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0383Y1 - 전화착신음량 자동조절 회로 - Google Patents

전화착신음량 자동조절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0383Y1
KR950010383Y1 KR2019930002109U KR930002109U KR950010383Y1 KR 950010383 Y1 KR950010383 Y1 KR 950010383Y1 KR 2019930002109 U KR2019930002109 U KR 2019930002109U KR 930002109 U KR930002109 U KR 930002109U KR 950010383 Y1 KR950010383 Y1 KR 9500103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ume
ring
call
sign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21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1436U (ko
Inventor
임남국
Original Assignee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김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김주용 filed Critical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021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0383Y1/ko
Publication of KR9400214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14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03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3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with variable loudness of the ringing tone, e.g. variable envelope or amplitude of ring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1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in the receiver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화착신음량 자동조절회로
제1도는 종래의 전화착신음량 조절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전화착신음량 자동조절 회로 구성도.
제3도는 제2도의 링검출부에 대한 상세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링발생부 2 : 링검출부
3 : 제어부 4 : 오프-훅크 감지부
5 : 전원부 6 : 디지탈 볼륨
7 : 스피커
본 고안은 전화착신음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화가 걸려올때 나는 착신신호를 일정한 크기에서부터 시작하여 최대 크기까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증가하도록 한 전화착신음량 자동조절 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화착신음량 조절회로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화가 걸려왔을때 링(Ring)신호를 발생시키는 링발생부(10)와, 그 링발생부(10)에서 발생된 신호를 적당한 크기로 스피커(30)를 통해 출력시키기 위한 음량조절 스위치(20)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전화착신음량 조절회로는, 전화가 걸려오면 링발생부(10)에서 발생된 링신호는 음량조절 스위치(20)를 통해 적당한 크기로 스피커(30)로 출력되며, 이때 착신음량은 음량조절 스위치(20)를 사용하여 대ㆍ중ㆍ소의 어느한 위치를 선택할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 전화착신음량 조절회로는 음량크기가 적게 선택되어있을 경우 전화기에서 멀리 떨어져있거나 주위가 시끄러울 경우 착신을 인지하기가 어렵고, 반대로 음량크기가 크게 선택되어있을 경우 전화기 근처에 어린이가 자고 있을때는 놀라서 잠을 깨거나, 한밤에 취침중일때 전화가 오면 갑자기 너무 큰소리가 나서 놀랄수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 및 주위환경에 따라 착신음량을 선택조정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외부에서 전화가 걸려왔을때 착신음량의 크기를 일정 크기에서부터 점차 증가시킴으로써 적당한 크기에서 사용자가 인지할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음량조절 스위치 대신 디지탈 볼륨을 사용하여 전화착신 음량을 순차적으로 증가시켜줌으로써 벨소리가 너무 작거나 지나치게 크므로해서 생기는 불편함을 해소하도록 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전화착신음량 자동조절회로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화가 걸려오면 링신호를 발생하는 링발생부(1)와, 이 링발생부(1)에서 발생된 사인파 링신호를 검출하여 구형파 신호를 출력하는 링검출부(2)와, 이 링검출부(2)에서 검출된 구형파 신호에 의해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3)와, 사용자가 전화착신음량을 인지하고 수화기를 들면 통화 루프가 이루어졌음을 알려주는 오프-훅크 감지부(4)와,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5)와, 상기 링발생부(1)에서 발생된 링신호를 상기 제어부(3)의 제어를 받아 착신음량의 크기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디지탈 볼륨(6)과, 이 디지탈 볼륨(6)에 의해 조절된 착신음량을 출력하는 스피커(7)로 구성한다.
상기 링검출부(2)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콘덴서(C1) 및 저항(R1,R2)을 통해 포토커플러(PC1)에 접속하고, 상기 포토커플러(PC1)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는 저항(R3~R5) 및 콘덴서(C2)를 통해 슈미트 트리거 인버터(I1)에 접속하여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부에서 전화가 걸려오면 링발생부(1)에서 링(Ring)신호를 발생시키고, 링검출부(2)에서는 20㎐의 사인(Sine)파 링신호를 제어부(3)에서 인식할수 있는 구형파로 만들어 주는데 이때의 동작을 살펴보면, 링검출부(2)의 콘덴서(C1)에서 직류(DC)를 블로킹(Blocking) 시킨후, 저항(R1,R2)을 통해 20㎐의 링신호가 포토커플러(PC1)에 입력되어 포토커플러(PC1)의 트랜지스터가 온/오프 동작되므로 불완전하지만 구형파가 만들어지고, 이 구형파는 저항(R3~R5), 콘덴서(C2) 및 슈미트 트리거 인버터(I1)를 통해 완전한 구형파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3)에서는 제1단자(I/01)를 통해 구형파 신호가 입력되면 제2단자(I/02)로 1초에 10회의 펄스를 출력하고, 제3단자(I/03)의 출력을 하이(High) 상태가 되게 한다.
이와같은 제어부(3)의 출력에 의해 디지탈볼륨(6)의 값이 점점 작아지게 되어 스피커(7)로 나는 소리가 점점 커진다. 여기서 디지탈 볼륨(6)의 동작을 살펴보면, 단자(VH, VW, VL)는 볼륨(Volume) 역할을 하는 3개의 단자이며, 업/다운 신호(U/D)가 "하이"이고, 칩선택신호(CS)가 "로우"일때 제어부(3)로부터 인크리먼트(Increment) 단자(INC)에 펄스가 입력되면 단자(VW)와 단자(VH) 사이의 저항이 작아진다. 반면에 업/다운 신호(U/D)가 "로우"이고 칩선택신호(CS)가 "로우"일때 제어부(3)로부터 인크리먼트 단자(INC)에 펄스가 입력되면 단자(VW)와 단자(VH) 사이의 저항이 커지게 된다. 한편, 칩선택신호(CS)가 "하이"이면 현재의 상태가 그대로 유지된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단자(VH)와 단자(VW)사이의 저항을 조절함으로써 스피커(7)의 음량을 조절하게 된다. 또한 전화가 걸려오지 않을 경우에는 디지탈볼륨(6)의 단자(VW)와 단자(VH) 사이의 값이 최대가 되도록 제어부(3)에서 제3단자(I/03)를 "로우"로 하여 100개의 펄스를 출력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전화가 걸려오면 처음에는 착신음량의 크기가 최소한의 상태에서 시작해서, 링검출부(2)에서 구형파 신호가 검출되어 제어부(3)의 제1단자(I/01)에서 이를 감지한후 제3단자(I/03)의 출력을 "하이"상태로 하여 디지탈 볼륨(6)의 업/다운신호(U/D)를 "하이"로, 제어부(3)의 제2단자(I/02)를 통해 1초당 10회의 펄스를 출력하여 디지탈 볼륨(6)의 인크리먼트 단자(INC)에 인가함으로써, 단자(VH)와 단자(VW) 사이의 저항이 1회의 펄스당 1/100씩 줄어들어 착신음량의 크기가 조금씩 커진다.
따라서, 1초당 10회의 펄스가 나오므로 10초후에는 단자(VH)와 단자(VW) 사이의 저항이 최소가 되어 착신음량 즉, 벨소리는 최대가 된다. 오프-훅크 감지부(4)는 사용자가 전화를 받았을 경우, 디지탈 볼륨(6)의 상태를 초기화해 줄수 있는 신호를 제어부(3)의 제4단자(I/04)로 전달한다. 착신음량이 증가하는 동안이나 또는 착신음량이 최대가 되었을때, 사용자가 전화가 온것을 인지하고 수화기를 들면 통화루프가 이루어져 착신음량은 멈춘다. 오프-훅크 감지부(4)에서 수화기를 들었다는 것을 감지하여 제어부(3)의 제4단자(I/04)로 오프-훅크(OFF-HOOK) 상태임을 알려주면, 제어부(3)는 제3단자(I/03)의 출력을 "로우" 상태로 만들고, 제2단자(I/02)를 통해 펄스를 출력하여 디지탈 볼륨(6)의 단자(VW)와 단자(VH) 사이의 저항값을 최대치로 조절하여 놓음으로써, 다음에 다시 전화가 걸려왔을때 전화착신음량의 크기가 최소상태에서 최대의 상태로 점점 커지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전화가 걸려왔을때 착신음량의 크기가 처음에는 최소한의 상태에서 시작해서 최대의 크기까지 점차적으로 증가됨으로써 적당한 크기에서 사용자가 인지할수 있고, 최대의 크기가 되었을때도 갑자기 큰 소리가 난 것이 아니고 서서히 음량이 증가하였으므로, 착신음량에 적응이 되었기 때문에 놀라거나 음량을 줄이는 부가적인 조작이 필요없어, 사용이 간편하고 생활의 편리함을 도모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전화가 걸려오면 링신호를 발생하는 링발생부(1)와, 이 링발생부(1)에서 발생된 사인파 링신호를 검출하여 구형파 신호를 출력하는 링검출부(2)와, 이 링검출부(2)에서 검출된 구형파 신호에 의해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3)와, 사용자가 전화착신음량을 인지하고 수화기를 들면 통화 루프가 이루어졌음을 알려주는 오프-훅크 감지부(4)와,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5)와, 상기 링발생부(1)에서 발생된 링신호를 상기 제어부(3)의 제어를 받아 착신음량의 크기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디지탈 볼륨(6)과, 이 디지탈 볼륨(6)에 의해 조절된 착신음량을 출력하는 스피커(7)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착신음량 자동조절회로.
  2. 상기 오프-훅크 감지부(4)는 사용자가 전화를 받았을 경우 수화기를 들었다는 것을 인지하여 제어부(3)로 디지탈 볼륨(6)의 상태를 초기화하는 신호를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착신음량 자동조절회로.
KR2019930002109U 1993-02-17 1993-02-17 전화착신음량 자동조절 회로 KR9500103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2109U KR950010383Y1 (ko) 1993-02-17 1993-02-17 전화착신음량 자동조절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2109U KR950010383Y1 (ko) 1993-02-17 1993-02-17 전화착신음량 자동조절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1436U KR940021436U (ko) 1994-09-24
KR950010383Y1 true KR950010383Y1 (ko) 1995-12-11

Family

ID=19350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2109U KR950010383Y1 (ko) 1993-02-17 1993-02-17 전화착신음량 자동조절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038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1436U (ko) 1994-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76968A (en) Telephone ringer intensity control responsive to ambient noise
US4636587A (en) Electronic switch for digital telephone
KR950010383Y1 (ko) 전화착신음량 자동조절 회로
KR940008109B1 (ko) 전화기 링 신호의 음량 조절 회로
KR970031666A (ko) 일반전화기에서 야간 전화벨소리 구현 방법
EP0600644A1 (en) Ring-trip detection using ring voltage and current
KR0124524Y1 (ko) 전화기의 뮤트 링거회로
US4374307A (en) Ringer system for a telephone
KR960010060Y1 (ko) 전화통화시 자동음성뮤트회로
JPS62161238A (ja) 電話機
KR0142800B1 (ko) 주변 조도감지에 따른 전화기의 톤링거자동변환장치
KR960001836Y1 (ko) 대상체의 위치 발견용 페이지 장치
KR870000058Y1 (ko) 마이콤을 사용하는 전화기의 링 검파회로
JPH0329996A (ja) アラーム音報知装置
KR920006207Y1 (ko) 전화기의 자동수신 상태 전환회로
JPH03113555U (ko)
KR950000722Y1 (ko) 전화벨 음량 자동조절회로
KR19990021094U (ko) 착신신호 자동 조절장치
KR970003983B1 (ko) 자동응답전화기의 선별통화회로
KR950010378Y1 (ko) 키폰 전화기의 외부 경보장치 접속회로
JPH03135146A (ja) 電話の呼出し装置
KR910003757Y1 (ko) 자동응답 전화기의 음량 조절회로
JPH059055U (ja) 呼出音量自動調節機能付電話
KR930006518A (ko) 전화통화시 오디오 출력 제어회로
KR19990056195A (ko) 전화기에서 수광소자를 이용한 벨소리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