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3187B1 - 아웃펄스 및 톤 겸용 방식의 전화기 회로 - Google Patents

아웃펄스 및 톤 겸용 방식의 전화기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3187B1
KR890003187B1 KR1019860003146A KR860003146A KR890003187B1 KR 890003187 B1 KR890003187 B1 KR 890003187B1 KR 1019860003146 A KR1019860003146 A KR 1019860003146A KR 860003146 A KR860003146 A KR 860003146A KR 890003187 B1 KR890003187 B1 KR 890003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one
mute
circuit
pul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3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0716A (ko
Inventor
김재훈
Original Assignee
금성통신 주식회사
임종염 · 하인츠 디터 케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통신 주식회사, 임종염 · 하인츠 디터 케루트 filed Critical 금성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60003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3187B1/ko
Publication of KR870010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0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3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30Devices which can set up and transmit only one digit at a time
    • H04M1/50Devices which can set up and transmit only one digit at a time by generating or selecting currents of predetermined frequencies or combinations of frequ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아웃펄스 및 톤 겸용 방식의 전화기 회로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아웃펄스 및 톤 방식의 전화기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톤링거부 150 : 브리지 다이오드부
200 : 뮤직 온 홀드부 300 : 후크 감지부
350 : 정전압 공급부 400 : 아웃펄스 송출부
450 : 톤 송출부 500 : 전원 공급부
550 : 신호 발생 IC 600 : 키패드부
650 : 선택 스위치부 700 : 시정수부
750 : 톤 측음 공급부 800 : 뮤트회로부
850 : 밸런스부 900 : 키보호부
J1, J2: 점퍼 ZD : 재너 다이오드
D1-D7: 다이오드 TR1-TR9: 트랜지스터
X-TAL : 크리스탈 FET1, FET2: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HB : 하이브리드부 R : 수화부
T : 송화부
본 발명은 기계식 교환기 및 전자식 교환기에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아웃펄스 및 톤 겸용 방식의 전화기 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전화 가입자가 교환국의 사정 즉 재래의 기계식 교환기 설치 전화국인다 혹은 전자식 교환시 설치전화국인가에 따라 교환기의 기종에 맞는 전화기를 별도로 구입해야 된다는 결점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전자식 교환기를 설치한 전화국내의 가입자는 반드시 톤 방식의 전화기를 사용해야만 되었고 반면에 기계식 교환기를 설치한 곳의 가입자는 아웃펄스 방식의 전화기만을 사용하게 되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감안하여 하나의 전화기로 톤 방식이나 아웃펄스 방식의 교환기중 어느 교환기에도 모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전화기 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국선라인(L1, L2) 양단에 톤링거부(100), 브리지 다이오드(150), 뮤직온 홀드부(200)가 각각 병렬로 연결되어 있고, 접속점(a)에는 저항(R1)(R2), 콘덴서(C1), 및 점퍼(J1)(J2)로 구성된 음량 조절부(250)가 연결되어 있으며, 접속점(b)에는 저항(R3)(R4)(R5), 콘덴서(C3) 및 트랜지스터(TR1)로 구성된 후크 감지부(300)가 연결되어 있고, 접속점(C)와 접속점(d) 사이에는 정전류 공급용 소자(RD)와 다이오드(D1)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접속점(d)에는 정전압 공급용 제너 다이오드(ZD)와 콘덴서(C1)로 구성되어 있는 정전압 공급부(350)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접속점(C), 접속점(e), 키패드부(600)의 송출단자(
Figure kpo00001
) 및 신호 발생 IC(550)의 펄스송출단자(18) 사이에 트랜지스터(TR2)(TR3)(TR4)(TR5), 저항(R6)(R7)(R8)(R9)(R10)(R11) 및 콘덴서(C2)로 구성된 아웃펄스 송출부(400)가 연결되어 있으며, 접속점(f), 단자(6)(15)에 트랜지스터(TR6), 저항(R12)(R13)으로 구성된 톤 송출부(450)가 연결되어 있고, 접속점(h)과 상기 신호 발생 IC(550)의 전원단자(11) 사이에 저항(R14)과 다이오드(D2)가 직렬로 연결 구성된 IC전원 공급부(500)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신호발생 IC(550)는 키패드부(600)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정전압 공급부(350)의 한인출선과 접속점(o)(n) 및 단자(8)(14)에는 전화기 회로가 톤 방식 혹은 아웃펄스 방식으로 사용할 것인가를 선택하는 신호발생 IC(550)의 단자(14)(8)에 의하여 결정되어지는 선택 스위치부(650)가 연결되어 있고, 접속점(m)(n)(o) 사이에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2)의 급격한 스위칭 동작으로부터 관련 소자를 보호해 주는 역할을 하며, 저항(R20), 다이오드(D5), 및 콘덴서(C5)로 구성된 시정수부(700)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시정수부(700) 및 상기 신호발생 IC(550)의 뮤트단자(16)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1)(FER2)로 구성되어 있는 톤측음 공급부(750)가 연결되어 있고, 접속점(k)(p) 및 하이드리부(HB) 사이에 저항(R15)(R18)(R19) 및 트랜지스터(TR7)(TR8)(TR9)로 구성된 뮤트회로부(800)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뮤트회로부(800)와 시정수부(700) 사이에 콘덴서(C4) 및 저항(R21)(R22)로 구성된 밸런스부(850)가 연결되어 있고, 접속점(s)에는 수화부(R)에 피크노이즈가 걸리지 않게하는 역할을 하며 다이오드(D6)(D7)가 병렬로 연결되어 구성된 키보호부(900)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접속점(j)가 접속점(z) 사이에는 송화부(T)가, 접속점(w)과 접속점(x) 사이에는 수화부(R)가 각각 연결되어 있고, 브리지 다이오드부(150)에서 들어온 한 일출라인과, 선택 스위치부(650), 시정수부(700), 톤측음 공급부(750), 뮤트회로부(800), (키보호부(900)로 각각 분로되는 지점에L, C, R로 구성된 네트워크인 하이드리부(HB)가 연결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도작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국선 라인(L1, L2)을 통해서 통화신호가 들어오게 되면 톤링러부(100)는 신호를 발하게 되고 사용자는 송수화기를 후크오프 즉 후크스위치(HS9를 연결하게 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상대방과 통화를 하여고 할때 역시 후크스위치(HS)를 눌러 통화로를 연결시키게 된다.
일반적으로 국선라인 (L1, L2)으로 입력된 통화신호는 선로의 사정에 따라서 감도가 좋은 경우도 있고, 나쁜 경우도 있다.
만약 통화신호의 감도가 나쁠 경우에는 음량 조절부(250)의 점퍼(J1)를 연결시키고, 점퍼(J2)를 차단시키게되면 선로의 통화신호가 접속점(a)에서 접속점(b)을 바로 입력하게 된다.
반면 통화신호의 감도가 좋을 경우에는 점퍼(J1)를 차단시키고, 점퍼(J2)를 연결하여 통화신호를 저항(R1)(R2), 콘덴서(C1)를 거쳐 2-3㏈정도 감쇄시켜 적절한 음량이 통화회로를 통해서 들어가도록 조절되어지게 된다.
제 1 도에 나타나 있는 신호발생 IC(550)는 기계식 교환기에 적합한 아웃펄스 신호와 전자식 교환기에 적합한 톤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선택은 선택 스위치(SW1)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신호 발생 IC(550)의 각 핀단자는 다음표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표]
Figure kpo00002
상기 신호 발생 IC(550)의 후크 감지단자(5)에 입력되는 전압상태가 LOW 상태일때만 상기 신호발생 IC(550)는 정상 동작되게 되어 있으며, 가입자가 송수화기를 들게되면, 즉 후크 오프 상태를 만들면 후크 감지부(300)의 저항(R3)(R4) 및 트랜지스터(TR1)에 의하여 후크 감지단자(5)에 LOW 상태의 전압이 인가되어 상기 신호발생 IC(550)는 정상 동작되게 된다.
또한 톤 방식 혹은 아웃펄스 방식의 선택이 스위치(SW1)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되면 선택신호는 상기 신로 발생 IC(550)의 종작 선택단자(14)와 모드 선택단자(8)에 입력되게 된다.
이때 선택단자(8)가 LOW가 되면 톤 방식이 되고, HIGH가 되면 아웃펄스식이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인 선택 스위치(SW1)의 선택 정보에 따라 아웃펄스 방식 혹은 톤 방식으로 동작되는 전화기 회로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선택 스위치(SW1)가 제 1 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단자(p)에 접속되어지면 전화기 회로는 아웃펄스 방식으로 선택되어지고 신호발생 IC(550)의 동작 선택 단자(14)와 모드 선택 단자(8)에 HIGH 전압 상태의 신호가 입력되게 된다.
따라서 다이얼 펄스단자(18)에는 일단 LOW 전압 상태의 신호가 걸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다이얼 펄스단자(18)에 LOW 전압 상태의 신호가 걸리게 되면 트랜지스터(TR4)는 OFF상태, 트랜지스터(TR5)는 ON상태, 트랜지스터(TR3)는 ON 상태, 트랜지스터(TR2)는 ON 상태가 되어 국선과 전화기 회로는 연결상태가 되어 평상시 사용자의 전화기 회로가 다이얼링하지 않을때 상대발 가입자로부터 통화신호를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게된다.
반면에 전화기 사용자가 키패드부(600)를 동작시켜 다이얼링을 하게 될때 눌러진 번호에 행당하는 수만큼 다이얼 펄스단자(18)가 HIGH 전압상태의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이러한 다이얼펄스단자(18)가 HIGH 전압상태가 될때 트랜지스터(TR4)는 ON상태, 트랜지스터(TR5)는 OFF상태, 트랜지스터(TR3)는 OFF 상태, 트랜지스터(TR4)는 OFF 상태가 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다이얼링이 될때 신호발생 IC(550)의 뮤트단자(16)에는 LOW 상태의 전압이 걸리게 되고 따라서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1)는 OFF 상태, 트랜지스터(TR7)는 OFF 상태, 트랜지스터(TR8)(TR9)도 OFF 상태가 되어 결국 송화부(T) 및 수화부(R)는 오픈상태가 된다.
전술한 바와같이 다이얼링이 될시에 수화부(R)가 오픈상태가 되므로 송출되는 펄스음이 수화부(R)를 통하여 불쾌하게 들리는 일이 없게 되게 되었다.
주변째 선택 스위치(SW1)를 단자(T)에 접속시키게 되면 전화기 회로는 톤방식으로 전환되어 지게 된다.
아웃펄스 방식에서 톤방식으로 전환되면 다이얼 펄스단자(18)는 항상 LOW 전압 상태가 걸리게 되어 트랜지스터(TR2)는 ON 상태가 계속 유지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때 사용자가 키패드부(600)를 통하여 다이얼링을 하게 되면 신호발생 IC(550)는 복합 주파수를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복합 주파수는 단자(15)를 통해서 송출되고 톤송출부(450)의 저항(R13) 및 트랜지스터(TR6)의 베이스 단자에 상기 복합 주파수가 인가되어 결국 국선으로 송출되게 된다.
전술한 바와같이 다이얼링시에 신호발생 IC(550)의 뮤트단자(16)의 출력은 LOW 전압 상태가 되고, 따라서 전계효과 트랜지스너(FET1)는 OFF 상태가 되며, 상기 출력 신호가 시정수부(700)를 통과하여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2)를 ON 상태로 만들어주게 되고, 저항(R13)이 수화부(R)에 병렬로 연결되어 톤신호 발생시 수화부(R)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여 줌으로써 부드러운 톤신호가 수화부(R)에 를 통해서 나오게 된다.
이때 트랜지스터(TR7)은 다이오드(D4), 저항(R16)을 통해서 신호를 공급받게 됨으로서 ON 상태가 되고, 이러한 트랜지스터(TR7)가 ON 상태가 되면 트랜지스터(TR8)(TR9)도 ON 상태가 되어 수화부(R)를 통해서 신호 송출에 대한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다이얼링시 뮤트단자(16)가 LOW 전압 상태에서 HIGH 상태로 복귀할때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2)는 상기 뮤트단자(16)의 출력신호에 의하여 스위칭 동작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스위칭 동작때 일어나는 급격한 변화로 인해 관련소자가 받는 소손의 영향을 방지하기 위해서 시정수부(700)가 중요한 보호역할을 하게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인 아웃펄스 및 톤 겸용 방식의 전화기 회로는 종래의 전화기 회로와는 달리, 한대의 전화기인 선택스위치(SW1)를 간단히 조작함으로써 아웃펄스 방식 및 톤 방식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매우 편리하고도 유용한 효과를 지니고 있다.

Claims (1)

  1. 음량 조절부(250), 후크 감지부(300), 정전압 공급부(350), 아웃펄스 송출부(400), IC전원 공그부(500), 아웃펄스 및 톤을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 IC(550), 아웃 펄스 방식 및 톤 방식을 전화기 회로가 선택하게 해주는 선택 스위치부(650), 시정수부(700), 톤측음 공급부(750), 뮤트회로부(800), 밸런스부(850), 그리고 키보호부(90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시정수부(700), 톤측음 공급부(750), 뮤트회로부(800) 및 키보호부(900)로 국선이 분로되는 위치에 하이브리드부(HB)가 연결되어 있고, 접속접(c)와 (d) 사이에 정전류가 공급용 소자(RD) 및 다이오드(D1)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접속점(i)와 (k) 사이에 정류용 다이오드(D3)가 연결되어 있고, 접속점(j)와 (z) 사이에는 송화부(T)가, 접속점(w)와 (x) 사이에는 수화부(R)가 각각 연결되어 선택스위치(SW1)의 조작에 따라 한대의 전화기를 아웃펄스 방식 및 톤 방식의 전화기로 겸용하여 사용할수 있도록 구성된 아웃펄스 및 톤겸용 방식의 전화기 회로에 있어서, 통화회로가 L,C,R네트워크로 구성된 하이드리부(HB)를 이용하여 톤 송출부(450)와 아웃펄스 송출부(400)를 제어하는 신호발생 IC(550)를 적용하여 톤 및 아웃펄스를 선택하는 선택 스위치부(650)와 신호발생 IC(550)의 뮤트단자(16)에서 신호를 받아 송화뮤트 및 수화뮤트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부인 톤측음 공급부(750), 시정수부(700), 뮤트회로부(800) 및 밸런스부(8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펄스, 및 톤겸용 방식의 전화기 회로.
KR1019860003146A 1986-04-22 1986-04-22 아웃펄스 및 톤 겸용 방식의 전화기 회로 KR890003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3146A KR890003187B1 (ko) 1986-04-22 1986-04-22 아웃펄스 및 톤 겸용 방식의 전화기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3146A KR890003187B1 (ko) 1986-04-22 1986-04-22 아웃펄스 및 톤 겸용 방식의 전화기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0716A KR870010716A (ko) 1987-11-30
KR890003187B1 true KR890003187B1 (ko) 1989-08-25

Family

ID=19249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3146A KR890003187B1 (ko) 1986-04-22 1986-04-22 아웃펄스 및 톤 겸용 방식의 전화기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318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0716A (ko) 1987-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65107A (en) Monitoring circuit in data sets,with signal muting
EP0431096A1 (en) Cellular telephone with standard telephone set
US4096358A (en) Key telephone system signal priority arrangement
US4496799A (en) Handsfree telephone instrument using digital dial
US4451706A (en) Telephone substation transmitter muting circuit
KR890003187B1 (ko) 아웃펄스 및 톤 겸용 방식의 전화기 회로
US4442322A (en) Electronic common switch having an improved receiver mating arrangement
KR970011411B1 (ko) 전화기의 자동다이얼링 방법
US4309573A (en) Loudspeaking substation circuit
KR200189400Y1 (ko) 인터넷 전화 및 국선 전화 겸용 전화기
JP3232640B2 (ja) 電話交換機
JPH09181812A (ja) トーン信号自動切替機能付電話機
JP2831684B2 (ja) 電話システム
KR890004369Y1 (ko) 톤, 펄스 겸용다이얼 송출회로
KR940001695B1 (ko) 다기능 전화기의 통화로 제어장치
KR860000883B1 (ko) 키폰(Key Phone)의 회의 기능 회로
KR970005262B1 (ko) 내선 측음기능을 갖는 디지틀 키폰의 통화회로
JP2610976B2 (ja) Dtmfダイヤラ
JPH0537571Y2 (ko)
JP3660971B2 (ja) 電話機
KR930001159B1 (ko) 전화기의 다이얼 송출 모드 변환방법
US4529844A (en) Pulse output telephone system with ring tap elimination
KR840002418B1 (ko) 헤드폰 장치
JP2835968B2 (ja) 電話機回路
KR100498913B1 (ko) 키폰시스템에서 다이얼톤 안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2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