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4366Y1 - 온-후크 다이얼링 및 보류용 송출 전화기 - Google Patents

온-후크 다이얼링 및 보류용 송출 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4366Y1
KR890004366Y1 KR2019860002618U KR860002618U KR890004366Y1 KR 890004366 Y1 KR890004366 Y1 KR 890004366Y1 KR 2019860002618 U KR2019860002618 U KR 2019860002618U KR 860002618 U KR860002618 U KR 860002618U KR 890004366 Y1 KR890004366 Y1 KR 8900043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ircuit
hook
output
hook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26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5558U (ko
Inventor
한상용
이광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600026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4366Y1/ko
Publication of KR8700155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55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43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3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80Telephone line holding circuit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온-후크 다이얼링 및 보류용 송출 전화기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블럭도.
제2도는 제1도 블럭도의 일실시예의 구체회로도.
제3도는 제2도의 다이얼 회로 및 통화회로의 상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브리지 정류회로 3 : 다이얼회로
4 : 통화회로 5 : 증폭회로
6 : 링거회로 7 : 보류음 송출회로
본 고안은 온-후크(On-Hook) 상태로 다이얼링할 수 있는 것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전원 공급장치없이 온-후크 다이얼링(On-Hook Dialling)할 수 있고 보류음을 송출시킬 수 있도록 한 온-후크 다이얼링 및 보류을 송출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온-후크(On-Hook) 다이얼링 장치는 외부에 전원공급장치를 별도로 부착하거나 계전기를 사용하고 있어서 설치에 번거로움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고가의 부품이 사용됨으로 원가의 상승요인이 되어 가격을 저렴화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보류음 송출가능이 없어 가입자로부터 걸려온 통화를 보류시키고자 할 경우 상대방에게 지루함을 주어 실례를 범하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국선전원을 사용하여 온-후크 다이얼링할 수 있는 전화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보류음 송출기능을 갖는 온-후크 다이얼링 전화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스위치 연동방식에 의해 제작이 용이한 온-후크 다이얼링 전화기를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가입자 선로로 입력되는 국선전원을 선로의 극성에 상관없이 일정한 방향으로 신호를 정류하며 리플(Ripple)을 제거하여 일정전압을 출력하는 브리지 정류회로와, 상기 일정전압을 입력하여 외부의 조작신호에 의해서 다이얼신호를 송출하며 다이얼 신호 송출시에 뮤트신호를 출력하는 다이얼회로와, 상기 브리지 정류회로에서 출력되는 통화전류 신호를 입력하여 통화가 이루어지게 하는 통화회로와, 상기 통화회로에서 소정의 신호입력시 보류음이 송출되는 보류음 송출회로와, 상기 통화회로 또는 보류음 송출회로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회로와, 브리지 정류회로에서 출력되는 링(Ring) 신호를 입력하여 링거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증폭회로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가청신호로 변화출력하기 위한 링거회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온-후크 다이얼링 및 보류음 송출전화기의 블럭도로서, 국선단자에 입력되는 국선전원을 입력하여 국선선로의 극성에 상관없이 일정전압을 출력하는 브리지 정류회로(1)와, 상기 브리지 정류회로(1)에서 출력되는 일정전압을 입력하여 외부 키패드(도시하지 않았음)의 조작에 의해서 다이얼 송출신호를 브리지 정류회로(1)를 통해 출력하게 하며, 뮤트(Mute) 신호를 출력하는 다이얼회로(3)와, 다이얼회로(3)를 통해 입력되는 소정의 신호를 받아 통화가 이루어지게 하는 통화회로(4)와, 상기 통화회로(4)에서 출력되는 소정의 신호와 보류음 송출회로(7)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 출력하기 위한 증폭회로(5)와, 브리지 정류회로(1)에서 출력되는 일정전압을 입력하여 링거신호를 출력하며 증폭회로(5)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가청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링거회로(6)로 구성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온-후크 다이얼링 및 보류음 송출전화기의 회로도로서, 국선전원을 입력하는 단자(L1) (L2)의 단자(L1)에 입력되는 국선신호를 온/오프하기 위한 온-후크스위치(P1)와 직렬로 접속된 후크스위치(H1)와, 상기 단자(L1) (L2) 사이에 접속되어 낙뢰와 같은 과전압이 인입시 통화회로를 보호하는 고속방전관(A1)과, 상기 단자(L1) (L2)에 입력되는 신호를 정류하여 극성 정렬하고 리플(Ripple)을 제거하는 브리지 정류기(10) (20)가 브리지 정류회로에 대응하고, 상기 브리지 정류기(1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하여 외부의 키 입력신호에 의해 다이얼신호가 발생되어 출력하는 뮤트신호를 출력하는 다이얼회로부(30)와, 상기 다이얼회로부(30)의 뮤트(Mute) 단자(M)에서 출력되는 뮤트신호를 온/오프하기 위한 온-후크스위치(P2)가 다이얼회로(3)에 대응하며, 입력되는 전압을 일정전압으로 유지 출력하는 제너다이오드(V1)와, 제1스프치 패스(SPTH1)와 제2스프치(SPTH2)로 입력되는 신호를 받아 수화기(Rx)와 송화기(Tx)로 통화가 이루어지게 하는 통화회로부(40)와 상기 통화회로부(40)의 제2스프치 패스(SPTH2)로의 입력신로를 온/오프하기 위한 온-후크 스위치(P3)와, 상기 온-후크 스위치(P3)의 스위치를 온할시 1차측(T1)으로 소정의 전압을 출력하여 2차측(T2)으로 톤(Tone)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2차측(T2)의 입력을 1차측(T1)으로 유기 출력하는 트랜스(1T)가 통화회로(4)에 대응하며, 상기 트랜스(1T)의 2차측(T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온/오프하기 위한 후크스위치(H2)와, 상기 후크스위치(H2)를 통한 신호가 소정의 신호로 되어지는 저항(R3-R6, R7)과 상기 저항(R3-R7)을 통해 입력한 신호를 일정한 바이어스를 조절할 수 있는 가변저항(VR2)와 뮤트신호가 입력시 이를 바이패스시키기 위한 저항(R10) (R8) 및 트랜지스터(Q3)와, 입력하는 신호를 카플링하기 위한 캐패시터(C6)와 트랜스(1T)의 1차측(T1)으로 출력되는 소정의 전압을 평활하기 위한 캐패시터(C1) (C2)와, 상기 소정전압을 일정한 상태로 유지 출력시키기 위한 제너다이오드(V2)와, 상기트랜스(1T)의 1차측(T1)으로 입력되는 소정 전압에 의해 동작되며 카플링 캐패시터(C6)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 출력하는 증폭기(50)가 증폭회로(5)에 대응하고, 후크스위치(H3)와 상기 온-후크 스위치(P3)의 온/오프에 따라서 보류음을 송출하기 위한 보류음 발생회로(70)와 저항(R9, R11)와 트랜지스터(Q4)와 캐패시터(C5)가 보류음 송출회로에 대응하며, 브리지 정류기(2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받아 링거회로(Ringer)신호를 출력하는 링거회로부(60)와, 상기 링거회로부(60)에서 출력되는 신호중 직류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캐패시터(C4)와 상기 캐패시터(C4)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가변하기 위한 가변저항(VR1)과 상기 가변저항(VR1)을 통해 출력되는 교류신호를 1차측으로 입력하여 2차측으로 출력하며 스피커(SP)를 구동시키기 위한 트랜스퍼머(2T)와 상기 트랜스퍼머(2T)의 출력과 증폭기(50)의 출력을 스피커(SP)로 접속하기 위한 온-후크 스위치(P4)로 구성된 회로가 링거회로(6)에 대응한다.
제3도는 상기 제2도의 다이얼회로(3)와 통화회로(4)의 상세도로서, 다이얼회로(3)는 톤 발생기(Dual tone Multifrequency generator)(31)와, 발진소자인 크리스탈(X-tal), 상기 톤발생기(31)의 저주파 레벨 설정저항(RL) 및 고주파 설정 저항(RH)와 고주파 바이패스 캐패시터(CH)와 캐패시터(CL)로 구성된 톤 다이얼회로(30)와, 온 후크스위치(P2)로 구성된다.
통화회로(4)는 전화 통화회로(telephone speech Integrated circuit)(41)와 저항(R12-R21)과 캐패시터(C11-C14)로 구성된 통화회로부(40)와 트랜스(1T)로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중 톤 발생기(31)는 구내 칩 메이커인 삼성전자사의 KA2413제품이고, 전화 통화회로(41)는 상기 동제작사의 KA2412이다. 그리고 상기 톤발생기(31)과 주변소자를 포함하는 톤 다이얼회로(30)와, 전화 통화회로(41)와 그 주변소자를 포함하는 통화회로부(40)는 1984년 삼성전자사에서 발생된 반도체 데이터북(Semiconductor & Telecommuication)의 리니어 파트에 기재된 공지기술이다.
이때 온-후크 스위치(P1-P4), 후크스위치(H1-H3)는 연동장치에 의한 스위치이다.
이하 본 고안의 제2도의 동작예를 전술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핸드셋(Hand set)(도시하지 않았음)이 내려져 있는 상태[후크스위치(H1-H3)가 "온"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온-후크 스위치(P1-P4)는 "오프"되어 있는 단자(L1) (L2)에 입력되는 국선 전원은 브리지 정류기(20)를 통하여 링거회로부(60)에 연결되어 있다. 이때 국선전원 입력단자(L1) (L2)로 교환기로부터 출력되는 링(Ring) 신호가 입력하면 캐패시터(C3)에 의해 직류는 차단되고 교류신호성분은 저항(R2)에 의해 브리지 정류기(20)로 입력되어 극성정렬된 후 링거회로부(60)로 입력되며, 상기 링거회로부(60)는 입력신호를 증폭 출력한다. 상기 증폭 출력되는 링신호는 캐패시터(4)와 가변저항(VR1)와 트랜스퍼머(2T)를 통해 스피커(SP)를 구동시켜 전화가 왔음을 알리게 된다.
상기 링거회로(6)의 스피커(SP)가 구동되어지는 상태에서 핸드셋(도시하지 않았음)을 들어 후크-오프하면, 제2도의 후크스위치(H1-H3)는 오프(off) 위치로 스위칭된다.
따라서 국선단자(L1) (L2)로 입력되는 국선 통화 전류는 온후크스위치(P1)의 온(ON) 단자와 후크스위치(H1)의 오프(off) 단자를 통해 브리지 다이오드(10)의 교류신호를 입력단자에 입력된다.
상기 브리지 다이오드(10)는 입력되는 국선통화 전류를 극성 정렬하여 정(+)의 호는 다이얼회로(3)의 접속단자부(D1)으로 입력시키고, 부(-)의 신호는 접속단자부(D3) 및 오프된 온후크스위치(P3)를 통하여 통화회로(4)의 제2스피치 패스(SPTH2)에 입력된다.
이때 제3도와 같이 구성된 다이얼 회로(30)는 접속단자부(D1)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톤 제너레이터(31)의 전압으로 입력시키는 동시에 접속단자부(D2)를 통하여 통화회로(4)의 제1스피치 패스(SPTH1)으로 입력시킨다.
상기 제1스피치 패스(SPTH1)의 통화전류는 전화 통화회로(41)의 전원단자핀(13)에 입력되며, 제1수신신호 입력단자핀(11)으로는 결합 캐패시터(C11)를 통해 통화 전류에 중첩되는 상대국의 음성신호만이 입력된다. 상기 제1수신 신호 입력단자핀(11)으로 입력되는 음성신호는 소정 증폭되어 출력단자핀(1)을 통해 수화기(Rx)의 수신 제1라인(Rx1)으로 입력된다.
한편 상기 제2스피치 라인(SPTH2)에의 통화전류는 공통단자핀(3)(Ground1)으로 입력되어지는 한편 저항(R17, R16)을 통해 제2수신 신호 입력단자핀(12)로 입력되며 이 신호는 소정 증폭되어 출력단자핀(14)를 통해 수화기(Rx)의 수신 제2라인(Rx2)로 입력된다.
따라서 제1스피치 패스(SPTH1)와 제2스피치 패스(SPTH2)의 통화전류에 실린 상대국의 음성신호는 전화 통화회로(41)내의 수신 증폭기에 의해서 증폭되어 수화기(Rx)에서 재생 출력된다.
사용자가 음성신호를 송출하고저 말(Speaking)하면 이는 마이크(송화기)(Tx)에 의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송신 제1, 제2라인(Tx1) (Tx2)에 실린다.
상기 송신 제1, 제2라인(Tx1) (Tx2)의 음성신호는 전화 통화회로(41)내의 마이크 앰프의 입력인 제1, 제2송신 신호 입력단자핀(9) (10)으로 입력되며 송신시의 노이즈는 캐패시터(C13) (C14)에 의해 바이패스된다.
상기 제1 제2송신신호 입력단자핀(9) (10)의 음성신호는 전화 통화회로(41) 내부 마이크 앰프에 의해 증폭되어 출력단자핀(2)과 공통단자핀(3)으로 출력된다.
상기 출력단자핀(2)의 출력음성 신호는 저항(R20)을 통해 직류 레귤레이터 단자핀(4)으로 입력되는 한편 저항(R22)을 통해 제1스피치 패스(SPTH)의 통화전류에 중첩되어 국선 단자(L1)으로 전송되게 된다.
또, 공통단자핀(3)으로 출력되는 음성신호는 제2스피치 패스(SPTH2)와 오프접속된 온-후크 스위치(P3)를 통해 국선단자(L2)로 전송된다.
따라서 마이크(Tx)에 의해 송신되는 신호는 제1, 제2스피치 패스(SPTH1) (SPTH2)를 통해 상대방에 전송되며, 이로 인해 상기 통화회로부(40)의 동작은 전이중 통신임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후크 "온" 상태 즉 핸드셋(Hand Set)이 내려져 후크스위치(H1-H3)가 "온"위치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다이얼링을 하고저 온-후크 스위치(P1-P4)를 "온" 위치로 스위칭하면 국선전원(신호)은 온-후크스위치(P1)와 저항(R1)을 통해 브리지 정류기(10)로 입력되어 일정한 신호로 톤 다이얼회로(30)의 접속단자부(D1) (D3)에 각각 입력된다.
이때 상기 톤 다이얼회로(30)의 접속단자부(D1)에 입력되는 국선신호(전원) 전류는 저항(Rout)을 통해 전원입력 및 톤 출력단자핀인(8)으로 입력되고, 접속단자부(D2)를 통해 제1스피치 패스(SPTH1)로 공급된다.
상기 제1스피치 패스(SPTH1)로 입력되는 신호는 "온"위치로 스위칭인 온-후크 스위치(P3)를 통해 통해 통화회로부(40)의 제2스피치 패스(SPTH2)로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통화회로부(40)의 제1, 제2 스피치 패스(SPTH1) (SPTH2)에는 상기 브리지 정류기(10)으로부터 출력되는 정(+)의 신호가 공통으로 인가됨으로, 상기 통화회로부(40)은 동작하지 않게 되고 트랜스(1T)의 일차측(T1)에는 브리지 정류기(10)으로부터 출력되는 정(+)의 신호전압이 인가된다.
트랜스(1T)의 1차측(T1)으로 출력된 신호는 라인(SGT)에 인가되며 이 전압은 캐패시터(C1) (C2)및 제너다이오드(V2)에 의해 평활되어진 후 일정전압으로 증폭기(50)의 동작 전원으로 입력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키패드(Key pad: 도시하지 않았음)의 다이얼키가 눌려지면, 키 신호는 톤 발생기(31)의 키신호 입력단자핀(9-10)으로 입력되며 이로 인해 상기 톤 발생기(31)는 입력 키신호에 대응하는 이중음(Dual tone)을 발생하여 전원 입력 및 출력단자핀(8)으로 출력하는 동시에 뮤트단자핀(6)으로 "하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톤 발생기(31)의 톤 신호(Dual tone)는 저항(Rout)을 통해 접속단자부(D1) (D2)로 출력됨으로, 상기 접속단자부(D1)의 출력은 브리지 정류기(10)과 2개의 스위치(H1) (P1)을 통해 국선단자(L1)으로 출력된다.
또한 상기 접속단자부(D2) 출력 즉 키패드 누름에 의한 다이얼 톤신호는 제1스피치 패스(SPTH1), 온 위치의 온-후크 스위치(P3) 및 제2스피치 패스(SPTH2)을 통해 트랜스(1T)의 일차측(T1)으로 입력된다. 상기 트랜스(1T)의 일차측(1T)의 입력은 2차측(T2)으로 유기되며, 이는 저항(R3-R6)을 통하여 카플링 캐패시터(C6)를 통해 증폭기(50)에 입력되어진다.
따라서 상기 캐패시터(C6)에서 출력되는 교류신호가 증폭기(50)에 의해서 증촉되어 온 위치의 온-후크스위치(P4)를 통해 스피커(SP)를 구동시키므로 사용자가 톤 발생회로(31)의 출력인 톤신호를 들을 수 있다. 상기 증폭기(50)로부터의 톤 신호는 저항( R7)과 직렬로 접속된 가변저항(VR2)의 조절에 의해 조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핸드셋(Hand Set)을 들지 안흔 상태 즉 후크 온 상태에서 톤음(Tone-Signal)을 확인후 톤 신호를 송출하기 위해 다이얼 회로부(30)에 접속된 키패드(key pad)(도시하지 않았음)을 누르면 톤 신호는 상기 다이얼 회로부(30)의 접속단자(D1) (D3)를 통하여 국선단자(L1) (L2)를 통해 숭출됨과 동시에 전술한 같은 경로를 통하여 스피커(SP)를 구동시키어 다이얼 송출신호를 톤 신호와 같이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다. 이때 다이얼 송출신호는 다이얼 톤신호에 비해 너무 크므로, 온-후크 스위치(P2)가 온될때 톤발생기(31)의 뮤트출력 단자핀(6)에서 "하이"상태로 출력되는 뮤트신호(Mute)는 저항(R10)을 통해서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입력된다. 그러므로 트랜지스터(Q3)는 "턴온" 상술한 톤신호와 같은 경로를 통해 입력괴는 다이얼 송출신호(톤 신호)는 콜렉터 저항(R8)과 트랜지스터(Q3)에 의해 소정량 바이패스(Byepass)된다.
따라서 온-후크 수위치(P1-P4)가 온상태에서 다이얼 회로부(30)의 키패드의 누름에 의한 다이얼 송출신호 발생시 뮤트신호가 저항(R10)에 의해 트랜지스터(Q3)를 "온"시킴으로 다이얼 송출신호음은 저항(R8)과 트랜지스터(Q3)를 통하여 소정향이 바이패스되어 결국 스피커(SP)의 출력음량은 감소되게 된다.
한편, 다이얼링이 끝나면 스피커(SP)를 통하여 통화중인 상태 또는 상대방과 접속을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진다. 만약 상대방이 통화중일 경우에는 온-후크 스위치(P1-P4)를 오프위치로 스위칭후 다시 온 위치로 스위칭하여 교환기로부터 제공되는 발신음[다이얼링톤(Dialing Tone)]을 확인한 다음 재 다이얼링을 확인하고, 상대방이 응답을 하면 핸드셋(Hand Set)을 들어 "후크오프"(Hook-off)하여 통화한다.
이때 온-후크 스위치(P1-P4)는 기구적 연동장치에 의해 접점이 "온"위치 상태에서 오프위치 상태로 원상복구되어 단자(L1) (L2)를 통해 입력되는 국선전원은 증폭기(50)에서 분리된다. 즉, 후크-스위치(H1-H3)가 핸드셋(Hand Set)의 들음(up)으로 인해 "오프"위치로 되면 온-후크 스위치(P1-P4)가 "온" 위치에서 "오프"위치로 스위칭된다.
따라서 전술한 온-후크 스위치(P3)가 "오프" 위치로 복구됨으로 통화회로부(40)의 제1, 제2 스피치 패스(SPTH1) (SPTH2) 각각에는 브리지 정류기(10)의 정(+), 부(-)신호 출력이 그대로 인가됨으로 통화회로부(40)는 동작되어지고, 라인(SGL)에는 소정 전압인 정(+)의 신호가 인가되지 않음으로 증폭기(50)는 동작되지 않는다. 결국 온-후크 다이얼링 후 후크-오프하면 국선 전원은 증폭기(50)로부터 분리되어지고, 통화회로부(40)에 연결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핸드셋의 스피커(Rx) 및 마이크(Tx)로 송수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통화도중 사용자가 잠시 통화를 보류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핸드셋을 든 상태 즉 후크스위치(H1-H3)가 "오프"위치로 있는 후크-오프(Hook- off)한 상태에서 온-후크 스위치(P1-P4)를 "온"위치로 스위칭하면 단자(L1) (L2)를 통해 입력되는 국선전원은 통화회로부(40)로부터 분리되어지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제2스피치 패스(SPTH1) (SPTH2)를 통하여 트랜스(1T)에 입력된다.
따라서 트랜스(1T)에 입력되는 정류된 국선전원은 1차측(T1)으로 출력도어 전술한 바와 같이 캐패시터(C1) (C2)에 의해서 형활되어지고 제너다이오드(V2)에 의해 라인(SGL)의 전압은 일정전압으로 클램프 된다. 상기 라인(SGL)의 전압은 증폭기(50)로 입력되는 동시에 "오프"위치로 스위칭된 후크스위치(H3)를 통하여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와 보류음 발생회로(70)의 전원단자(VDD)에 입력된다. "오프"위치로 스위칭된 후크스위치(H3)를 통해 전원전압을 공급받는 보류음 발생회로(70)는 보류음인 멜로디(Melody)를 발생하여 출력단자(Mout)를 통해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에 입력시킨다.
이때 상기 보류음 발생회로(70)의 보류음(Hold Music)이 멜로디 출력을 베이스로 입력하는 트랜지스터(Q4)는 이를 소정 증폭하여 출력 에미터 저항(R9)을 통해 출력하며, 상기 멜로디 출력은 결합 캐패시터(C5)와 "오프"위치 스위칭인 후크-스위치(H2)와 저항(R3)을 통해 트랜스(T1)의 2차측(T2)에 인가된다.
상기 트랜스(T1)의 2차측(T2)에 입력되는 멜로디인 보류음은 1차측(T1)으로 유기되어짐으로써 제2스피치 패스(SPTH2), "온"위치 스위칭인 온-후크 스위치(P3)와 제1스피치 패스(SPTH1) 및 브리지 정류기(10)를 통해 국선단자(L1)으로 출력된다.
따라서 보류음 발생회로(70)의 멜로디 출력은 국선단자(L1)와 공통되는 국선단자(L2)를 통하여 상대방에 보류음으로 송출된다. 이때 상기 보류음 발생회로(70)는 국내 반도체 메이커인 삼성전자사의 KS5313 멜로디 집적회로이다.
또한 보류음 발생회로(70)의 출력 보류음은 전술한 후크-스위치(H2), 저항(R5) (R6) 및 캐패시터(C6)를 통하여 전원전압을 공급받고 있는 증폭기(50)에 입력되어 증폭되며, 상기 증폭된 신호는 스피커(SP)를 구동시키어 사용자가 통화 보류중임을 알 수 있게 한다. 이때 스피커(SP)를 통해 출력되는 보류음의 음량조절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저항(R7)과 직렬로 접속된 가변저항(VR2)을 조정하여 조절할 수 있다.
보류상태가 끝나고 통화상태로 회복시키기 위해 온-후크 스위치(P1-P4)를 오프위치로 스위칭하면 단자(L1) (L2)로 입력되는 국선전원은 전술한 바와 같이 증폭기(50)에서 통화회로(40)로 전환되어 재통화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보류음 발생회로(70) 전원이 차단되어 보류음 송출은 중단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환기 외부에 별도의 부가 전원공급장치 및 계전기가 필요없이 국선선로를 통해 입력되는 국선전원을 이용하여 온-후크 다이얼링 기능과 보류음 송출장치를 내장시킨 전화기로서 종래의 온-후크 다이얼링 전화방식보다. 제작이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할뿐만 아니라 연동방식의 스위치를 사용하여 이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온 후크 다이얼링 전화기에 있어서, 제1온후크스위치(P1)와 직렬 접속된 제1후크스위치(H1)의 스위칭에 의해 국선단자(L1) (L2)의 국선전원을 정(+), 부(-)의 신호로 극성정렬 출력하는 브리지 정류회로(1)와, 상기 브리지 정류회로(1)의 정(+), 부(-)의 신호출력에 의하여 동작되며 다이얼 키신호 입력시 다이얼 톤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브리지 정류회로(1)를 통해 출력하고 뮤트신호를 스위칭 출력하는 다이얼 회로(3)와, 상기 브리지 정류회로(1)의 정부(+) (-)의 신호 출력신호에 교류신호가 중첩되는 제1, 제2 스피치 패스(SPTH1) (SPTH2)를 가지며 상기 두 스피치 패스(SPTH1) (SPTH2)의 신호전압에 의해 동작되어 이에 중첩된 음성신호를 재생하여 스피커(Rx)로 출력하고 마이크(Tx)의 출력을 소정 증폭하여 상기 두 스피치 패스(SPTH1) (SPTH2)에 중첩 전송하는 통화회로부(40)와 상기 제2스피치 패스(SPTH2)에 신호를 전원라인(SGL)에 공급하고 2차측으로 유기 출력하는 트랜스(1T)와 상기 통화회로부(40)의 제2스피치 패스(SPTH2)에 공통단자가 접속되며 후크스위칭 다이얼링시 상기 제1스피치 패스(SPTH1)와 제2스피치 패스(SPTH2)를 라인 "온"스위칭시키어 브리지 정류회로(10)의 정(+)의 출력을 트랜스(1T)의 1차측으로 제공하는 제3 온-후크 스위치(P3)로 구성된 통화회로(4)와, 상기 트랜스(1T)의 1차측(T1)을 통한 전원라인(SGL)의 신호 전압을 평활하는 평활수단과, 상기 평활수단에 의해 동작되어 입력신호를 증폭 출력하는 증폭기(50)와 상기 트랜스(1T)의 2차측 신호를 소정 레벨로 하여 교류신호만을 상기 증폭기(50)에 입력시키는 신호원 입력수단과, 오프 후크시 스위칭되어 소정 멜로디를 상기 신호원 입력수단에 입력시키는 제2후크스위치(H2)로 구성된 증폭부(5)와, 오프 후크 스위칭시 상기 전원라인(SGL)의 전압을 스위칭하는 제3후크스위치(H3) 및 상기 제3후크 스위치(H3)의 스위칭에 의한 전원 전압에 보류음을 발생하는 보류음 발생 회로(70)와, 상기 보류음 발생회로(70)의 출력을 소정 증폭하여 상기 제3후크 스위치(H3)를 통해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증폭부(5)의 오프 후크 스위칭인 제2후크 스위치(H2) 통해 신호원 입력수단에 제공하는 멜로디 출력수단으로 구성된 보류음 송출회로(7)와, 상기 브리지 정류회로(1)의 제1온 후크스위치(P1)와 제1후크스위치(H1)를 통해 입력되는 링신호를 재생 출력하는 링거 재생수단과 노말시 상기 링거 재생수단의 신호를 스피커(SP)로 출력토록 스위칭되고 온-후크 다이얼링시 스위칭되어 상기 증폭부(50)의 출력을 상기 스피커(SP)에 입력시키는 제4온-후크 스위치(P4)로 구성된 링거회로(6)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KR2019860002618U 1986-03-06 1986-03-06 온-후크 다이얼링 및 보류용 송출 전화기 KR8900043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2618U KR890004366Y1 (ko) 1986-03-06 1986-03-06 온-후크 다이얼링 및 보류용 송출 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2618U KR890004366Y1 (ko) 1986-03-06 1986-03-06 온-후크 다이얼링 및 보류용 송출 전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5558U KR870015558U (ko) 1987-10-26
KR890004366Y1 true KR890004366Y1 (ko) 1989-06-30

Family

ID=19249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2618U KR890004366Y1 (ko) 1986-03-06 1986-03-06 온-후크 다이얼링 및 보류용 송출 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436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5558U (ko) 1987-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232557A (en) Hearing assist telephone
EP0129208A2 (en) Handsfree circuit for telephone instrument
WO2005029823A1 (fr) Dispositif de communication vocale filaire
US4899378A (en) Telephone announcement system
KR890004366Y1 (ko) 온-후크 다이얼링 및 보류용 송출 전화기
US5373554A (en) Telephone having separate power circuit for supplying power to speech network
JP4459305B2 (ja) 有線通信用端末
JPS63119350A (ja) コ−ドレス通話装置
JPS6394748A (ja) コ−ドレス通話装置
KR890004369Y1 (ko) 톤, 펄스 겸용다이얼 송출회로
KR950010480B1 (ko) 키폰 시스팀과 전화기와의 접속 장치 및 방법
KR910000628B1 (ko) 키폰전화기의 루우프 시뮬레이션 회로
JP2894188B2 (ja) 電話機
JPH0537592Y2 (ko)
JP2835968B2 (ja) 電話機回路
KR820002405Y1 (ko) 다목적 전화기의 스피커 활용을 최대로 한 회로
KR930002581B1 (ko) 무선 전화기의 인터컴 통화회로
KR200203380Y1 (ko) 후크 스위치를 이용한 온 후크 다이얼 회로
JP2582909B2 (ja) Irレス電話装置
KR100413537B1 (ko) 유선전화기의 핸즈프리장치
KR0131341Y1 (ko) 전화기 보조송수신 장치
KR200202421Y1 (ko) 전화기용 선로 인터페이스 회로
KR830001579B1 (ko) 확성전화기의 2선식 동시통화장치
JPS63187846A (ja) 無線通話装置
JPH03145849A (ja) 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525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