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3172Y1 - 전화기의 라인 인터럽트 방지회로 - Google Patents

전화기의 라인 인터럽트 방지회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3172Y1
KR0123172Y1 KR2019950015457U KR19950015457U KR0123172Y1 KR 0123172 Y1 KR0123172 Y1 KR 0123172Y1 KR 2019950015457 U KR2019950015457 U KR 2019950015457U KR 19950015457 U KR19950015457 U KR 19950015457U KR 0123172 Y1 KR0123172 Y1 KR 01231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telephone
prevention circuit
line interrup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54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3536U (ko
Inventor
김도완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500154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3172Y1/ko
Publication of KR9700035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5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31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31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terface Circuits In Excha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화기의 라인 인터럽션 방지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화기의 라인 인터럽트 방지회로는 제2콘덴서를 이용하여 라인 인터럽션에 의한 펄스 발생을 억제 하였으나 선로의 상태나 제2콘덴서의 충전용량의 조절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코자하여 래치회로를 이용하여 후크 감지부에 라인 인터럽션을 방지하도록 하고 교환기에서 라인 인터럽션이 발생하더라도 라인 인터럽션 동안 안정되어 펄스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화기의 라인 인터럽트 방지회로
제1도는 종래 전화기의 라인 인터럽트 방지회로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라인 인터럽트 방지회로의 구성도.
제3도는 제2도에서 전화기의 라인 인터럽트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스위칭부 4 : 다이얼부
5 : 음성부 10 : 라인 인터럽션 방지수단
본 고안은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교환기(NO.1A)에서 발생되는 라인 인터럽션(Line interruption)을 방지하기 위한 전화기 라인 인터럽트 방지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화기의 라인 인터럽트 방지회로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국선으로 부터 송출된 링신호 팁/링(Tip/Ring)단자를 통해 입력하여 처리하는 링신호 처리부(1)와, 상기 팁/링단자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정류하는 브리지부(BR)와, 상기 브리지부(BR)를 통과한 음성신호를 다이얼부(4)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하여 음성부(5)로 송출하는 스위칭부(2)와, 상기 브리지부(BR)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의해 온/오프 후크를 감지하여 다이얼부(4)에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통화감지부(3)와, 상기 통화감지부(3)로부터 공급된 직류전원에 의해 다이얼 신호를 처리하는 다이얼부(4)와, 다이얼부(4)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브리지부(BR)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처리하는음성부(5)로 구성된다.
여기서 통화감지부(3)는 사용자의 온/오프 후크를 감지하는 후크 스위치(SW)와, 상기 후크 스위치(SW) 오프시 브리지부(BR)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따라 다이얼부(4)로 직류전원을(VDD)을 공급하는 제 4저항(R4) 및 제1다이오드(D1)와, 상기 후크 스위치(SW)가 오프되었을 경우 제5, 제7 저항(R5)(R7)을 통해 흐르는 전류에 따라 턴 온 또는 오프시켜 라인 인터렙션에 의한 펄스 발생을 방지하는 제3트랜지스터(Q3)와, 상기 제3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단에 병렬 연결되어 상기 후크 스위치(SW)로부터 출력된 라인 인터럽션에 의한 신호를 충방전하여 상기 제3트랜지스터(Q3)를 제어 하는 제2콘덴서(C2)와, 상기 제3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에 연결되어 턴오프시 상기 제8저항의 통과 신호에서 교류신호를 제거하여 라인 인터럽션상태를 상기 다이얼부(4)의‘HK’단자로 송출하는 제4콘덴서(C4)로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전화기의 라인 인터럽트 방지회로는 송,수화기를 들게 되면 후크 스위치(SW)의 위치가 온에서 오프상태로 되고, 제 4저항(R4)에서 제1다이오드(D1)를 통해 다이얼부(4)에 직류전원(VDD)을 공급하고 제5저항(R5)과 제7저항(R7)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제3트랜지스터(Q3)가 턴온하게 된다.
제3트랜지스터(Q3)가 턴온됨에 따라 다이얼부(4)의 'HK' 단자가 로우가 되어 'Po' 단자에서 하이가 출력 제2트랜지스터(Q2)에서 제1 트랜지스터(Q1)로 순차적으로 턴온하게 되어 루프를 형성시킨다.
이때 교환기는 전압강하나 전류의 소모에 의해 전화기의 수화기를 들었다는 것을 감지하고 발신음을 송출하게 되는데 교환기의 종류에 따라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환기에서 라인 인터럽트를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라인 인터럽트는 후크 스위치(SW)위 위치가 오프에서 라인 인터럽트 동안 제3트랜지스터(Q3)를 턴 오프('가' 위치), 턴 온('나' 위치)시켜 마치 펄스 다이얼 1번을 선택한 것 처럼 교환기가 인식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발신음이 들리지 않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2콘덴서(C2)를 조절하여 라인 인터럽션 동안(가) 제2콘덴서(C2)에 충전된 용량으로 제3트랜지스터(Q3)의 턴온으로 유지시켜 라인 인터럽션으로인한 펄스가 발생하지 않게 하였다.
이때 교환기측에서 보았을 경우 라인 인터럽트 시간동안 'HK' 단자는 온후크로 인식하여 'Po' 단을 로우로 만들어 제3도의 '나'위치에서 다시 'HK'단자로부터 오프 후크로 인식하여 'Po' 단을 하이로 만들어 펄스를 발생시킨다.
그러나 종래 전화기의 라인 인터럽트 방지회로는 제2콘덴서를 이용하여 라인 인터럽션에 의한 펄스 발생을 억제 하였으나 선로의 상태나 제2콘덴서의 충정용량의 조절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코자하여 래치회로를 이용하여 후크 감지부에 라인 인터럽션을 방지하도록 하고 교환기에서 라인 인터럽션이 발생하더라도 라인 인터럽션 동안 안정되어 펄스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는 전화기의 라인 인터럽션 방지회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전화기의 라인 인터럽션 방지회로의 구성도로서, 이에도시한 바와 같이 국선으로부터 송출된 링신호를 팁/링(Tip/Ring)단자를 통해 입력하여 처리하는 링신호 처리부(1)와, 상기 팁/링단자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정류하는 브리지부(BR)와, 상기 브리지부(BR)을 통과한 음성신호를 다이얼부(4)의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하여 음성부(5)로 송출하는 스위칭부(2)와, 상기 브리지부(BR)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의해 온/오프 후크를 감지하여 다이얼부(4)에 직류전원을 공급함과 아울러 라인 인터럽션 발생시 펄스발생을 방지하는 라인 인터럽트 방지수단(10)과, 상기 통화감지부(3)로부터 공급된 직류전원에 의해 다이얼 신호를 처리하는 다이얼부(4)와, 다이얼부(4)의 제어에 따라 상기 브리지부(BR)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음성부(5)로 구성된다.
여기서 라인 인터럽트 방지수단(10)은 전화기의 송,수화기를 들게 됨에 따라 온/오프 후크를 감지하는 제1후크 스위치(SW)와, 상기 제 1후크 스위치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의해 다이얼부에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제1다이오드(D1) 및 제9저항(R9)과 라인 인터럽션 발생시 펄스를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3, 제4트랜지스터(Q3)(Q4)와, 상기 제3, 제4 트랜지스터를 온/오프 후크에 따라 제어하는 제2후크 스위치(SW2)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사용자가 전화기를 들게 되면 제 1후크 스위치(SW1)가 온 에서 오프 위치로 가게 되고, 제1다이오드(S1)에서 제9저항(R9)을 통해 다이얼부(4)에 직류 전원(VDD)을 공급하게 되고, 제2후크 스위치(SW2)가 오프의 위치로 감으로 해서 제3트랜지스터(Q3), 제4트랜지스터(Q4)가 각각 턴온되고 다이얼부(4)의 'Po' 단자에서 하이가 출력되고 제2, 제1트랜지스터(Q2)(Q1)가 순차적으로 턴온하게 된다.
이때 교환기에서 라인 인터럽트가 발생하더라도 제1다이오드(D1)에 의해서 제3,제4트랜지스터(Q3)(Q4)가 영향을 받지 않고 라인 인터럽션 동안 펄스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래치회로를 이용하여 후크 감지부에 라인 인터럽션을 방지하도록 하고 교환기에서 라인 인터럽션이 발생하더라도 라인 인터럽션동안 안정되어 펄스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전화기의 송,수화기를 들게 됨에 따라 온/오프 후크를 감지하는 제1 후크 스위치(SW)와, 상기 제 1후크 스위치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의해 다이얼부에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제1다이오드(D1) 및 제9저항(R9)과, 라인 인터럽션 발생시 펄스를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3, 제4 트랜지스터(Q3)(Q4)와, 상기 제3, 제4트랜지스터(Q3)(Q4)를 온/오프 후크에 따라 제어하는 제 2후크 스위치(SW2)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전화기의 라인 인터럽션 방지회로.
KR2019950015457U 1995-06-29 1995-06-29 전화기의 라인 인터럽트 방지회로 KR01231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5457U KR0123172Y1 (ko) 1995-06-29 1995-06-29 전화기의 라인 인터럽트 방지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5457U KR0123172Y1 (ko) 1995-06-29 1995-06-29 전화기의 라인 인터럽트 방지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3536U KR970003536U (ko) 1997-01-24
KR0123172Y1 true KR0123172Y1 (ko) 1998-10-01

Family

ID=19416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5457U KR0123172Y1 (ko) 1995-06-29 1995-06-29 전화기의 라인 인터럽트 방지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317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3536U (ko) 199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56693A (en) Voltage and current controlled converter for telephone ringing
KR0123172Y1 (ko) 전화기의 라인 인터럽트 방지회로
US3992591A (en) Telephone line battery boost circuit
KR940007911B1 (ko) 착신 멜로디 자동전환회로
KR100233097B1 (ko) 전화라인 인터페이스 회로의 링신호 및 훅크스위치의 상태 검출회로
KR100206815B1 (ko) 교환기의 절전장치
AU607195B2 (en) A circuit arrangement for a telephone station with earth connection
KR970003420B1 (ko) 팩시밀리내의 가상신호를 이용한 외부전화기의 링 제어장치
KR920003343B1 (ko) 전화기의 장거리 통화 발신 제어시 경보음 송출회로
KR940001493Y1 (ko) 분기된 전화기를 이용한 멜로디홀드 자동 해제회로
JPH0221812Y2 (ko)
JP2538227Y2 (ja) 電話着信報知用電源供給回路
JPH0638526Y2 (ja) 電話機の電源回路
JPH0641409Y2 (ja) 電話機
KR0123705Y1 (ko) 전화기 접속회로에서의 링 신호 연결장치
KR0145481B1 (ko) 전원잡음 제거기능을 갖는 전자식 교환시스템
KR960000612Y1 (ko) 사설 교환기의 가입자 인터페이스 회로
KR940004465B1 (ko) 키폰시스템의 내선 링신호 제어회로
US4002838A (en) Telephone ringing control circuits
KR890004369Y1 (ko) 톤, 펄스 겸용다이얼 송출회로
KR100216713B1 (ko) 회선 자동 선택 장치
JPS61283264A (ja) メモリダイヤル電話機
KR900003666B1 (ko) 트랜스포머를 사용하지 않는 가입자라인 인터페이스회로
KR960010060Y1 (ko) 전화통화시 자동음성뮤트회로
JP2685765B2 (ja) ダイヤルパルス安定送出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