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4369Y1 - 톤, 펄스 겸용다이얼 송출회로 - Google Patents

톤, 펄스 겸용다이얼 송출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4369Y1
KR890004369Y1 KR2019860003440U KR860003440U KR890004369Y1 KR 890004369 Y1 KR890004369 Y1 KR 890004369Y1 KR 2019860003440 U KR2019860003440 U KR 2019860003440U KR 860003440 U KR860003440 U KR 860003440U KR 890004369 Y1 KR890004369 Y1 KR 8900043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signal
tone
puls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34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5565U (ko
Inventor
이세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600034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4369Y1/ko
Publication of KR8700155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55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43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3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30Devices which can set up and transmit only one digit at a time
    • H04M1/50Devices which can set up and transmit only one digit at a time by generating or selecting currents of predetermined frequencies or combinations of frequen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30Devices which can set up and transmit only one digit at a time
    • H04M1/31Devices which can set up and transmit only one digit at a time by interrupting current to generate trains of pulses; by periodically opening and closing contacts to generate trains of pulses
    • H04M1/312Devices which can set up and transmit only one digit at a time by interrupting current to generate trains of pulses; by periodically opening and closing contacts to generate trains of pulses pulses produced by electronic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terface Circuits In Exchan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톤, 펄스 겸용다이얼 송출회로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블럭도.
제2도는 제1도의 블럭도의 일실예시의 구체회로도.
제3도는 제2도의 펄스 다이얼신호 출력 동작파형도.
제4도는 제2도의 톤 다이얼신호 출력 동작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브리지정류회로 2 : 전압공급회로
3: 모드선택회로 4 : 톤신호 출력회로
5 : 펄스신호 출력회로 6 : 톤, 펄스신호 발생회로
7 : 통화회로 8 : 링거회로
9 : 키패드
본 고안은 톤(TONE), 펄스(pulse) 다이얼신호를 송출할 수 있는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톤, 펄스 다이얼신호 송출회로를 하나의 회로로 구성하여 톤, 펄스 다이얼신호를 임의로 선택 송출할 수 있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화기의 다이얼 송출방식은 해당 전화국의 교환기의 방식에 따라서 다르다. 즉 해당전화국의 교환기의 방식이 전자교환 방식인 경우에는 복합주파수(Multifreqency) (TONE신호)를 다이얼신호로 송출하여 교환기를 통해 상대방 가입자(피호출자)를 호출하는 방식인 멀티프리퀀시 코드 다이얼링(Multifreqency Code Dialing) 방식의 전화기를 사용하여야 한다. 또 해당 전화국의 교환방식이 기계식 교환방식인 경우에는 전기적인 신호(펄스 신호)를 다이얼신호로 출력한여 국선선로를 단속하여 기계식 교환기를 통해 상배방을 호출하는 방식인 펄스다이얼링(Pulse Dialing) 방식의 전화기를 사용하여야 한다.
상기 후자와 같이 펄스다이얼링 방식인 전화기를 전자식 교환기에 사용할 경우 전자교환기의 특수서어비스를 받지 못하는 불편함이 있어 전자식 교환기에는 복합주파수 다이얼링 방식인 MFC전화기의 사용이 필수적이었으며, 복합주파수 다이얼링 방식인 전화기는 기계식 교환기에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가립자 전화국 교환기방식과 사용자 전화기의 다이얼링 방식이 상이할 경우에는 전화국의 교환기의 방식과 같은 방식의 전화기를 구입하거나 사용자가 해당 전화국 교환기(전자식, 또는 기계식)방식에 적합한 다이얼 송출방식으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톤, 펄스 겸용전화기를 구입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톤, 펄스 겸용 다이얼 전화기는 톤신호 송출회로와 펄스신호 송출회로를 따로 구비하고 있어 공수의 증가로 인한 원가상승의 문제가 되어 왔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톤, 펄스 다이얼신호 송출회로를 하나의 호로로 구성하여 해당전화국 교환기의 교환방식에 적합한 다이얼신호를 임의로 선택하여 송출할 수 있는 톤, 펄스 겸용다이얼 송출전화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국선단자로 입력되는 국선전원을 소정의 전압으로 정류하여 극성을 정렬 출력하는 브리지 정류회로와, 상기 소정전압을 입력하여 소정레벨의 제1직류전압과 제2직류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전압공급회로와, 상기 제1직류전압을 입력하여 국선선로의 전압을 바이패스하여 국선전류 루프를 형성시키며 톤, 펄스 모드선택을 위한 스위칭신호를 출력하는 모드선택회로와, 상기 제2직류전압을 동작전원으로 입력하여 동작되며 상기 모드선택회로에서 출력되는 모드선택 신호를 입력후 키패드(Key pad)압압에 의한 숫자(Digit)의 톤 또는 펄스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톤, 펄스신호 발생회로와, 상기 톤, 펄스신호 발생회로에서 톤신호 출력시 톤신호를 국선으로 출력하는 톤신호 출력회로와, 상기 톤, 펄스 발생회로에서 펄스신호 출력시 국선선로를 단속하여 다이얼 펄스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펄스신호 출력회로와, 국선단자로 입력되는 링거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링거회로와 통화가 이루어지게 하는 통화회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을 따른 블럭도로서, 국선단자(L1) (L2)로 입력되는 국선신호를 극성정렬하여 소정의 전압으로 출력하기 위한 브리지정류기(1)와, 상기 브리지정류기(1)에서 직류성분이 제거된 링신호를 입력하여 링거신호(Ringer Signal)를 가청음으로 출력하는 링거회로(8)와, 상기 브리지정류기(1)에서 출력되는 소정의 전압을 입력하여 소정레벨의 제1직류전압롸 제2직류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전압공급회로(2)와, 제1직류전압을 입력하여 국선선로의 신호를 바이패스시키며 톤, 펄스 모드선택할 수 있는 모드선택회로(3)와, 상기 전압공급회로(2)에서 안정하게 출력하는 제2직류전압을 전원전압으로 출력하고 모드선택회로(3)에서 출력되는 선택신호를 입력하여 키패드(9) 압압에 의해 톤,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톤, 펄스신호 발생회로(6)와, 상기 톤, 펄스 발생회로(6)에서 소정의 신호가 출력시 소정의 신호를 통화회로(7)에 입력시키며 톤신호를 출력하는 패스 및 통화패스를 형성하여 톤신호를 출력하는 톤신호 출력회로(4)와, 상기 톤, 펄스신호 발생회로(6)에서 펄스신호가 출력할때 기생펄스를 방지하여 상기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펄스신호 출력회로(5)와, 브리지 정류회로(1)를 통해 입력되는 링거신호를 가청음으로 출력하는 링거회로(8)와, 상기 톤출력회로(4)에서 출력되는 소정의 신호를 입력하여 재생하며 음성(통화)패스를 통하는 신호와 통화가 이루어지게 하는 통화회로(7)로 구성된다.
한편 제2도는 제1도의 블럭도의 일실시예의 구체회로도로서, 후크스위치(H/S)와 저항(R0)와 캐패시터(C4)와 브리지다이오드(BD)로 구성된 회로가 브리지 정류회로(1)에 대응하고, 다이오드(D1-D4) 및 저항(R1-R2)와 제너다이오드(ZD1) 및 캐패시터(C2)와 트랜지스터(Q1)로 구성된 회로가 전압공급회로(2)에 대응하며, 저항(R3-R8, R13)와 제너다이오드(ZD2)와 다이오드(D5) 및 트린실다이오드(transil Diode)(XV1)로 구성된 회로가 펄스신호 출력회로(5)에 대응하고, 저항(R9-R12) 및 캐패시터(C3)와 트랜지스터(Q5)와 모드선택 스위치(SW1)로 구성된 회로가 모드선택회로(3)에 대응하며, 트랜지스터(Q6-Q9)와 저항(R14-R21)으로 구성된 회로가 톤신호 출력회로(4)에 대응하고, 키패드(9) 압압에 의한 숫자에 대응하는 톤, 펄스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톤, 펄스신호 발생회로(6)와 링거신호를 출력하는 링거회로(8)와, 통화기 이루어지게 하는 통화회로(7)로 구성된다.
상기한 제2도의 구성중 톤, 펄스신호 발생회로(6)는 일본국 반도체 메이커인 세이코(Seiko Instruments Ins)사의 S-7230칩을 사용한 예이다.
또한 제3도 및 제4도는 상기 제2도의 회로에서 톤신호와, 펄스신호가 각각 출력함을 보인 파형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제2도의 일실시예의 구체회로도를 제3도 및 제4도의 파형도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지금 후크스위치(H/S)가 후크온(HOOK-ON) 상태에서 교환기(도시하지 않음)로 부터 제공되는 링(Ring)신호가 단자(L1) (L2)로 입력하면 직류차단용 캐패시터(C4)에 의해서 직류신호가 제거된후 공지회로인 링거회로(8)에 입력된다.
이때 직류신호가 제거되어진 링(Ring)신호를 입력하는 링거회로(8)는 이를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내부 스피커를 구동하여 전화가 왔음을 알리게 된다.
링신호를 청한 사용자가 핸드셋(Hand Set)을 들어 후크스위치(H/S)를 후크오프(H00K-OFF)하여 걸려온 전화를 받으면, 링신호를 차단되며, 국선전원은 저항(R0)을 통하여 브리지다이오드(BD)에 입력된다. 따라서 상기 브리지다이오드(BD)는 국선전원을 극성정렬하여 일정한 양(+)의 전압과 음(-)의 전압을 출력한다. 그러므로 상기 전압은 다이오드(D1-D3)의 전압강하와 저항(R2)로 분압되며 상기 분압전압을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로 입력되면 콜렉터 단자에는 저항(R1)으로 고전위를 입력함으러써 트랜지스터(Q1)는 온되어 콜렉터단자로 제1직류전압을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1직류전압은 다이오드(D4)를 통하여 흐름으로써 제너다이오드(ZD1)에 의해 일정한 제2직류전압으로 변환되어 톤, 펄스신호 발생회로(6)의 전원단자(VDD)에 동작전원으로 입력된다.
이때 상기 다이오드(D4)의 캐소우드에 접속된 제너다이오드(ZD1)와 캐패시터(C2)는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단자에서 출력되는 제1직류전압을 일정신호 전압으로 유지하여 제2직류전압으로 출력하기 위한 소자이다. 또한 펄스신호 출력회로(5)의 트랜실 다이오드(XV1)은 단자(L1) (L2)에 낙뢰와 같은 과전압 인입시 회로를 보호하기 위한 소자이다.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단자에서 출력하는 제1직류전압은 저항(R2)와 (R11)에 의해 분압되어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전압으로 입력되며 입력신호중 교류성분의 신호는 캐패시터(C3)를 통해 전술한 브리지정류기(BD)의 다이오드의 에노드(Anode)로 바로 바이패스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 단자에서 콜렉터 저항(R10)을 통해 제1직류전압이 입력됨으로 트랜지스터(Q5)는 "턴온"되어 직류루우프가 형성됨과 동시에 톤, 펄스 발생회로(6)의단자의 전위는 제3도 (A)와 제4도 (가)와 같이 저전위가 되어진다.
상기한 톤, 펄스신호 출력호로(6)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원칩(one chip)으로된 회로로, 상기한 단자는 후크센싱(Hook Switch Sensing)단자로 "로우"일때 후크-오프를 인지하고, "하이"일때 후크-온(수화기가 내려진 상태)를 인지하기 위한 단자이다.
상기 톤, 펄스신호 출력회로(6)의 단자중는 모드선택(Mode Select)단자로서 "하이"신호 입력인 경우 펄스다이얼 동작이고, "로우"입력인 경우 톤(TONE : MFC)발생동작을 한다.
(Dial pulse out)는 펄스신호 출력단자이고, T. O(Tone out)는 톤출력단자이며, VDD는 전원단자이다.
(Mute)는 뮤트단자로서 모드가 다이얼펄스 송출모드에서 키신호가 입력시 송출다이얼 신호를 뮤트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단자로 액티브 "로우"이다.
은 송신뮤트(XMIT mute)로써 모드가 톤발생 모드이고 키신호가 입력시 통화회로(7)로 입력되는 톤신호를 적게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단자로써 액티브 "로우"이다.
OSC IN, OSC OUT는 발진크리스탈 접속단자로 펄스 및 톤을 발생하기 위한 클럭소스 입력단자이다.
따라서 상기한 동작에 위하여, 톤 펄스신호 발생회로(6)의 전원단자(VDD)에는 일정한 제2직류전압이 공급됨으로 인정한 동작상태가 되며 다이얼 펄스단자와 뮤트(MUTE) 단자는 저항(R7)과 (R14)에 의한 제1전압공급에 의해서 고전위가 된다.
이때 트랜지스터(Q6)는 베이스 입력저항(R15)에 의해서 온됨에 따라 트랜지스터(Q9)의 베이스전위가 저전위가 되어 온된다.
그러므로 국선단자( L1)와 극성정렬용의 브리지 정류회로(1)를 통해 입력하는 국선신호(걸려온 상대방의 통화신호)는 트랜지스터(Q9)의 에미터-콜렉터단자와 스피치패스(SPTH1)를 통해 통화회로(7)에 입력된다.
상기 국선단자(L1) 및 브리지정류기(BD)와 트랜지스터(Q9)의 에미터-콜렉터와 스피치패스(SPTH1)를 통한 상대국 음성신호를 입력하는 통화회로(7)는 이를 증폭하여 스피커(Rx)의 라인(Rx1)으로 출력하고, 국선단자(L2) 및 브리지 정류기(BD)를 통해 스피치패스(SPTH2)를 통한 신호는 통화회로(7)내에서 증폭되어 스피커(Rx)의 라인(Rx2)으로 입력된다.
따라서 국선단자(L1) (L2)를 통한 신호는 통화회로(7)를 통해 스피커(Rx)로 증폭 전달되어 가청음으로 변환된다.
또한 마이크(Tx)의 라인(Tx1)으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는 통화회로(7)를 통하여 스피치패스(SPTH1)와 트랜지스터(Q9)와 브리지다이오드(BD)를 통해 국선단자(L1)로 출력되고, 마이크(Tx)의 라인(Tx2)로 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통화회로(7)의 스피치패스(SPTH2)와 브리지다이오드(BD)를 통해 국선단자(L2)로 출력된다 .
따라서 국선단자(L1) (L2)의 신호와 통화회로(7)와의 통화경로로 브리지 다이오드(BD)와 트랜지스터(Q9)와 통화회로(7)의 제1, 제2 스피치패스(SPTH1, SPTH2)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한 통화회로(7)의 상세동작은 본원 출원인에 의해서 1986년 3월 5일 실용신안등록출원된 제86-2168의 통화회로부(40)과 같은 공지인 회로이다.
한편 사용자가 다이얼링을 하고자 하여 핸드셋을 들어 후크오프(HOOK-OFF)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모드선택회로(3)에서 국선신호는 루우프가 형성됨과 동시에 톤, 펄스 발생회로(6)의 뮤트단자에서 고전위가 출력되어 트랜지스터(Q9)를 "온" 시킨다.
따라서 국설교환기(도시하지 않음)로 부터 제공되어 브리지 다이오드(BD)에서 출력되는 다이얼론(Dial Tone : 발신음)신호는 상기 트랜지스터(Q9)의 콜렉터단자로 출력되어 통화회로(7)에 입력됨으로서 사용자는 발신음을 확인(가청)할수 있다. 사용자의 해당전화국의 교환기가 기계식일 경우 모드선택 스위치(SW1)를 펄스단자쪽(pulse)으로 접속함으로써 톤, 펄스 발생회로(6)는 국선선로를 전기적으로 단속하는 송출방식의 모드로 되어 펄스 다이얼을 송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키패드(Key-pad)(9)의 키를 누르면 톤, 펄스신호 발생회로(6)의 크리스탈(X-tal)이 제3도(E)와 같이 발진함과 동시에 고전위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던 뮤트단자의 전위도 제3도(C)의 파형과 같이 저전위가 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6)가 오프되며 이로 인해서 트랜지스터(Q9)도 오프되어 브리지다이오드(BD)에서 출력되는 소정의 국선신호는 통화회로(7)와 차단되며, 송신신호를 출력하는 송신뮤트(XMIT MUTE)단자도 제3도 (D)와 같이 저전위가 되어 트랜지스터(Q7)가 오프되며 이로인해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로 부터 출력되는 제1전압인 뮤트라인(MUTE)를 통해 통화회로(7)에 입력된다. 이때 상기 뮤트라인(MUTLE)로 부터 제1전압을 입력하는 통화회로(7)은 내부의 송화회로를 차단한다.
이때 톤, 펄스신호 발생회로(6)의 다이얼펄스(DIAL PULSE) 단자에서는 키패드(9) 누름버튼의 숫자만큼 제3도 (B)와 같이 펄스의 파형으로써 임펄스를 출력한다.
따라서 펄스단자에서 출력된 펄스신호가 저항(R8)을 통하여 제3도 (B)와 같은 파형으로써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에 입력되어지며 펄스의 논리가 "하이" 또는 "로우" 신호로 입력시 트랜지스터(Q4)가 온, 오프되며 상기 임펄스의 신호는 콜렉터로 출력하여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단자에 입력된다.
따라서 임펄스의 신호는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저항(R5)를 통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입력되어지며, 상기 트랜지스터(Q2)의 온, 오프에 따라 국선선로를 단속하여 펄스신호를 송출한다.
이때 저항(R4)와 캐패시터(C1)는 상기 트랜지스터(Q2)의 온, 오프에 의하여 발생되는 과도 기생펄스를 저항(R4)과 캐패시터(C1)의 충방전(시정수)에 의하여 기생펄스를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제너다이오드(ZD2)는 트랜지스터(Q2)가 온상태가 되었을때 선로의 전압이 임계전압 이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정전압 소장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톤, 펄스신호 발생회로(6)의 단자(HS)에 후크센싱신호 "로우"가 입력되고, 뮤트단자, 송신뮤트단자에서 "하이"신호가 출력되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해당 전화국 교환기가 전자식이어서 모드선택 스위치(MODE SELECT switch)(SW1)를 톤(TONE)으로 접속하여 저전위 상태를 입력하며, 상기 톤, 펄스신호 발생회로(6)는 복합주파수를 송출할 수 있는 모드로 동작한다.
이때에 키패드(9)의 임의의 버턴을 누르면 톤, 펄스신호 발생회로(6)에 접속된 크리스탈(X-tal)이 제4도 (마)와 같이 발진하여 키패드(9)의 누름숫자에 해당주파수를 신호발생회로(6) 내부에서 해당 복합주파수로 발행시켜 톤 출력단자(TONE OUT)(T, O)로 출력되어진다.
또한 상기 출력단자(T, O)에 서 출력하는 복합주파수 신호는 제4도 (바)와 같은 신호로 저항(R18)를 통해 트랜지스터(Q8)의 베이스에 입력되어 콜렉터측으로 복합주파수가 송출되어지며, 상기 출력신호는 브리지다이오드(BD)와 국선단자(L1) (L2)의 국선선로로 출력함과 동시에 온상태의 트랜지스터(Q9)를 통해 통화회로(7)에 입력되어진다.
이때 트랜지스터(Q8)의 에미터 저항(R18)을 조정하여 복합주파수의 레벨값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복합주파수 신호가 송출되고 있는 동안에는 뮤트 송신단자는는 저항(R16)을 통하여 입력되는 고전위는 제4(d)도와 같이 저전위 상태로 되어 트랜지스터(Q7)를 차단함으로써 저항(R16)을 통한 고전위가 뮤트라인(MUTEL)을 통해 통회회로부(7)의 뮤트단에 입력된다.
상기 뮤트라인(MUTEL)을 통해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의 출력인 제1전압을 입력하는 통화회로(7)는 입력되는 제1전압에 의해 내부 송화회로의 출력을 차단하고, 트랜지스터(Q8)의 콜렉터측에서 출력하는 톤신호가 송출하는 것을 인지할 수 있게 제1전압의 입력을 통화회로(7)의 내부 수화회로에 공급하여 준다.
이때 상기 통화회로(7)는 트랜지스터(Q9)에 에미터-콜렉터간을 통해 스피치패스(SPTH1)로 입력되는 톤신호의 일부의 신호를 스피커(Rx)로 출력하게 된다.
또한 톤, 펄스신호 발생회로(6)의 뮤트단자는 복합주파수신호의 송출과 관련없이 저항(R14)에서 출력하는 고전위상태를 제4도 (다)와 같이 유지하여 저항(R13), 다이오드(D5)에 순방향 전압이되어 트랜지스터(Q4)를 온시킨다.
그러므로 브리지정류기(BD)의 출력전압은 트랜지스터(Q2)와 제너다이오드(ZD2)에 의해 일정하게 유지되어 통화전류를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톤 신호 송출회로와 펄스신호 송출회로를 하나의 회로로 구성하여 가입된 교환기의 교환방식에 따라 사용자가 다이얼신호 송출방식을 임의로 선택할수 있으며 공수의 감수로 인한 원가절감의 잇점이 있게된다.

Claims (2)

  1. 국선전원을 소정의 전압으로 극성 정렬하여 정류출력하는 브리지정류회로(1)와 소정의 신호를 입력하여 통화가 이루어지게 하는 통화회로(7)와, 링신호가 입력시 링거신호를 가청음으로 출력하는 링거회로(8)와, 다이얼링 신호를 키를 압압하기 위한 키패드(9)와 톤펄스모드 선택단자,후크센싱단자, 키입력단자, 뮤트단자, 송신뮤트단자를 가지며, 상기 모드선택단자후크센싱단자, 키입력단자의 입력에 따라 톤, 펄스신호를 발생하는 톤, 펄스신호 발생회로(6)를 구비한 톤, 펄스 겸용 다이얼 송출회로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정류회로(1)에서 출력되는 소정의 전압을 입력하여 각각의 레벨을 가지는 제1직류전압과 제2직류전압을 출력하는 전압공급회로(2)와, 상기 제1직류전압을 입력하여 후크오프 판단신호 톤펄스 다이얼링 모드선택 스위치동작에 의한 모드선택 신호를 상기 톤펄스신호 발생회로(6)로 출력하는 모드선택회로(3)와, 상기 모드선택회로(3)의 모드선택 신호가 톤 다이얼일 경우 상기 키패드(9)의 압압에 의해 상기 톤, 펄스신호 발생회로(6)의 아우트단자(T, O)에서 출력하는 복합주파수 신호를 국선선로 및 상기 통화회로(7)로 출력하는 톤신호 출력회로(4)와, 상기 모드선택회로(3)의 모드선택 신호가 펄스 다이얼일 경우 키패드(9)의 압압에 의해 상기 톤, 펄스 발생회로(6)의 다이얼 펄스출력단자에서 출력되는 펄스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입력펄스의 신호에 따라 국선선로를 단속하여 펄스 다이얼 신호를 송출하는 펄스신호 출력회로(5)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톤, 펄스 겸용 다이얼 송출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톤신호 출력회로(4)가 톤, 펄스신호 발생회로(6)의 뮤트단자의 전위에 따라 국선신호를 통화회로(7)에 접속 차단하기 위한 통화패스 수단과 전압공급회로(2)에서 출력되는 제1직류전압을 상기 톤, 펄스신호 발생회로(6)의 송신 뮤트단자의 전위에 따라 온, 오프하여 통화회로(7)의 송신뮤트를 제어하는 뮤트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톤신호 출력회로.
KR2019860003440U 1986-03-21 1986-03-21 톤, 펄스 겸용다이얼 송출회로 KR8900043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3440U KR890004369Y1 (ko) 1986-03-21 1986-03-21 톤, 펄스 겸용다이얼 송출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3440U KR890004369Y1 (ko) 1986-03-21 1986-03-21 톤, 펄스 겸용다이얼 송출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5565U KR870015565U (ko) 1987-10-26
KR890004369Y1 true KR890004369Y1 (ko) 1989-06-30

Family

ID=19249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3440U KR890004369Y1 (ko) 1986-03-21 1986-03-21 톤, 펄스 겸용다이얼 송출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436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5565U (ko) 1987-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1224548A (ja) 電話機
US6252957B1 (en) Low power line selection circuit for a telephone
US4167655A (en) Push button to rotary dial converter systems
KR890004369Y1 (ko) 톤, 펄스 겸용다이얼 송출회로
US4442322A (en) Electronic common switch having an improved receiver mating arrangement
RU226124U1 (ru) Устройство переговорное
KR100206744B1 (ko) 단일 정류 회로용 전화기
KR890004366Y1 (ko) 온-후크 다이얼링 및 보류용 송출 전화기
JPH01209849A (ja) 電話番号音声確認電話機
KR930010277B1 (ko) 전화기의 펄스/톤 방식 자동절환 회로
KR860000883B1 (ko) 키폰(Key Phone)의 회의 기능 회로
KR890003187B1 (ko) 아웃펄스 및 톤 겸용 방식의 전화기 회로
KR100489688B1 (ko) 다기능 전화기의 키신호 인식 장치
KR950002583B1 (ko) 키폰 전화기의 음성전송라인 접속회로
JPS60223284A (ja) 可聴音漏れ防止回路
KR920009335B1 (ko) 전화기용 발신처 표시장치
KR940011235B1 (ko) 통화대기시 재통화 발신음장치
KR960001113B1 (ko) 유선전화기의 훅크스위치 회로
KR840002134B1 (ko) 자동식 전화기 증설장치
KR910003077Y1 (ko) 전화기에 있어서 후크스위치 제어회로
CA1209291A (en) Subscriber's telephone circuit
KR960008773Y1 (ko) 호칭소리가 나오는 전화기
CN1022725C (zh) 双机同线电话可互叫通话转换器
JP2835968B2 (ja) 電話機回路
KR840001253B1 (ko) 전화기의 신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525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