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3420B1 - 팩시밀리내의 가상신호를 이용한 외부전화기의 링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팩시밀리내의 가상신호를 이용한 외부전화기의 링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3420B1
KR970003420B1 KR1019930032013A KR930032013A KR970003420B1 KR 970003420 B1 KR970003420 B1 KR 970003420B1 KR 1019930032013 A KR1019930032013 A KR 1019930032013A KR 930032013 A KR930032013 A KR 930032013A KR 970003420 B1 KR970003420 B1 KR 970003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ntrol
facsimile
self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32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2730A (ko
Inventor
안원남
Original Assignee
대우통신 주식회사
박성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통신 주식회사, 박성규 filed Critical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32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3420B1/ko
Publication of KR950022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2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3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4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팩시밀리내의 가상신호를 이용한 외부전화기의 링 제어장치
제1도는 종래시술의 개략적인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화 선로 2 : 중앙처리장치
3 : 팩시밀리 내부 스피커 4 : 팩시밀리 내부 전화기
5 : 외부 전화기 11 : 제어부
12 : 자체 발진 및 증폭부 13 : 릴레이부
본 발명은 외부전화기와 팩시밀리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외부전화기로의 링 신호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팩시밀리는 외부전화기와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 팩시밀리의 자동 수신상태에서 외부로 부터의 링 신호 입력시 링 신호의 1∼2회 카운트 후 전화선로를 절체하고 팩시밀리의 내부 중앙 제어장치에서 가상신호를 발생하여 팩시밀리 내부의 스피커로만 신호를 보내어 링을 올려준다. 이에 따라 팩시밀리에 연결된 외부의 전화기에서는 전화선로가 절체되기전 초기 1∼2회 동안 링 신호가 검출되고 선로가 절체된 후에는 팩시밀리 내부의 스피커로만 링신호가 검출되어 외부의 전화기에는 아무런 음도 검출되지 않는다.
상기한 종래 기술을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 위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도는 종래 기술의 블록구성도로서, 도면에서 1은 전화선로, 2는 중앙처리장치, 3은 내부스피커, 4는 내부전화기, 5는 외부전화기를 각각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된 종래의 구성은 팩시밀리와 외부전화기를 하나의 전화선로에 동시에 연결하여 사용하여 구성으로서 팩시밀리를 자동 수신상태를 세팅하여 사용하는 구성이다.
이와같은 종래의 구성의 동작을 살펴보면, 전화선로(1)로 부터 링신호가 수신되면, 링신호의 초기 1∼2회 수신시 중앙처리장치(2)측 선로를 오픈(open)시키고 전화기(5)측 선로를 접속(close)시켜 외부전화기(5)는 초기 1∼2회 동안 링신호가 울리게 된다. 링 신호의 초기 1∼2회 이후에는 외부전화기(5)측 선로를 오픈시키고 중앙처리장치(2)측 선로를 접속시키고, 중앙처리장치(2)에서 가상신호음을 발생하면, 팩시밀리 내부의 스피커(3), 또는 팩시밀리 내부의 전화기(4)에만 링신호가 전달되고 외부전화기(5)는 상기 가상신호 발생으로 인하여 링신호를 인지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중앙처리장치(2)에서 가상신호가 발생되어 외부전화기(5)가 링이 울리지 않을 때 수화기를 후크 오프(Hook-off)시키면 전화 선로가 중앙처리장치(2)로 접속되어 외부전화기는 송. 수화가 불가능하게 되어, 외부전화기(5)로 통화를 하기 위해서는 초기의 링신호 1∼2회 수신동안 수화기를 후크 오프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팩시밀리의 중앙처리장치에서 가상신호가 발생하여도 외부전화기에서 링신호를 검출하도록 하는 외부전화기 링신호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팩시밀리 내부의 중앙처리장치로 부터의 가상신호를 입력받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자체 링신호를 발진 및 증폭하는 자체 발진 및 증폭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서 출력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자체발진 및 증폭수단에서 출력하는 자체 링신호를 외부전화기로 절체하는 스위칭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팩시밀리와 연결되는 외부전화기의 링신호 제어장치의 블록구성도로서, 도면에서 11은 제어부, 12는 자체 발진 및 증폭부, 13은 릴레이부를 각각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팩시 밀리 내부의 중앙처리장치(2)로 부터의 가상신호를 입력받은 제어부(11)와, 상기 제어부(11)로 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자체적인 링신호를 발진 및 증폭하는 자체 발진 및 증폭부(12)와, 상기 제어부(11)의 제어를 받아 동작하여 상기 자체 발진 및 증폭부(12)의 출력을 외부 전화기(5)로 절체하는 릴레이부(13)를 구비한다.
제3도는 제2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세부회로도 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세부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중앙처리장치(2)에서 가상신호(P1)을 출력하면(하이 논리상태) 저항(R1, R2)를 통해 배분된 전압에 의해 트랜지스터(Q1)가 온(ON) 된다.
트랜지스터(Q1)이 온되면, 저항(R4, R3)에 의해 배분된 전압이 로우 논리상태가 되어 트랜지스터(Q2)가 온되어 자체발진 및 증폭부(12)로 전진 전압을 인가하게 된다. 트랜지스터(Q2)에 걸린 저항(R5, R6)은 전류제한용 저항이다.
자체발진 및 증폭부(12)는 트랜지스터(Q2)가 온(ON)되면, 트랜지스터(Q3, Q4)중 어느 하나가 먼저 온(ON)이 되게 된다. 트랜지스터(Q3)가 먼저 온(ON)이 되면, LP1을 통하여 전류가 선형적으로 흐르다. 1/2주기에 포화가 되어 트랜지스터(Q3)는 오프(OFF)되게 된다. 이때 LP3에 유기된 전압으로 트랜지스터(Q4)가 온(ON)이 되면서 1/2주기에 포화가 되어 트랜지스터(Q4)는 오프(OFF)되고 트랜지스터(Q3)는 온(ON) 동작을 반복한다. 자체발진 및 증폭부(12)에서 발진 되는 발진 주파수는 LP1과 C1에 의해 결정되어진다. T1에 전달된 에너지는 저항(R11, R12)를 통하여 외부전화기를 전달된다. SG1은 서지(Surge) 보호용 소자이다. 상술한 T1은 약 10∼100Vpp의 증폭된 발진파형을 릴레이에 전달한다. 릴레이부(13)는 가상신호가 하이논리일때만 트랜지스터(Q5)를 온(ON)시켜 릴레이를 동작시킨다. 다이오드(D1)는 트랜지스터(Q5)가 오프시 코일에 유기된 전압을 전달(pass)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저항(R14)을 전류제한용이다. C2는 릴레이부(12)내의 릴레이(14)의 초기동작시 필요한 전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릴레이(14)가 동작하면 발진 파형은 외부전화기(5)에 인가되어 전화기의 링음이 검출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팩시밀리와 외부전화기를 연결하여 사용할시 자동수신상태에서 전화로 링음을 검출하므로 팩시밀리와 떨어져 있는 곳에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2)

  1. 팩시밀리 내부의 중앙처리장치(2)로 부터의 가상신호를 입력받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11)과, 상기 제어수단(11)으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자체 링신호를 발진 및 증폭하는 자체 발진 및 증폭수단(12)과, 상기 제어수단(1)에서 출력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자체 발진 및 증폭수단(12)에서 출력하는 자체 링신호를 외부전화기(5)로 절체하는 스위칭수단(1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내의 가상신호를 이용한 외부전화기의 링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11)은, 상기 중앙처리장치(2)로부터의 가상신호(P1)의 입력시 온되는 제1트랜지스터(Q1)와, 상기 제1트랜시스터(Q1)의 온 동작에 따라 온되어 상기 자체 발진 및 증폭수단(12)으로 전원전압을 스위칭하여 제공하는 제2트랜지스터(Q2)와, 상기 중앙처리장치(2)로부터의 가상신호(P1)의 입력시 온되어 상기 스위칭수단(13)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3트랜지스터(Q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내의 가상신호를 이용한 외부 전화기의 링 제어장치.
KR1019930032013A 1993-12-31 1993-12-31 팩시밀리내의 가상신호를 이용한 외부전화기의 링 제어장치 KR970003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32013A KR970003420B1 (ko) 1993-12-31 1993-12-31 팩시밀리내의 가상신호를 이용한 외부전화기의 링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32013A KR970003420B1 (ko) 1993-12-31 1993-12-31 팩시밀리내의 가상신호를 이용한 외부전화기의 링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2730A KR950022730A (ko) 1995-07-28
KR970003420B1 true KR970003420B1 (ko) 1997-03-18

Family

ID=19374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32013A KR970003420B1 (ko) 1993-12-31 1993-12-31 팩시밀리내의 가상신호를 이용한 외부전화기의 링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342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2730A (ko) 199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3420B1 (ko) 팩시밀리내의 가상신호를 이용한 외부전화기의 링 제어장치
KR20000068864A (ko) 팩스 수단 및 전화기 수단을 포함하고 활성화 팩스 스위치를포함하는 조합 디바이스
JP3955732B2 (ja) 発振器始動方法
KR0123172Y1 (ko) 전화기의 라인 인터럽트 방지회로
KR970011415B1 (ko) 보류 음악을 이용한 전화기의 링소리 발생 방법
KR920003343B1 (ko) 전화기의 장거리 통화 발신 제어시 경보음 송출회로
KR970003983B1 (ko) 자동응답전화기의 선별통화회로
JP2618900B2 (ja) 呼出信号回路
KR950010383Y1 (ko) 전화착신음량 자동조절 회로
KR940005231Y1 (ko) 무선전화기의 호출신호오동작방지회로
JPH0358223B2 (ko)
JPH02183655A (ja) ドアホン装置
KR100232725B1 (ko) 키폰시스템에서 루프 다이얼링회로
KR950010480B1 (ko) 키폰 시스팀과 전화기와의 접속 장치 및 방법
KR940013050A (ko) 전화 단말기의 전원 제어방법 및 장치
JPH0641409Y2 (ja) 電話機
KR910000321Y1 (ko) 무선 전화기 착신음 발생회로
KR970031648A (ko) 전화기(telephone)
JPH10224503A (ja) 通信装置
KR960010060Y1 (ko) 전화통화시 자동음성뮤트회로
JP2869298B2 (ja) 外付電話鳴動装置
KR930006529A (ko) 키폰 시스템의 전원공급 제어회로
KR19980014944A (ko) 통화 종료 신호 발생장치
JPH0444444A (ja) 電話機
KR970004563A (ko) 온-후크 오류시 통화가능 모드로 자동 전환되는 기능을 구비한 전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