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9708B1 - 메시지웨이팅기능을 갖는 가입자보드 - Google Patents

메시지웨이팅기능을 갖는 가입자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9708B1
KR100559708B1 KR1020030050360A KR20030050360A KR100559708B1 KR 100559708 B1 KR100559708 B1 KR 100559708B1 KR 1020030050360 A KR1020030050360 A KR 1020030050360A KR 20030050360 A KR20030050360 A KR 20030050360A KR 100559708 B1 KR100559708 B1 KR 100559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power
pulse
subscriber board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0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1329A (ko
Inventor
송지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0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9708B1/ko
Publication of KR20050011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1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9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9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1Centralised call answering arrangements requiring operator intervention, e.g. call or contact centers for telemarketing
    • H04M3/523Centralised call answering arrangements requiring operator intervention, e.g. call or contact centers for telemarketing with call distribution or queue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1Centralised call answering arrangements requiring operator intervention, e.g. call or contact centers for telemarketing
    • H04M3/5175Call or contact centers supervis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14Delay circuits; Tim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Supply Of Signal Curr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시지웨이팅기능을 갖는 가입자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메시지웨이팅 기능을 갖는 가입자보드는 시스템전원인 DC-48V전원을 DC-90V의 메시지표시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해 DC/DC컨버터를 채용하고 있어 가입자보드의 설계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릴레이제어 레지스터의 값을 주기적으로 제어해야 하므로 보드 상의 시스템자원이 소모되며, 릴레이부가 온/오프 동작을 반복하여 사용수명이 단축될 뿐 아니라 온/오프 동작에 따른 소음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교환기로부터의 링신호를 온/오프형태의 펄스파형으로 변환하여 전화기에 설치된 메시지램프의 구동전원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가입자보드의 설계비용을 절감시킬 뿐 아니라, 가입자보드의 시스템자원을 절약할 수 있으며, 릴레이부의 온/오프 동작을 최소화하여 수명을 연장하고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메시지웨이팅기능을 갖는 가입자보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메시지웨이팅기능을 갖는 가입자보드{SUBSCRIBER LINE BOARD WITH MESESSAGE WAITING FUNCTION}
도 1은 종래의 메시지웨이팅기능을 갖는 가입자보드의 제어블럭도,
도 2는 MSG릴레이부의 스위칭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웨이팅기능을 갖는 가입자보드의 제어블럭도,
도 4는 도 3의 전원생성부의 회로 구성도,
도 5는 도 3의 펄스생성부의 회로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 : 가입자보드 23 : 전화기
25 : MSG릴레이제어부 26 : 전원생성부
27 : 코덱 28 : 전원회로
29 : 링신호공급부 30 : MSG릴레이부
32 : 펄스생성부
본 발명은 메시지기능을 갖는 가입자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설계비용을 절감시킬 뿐 아니라, 가입자보드의 시스템자원을 절약하는 한편, 릴레이부의 수명을 연장하고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메시지웨이팅기능을 갖는 가입자보드에 관한 것이다.
메시지웨이팅(Message Waiting)기능이란 호텔, 병원이나 사업장 등에서 내선가입자의 부재시 부재중인 가입자 측으로 착신호가 발생했을 경우, 교환수 또는 메시지센터가 해당 가입자로 전달될 메시지를 보관하고, 가입자보드(1)를 통해 부재중인 해당 내선 가입자 전화기(3)에 부착된 메시지램프를 구동시켜 수신된 메시지의 수신을 표시하는 기능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화기(3)에 부착된 메시지램프의 점멸상태를 확인하여 교환수나 메시지센터를 통해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가입자보드(1)는 가입자의 전화기(3)와 교환시스템을 연결하는 유니트로서, 가입자 전화기(3)와 교환시스템 간의 각종신호(ring, dial, DTMF 등)와 음성신호를 전송 및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가입자보드(1)는 전화기(3)로 DC-48V의 통화용 전류를 공급하는 한편, 메시지 웨이팅 시에는 전화기(3)의 메시지램프를 점멸시키기 위해 DC-90V정도의 메시지표시전원을 소정 주기로 공급한다.
이러한 종래의 메시지웨이팅기능을 갖는 가입자보드(1)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웨이팅기능을 갖는 가입자보드(1)는 전화기(3)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음성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고 PCM데이터로 변조하여 Tx-Highway를 통해 송신하는 한편, Rx-Highway로부터 수신된 PCM데이터를 디지털신호로 복조한 후 본래의 아날로그음성신호로 변환하는 코덱(7)과, 가입자의 전화기(3)에 DC-48V의 통화용 전류를 공급하는 한편 가입자전화기(3)가 오프후크(Off-Hook)상태일 경우 전류를 피딩하고 선로와의 임피던스를 매칭하는 전원회로(8)와, 가입자의 전화기(3)에 링신호를 공급하는 링신호공급부(9)를 포함한다.
또한, 메시지웨이팅기능을 갖는 가입자보드(1)는 사설교환기로부터 공급되는 DC-48V전원을 가지고 전화기(3)의 메시지램프 구동을 위한 DC-90V의 메시지표시전원을 생성하는 DC/DC컨버터(6)와, 전화기(3)로 인가되는 메시지표시전원을 단속하는 MSG(Message Waiting)릴레이부(10)와, 소정 주기에 따라 MSG릴레이부(10)를 제어하여 DC/DC컨버터(6)로부터의 메시지표시전원이 전화기(3)로 공급되도록 하는 MSG릴레이제어부(5)를 포함한다.
여기서, MSG릴레이부(10)의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MSG릴레이부(10)에는 그라운드와 연결되는 제1릴레이스위치(14)와 DC-90V의 메시지표시전원과 연결되는 제2릴레이스위치(12)가 포함되며, 각각의 스위치(12, 14)는 MSG릴레이제어부(5)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각기 접속위치 또는 접속해제 위치로 절환되어 전화기(3)로 공급되는 메시지표시전원을 단속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가입자의 부재시 부재중인 가입자 측으로 착신호가 발생했을 경우, 가입자보드(1)의 MSG릴레이제어부(5)는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MSG릴 레이부(10)가 온/오프되도록 제어하여 DC/DC컨버터(6)로부터의 메시지표시전원이 가입자 전화기(3)로 공급되도록 한다.
여기서, MSG릴레이제어부(5)가 MSG릴레이부(10)를 제어하는 원리는 다음과 같다. 메시지웨이팅기능이 실행된 경우, 가입자보드(1) 상에서 운용되는 소정의 소프트웨어는 릴레이제어 레지스터의 값을 0/1로 교번적으로 셋팅하며, 릴레이제어부는 레지스터의 값을 확인하여 1일 경우 온신호를 0일경우 오프신호를 릴레이부에 인가한다. 이와 같이, MSG릴레이부(10)가 온/오프 동작됨에 따라 메시지표시전원이 가입자의 전화기(3)에 주기적으로 공급됨으로써, 전화기(3)에 마련된 메시지램프를 점멸시킬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메시지웨이팅 기능을 갖는 가입자보드(1)는 시스템전원인 DC-48V전원을 DC-90V의 메시지표시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해 DC/DC컨버터(6)를 채용하고 있어 가입자보드의 설계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릴레이제어 레지스터의 값을 주기적으로 제어해야 하므로 보드 상의 시스템자원이 소모되며, 릴레이부가 온/오프 동작을 반복하여 사용수명이 단축될 뿐 아니라 온/오프 동작에 따른 소음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가입자보드의 설계비용을 절감시킬 뿐 아니라, 가입자보드의 시스템자원을 절약하는 한편, 릴레이부의 수명을 연장하고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메시지 웨이팅 기능을 갖는 가입자보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웨이팅기능을 갖는 가입자보드는, 전화기의 메시지표시기능 구동을 위해 인가되는 메시지표시전원을 단속하는 MSG릴레이부와; 메시지웨이팅 상태인 경우 상기 MSG릴레이부를 턴온상태로 유지하는 MSG릴레이제어부와; 상기 메시지웨이팅 상태인 경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링신호를 상기 메시지표시를 위한 직류전원으로 정류하는 전원생성부와; 상기 전원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직류전원을 펄스형태의 메시지표시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펄스형태의 메시지표시전원이 상기 MSG릴레이를 통해 상기 전화기로 공급되도록 하는 펄스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생성부는, 직류 및 교류가 중첩된 형태의 상기 링신호를 직류전원으로 정류하기 위한 정류회로와; 정류된 상기 직류전원의 전압값을 상기 전화기의 메시지표시기능 구동을 위한 메시지표시전원의 전압값으로 조절하는 전압조절회로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펄스생성부는, 외부로부터의 펄스제어신호에 따라 펄스신호를 발광다이오드를 통해 발신하는 제1회로부와; 상기 발광다이오드에 대응되는 수광부를 가지고, 상기 전원생성부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메시지표시전원을 상기 발광다이오드로부터 수신한 상기 펄스신호에 따라 온/오프하여 펄스형태의 메시지표시전원을 생성하는 제2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웨이팅기능을 갖는 가입자보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웨이팅기능을 갖는 가입자보드(21)의 제어블럭도 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가입자보드(21)는 가입자의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여 Tx-Highway를 통해 송신하고, Rx-Highway로부터 수신된 디지털데이터를 본래의 아날로그음성신호로 변환하는 코덱(27)과, 가입자의 전화기(23)에 DC-48V의 통화용 전류를 공급하는 한편 가입자 전화기(23)가 오프후크(Off-Hook)상태일 경우 전류를 피딩하고 선로와의 임피던스를 매칭하는 전원회로(28)와, 가입자의 전화기(23)에 링신호를 공급하는 링신호공급부(29)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가입자의 전화기(23)는 가입자보드(21)를 통해 교환시스템과 연결되어 각종신호(ring, dial, DTMF 등)와 음성신호를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웨이팅기능을 갖는 가입자보드(21)는, 전화기(23)로 인가되는 메시지표시전원을 단속하는 MSG릴레이부(30)와, 메시지 웨이팅 상태인 경우 MSG릴레이부(30)를 턴온상태로 유지하는 MSG릴레이제어부(25)와, 교환시스템으로부터 공급되는 링신호로부터 전화기(23)의 메시지램프 구동을 위한 DC전원을 생성하는 전원생성부(26)와, 전원생생부에서 생성된 -90V DC전원을 원하는 주기로 온/오프하여 -90V/0V의 펄스파형으로 변환하여 펄스형태의 메시지표시전원을 생성하여, 펄스형태의 메시지표시전원이 MSG릴레이를 통해 전화기(23)로 공급되도록 하는 펄스생성부(32)를 포함한다.
전원생성부(26)는 시스템에서 공급되는 링신호를 정류하여 -90V의 DC전원을 생성한다. 이러한 전원생성부(26)의 회로구성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전원생성부(26)는 다이오드(D1)와 캐패시터(C1, C2), 저항(R1) 등을 포함하는 정류회로로서 -48V의 DC전원에 80V의 AC전원이 중첩된 링신호를 입력받아 다이오드(D1), 저항(R1), 캐패시터(C1, C2) 등으로 구성된 정류회로를 통과시켜 DC전원으로 정류하고, 트랜지스터(Q), 제너다이오드(D2), 저항(R2) 등의 회로구성요소를 통해 전화기(23)에 부착된 메시지램프의 구동에 적절한 구동전원을 생성해 낸다. 메시지램프의 구동전원인 메시지표시전원은 전화기(23)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90V정도일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펄스생성부(32)는 전원생생부에서 생성된 -90V의 DC전원을 -90V/0V의 펄스파형으로 변환하여 펄스형태의 메시지표시전원을 생성하는데, 그 구성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펄스생성부(32)는 펄스제어신호에 따라 펄스신호를 발광다이오드(51)를 통해 발신하는 제1회로부와 수광부(53)를 통해 발광다이오드(51)로부터 수신한 펄스신호에 따라 전원생성부(26)로부터 입력받은 -90V DC전원을 온/오프하여 -90V/0V의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제2회로부로 구성된다.
발광다이오드(51)가 개재된 제1회로부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5V 온/0V 오프 형태의 펄스신호를 저항(R1, R2) 및 트랜지스터(55)를 통해 발광다이오드(51)로 발신한다. 수광부(53)가 개재된 제2회로부는 수광부(53)를 통해 수광된 5V 온/0V 오프 형태의 펄스신호에 따라 전원생성부(26)에서 생성된 -90V의 DC전원을 온/오프함으로써 -90V/0V의 펄스파형으로 변환하여 펄스형태의 메시지표시전원이 MSG릴레이 를 통해 전화기(23)로 공급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2회로의 저항(R3), 트랜지스터(Q2)는 일반적으로 추가되는 회로구성요소로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가입자의 부재시 부재중인 가입자 측으로 착신호가 발생했을 경우, 가입자보드(21)의 MSG릴레이제어부(25)는 MSG릴레이가 턴온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전원생성부(26)는 교환시스템으로부터 공급되는 링신호로부터 전화기(23)의 메시지램프 구동을 위한 DC전원을 생성하여 펄스생성부(32)로 인가하며, 펄스생성부(32)는 전원생생부에서 생성된 DC전원을 원하는 주기로 온/오프하여 펄스형태의 메시지표시전원을 생성하여 MSG릴레이를 통해 전화기(23)로 공급함으로써, 전화기(23)의 메시지램프가 점멸되도록 할 수 있다. 즉, MSG릴레이의 동작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온/오프 시키는 것이 아니라, 온/오프 펄스형태의 메시지표시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메시지램프의 점멸을 유도하고 있다.
이상 설명에서, 예시한 각종 전압값들은 가입자보드(21), 전화기(23), 교환시스템 등의 설계사양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며, 도 4의 전원생성부(26) 및 도 5의 펄스생성부의 회로구성은 각기 링신호를 DC전원으로 정류하고, 이를 온/오프형태의 펄스파형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예로써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형태의 회로로도 구성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메시지웨이팅기능을 갖는 가입자보드에 따르면, 교환기로부터의 링신호를 온/오프형태의 펄스파형으로 변환하여 전화기에 설치된 메시지램프의 구동전원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DC/DC컨버터의 구성이 삭제됨으로 가입자보드의 설계비용을 절감시킬 뿐 아니라, 온/오프 펄스형태의 메시지표시전원을 공급하여 메시지램프의 점멸을 유도하므로 가입자보드의 시스템자원을 절약할 수 있으며, 릴레이부의 온/오프 동작을 최소화하여 수명을 연장하고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메시지웨이팅기능을 갖는 가입자보드에 있어서,
    전화기의 메시지표시기능 구동을 위해 인가되는 메시지표시전원을 단속하는 MSG릴레이부와;
    메시지웨이팅 상태인 경우 상기 MSG릴레이부를 턴온상태로 유지하는 MSG릴레이제어부와;
    상기 메시지웨이팅 상태인 경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링신호를 상기 메시지표시를 위한 직류전원으로 정류하는 전원생성부와;
    상기 전원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직류전원을 펄스형태의 메시지표시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펄스형태의 메시지표시전원이 상기 MSG릴레이를 통해 상기 전화기로 공급되도록 하는 펄스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웨이팅기능을 갖는 가입자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생성부는,
    직류 및 교류가 중첩된 형태의 상기 링신호를 직류전원으로 정류하기 위한 정류회로와;
    정류된 상기 직류전원의 전압값을 상기 전화기의 메시지표시기능 구동을 위한 메시지표시전원의 전압값으로 조절하는 전압조절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웨이팅기능을 갖는 가입자보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생성부는,
    외부로부터의 펄스제어신호에 따라 펄스신호를 발광다이오드를 통해 발신하는 제1회로부와;
    상기 발광다이오드에 대응되는 수광부를 가지고, 상기 전원생성부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메시지표시전원을 상기 발광다이오드로부터 수신한 상기 펄스신호에 따라 온/오프하여 펄스형태의 메시지표시전원을 생성하는 제2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웨이팅기능을 갖는 가입자보드.
KR1020030050360A 2003-07-22 2003-07-22 메시지웨이팅기능을 갖는 가입자보드 KR100559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0360A KR100559708B1 (ko) 2003-07-22 2003-07-22 메시지웨이팅기능을 갖는 가입자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0360A KR100559708B1 (ko) 2003-07-22 2003-07-22 메시지웨이팅기능을 갖는 가입자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1329A KR20050011329A (ko) 2005-01-29
KR100559708B1 true KR100559708B1 (ko) 2006-03-10

Family

ID=37223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0360A KR100559708B1 (ko) 2003-07-22 2003-07-22 메시지웨이팅기능을 갖는 가입자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970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1329A (ko) 2005-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9708B1 (ko) 메시지웨이팅기능을 갖는 가입자보드
US4726060A (en) Line circuit for driving a ringer and a service indicating lamp in a telephone set
EP0746128B1 (en) Telephone interface circuit with impedance termination during call pauses
JP3685538B2 (ja) 網制御装置の制御方法
JPH0735487Y2 (ja) 乾電池式呼出信号発生回路
JP2538227Y2 (ja) 電話着信報知用電源供給回路
KR200321851Y1 (ko) 사설교환기의 메시지 대기용 전원 공급장치
KR960000612Y1 (ko) 사설 교환기의 가입자 인터페이스 회로
JP2506970Y2 (ja) ト―ンリンガ―電源供給回路
KR910004127Y1 (ko) 모뎀 및 전화기의 후크 온/오프상태 지시회로
JPH071891B2 (ja) 電話回線端末装置
KR950000463Y1 (ko) 전화기 송화시 멜로디움 발생회로
US7940920B2 (en) Telecommunication capable of silent operation and the related method therof
KR0123705Y1 (ko) 전화기 접속회로에서의 링 신호 연결장치
JPS62161238A (ja) 電話機
JPH11317827A (ja) メッセージウェイティング機能付き電話装置
KR19980026427A (ko) 국선인터페이스 회로
KR910006054B1 (ko) 교환기에서의 가입자 루우프 확장회로
KR0142800B1 (ko) 주변 조도감지에 따른 전화기의 톤링거자동변환장치
JP2000224345A (ja) 電源用デバイス
KR200221403Y1 (ko) 공중전화기용 전원공급장치
JPH08307562A (ja) 通信装置
KR0123172Y1 (ko) 전화기의 라인 인터럽트 방지회로
KR100206744B1 (ko) 단일 정류 회로용 전화기
KR100496166B1 (ko) 훅크 오프 검출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