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1403Y1 - 공중전화기용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공중전화기용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1403Y1
KR200221403Y1 KR2020000034295U KR20000034295U KR200221403Y1 KR 200221403 Y1 KR200221403 Y1 KR 200221403Y1 KR 2020000034295 U KR2020000034295 U KR 2020000034295U KR 20000034295 U KR20000034295 U KR 20000034295U KR 200221403 Y1 KR200221403 Y1 KR 2002214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wer supply
public telephone
power
su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42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영흥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영흥텔레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영흥텔레콤
Priority to KR20200000342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14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14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1403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Supply Of Signal Curr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중전화기용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화국으로부터 공중전화기까지 배설되는 국선 선로를 통하여 공중전화기에 직류전원을 항구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전원공급선을 국선 선로와 함께 배설하는 것을 배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중전화기를 손쉽게 가설할 수 있으며, 또한 배터리의 사용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공중전화기용 전원공급장치는, 전화국으로부터 공중전화기(200)까지 배설되는 국선 선로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원에 대하여 잡음을 제거하는 잡음제거부(110)와; 상기 잡음제거부를 거친 전원을 전파 정류하는 정류부(120)와; 상기 정류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원에 대한 전류를 조절하고 전원의 역 바이어스를 방지하는 충전전류조절부(130)와; 상기 충전전류조절부를 거친 전원을 충전하여 대기상태인 공중전화기의 제어부(240)로 공급하는 전원공급용 콘덴서(140)와; 그리고, 훅스위치(220)를 통하여 정류부와 단속되는 통화부(230)와 전기접속되어, 통화상태인 경우 전원을 정압으로 공중전화기의 각 동작부분에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공중전화기용 전원공급장치{THE POWER SUPPLY APPARATUS FOR PUBLIC TELEPHONE}
본 고안은 공중전화기용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화국으로부터 공중전화기까지 가설되는 국선 선로를 통해 전원을 공중전화기에 직접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중전화기의 가설작업을 편리하게 함과 아울러 배터리의 사용을 배제할 수 있는 공중전화기용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중전화기를 설치할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공중전화기에 전원(AC)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화국으로부터 배설되는 전화선과 일반 전원공급선을 함께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공중전화기에 대한 종래 전원공급장치는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류전원이 공급되는 전원트랜스부(91), 정류부(92), 정전압발생부(93), 충전부(94) 및 배터리(96)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전원트랜스부(91)는 플러그(90)를 통해 공급되는 110/220V의 교류전원을 공중전화기의 각 부하회로에 필요한 전압으로 승압 또는 감압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정류부(92)는 공급된 교류전원을 공중전화기의 부하회로에 직류전원으로 정류하여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정전압발생부(93)는 상기 정류부(92)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원을 공중전화기의 각 부분에 정압공급하여 주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충전부(94)는 배터리(96)의 충전 및 통화중 일정시간동안 통화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배터리(96)의 전원을 공중전화기의 각 회로부분에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종래 공중전화기용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는, 플러그(90)를 통하여 상용 교류전원(AC 110 / 220V)이 전원트랜스부(91)에 공급되면, 전원트랜스부(91)를 구성하는 유도코일들의 상호유도작용에 의하여 전원트랜스부(91)로부터는 다운된 교류전원이 발생된다. 상기 전원트랜스부(91)로부터 발생된 다운된 교류전원은 일반적인 브릿지 다이오드(Bridge Diode)로 구성된 정류부(92)측으로 인가된다. 이 정류부(92)에 인가된 교류전원은 직류전원으로 정류되고, 이 직류전원은 정전압발생부(93)와 충전부(94)측으로 공급된다. 정전압발생부(93)는 정전압 발생 IC( Voltage Regulator)로 구성되어 공중전화기의 각 회로부분에 필요한 안정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충전부(94)는 정류부(92)를 통하여 공급되는 직류전원을 배터리(96)에 충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배터리(96)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너다이오드(ZD)와 제2다이오드(D2)로 구성된 축전지 보호회로(95)는 과전압이 공급될 때 충전용인 일정전압 이상의 전압은 바이패스시켜 항시 일정전압을 유지시키는 작용을 한다.
한편, 사용자가 통화중에 정전된 경우 정전압발생부(93)를 통하여 ⓐ측으로 회로 공급용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상기 배터리(96)에 이미 충전되어 있던 전원이 제1다이오드(D1)를 통하여 공급됨으로써 일정 시간동안 통화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1다이오드(D1)는 배터리(6)가 완전충전됨으로써 ⓐ측의 전위가 높을 때 오프상태가 되어 상기 배터리(96)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종래 공중전화기용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는, 공중전화기를 설치할 때, 전화 국선과 이와는 별도의 교류전원 공급선을 같이 준비하여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공중전화기 가설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통화중 정전이 될 경우 충전된 배터리의 용량이 적기 때문에 짧은 시간동안만 통화가 가능하고 긴 통화는 할 수 없다. 또한, 우천시 통화할 경우 공중전화기에 낙뢰의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공중전화기 취급시 감전에 대한 안전사고 등의 문제를 유발시킬 우려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전화국으로부터 공중전화기까지 배설되는 국선 선로를 통하여 공중전화기에 직류전원을 항구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전원공급선을 국선 선로와 함께 배설하는 것을 배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중전화기를 손쉽게 가설할 수 있으며, 또한 배터리의 사용을 배제할 수 있는 공중전화기용 전원공급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공중전화기용 전원공급장치에 의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공중전화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공중전화기용 전원공급장치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공중전화기용 전원공급장치를 구성하는 전원공급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4는 종래 공중전화기용 전원공급장치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잡음제거부, 120 : 정류부,
130 : 충전전류조절부, 140 : 전원공급용 콘덴서,
150 : 제1보호회로, 160 : 전원공급부,
161,162,163 : 정전압부, 170 : 제2보호회로,
200 : 공중전화기, 220 : 훅스위치,
230 : 통화부, 240 : 제어부,
C1 : 제1콘덴서, C2 : 제2콘덴서,
C3 : 충전용 콘덴서, D1 : 다이오드
D2 : 정류 다이오드, R1 : 저항,
ZD2 : 제2제너다이오드, ZD1 : 제1제너다이오드
상기 목적을 당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공중전화기용 전원공급장치는, 전화국으로부터 공중전화기까지 배설되는 국선 선로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원에 대하여 잡음을 제거하도록 국선 선로와 전기접속되는 잡음제거부와; 상기 잡음제거부를 거친 전원을 전파 정류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와 전기접속되어 정류부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원에 대한 전류를 조절함과 아울러 전원의 역 바이어스를 방지하는 충전전류조절부와; 상기 충전전류조절부를 거쳐 전류조절된 전원을 충전하고 충전된 전류를 공중전화기가 대기상태인 경우 공중전화기의 제어부로 공급하는 전원공급용 콘덴서와; 그리고, 공중전화기의 훅스위치를 통하여 상기 정류부와 단속되는 공중전화기의 통화부와 전기접속되어, 공중전화기가 통화상태인 경우 상기 국선 선로로부터 잡음제거부, 정류부 및 통화부를 거쳐 공급되는 전원을 정압으로 공중전화기의 각 동작부분에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류부와 통화부 사이에는 일정전압 이상의 전압이 인가되지 않도록 정전압 회로로 기능하는 제1제너다이오드 및 직류전원에 포함된 잡음성분을 제거하는 제1콘덴서를 가진 제1보호회로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공급부에는 공중전화기의 각 회로에 전원을 정압으로 공급하는 다수의 정전압부들과, 일정전압을 유지하기 위한 제2제너다이오드 및 잡음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제2콘덴서를 가진 제2보호회로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정전압부들중 어느 하나의 정전압부에는 충전용 콘덴서가 더 전기접속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공중전화기용 전원공급장치에 따르면, 대기상태에서의 훅스위치는 오프됨으로써 통화부와 국선 선로는 연결되지 않는 상태에 놓이고, 이 상태에서는 국선 선로를 통한 직류전원(DC 48V)이 잡음제거부와 정류부를 통해 충전전류조절부에 공급된다. 충전전류조절부를 거친 전원은 전원공급용 콘덴서에 충전되고, 이 충전전류는 제어부에 공급된다.
한편, 송수화기를 들면 훅스위치가 온되고, 이에 따라 국선 선로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은 잡음제거부 및 정류부를 거쳐 통화부를 통하여 전원공급부로 공급되어 공중전화기의 통화시 동작하는 각 부분에 공급됨으로써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 국선 선로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은 통화종료후 공중전화기가 대기상태로 전환될 경우를 대비하여 충전전류조절부를 거쳐 전원공급용 콘덴서에 계속 충전되어 대기상태의 공중전화기에 충전된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별도의 전원공급선 및 배터리가 없어도 공중전화기에 항구적으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부호 100은 본 고안에 따른 공중전화기용 전원공급장치로서, 국선 선로를 통해 공급되는 직류전원(DC 48V)이 잡음제거부(110), 정류부(120) 및 충전전류조절부(130)를 통해 전원공급용 콘덴서(140)에 충전되어 대기상태의 공중전화기(200)에 전원이 공급되고, 통화를 위하여 송수화기(210)를 공중전화기(200)로부터 들어 훅스위치(220)가 온되면 국선 선로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이 공중전화기(200)의 통화부(230)를 통해 전원공급부(160)에 공급됨으로써, 전원공급부(160)로부터 공중전화기(200) 각 부분에 전원이 공급되는 한편 대기상태인 공중전화기(20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전원공급용 콘덴서(140)에 전원이 계속 충전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100)가 적용된 공중전화기는 일반적인 공중전화기의 구성과 동일하다.
참고로 공중전화기(200)의 구성을 살펴보면, 공중전화기(200)의 각 구성부분을 제어하는 제어부(CPU)(240)와, 상기 제어부(240)의 작동에 필요한 신호를 입력하는 다이얼 및 기능버튼부(250)와, 주화선별부(260)와, 그리고 상기 제어부(24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작동하는 통화부(230) 및 통화상태를 나내내는 표시부(270)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하고 있는 공중전화기(200)의 각 부분에 대한 동작은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이들에 대한 여기서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100)를 구성하는 잡음제거부(110)는 전화국으로부터 공중전화기(200)까지 배설되는 국선 선로를 통한 노이즈, 특히 고주파, 방송파 등의 필요 없는 성분을 제거하도록 국선 선로와 전기접속된다. 또한, 전원공급장치(100)를 구성하는 정류부(120)는 브릿지 다이오드(Bridge Diode)로 구성되며, 상기 잡음제거부(110)를 거쳐 공급되는 직류전원(DC 48V)을 직류전원으로 전파 정류하도록 잡음제거부(110)와 전기접속된다. 또한, 충전전류조절부(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항(R1)과 다이오드(D1)으로 구성되어, 공중전화기(200)가 대기상태인 경우 정류부(120)를 통한 전원을 조절하여 전원공급용 콘덴서(140)에 전원을 항상 충전할 수 있도록 정류부(120)와 전기접속된다. 즉, 충전전류조절부(130)에서는 그 내부에 있는 저항(R1)의 조절에 의하여 전압이 변동됨으로써 요구되는 전류가 조절되고, 다이오드(D1)에 의하여 전원의 역 바이어스가 방지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전원공급용 콘덴서(140)는 공중전화기(200)에 대한 전원공급이 배터리 없이도 항구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원을 항상 충전함과 아울러 제어부(240)의 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부(24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충전전류조절부(130) 및 공중전화기(200)의 제어부(240)와 전기접속된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160)는 송수화기(210)를 공중전화기(200)로부터 들어 훅스위치(220)가 온됨으로써 국선 선로와 통화부(230)가 연결된 경우 국선 선로로부터 잡음제거부(110) 및 정류부(120)를 거쳐 통화부(230)를 통하여 공급되는 직류전원을 통화시 필요한 공중전화기(200)의 각 부분에 공급하도록, 공중전화기(200)의 훅스위치(220)를 통하여 정류부(120)와 단속되는 공중전화기(200)의 통화부(230)와 전기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정류부(120)와 통화부(230) 사이에는 같은 선로에 제1제너다이오드(ZD1)과 제1콘덴서(C1)으로 이루어진 제1보호회로(15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보호회로(150)의 제1제너다이오드(ZD1)는 일정전압 이상의 전압이 인가되지 않도록 하는 정전압 회로로 기능하고, 상기 제1콘덴서(C1)는 직류전원에 포함된 잡음성분을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부호 170은 상기 전원공급부(160)에 설치된 제2제너다이오드(ZD2)와 제2콘덴서(C2)로 이루어진 제2보호회로로서, 상기 제1보호회로(150)와 마찬가지로 일정 전압유지 및 교류성분(맥류)의 제거 작용을 한다.
그리고, 도면 부호 161, 162, 및 163은 각각 전원공급부(160)에 설치되어 일정전압을 공중전화기(200)의 각 부에 공급하기 위한 정전압부이고, 상기 정전압부들(161,162,163)중 어느 하나의 정전압부에는 충전용 콘덴서(C3)가 더 전기접속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 충전용 콘덴서(C3)에 충전된 전원은 여기서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공중전화기(200)의 수납 마그네트, 반환 마그네트 및 선별기의 수납 마그네트를 대전류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공중전화기용 전원공급장치(10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대기상태에서의 훅스위치(220)는 오프됨으로써 통화부(230)와 국선 선로는 연결되지 않는 상태에 놓인다. 이 상태에서는 국선 선로를 통한 직류전원(DC 48V)이 잡음제거부(110)와 정류부(120)를 통해 충전전류조절부(130)에 공급된다. 충전전류조절부(130)에서는 그 내부에 있는 저항(R1)의 조절에 의하여 전압이 변동됨으로써 요구되는 전류가 조절되고, 다이오드(D1)에 의하여 전원의 역 바이어스가 방지된다. 충전전류조절부(130)를 거친 전원은 전원공급용 콘덴서(140)에 충전됨으로써 이 콘덴서에 충전된 전류에 의하여 항상 제어부(240)를 일정 전압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정전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송수화기(210)를 들면 훅스위치(220)가 온됨에 따라 국선 선로와 통화부(230)가 연결되는 상태에 놓이고, 제어부(240)에서 이것이 인지됨으로써 바로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즉, 국선 선로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은 잡음제거부(110) 및 정류부(120)를 거쳐 통화부(230)를 통하여 전원공급부(160)로 공급되어 공중전화기(200)의 통화시 동작하는 각 부분에 공급됨으로써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 국선 선로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은 통화종료후 공중전화기(200)가 대기상태로 전환될 경우를 대비하여 충전전류조절부(130)를 거쳐 전원공급용 콘덴서(140)에 계속 충전되어 대기상태의 공중전화기(200)에 충전된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훅스위치(220)의 온에 의하여 국선 선로와 통화부(230)가 연결되면, 전화국으로부터 국선 선로를 통하여 직류전원(DC 48V)이 공급되고. 이 직류전원은 잡음제거부(110)에서 잡음 성분이 제거된 다음, 정류부(120)로 입력된 후 요구되는 직류전원으로 전파 정류된다. 이 전파 정류된 직류전원은 훅스위치(220)가 온되어 있으므로 통화부(230)로 공급된다. 상기 과정에 있어서 정류부(120)를 거친 직류전원은 충전전류조절부(130)쪽으로도 또한 공급되고, 충전전류조절부(130)에서 전류가 조절된 다음 전원공급용 콘덴서(140)에 계속 충전된다.
정류부(120)와 통화부(230) 사이에 있는 제1보호회로(150)의 제1제너다이오드(ZD1)는 상기 정류부(120)로부터 일정전압 이상의 과전압이 공급되면 이를 통과시켜 항상 일정전압을 유지시키는 기능을 하게 되고, 제1콘덴서(C1)는 직류전원에 포함된 잡음성분을 제거시킨다.
상기 정류부(120)를 통해 공급된 직류전원은 통화부(230)에 공급되고, 이 직류전원은 통화부(230)로부터 정류 다이오드(D2)를 거쳐 전원공급부(160)로 공급된다. 따라서, 공중전화기(200)의 통화중 전원은 전원공급부(160)로부터 제어부(240) 및 공중전화기(200)의 각 부분으로 공급될 수 있음과 아울러 역전류가 방지된다.
좀 더 상술하지면, 전원공급부(160)로 공급된 직류전원은 상기 제2보호회로(170)의 제2제너다이오드(ZD2)와 제2콘덴서(C2)에 의해 일정한 전압으로 유지됨과 아울러 교류 성분(맥류)이 제거된 후, 제1정전압부(161)를 통하여 공중전화기(200)의 모든 회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240) 및 각 부분에 공급된다. 또한 전원공급부(160)로 공급된 직류전원은 전원공급부(160)에 있는 제2정전압부(162)에도 공급되고, 각 해당 회로에 정압으로 공급된다. 또한 제3정전압부(163)에 공급된 전원은 충전용 콘덴서(C3)에 충전되어 공중전화기(200)의 미도시된 수납/반환 마그네트, 선별기의 수납마그네트 동작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대전류로 공급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공중전화기용 전원공급장치(100)에 있어서는, 전화국으로부터 공중전화기(200)까지 배설되는 국선 선로를 통한 직류전원(DC 48V)을 전원공급용 콘덴서(140)에 충전함과 아울러 이 충전전류를 대기상태인 공중전화기(200)의 제어부(240)에 공급하며, 또한 통화중에는 국선선로를 통한 직류전원을 공중전화기(200)의 전원공급부(160)로 공급하여 공중전화기(200)의 각 부분의 동작전원으로 이용함과 아울러 전원공급용 콘덴서(140)에 공중전화기(200)의 대기상태에 대비하여 전원을 계속 충전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므로, 공중전화기(200) 가설시 종래 국선 선로 및 전원공급선을 별도로 마련하여 함께 가설했던 것이 배제됨에 따라 공중전화기(200)의 가설작업이 편리한다.
또한, 전원공급용 콘덴서(140)의 충전되는 전원을 대기상태의 공중전화기(200)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터리의 사용이 배제됨에 따라 종래 1∼2년 주기로 배터리를 교체하여야 했던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기상태 및 통화상태에 관계없기 공중전화기(200)에 전원을 항구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정전 등의 사고로 인하여 통화가 중단되는 일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선의 배제에 따라 감전이나 낙뢰 등의 사고도 방지되므로 안전성이 도모된다.

Claims (4)

  1. 전화국으로부터 공중전화기까지 배설되는 국선 선로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원에 대하여 잡음을 제거하도록 국선 선로와 전기접속되는 잡음제거부;
    상기 잡음제거부를 거친 전원을 전파 정류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와 전기접속되어 정류부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원에 대한 전류를 조절함과 아울러 전원의 역 바이어스를 방지하는 충전전류조절부;
    상기 충전전류조절부를 거쳐 전류조절된 전원을 충전하고 충전된 전류를 공중전화기가 대기상태인 경우 공중전화기의 제어부로 공급하는 전원공급용 콘덴서; 및
    공중전화기의 훅스위치를 통하여 상기 정류부와 단속되는 공중전화기의 통화부와 전기접속되어, 공중전화기가 통화상태인 경우 상기 국선 선로로부터 잡음제거부, 정류부 및 통화부를 거쳐 공급되는 전원을 정압으로 공중전화기의 각 동작부분에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기용 전원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부와 통화부 사이에는 일정전압 이상의 전압이 인가되지 않도록 정전압 회로로 기능하는 제1제너다이오드 및 직류전원에 포함된 잡음성분을 제거하는 제1콘덴서를 가진 제1보호회로가 더 설치되고, 상기 전원공급부에는 전원을 일정전압을 유지하기 위한 제2제너다이오드 및 잡음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제2콘덴서를 가진 제2보호회로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기용 전원공급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에는 공중전화기의 각 회로에 전원을 정압으로 공급하는 다수의 정전압부들이 설치되고, 그 정전압부들중 어느 하나에는 충전용 콘덴서가 전기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기용 전원공급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와 통화부 사이에는 통화부를 거친 직류전원의 전원공급부로의 흐름을 유도함과 아울러 역기전력을 방지하는 정류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기용 전원공급장치.
KR2020000034295U 2000-12-07 2000-12-07 공중전화기용 전원공급장치 KR2002214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295U KR200221403Y1 (ko) 2000-12-07 2000-12-07 공중전화기용 전원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295U KR200221403Y1 (ko) 2000-12-07 2000-12-07 공중전화기용 전원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1403Y1 true KR200221403Y1 (ko) 2001-04-16

Family

ID=73092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4295U KR200221403Y1 (ko) 2000-12-07 2000-12-07 공중전화기용 전원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140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6299B2 (en) Power reception device and power reception method for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US6678173B2 (en) Power supply apparatus for the reduction of power consumption
JPH09298847A (ja) 非接触充電器
US6208118B1 (en) Far-distance remotely controllable rectifier with back-up battery
CN203278327U (zh) 一种后备电源充放电控制电路
KR200221403Y1 (ko) 공중전화기용 전원공급장치
JP3811056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のための電源スイッチ装置
US6914980B2 (en) Power switch device utilizing phone loop signals to control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a telephony instrument
KR19990081463A (ko) 국선 전원을 이용한 공중 전화기용 전원공급장치
KR200246269Y1 (ko) 솔라셀을 이용한 밧데리의 충/방전 제어회로
KR100466813B1 (ko) 국선 전원 및 태양광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공중전화 단말기
MXPA01011484A (es) Sistema de suministro de energia basado en una linea telefonica.
WO2016085844A1 (en) Battery backup arrangement
JP2001069687A (ja) 省エネルギー電源供給装置
KR200253465Y1 (ko) 절전형 배터리 충전 장치
JP2506970Y2 (ja) ト―ンリンガ―電源供給回路
KR930007931Y1 (ko) 무선 전화기의 정전시 사용 가능한 전원장치
US20040192410A1 (en) Hybrid telephony device
JP3528194B2 (ja) ドアホン接続用ターミナルボックス
JPH02306756A (ja) 電話機
KR940025216A (ko) 무선전화기의 전원공급 방법 및 장치
KR200307548Y1 (ko) 이동성 기기용 절전형 배터리 충전 장치
JP4045520B2 (ja) 着信ベル信号印加制御回路
KR940002727Y1 (ko) 전화기의 전원공급회로
JPS61234693A (ja) 電話回線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