첨부된 도면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수화기에 따라 전화라인(L1)으로부터 들어오는 전화국의 링신호를 스위칭하는 후크스위치(1)와, 상기 후크스위치(1)를 통하 직륙성분의 링신호를 차단하고 교류성분의 링신호를 바이패스시키는 콘덴서(C1)와, 상기 콘덴서(C1) 및 전화라인(L2)으로부터 링을 검출하여 스피커(4)를 통해 링신호를 발생하는 링발생부(2)와, 상기 링발생부(2) 및 후크스위치(1)를 통한 전화국의 각종신호를 정류하여 출력하는 정류부(3)와, 상기 정류부(3)로부터 정류된 수화음을 증폭시켜 송수화기(7)에 충력함과 아울러 그 송수화기(7)의 송화음을 전기적신호로 변환시켜 전화라인으로 송출하는 송수화부(5)와, 키이보턴(8)의 다이얼신호를 발생하여 전화라인을 통해 전화국으로 송출하는 DTMF발생부(6)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전화기는 먼저 송수화기(7)를 내려 놓으면 후크스위치(1)의 가동단자(a)는 그의 고정단자(b)에 접속하게 된다.
이와 같은 사애에서 전화라인(L1)(L2)을 통해 전화국에서 링신호가 들어오면 그 링신호는 후크스위치(1) 및 콘덴서(C1)를 통해 직류성분은 제거가되고 교류성분만이 링발생부(2)에 입력된다.
상기 링발생부(2)는 전화라인(L2) 및 콘덴서(C1)를 통해 입력되는 링을 검출하여 스피커(4)를 통해 벨소리를 발생하게 된다.
이후 벨소리를 듣고 송화자가 송수화기(7)를 들게 되면 후크스위치(1)의 가동단자(a)가 그의 고정단자(c)에 접속된다.
이에따라 전화라인(L1)(L2)을 통해 들어오는 수화음은 정류부(3)를 통해 송수화부(5)에 입력되고, 상기 송수화부(5)는 입력된 수화음을 증폭하여 송수화기(7)를 통해 송화자에 전달함과 아울러 그 송수화기(7)의 송화기를 통하여 나오는 음성신호를 전기적으로 변환하여 정류부(3)와 후크스위치(1) 및 전화라인(L1)(L2)을 통해 상대방 수화자에게 전달하게 된다.
한편 다이얼부 또는 키이보턴(8)으로부터 입력되는 다이얼신호는 DTMF발생부(6)에서 검추하여 전화국으로 전달하기 위한 신호로 변환시켜서 전화국으로 전송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전화기에 있어서, 통화하고자 하는 수화자가 잠시 부재중인 경우에 수화자기 전화를 받을때까지 송화자는 송수화기를 들고 기다려야만 하는 불편함 및 통화대기시간의 낭비가 있었고, 또한 수화자가 전화를 받을때 까지 송화자는 자신의 일을 하지 못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저을 감안하여, 통화대기시 수화자의 음성을 검출하여 일정이상의 레벨일경우 신호발생부 또는 멜로디발생부를 구동시켜 통화대기시의 수화기를 내려 놓아도 벨이 울리도록 하고 아울러 램프를 커서 재통화 발신음 공급장치가 동작하고 있음을 나타내주어 재통화 발신음 공급장치의 동작으로 인한 전화기의 오동작 및 수화자와의 전화통화 대기시간의 낭비를 방지하도록 한 통화 대기시 재통화 발신음장치를 제공코자 한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도는 본 발명 전화기의 재통화 발신음장치의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수화기에 따라 전화라인(L1)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스위칭하는 후크스위치(1)와, 상기 후크스위치(1)에 연결되어 그 후크스위치(1)를 통한 전화국의 각종 신호를 스위칭하는 통화대기 선택 스위치(11)와, 콘덴서(C1)를 통한 상기 통화 대기선택스위치(11) 및 전화라인(L2)으로수신되는 신호에서 링을 검출하여 스피커(4)를 통해 링신호를 발생하는 링발생부(2)와, 상기 후크스위치(1) 또는 통화대기선택 스위치(11)를 통한 전화국의 각종신호를 정류하여 출력하는 정류부(3)와, 상기 정류부(3)로부터 정류된 수화음을 증폭시켜 송수화기(7)에 출력함과 아울러 그 송수화기(7)의 송화음을 전기적신호로 변화시켜 전화라인(L1)(L2)으로 전송하는 송수화부(5)와, 송화시 키이보턴(8)의 다이얼신호를 발생하여 전화라인(L1)(L2)으로 전송하는 DTMF발생부(6)와, 통화대기시 상기 송수화부(5)로부터 출력되는 수화음의 유, 무를 검출하여 신호발생시 링발생부(2) 및 스피커(4)를 통해 재통화 발신음을 출력하는 재통화발신음발생부(9)와, 상기 통화대기선택스위치(11)와 연동되어 저항(R1)을 통한 전원단자(Vcc)의 전원으로 상기 재통화발신음 발생부(9)을 제어하는 연동스위치(12)와, 상기 연동스위치(12)와 연동되어 저항(R2)을 통한 전원단자(Vcc) 전압을 연동스위치(10a)로 스위칭하고 램프(10b)를 온-오프시켜 재통화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대기지시부(10)로 구성한다.
상기에서 재통화발신음 발생부(9)는 제 3 도에서와 같이 상기 송수화부(5)의 수화부를 통해 송수화기(7)에 입력되는 음성신호의 최대치를 차동증폭기(OP1), 다이오드(D2), 저항(R3) 및 콘덴서(C2)를 통해 검출하는 최고값검출부(9a)와, 상기 최고값검출부(9a)로부터 검출된 음성신호와 설정된 기준신호(REF)를 비교기(CP1)로 비교하여 그에따른 음성신호의 레벨을 검출하는 레벨검출부(9b)와, 상기 연동스위치(12)에서 입력되는 전압을 리세트단자(RS)로 입력받고 레벨검출부(9b)의 출력을 데이타단자(D)로 입력받아 펄스를 발생하는 디 플립플롭(9c)과, 상기 디 플립플롭(9c)으로부터 발생되는 펄스를 검출하여 재통화음을 스피커(4)로 출력하는 신호발생부(9d)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송화자가 수화자에게 통화를 하기 위해 송수화기(7)를 들게 되면 후크스위치(1)의 가동단자(a)가 그의 고정단자(c)에 접속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송화자가 키이보턴(8)을 조작하여 다이얼을 하게 되면 DTMF발생부(6)는 키이보턴(8)의 다이얼신호를 검출하여 증폭하고 그 증폭된 다이얼신호를 정류부(3)와 후크스위치(1) 및 전화라인(L1)(L2)을 통해 전화국으로 전송하여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전화기 벨을 울려 주게 된다.
이때 수화자가 잠시 부재중일 경우에 송화자가 통화대기선택 스위치(11)를 온시키면 그의 가동잔자(a)는 고정단자(b)에 접속됨과 아울러 이와 연동하는 연동스위치(12)는 오프상태가 되어 저항(R1)을 통한 전원단자(Vcc)의 전압이 차단됨으로써 재통화 발신음 발생부(9)에 구성된 더 플립플롭(9c)의 리세트 상태가 해제된다.
이와 같이 수화자가 부재중인 상태에서 송화자가 자신이 들고 있던 송수화기(7)를 내려놓더라도 통화대기 선택스위치(11)의 가동단자(a) 및 고정단자(b)는 후크스위치(1)의 가동단자(a) 및 고정단자(b)와 접속되어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수화자의 음성신호가 전화라인(L1)(L2), 후크스위치(1), 통화대기 선택 스위치(11) 및 정류부(3)를 순차 통해 송수화부(5)에 입력되면 그 송수화부(5)는 입력된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송수화기(7)에 전송하게 된다.
이때 재통화발신음 발생부(9)의 최고값검출부(9a)는 송수화부(5)의 수화부를 통해 송수화기(7)에 입력되는 음성신호의 최대값을 차동증폭기(OP1)로 검출하게 되고, 그 검출된 음성신호는 다이오드(D1) 및 저항(R3)을 통해 정류됨돠 아울러 콘덴서(C2)를 통해 평활되어 레벨검출부(9b)에 구성된 비교기(CP1)의 비반전단자(+)에 입력되고, 상기한 레벨검출부(9b)의 비교기(CP1)는 입력된 음싱신호가 기준신호(REF)를 비교하여 그에 따른 음성레벨을 검출하게 된다.
여기서 레벨검출부(9b)는 음성의 레벨을 검출하는 이유는 외부의 잡음에 의한 오동작 즉, 통화하고자 하는 수화자의음성신호가 아닌 외부의 잡음 음성신호를 판별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레벨검출부(9b)는 최고값검출부(9a)로부터 검출한 음성신호가 기준신호(REF) 보다 크면 통화하고자 하는 음성신호로 판별하여 디 플립플롭(9c)의 데이타단자(D)에 하이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상기 디 플립플롭(9c)은 레벨검출부(9b)로부터 하이신호가 입려되면 그의 출력단자(Q)를 통해 하이신호를 신호발생부(9d)에 인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신호발생부(9d)는 디 플립플롭(9c)으로부터 발생되는 펄스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링발생부(2) 및 스피커(4)를 통해 멜로디 또는 벨소리를 올려주게 되고, 아울러 통화대기 선택스위치(11)와 연동되는 대기지시부(10)내의 연동스위치(10a)가 온되므로 인하여 램프(10b)가 점등되어 재통화발신음이 발생됨을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주게된다.
이와 같이 스피커(4)를 통한 재통화발싱음에 의해 송화자가 송수화기(7)를 들게되면 후크스위치(1)의 가동단자(a)가 그의 고정단자(c)로 접속됨으로써, 수화자의 음성신호가 전화라인(L1)(L2), 후크스위치(1), 정류부(3) 및 송수화부(5)를 통해 송수화기(7)로 전송되어 통화를 하게 된다.
통화가 끝나 상기한 통화대기선택스위치(11)를 다시 오프시키면 그의 가동단자(a)는 그의 고정단자(c)에 접속되어 링신호가 입력되면 그 깅신호를 콘덴서(C1) 및 링발생부(2)를 통해 스피커(4)로 출력하고, 이와 연동되는 대기지시부(10)내의 연동스위치(10a)는 오프되고, 연동스위치(12)가 온되어 재통화발신음 발생부(9)의 디 플립플롭(9c)을 리세트시키게 됨으로써 재통화발신음 발생부(9)의 동작을 중지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화대기시 수화자의 음성을 검출하여 송화자가 자신의 수화기를 내려놓아도 벨이 울리도록 하고 아울러 램프를 켜서 재통화 발신음 공급장치가 동작하고 있음을 나타내어 부재중인 수화자를 기다리면서 전화기의 송수화기를 들고 있을 필요가 없이 전화기를 내려 놓고 자신의 일을 할 수 있도록하여 대기하는 지루한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다이얼링 송신부 통화대기 선택시 후크스위치(1)에 연결되어 링신호 및 수화자의 음성신호를 스위칭하여 정류부(3)를 통해 송수화부(5)에 전송토록 스위칭하는 통화대기 선택스위치(11)와, 통화대기시 상기 송수화부(5)로부터 출력되는 수화음의 유, 무를 검출하여 신호검출시링신호발생부(2) 및 스피커(4)를 통해 재통화 발신음을 출력하는 재통화발신음 발생부(9)와, 상기 통화대기 선택스위치(11)와 연동되어 전원단자(Vcc)의 전원으로 상기 재통화발신음 발생부(9)의 동작을 온, 오프 제어하는 연동스위치(12)와, 상기 연동스위치(12)와, 연동되어 전원단자(Vcc)전압을 스위칭하고 램프(10b)를 온-오프시켜 재통화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대기지시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통화대기시 재통화 발신음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통화발신음 발생부(9)는 상기 송수화부(5)의 수화부를 통해 송수화기(7)에 입력되는 음성신호의 최대치를 검출하는 최고값검출부(9a)와, 상기 최고값 검출부(9a)로부터 검출된 음성신호의 레벨을 검출하는 레벨검출부(9b)와, 상기 연동스위치(12)에서 입력되는 전압을 리세트단자(RS)로 입력받고 레벨검출부(9b)의 출력을 데이타단자(D)로 입력받아 펄스를 발생하는 디 플립플롭(9c)과, 상기 디 플립플롭(9c)으로부터 발생되는 펄스를 검출하여 재통화음을 스피커(4)로 출력하는 신호발생부(9d)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통화대기시 재통화 발신음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최고값검출부(9a)는 송수화부(5)로부터 입력되는 수화음을 차동증폭기(OP1)로 검출하고 그 검출한 전압을 다이오드(D1) 및 저항(R3)을 통해 정류하고 콘덴서(C3)를 통해 평활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통화대기시 재통화 발신음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검출부(9b)는 최고값검출부(9a)의 출력신호와 기준신호를 비교하여 음성레벨을 검출하는 비교기(CP1)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통화대기시 재통화 발신음장치.
KR1019910025035A 1991-12-30 1991-12-30 통화대기시 재통화 발신음장치 KR940011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5035A KR940011235B1 (ko) 1991-12-30 1991-12-30 통화대기시 재통화 발신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5035A KR940011235B1 (ko) 1991-12-30 1991-12-30 통화대기시 재통화 발신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5505A KR930015505A (ko) 1993-07-24
KR940011235B1 true KR940011235B1 (ko) 1994-11-29

Family

ID=19326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5035A KR940011235B1 (ko) 1991-12-30 1991-12-30 통화대기시 재통화 발신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1123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5505A (ko) 1993-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74115A (en) Programmable telephone switcher
US5086458A (en) Telephone answering system and apparatus for direct caller selection of a party line extension
GB2232557A (en) Hearing assist telephone
US4756021A (en) Telephone set
SE9601364L (sv) Anordning och förfarande för generering av ring-röst- meddelande hos automatisk telefonsvarare
US4408102A (en) Two-wire exchange telephone system
US5696813A (en) Telephone set
KR940011235B1 (ko) 통화대기시 재통화 발신음장치
CA2133682C (en) Tele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enabling a user to get access to automated call processing from a central station operating on pulse-dialling mode
US4841566A (en) Hold and dial accessory for telephone instrument
KR950010480B1 (ko) 키폰 시스팀과 전화기와의 접속 장치 및 방법
KR19980039519A (ko) 전화기의 자동 메시지 송신 방법
KR920008756B1 (ko) 송수화기 위치에 관계없이 착신가능한 전화경고 장치 및 방법
JP2731527B2 (ja) 電話交換システムの増設用子器
KR970005261B1 (ko) 전화기의 자동 재다이얼방법 및 그 장치
JPH05167728A (ja) ファクシミリ自動接続装置
KR890004369Y1 (ko) 톤, 펄스 겸용다이얼 송출회로
KR890004366Y1 (ko) 온-후크 다이얼링 및 보류용 송출 전화기
KR0181077B1 (ko) 전화기의 신호 절환 장치
KR0154459B1 (ko) 병렬연결된 전화기의 상호 호출장치 및 그 방법
JPH0227853A (ja) 電話機の着信検出回路
KR840002134B1 (ko) 자동식 전화기 증설장치
KR940009770B1 (ko) 무선전화기의 톤 경보회로 및 방법
KR930002581B1 (ko) 무선 전화기의 인터컴 통화회로
KR0127529Y1 (ko) 외부음향기기를 이용한 통화 대기음 송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17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